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一般論文 : 고려 말 정몽주의 강상론(綱常論)과 정도전의권변론(權變論)탐구

        정성식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7 동양문화연구 Vol.1 No.-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매우 혼란한 시기였던 고려 말에 있어서정몽주와 정도전이 당시 현실을 어떻게 통찰판단 하였으며 대응처리 하였는가를 탐구하는데 있다. 고려 말의 신진사류들은 성리학을 수용하여 당시 사회지도이념으로 자리 잡고 있었던 불교의 타락에 대해 비판하며 유교 국가를 건설하고자 한 점은 한 길을 걸었지만, 위화도회군 이후 그들의 역사관내지 현실문제에 대한 타개방법은 결을 달리하여, 의리계열과 사공계열로 분열하여 대립 상을 보였다. 정몽주의 도덕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삼강오상은 바꿀 수 없는 원칙이었으며, 그에게 있어서 의리나 강상은 절대적인 것이었다. 그리하여 정몽주는 자신이 처한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직분을 성실하게 다하였다. 한편 정도전의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당시의 현실적 상황은 고려조의 명맥을 다시붙들어 일으킬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악화되어 있었다. 실로 근본적 처방이아니면 그 사회구조적 모순을 척결할 수 없었던 바, 이에 정도전은 고려조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사회변혁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로 인하여 신진사류들은 양분되었고 골이 깊어졌으니 그들은 모두 성리학을 기본이념으로 하였지만, 현실타개의 방법적 이견으로 인해 보수파와 혁명파로 분열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향후 그들이 성취한 사상적·경세적 제 이념들이 조선조 사회의 각 방면에 걸쳐 기본 틀을 정초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사상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on how Jeong Mongju (鄭夢周) and Jeong Dojeon (鄭道傳), two prominent scholars and politicians at their times, recognize and have an insight into the reality of the times and response the realistic and ideological challenges and social changes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which was in chaotic, complica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 new scholar-officials (新進士類) of the late Goryeo period accepted the ideas of Neo-Confucianism as a new philosophy and criticized at the corruptions and vices of Buddhism, established social doctrines at the times. The political goal of the new scholar-officials was to create a country based on the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and there was no dispute at the goal. However, there divided as two, Euiri (義理), moral-based faction and Sagong (事功) reality-base faction and their historial views and realistic measures and solutions had sharply conflicted since the accident of Troop Withdrawal from Wihwado (威化島). In the view of Jeong Mongju, a representative of moral-base fraction, Sam Gang O Sang (三綱五常), moral and ethical principles of Confucianism was absolute and Euiri or Gangsang (綱常) can`t be compromising. So he sticked to his principles at any situation and did his duties faithfully. While in the realistic perspective of Jeong Dojeon, the realistic situations of the end of Goryeo Dynasty were hopeless and beyond their controls. Radical and fundamental prescriptions were desperately needed to find a way out from socio-structural contradictions. He denied the orthodoxy of Goryeo Dynasty and sought for a revolutionary social change. The new scholar-officials were divided and sharply confronted each other for these different views and political standpoints. They agreed basically with the ideals of Neo-Confucianism but they were splitted into two groups, conservatives and revolutionarie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adopting countermeasures against realistic problems. However, it has an important historical and ideological meaning for their different ideological, economical ideas accomplished by the two through the conflicts, layed a cornerstone in the various parts of Joseon Society established later.

      • KCI등재

        숭양서원의 건축 속성 고고(考古)

        이상해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개성에 소재하는 숭양서원의 건축 속성을 서원이 세워진 장소와 주변환경, 건물 배치, 외부공간 구성과 건축물을 중심으로 고고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숭양서원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숭양서원은 고려 시대 개성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 자남산의 동남쪽 산자락에 위치하며, 정몽주가 살았던 집터에 새로 계획하여 건립한 서원이다. 숭양서원 영역의 앞부분에는 강학공간이, 그 뒷부분에는 제향공간이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배치는 남계서원 이후 정립된 조선시대 서원 배치의 전범을 따른 것이다. 숭양서원의 외문 밖에는 우리나라의 여타 서원에서는 보기 힘든 노둣돌이 2벌 있다. 출타하기 위해 말을 탈 때, 출타하여 일을 마치고 귀가하면서 말에서 내릴 때 각각 사용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숭양서원 터가 정몽주의 옛 살림집이었음을 말해준다. 강학공간에 속하는 동재는 가운데에 대청이 있고 그 좌우에 유생들이 기거하며 공부하는 온돌방이 있지만, 서재는 내부공간 전체가 통칸으로 트여 있다. 강학공간과 제향공간 사이의 경사지에는 서로 병행하는 세벌의 계단을 설치하여 각 계단마다 사우와 통하는 신문을 내어 세 신문을 모두 합하여 삼문이 되는 형식을 하였다. 제향공간에는 숭양서원이 1871년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지 않은 내력, 정몽주의 행적, 사우에 배향된 인물들 등을 알 수 있는 「숭양서원기실비」와 「유명고려문하시중시문충포은정선생서원비」가 있다. 제향공간의 중심인 사우는 우리나라 여타 서원에서 볼 수 없는 내부공간 구성을 하였다. 사우의 가장 서쪽 한 칸은 정몽주의 화상을 모신 영당이고, 영당의 오른쪽 세 칸은 사우에 배향한 인물들의 신위를 모신 정실(신실)이다. 사우의 양 측벽은 사우 양 측면의 나무 기둥에서 더 밖으로 각각 약 70cm되는 공간을 띄운 다음 벽돌로 화방벽처럼 쌓았고, 그 위에 기와로 눈썹지붕을 얹었다. 눈썹지붕 상부에 해당하는 박공면도 눈썹지붕 아래의 벽면보다 벽돌을 약간 안으로 들여쌓았다. 우리나라의 여타 서원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측벽 처리 방식이다. 20세기 어느 시점에 숭양서원의 외문과 강학공간의 남쪽을 구성하는 담장, 재사의 측벽이 바뀌었다. 외문은 원래 1칸 건물이었으나 3칸으로 바뀌었고, 외문과 강학공간 사이에는 담이, 담 중앙에는 외문에서 강학공간으로 출입하는 문이 있었지만, 이 담과 문이 철거되었다. 이 시기에 동재와 서재 남측 측면 벽에 있던 풍판도 제거되었다. 현 숭양서원에는 서원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고직사, 전사청, 장판각 등이 확인되지 않는다. 옛 배치도와 사진에는 고직사로 볼 수 있는 건물이 있으나, 현 숭양서원에는 없다. 조선시대의 서원 건축에는 서원을 구성하는 건물들의 당호, 기문, 제영 등이 있어서 성리학자들이 지향하는 목표와 사상을 더 강화시켜준다. 현재 파악되는 숭양서원의 당호는 문충당 뿐이며, 외문, 강당, 동재, 서재, 신문 등 여타 건물들의 당호는 알 수 없다. 옛 사진을 보면, 숭양서원 강당에는 기문들이 걸려있는데, 현재 강당 건물에는 보이지 않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uilding properties of Sungyangseowon Neo-Confucian Academy in Gaesong, North Ko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Seowon, the layout of buildings, the composition of the outer space and buildings. Through this study, several architectural attributes of Sungyangseowon has found as follows: Sungyangseowon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slope of Mount Janam, located in the center of old Gaesong, and is a newly planned and constructed seowon at the house site where Jeong Mong-ju lived. Inside Sungyangseowon, there are a lecture area in front and a veneration area in the back, the innermost area of the Seowon. This type of layout followed the Seowon’s layout standard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after Namgaeseowon’s layout. Outside the outer gate of Sungyangseowon, there are two sets of horse block, one for mounting to go out and the other one for dismounting the horse upon arriving at home after work, which are not seen in other seowons in Korea. This indicates that the site of Sungyangseowon was the former home of Jeong Mong-ju. East dormitory, a part of lecture area, has an open wood-floored hall (daecheong maru) in the middle and also there are ondol rooms with under-heating system on the left and right side where the students lived and studied, but inside of west dormitory is one whole space. On the slope between the lecture area and the veneration area, three sets of stairs were set up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each stair was presented with an inner gate (sinmun). In the veneration area, two commemoration stone steles are kept. Using them, why Sungyangseowon was not destroyed by Heungseondaewon-gun, the king's father, in 1871, Jeong Mongju’s deeds, and who are venerated in the shrine can be learned. The shrine, the center of the veneration area, shows floor plan composition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seowons in Korea. To the most west of the shrine is a room (youngdang) where the portrait of Jeong Mongju is enshrined, while the room of three kans to the right of youngdang is a shrine (sinsil), where five spiritual tablets of the venerated figures are enshrined. The walls on both sides of the shrine in Sungyangseowon were set apart from the side wall and then stacked with bricks, and on top of them were roofed with roof-tiles (giwa). and the upper part of the eyebrow roof is also brick-stacked. This is an unusual unique way of building side walls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seowons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outer gate of Sungyangseowon, the wall that forms south side of the lecture area, and the side walls of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changed. The outer gate was originally a one-kan building, but it was changed to three-kans. There was a wall between the outer gate and the south side of lecture area, and there was a gate from the outer gate to the lecture area in the middle of the wall, but both of them were demo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During this time, side walls of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were also changed. At the current Sungyangseowon, caretakers’ house, veneration preparatory chamber, and storage room for utensils and vessels used for rites, library and repository of woodblocks which are needed to run a seowon cannot be identified. In the old layout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photographs, there is a building that can be seen as a caretaker's house, but now it does not exist in Sungyangseowon. In Seowon architec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plaques of building name, documents and poems of the buildings that make up the seowon, which further strengthen the goals and ideas that the Neo-Confucian scholars are aiming for. The only building name that can be identified in Sungyangseowon is ‘Munchungdang’ (Munchung Shrine), but the names of other buildings, including main gate, lecture hall, east dormitory, west dormitory and inner gate are unknown. In old photographs, records of construction and repair...

      • KCI등재

        정몽주의 불교에 대한 인식과 태도 재검토

        최연식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4 No.-

        Jeong Mongju has been thought to be a moderate anti-Buddhist. His attitude toward Buddhism has been regarded to be the middle between the pro-Buddhist who advocated the role of Buddhism to the society and the anti-Buddhist who tried to exclude Buddhism from the society. In fact he was a faithful anti-Buddhist in that he kept the critical attitude toward Buddhism as a faithful Neo-confucianist, while he was similar to the pro-Buddhist it that he seldom denied Buddhism itself nor pay any direct attack to the Buddhists. Because of his ambiguous attitude, he was often criticized to be a eclecticist who criticized the Buddhism but was passive in oppressing it, or a opportunist who hesitated practicing his thought considering the ruler’s interest. But his attitude was never eclectic or opportunistic, nor he was a moderate anti-Buddhist. His attitude came from the confidence in the Neo-confucianism. He believed the superiority and the rationality of the Neo-confucianism and hardly concerned the Buddhism. In this respect he was much different from the other Neo-confucianists of the time. The Neo-confucianist of the time, anti-Buddhists or pro-Buddhists, cared much about the Buddhism and tried to overcome the Buddhist problems. His nonintervention anti-Buddhism was very special thought in the time and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t. Under the thought the Buddhism as well as the Neo-confucianism might have developed much differ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불교인식에 대한 이해에서 정몽주의 입장은 우호적 입장과 배척적 입장 사이의 중간적 입장으로 이해되어 왔다. 불교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엄격하게 견지하면서도 현실의 불교계를 직접적으로 배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리학적 원칙에 입각하여 불교를 엄격하게 비판하는 모습은 불교의 영향력을 최대한 억압하려 하였던 억불파(배불파)와 통하는 반면 현실의 불교계에 대하여 그 존재를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지 않는 모습은 불교의 유용한 부분을 활용하려 한 호불파(친불파)와 상통하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애매한 그의 모습은 불교를 비판하면서도 실제적 억압에는 소극적이라고 이해되어 ‘온건한 배불론자’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그의 태도는 결코 억불론(배불론)과 호불론(친불론)의 중간에 있는 절충적인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성리학적 사회의 실현에 있어 그 상대편에 있는 불교의 존재를 중요하게 상정하고 그 극복에 중점을 둔 다수의 성리학자들과는 달리 성리학 자체의 우월성과 합리성에 기반 한 자신감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정몽주의 불교인식과 태도는 기존의 억불론이나 호불론과는 구분되는 불간섭주의 배불론으로서,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불교에 대한 태도 중에서 특별한 성격으로 새롭게 평가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圃隱 鄭夢周의 交遊와 詩的 表現

        魚江石(Eo, Kang-Seok) 포은학회 2010 포은학연구 Vol.5 No.-

        본고에서는 포은의 시를 통해 보여준 교유관계를 살펴보고, 인물들에 따라 어떠한 태도를 보여 주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먼저 포은은 고려 후기의 대표적 사대부 문인들과 교유하였는데, 모두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從軍과 使行 등으로 遠行이 빈번하였던 포은은 항상 동료 문인들에 대한 그리움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두 번째는 외교관으로서 보여준 면모이다. 포은은 수차례 明과 日本에 使行을 다녀왔으며, 접빈사로서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포은은 명 황제의 덕화를 칭송하고, 명과 고려가 하나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明의 황제를 향한 의례적인 칭송이 아닌 포은의 진심이고 현실이었다. 고려 사회의 안정을 위해서 명의 후원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포은은 성리학을 학습한 儒者였지만 山寺에서 수학하기도 하였으며, 불교에 대한 이해도 높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승려들과 친밀하게 교유하였으며, 불교에 대해서도 상당히 포용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때로는 승려들과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山寺를 직접 찾기도 하였고, 시로서 불가의 승려들과 소통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포은의 풍모는 결국 고려의 사직을 보호하고 부흥하려는 절의파의 구심점이 될 수 있었으며, 조선에 들어서도 끊임없이 추숭되었던 이유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everal aspects of Poeun Jeong Mongju's social intercourse having an influence on his poems. First, Poeun was associated with Sadaebu(士大夫) in late Goryeo whom he had deep affection for. Poeun revealed his attachment rather directly through his poems because he was accompanying the army to the war or stayed in other countries as diplomatic envoy, for which he had to leave them. Next aspect of his social intercourse is related to his job as a diplomat. Jeong Mongju visited China and Japan several times as a diplomatic envoy. After coming back, he took charge of reception of guests from China and Japan. While doing this, Poeun praised the greatness of the emperor of Ming Dynasty and emphasized that Josun and Ming was one. It was not a courtesy praise but a cordial expression because supports from Ming was necessary for the stability of Goryeo Dynasty. Finally, he was also associated with Buddist monks. He learned Neo-Confucianism but studied in temples having a high understanding of Buddism. Thus, he was close to Buddist monks and had attitude of embracing Buddism. Poeun sometimes visited temples in mountains to talk with Buddist monks and communicated with them through poems. These aspects of Poeun's social intercourse can be believed to be the drive for him to be a center of group of Jeoleui which worked for Goryeo's revival and the reason of making him respected until Josun Dynasty continuously.

      • KCI등재

        『포은시고』 판본에 대한 고찰

        홍순석(Hong, Soon Seuk)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After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Poeun’ anthology is added fourteen times until Okssan-edition was published in 1903. It is unusual for one type of works to be published fourteen times. The fact that a collection of Jeong Mongju’s works was published before an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n confusing t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meant a lot. Currently, there are 206 types and 481 volumes of Poeun’anthology(圃 隱集) housed in all of the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The most remarkable thing among them is a two-volume book of Poeunsigo(圃隱詩 藁) housed in the Pusan city library. This edition is designated as tangible cultural assets No. 49. since it is later printing, which is a revised edition in 1439(Sejong21). Even though it has been discussed about Poeun’anthology(圃隱集) , it has not tried to take demonstration of the first edition.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in Housa Bunko which is the title of the first volume is marked as Poeunsigo, Singye-edition(新溪本: Garammungobon·釜山市立圖書館 本·晩松文庫本), Gaiseung-edition(開城本), and Hwangju barracks– edition(黃州兵營本). As a result, the following several facts are determined. First of all, the first edition which has been known for being destroyed remains in Housa Bunko(蓬佐文庫)of Japan. Also, Singye-edition and the first edition were expected for the same one, but it turns out that those edition are not identical. Poeunsigo(圃隱詩藁) which is housed in Bongjwa library is a printed book as the first edition. Whereas it is very well preserved, the preface is destroyed and someone touched the end of the first volume and second volume PartⅠand PartⅡ(page4) of the draft of Poeunsigo. Works in the first volume of Poeunsigo and in the second one are 120 and 134 respectively. Lee sack s three works, 〈圃隱齋記〉 〈題圃隱記後〉 〈憶鄭散 騎〉, are added at the end of the second volume and marked as ‘校記’ in pansim(板心). Poeunsigo which is designated as Pusan cultural asset No.46 is not a second volume of the first edition but a second volume of Singye-edition(新溪本). There are seven kinds of Shingye-edition in the country: Garam paperback in Kyujanggak, a paperback of paperback of Korea University and so one. Those were printed at different times. The edition in City library of Pusan is published in 1632(Injo 10) in that the period of publication, ‘大明崇禎五年 三月 日’, is engraved in the end of a book. Shingye-edition included 120 poems in the first volume and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first edition. The second volume included 135 poems, which is one poem is added in the first edition. 〈圃隱齋記〉 〈題圃隱記 後〉 〈憶鄭散騎〉 which are marked as ‘校記’ in the first volume are contained in 「Japjeo(雜著)」 and added Leesack s 〈書江南紀行詩藁後〉, Yubangseon s 〈訪圃隱先生舊居小賦〉. Ultimately, Shingye-edition added a Poeun s work, a Mokeun s work, and a Yubangseon s work. Gaiseung-edition(開城本) is a wooden printing which is published in 1575 when sungyang seowon received a framed picture from the King. 포은집 은 초간본이 간행된 후, 1903년 옥산본이 간행될 때까지 14차례에 걸쳐 판각이 이루어졌다. 1종의 문집이 14차에 걸쳐 간행된 것은 드문 일이다. 더욱이 임진왜란이나 조선말기의 혼란 시기를 전후하여 포은 정몽주의 문집이 간행된 사실은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 전국 36개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집은 206종 481책이다. 이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부산광역시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포은시고 2권 1책이다. 이 판본은 1439(세종21)에 개판한 초간본의 후쇄본이라고 하여 시도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동안 최채기, 양진조, 홍순석 등에 의하여 포은집 판본에 대해여 논의된 바 있으면서도. 초판본에 대한 변증은 시도된 바 없다. 최채기는 실전 되었다고 하였으며, 양진조는 부산시 문화재 49호로 지정된 포은시고 가 초간본의 후쇄본이라고 소개하였다. 필자는 일본 봉좌문고본이 초간본이라 고 소개만 하였을 뿐이다. 그동안 포은집 판본에 대한 연구에서 미흡했던 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 본고에서는 권수(卷首)의 제목이 ‘포은시고’로 표기된 초간본(봉좌문고본), 신계본(가람문고본·부산시립도서관본·만송문고본), 개성본(장서각본), 황주병영본(국립도서관)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포은시고 판본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음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선, 최채기․김기빈 등이 일실된 것으로 간주한 초간본이 일본 봉좌문 고에 현존하고 있으며, 최채기는 신계본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 으나, 초간본과 신계본을 대조해 본 결과 동일한 판본이 아니다. 일본 봉좌 문고에 소장된 포은시고 는 초간본으로 활자본이다. 현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권채의 서문이 소실되었고, 시고의 권지상 말미와 권지하1~2장(4면)은 누군가가 보필하였다. 시고 권지상에 수록된 작품은 120제, 권지하에는 134제이다. 이색의 작품 〈포은재기〉 〈제포은기후〉 〈억정산기〉 3편을 권지하 말미에 추각하였는데, 판심에 ‘校記’로 표기하였다. 부산문화재 46호로 지정된 포은시고 는 초간본의 후쇄본이 아니고 신계 본의 후쇄본이다. 국내에 소장된 신계본은 규장각 소장 가람문고본(가람貴 819.4J464P)과 연세대도서관본(貴237-1, 貴237-2),관, 고려대 만송문고본 (晩貴345) 등 7종이 있으나, 쇄출한 시기는 각각 다르다. 만송문고본은 일휴 당 금응협(琴應莢:1526-1586)의 소장인으로 보아 판각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쇄출한 판본이다. 유부의 중간 발문도 있어 현존 신계본 가운데 주목되는 자료이다. 부산시립도서관본은 권미에 ‘大明崇禎五年 三月 日’이라는 간 기가 추가로 판각되어 있음을 볼 때 1632년(인조10)에 간행한 판본인 셈이다. 신계본은 권상에는 시 120제를 수록하였는데 초간본과 차이가 없다. 권 하에는 시 135제를 수록하였다. 초간본에다 〈척약재명(惕若齋銘)〉 1편이 추가된 것이다. 초간본에서 판심에 ‘校記’로 표기하여 수록한 〈포은재기(圃 隱齋記)〉 〈제포은기후(題圃隱記後)〉 〈억정산기(憶鄭散騎)〉는 ‘잡저(雜 著)’라는 편목 하에 수록하였다. 그리고 이색의 〈서강남기행시고후(書江南 紀行詩藁後)〉, 유방선의 〈방포은선생구거소부(訪圃隱先生舊居小賦)〉를 추가하였다. 결국 신계본은 초간본에다가 포은의 작품 1편과 목은의 발 문 1편, 유방선의 작품 1편을 추가한 셈이다. 개성본은 1575년 개성의 숭양서원 사액 당시에 간행한 목판본이다. 한호 의 글씨로 판각된 것으로 이전의 판본인 신계본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시문 의 표기체계에서 초고본과 신계본에서 쓰인 고자(古字), 이자(異字)를 정자 체(正字體)로 바꿔서 썼으며, 오탈자를 바로 잡았다. 이후의 판본에서는 개 성본의 표기를 그대로 쓰고 있다. 개성본 간행시 증보된 작품은 〈용이공봉 운(用李供奉韻)〉 3수와 〈송송정랑안경상도〉 1수, 〈청물영원사소(請勿迎 元使疏)〉 〈제김득배문(題金得培文)〉이다. 황주병영본은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이후에 간행된 판본임에도 개성본 (1575)을 모본(母本)으로 복각한 때문인지 수록된 내용은 개성본에 가깝다. 개성본에 노수신의 서문이 추가되었으며, 시문은 〈제동포맹사문희도시축점 민자(題東浦孟斯文希道詩軸占民字)〉 〈김해산성기(金海山城記)〉 2편 이 증보되었으며, 그리고 포은화상과 포은유묵이 추가되었다. 포은연보의 기사는 개성본과 같다. 포은시고 판본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서제교역벽상(書諸橋驛壁 上)〉(上005), 〈소금성역회송경제우(小金城驛懷松京諸友)〉(上021), 〈제요동방진무선(題遼東龐鎭撫扇)〉(上048) 등은 이후 간행된 판본에서 시제가 바뀌어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만경대에 형성된 호남 충(忠)의 이미지

        정훈 ( Hun J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0 호남학 Vol.0 No.48

        본 논문은 남고산성에 있는 만경대와 관련된 한시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고려말 충신이었던 정몽주는 만경대에 올라서 망해가는 고려에 대한 회한과 자신의 충성심을 드러낸 시를 지었다. 정치적으로 이성계와 반대편에 섰던 정몽주는 이 시를 지은 뒤 몇 년 후에 이성계 일파에 죽임을 당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정몽주를 죽였던 태종 이방원은 많은 정적들을 제거한 후에 충성의 표상으로서 정몽주를 지목하였다. 이후 조선왕조는 그를 영의정으로 추증하는 한편 문집을 간행하게 하고, 문묘에 배향하여 제사를 지내도록 하면서 충신으로서의 정몽주 이미지를 공고히 하였다. 정몽주가『등전주만경대(登全州望景臺)』를 지은 후, 만경대는 본래가지고 있던 호연지기를 기르기 좋은 산성의 이미지보다 더 강한 충신의 이미지가 더해지게 되었다. 공고해진 충신의 이미지를 가진 만경대는 이후 이곳을 오르는 시인들에게 거꾸로 영향을 주었다. 만경대를 주제로 한 시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이 차운시이다. 원시의 작자를 추존하는 차운시의 특성상 차운시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원시의 작자를 의식한다는 뜻이 된다. 차운시 외에도 만경대를 주제로 한 시들은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해 경치 좋고 시야가 넓은 곳을 찾는 경우와, 다른 사람들의 시에 차운한 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들은 이전의 누정시와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누정은 한번 세워지면, 오랜 세월에 변함없이 있는 것은 아니다. 세워지고 무너지는 것처럼 이미지가 덮여지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면서 시대에 따라 변해간다. 누정에 대한 연구방법도 처음 누가 세웠는가에서 누정에 대한 인식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해갔는지를 살피는 것도 누정연구의 한 방법일 수 있다. This is a treatise on the chinese-korean poem about the Mangeingdai(萬景臺).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when Jeong Mongju(鄭夢周) climbs the Mangeingdai, he composes a poem about the country and his loyalty. (登全州萬景臺) After a few years, Lee Seongkei(李成桂) beat Jeong Mongju to death as a political rival. But Joseon Dynasty(朝鮮王朝) was founded, it was urgently needed a faithful retainer. They repeatedly regards Jeong Mongju as a faithful retainer in ironically. Joseon Dynasty is under a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of Jeong Mongju and published in a collection of his works. The Joseon dynasty give him a faithful retainer`s image without interruption. Since then, the Mangeingdai not regard as a walled mountain fortress but rather as a place to praise Jeong Mongju for his loyalty. Many poet visited a place of historic interest and composed a poem as a his rhyming word. But the rest poem composed of of great spirit and composed a poem as a rhyming word. For great spirit poem, they are all the same that anothergazebo`s poem. Once gazebo was build, it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It have as much imagery as we can. According to the times, we have to recognize of a change of gaboze`s image. So we have to change about the approaches to gazebo.

      • KCI등재

        1386년 정몽주의 南京 사행, 路程과 詩境

        이승수(Lee, Seung-su)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1386년 정몽주는 명나라의 수도 남경에 네 번째 외교사행을 다녀왔다. 당시 고려와 명나라의 외교 관계는 순탄하지 않았다. 당시 사행은 육로와 해로, 그리고 수로를 반복하는 매우 먼 여정을 소화해야 했으며, 그 거리는 왕복 4000km에 이르렀다. 이는 후대의 북경 사행보다 훨씬 멀고 시일도 오래 걸렸다. 이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사행로 중 중국 산동반도의 登州에서 南京에 이르는 노정을 재구성한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정몽주가 사행 도중 만들어낸 詩境을 검토한 부분이다. 정몽주는 이 구간에서 60여 수의 시를 남겼다. 노정의 재구를 위해 정몽주의 시를 지리 중심으로 재편하였고, 8박 9일에 걸쳐 현장을 답사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극히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당시 정몽주의 왕복 노정을 모두 복원할 수 있었다. 1386년 정몽주는 외교관이자 여행자이며 시인이었다. 이 해 3월 19일에서 5월 17일에 이르는 두 달 사이, 登州에서 南京을 오간 노정 위에서 지어진 시에는 정몽주가 그려낸 물색이 생생하고, 시의 풍경 속에는 정몽주의 모습이 선연하다. 공간체험은 시를 낳고, 시는 독자들에게 그 공간에 대한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공간의 경험은 시의 이해를 도와주고, 미적으로 수용된 시는 지리공간의 의의를 풍요롭게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작품과 공간은 서로를 형성하고 강화하는 관계로 거듭난다. 登州~南京 구간을 배경으로 하는 정몽주의 시는 한국문학사에서 희소할 뿐만 아니라 높은 미적 수준을 갖추어, 이 지역을 한국문학의 지리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정몽주의 시편들은 1386년 두 달 간의 역사이자 지리지이다. In 1386, Jeong Mongju undertook four diplomatic trips to Nanjing, the capital of the Ming dynasty, at a time when relations between Goryeo and the Ming were tense. The envoys traveled approximately 4,000 kilometers over several land and water routes. This paper will first examine the envoys’ route from Dengzhou (登州) on the Shandong (山東) peninsula, to Nanjing. Then it will look closely at the approximately 60 poems that Jeong Mongju wrote during these trips. The current author re-arranged the poems according the geography they describe. He then visited the sites over the course of nine days. With the exception of some extremely small parts, the round-trip route taken by Jeong Mongju was identified. During two months from March 19 to May 17 in 1386, Jeong Mongju travelled to Nanjing and vividly described the scenery. The experience of travel gave birth to these poems and in return, the poems stimulate the readers’ imagining of that space. The experience of the journey helps us to understand the poems while an aesthetic understanding of the poems enriches the significance of this geographical space. The poems by Jeong Mongju written while en route from Dengzhou to Nanjing are very rare work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are of a high aesthetic level. On account of this, the route from Dengzhou to Naning now occupies a space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포은 정몽주 한시 미학 연구

        권성훈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1 No.-

        Eagle is a social and cultural one in which the moment is inherently Mr. Poun Jeong Mongju (1337–1392), in the artistic features and meanings, ‘artistic aesthetics’ revealed in what way the exposure was exposed. Human beings can not pursue beauty without debating art, just as beauty can not be excluded from ancient times and art can not be appreciated. Art is aesthetically formed as an aesthetic exploration of being formed in the process of change like generation and annihilation, and pay attention to it. Examining Jeong Mongju is a literate, politician, sexualist. who represents the end of the 14th century Koryo acting as a thinker, investigating art aesthetic as a poetic source, has been created and housed in numerous literary aesthetics in his work. In addition, Poun poetry literature is widely known as a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a classical moment, with the history of Koryo as a background, as long as it is historical penetrating his era of poetry Because it implies mental value. Many discussions on this Poun have been studied mainly on historical events and feeds of the progeny, as well as a poetic motif in various literary imaginations. So far, I have explored the formal and contental aspects of Chosun Literature from the writers on the basis of politics and ideology. Furthermore, in this article, by analyzing Poun literature aesthetically, which is a fundamental problem of art, it tries to contribute to the literary phase accompanying it. The aesthetic sense of the poet can distinguish the world view and the era of spirit from the process of verbalizing the linguistic aesthetic of the poet in terms of the fundamental art scale. Milan at the time of Poun examined by the method of research separated from the maze of natural beauty and life in macroscopic sense, when it is sublimed into art, the art maze grows. In literary classification of beauty it is mentioned as elegans, sublime, tragic, Golgemi, and in this article, in the aesthetic aspect conspicuous at the time of Poun, the first sublime and the transcendental image, the second tragic and the solitary monologue, the third It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elegans and the scenic emotions, fourth Golgemi and paradoxical edification. 이글은 14세기 고려말을 대표하는 문인․정치가․성리학자․사상가․외교관으로 활동해 온 포은 정몽주의 예술적 미의식에 대한 미학적 양상을 살폈다. 특히, 포은 정몽주의 한시가 가진 사회적․문화적․예술적 특징과 의미 중에서 ‘예술적 미학’을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내는지에 대해 주목하였다. 인간은 고대로부터 아름다움을 배제하고 예술을 탁마할 수 없는 것과 같이 예술을 응대하지 않고 아름다움을 논의할 수 없다. 고대 인류로부터 추구해온 예술은 역사, 문화, 전통을 넘나들면서 존재하는 것에 관한 미적인 탐구로서 사물에 관한 생성과 소멸과 같은 변화 과정에서 심미적으로 형성된다. 포은 시문학이 고려사를 배경으로 하는, 고전 한시임에도 그의 시가 전승 및 회자되면서 한국문학을 대표할 수 있는 것은, 그만큼 그의 시가 시대를 관통하는 역사성과 함께 정신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포은에 관하여 많은 논의는 후대에서 역사적 사건과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학적 상상에서의 시적 모티브가 되어왔다. 지금까지 정몽주의 문학에 대해 논자들로부터 정치와 사상을 중심으로 한 삶과 업적에서 배태된 한시문학의 형식적이고 내용적인 면을 탐구하였지만, 이 글을 통해 포은 문학을 근원적인 예술의 문제인 미학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에 따른 문학적 위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살펴본 포은의 시를 미적학적 범주로 구분한다면 우아미, 숭고미, 비장미, 골계미로 들 수가 있고, 본고에서는 포은의 시에서 두드러지는 미학적 양상으로, 첫째 숭고미와 초월적 심상, 둘째 비장미와 고독한 독백, 셋째 우아미와 절경의 정감, 넷째 골계미와 역설적 교훈 등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장에서 포은 시를 각각 3편을 선정하고, 미학의 범주 양상과 시적 주제 및 의미에 천착하였다.

      • KCI등재

        고려말 對明 使行의 遼東半島 경로 고찰

        이승수 우리한문학회 2009 漢文學報 Vol.20 No.-

        遼東半島는 정치적 영유권과 상관없이 선사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역사 공간으로서 존속해온 곳이다. 이 글은 한국의 역사 공간으로서 요동반도를 조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고려말 對明 외교 속에서 형성된 使行路 중 요동반도상의 경로를 재구하고, 나아가 사행 현장에서 지어진 문학작품을 검토하여 이 공간이 지니는 역사·문화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1368년 명나라가 남경에 도읍한 이래 1392년 고려가 망하기 까지 30여 년간, 고려에서 명나라에 파견한 사행의 횟수는 50차례에 이르는데, 그 대부분이 遼東半島에서 山東半島를 잇는 해로를 경유하는 노정을 이용하였다. 고려말 대명 사행의 역사적 성격과 사행 경로 등 역사지리적 외연에 대한 사전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당시 이 공간을 배경으로 지어진 문학작품들에 대한 정밀한 독해가 가능해졌다. 이 글에서는 그중에서 정몽주의 시편들을 주 텍스트로 하여 당시 사행 현장의 풍광과 분위기 등을 검토하였다. 결과 明初 요동반도의 여러 사정과 沿路 풍광의 특색, 그리고 사신들의 정서와 고통 등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이들의 고대사 인식을 살펴보았는데, 정몽주는 뚜렷하게 자국사의 맥락에서 고구려와 발해를 바라보는 역사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문학작품들은 질과 양 모든 면에서 충분하지 않지만, 한국학의 관점에서 이 시기 요동반도에 대한 조명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소중하다. The Liaotung Peninsula was a part of Korean history from the prehistoric age until now regardless of the political sovereignty. This study examined the route on the Liaotung Peninsula among the routes of envoy to the Ming Dynasty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s a part of project emphasizing the Liaotung Peninsula as a part of Korean history and furthermore, exploited the historic and cultural meaning of the Liaotung Peninsula by examining the literary works created on the route of envoy. For about 30 years from 1368 when the Ming Dynasty set up the capital in Nanjing to 1392 when the Goryeo Dynasty fell down, the envoy of Goryeo Dynasty visited the Ming Dynasty about 50 times. Most of those visits used the sea route from the Liaotung Peninsula to the Shandong Peninsula.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aspects including the historic features and route of envoy to the Ming dynasty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were examined in advance so that the literary works created with such a route as the background could be precisely interpreted. This study examined the scenery and atmosphere on the route of envoy at that time with the poem of Jeong Mongju as the main text. Consequently, various situations in the Liaotung Peninsula, features of scenery on the roadsides and the emotion and pain of envoy at the early Ming Dynasty were identified. Moreover, according to the deliberation on the recognition on the ancient history, Jeong Mongju demonstrated the definite historical recognition on Goguryeo and Balhai in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The literary works with those peninsula as the background were not significant in terms of quality as well as quantity, but they were very valuable because they enabled to recognize the Liaotung Peninsula at that time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ology.

      • KCI등재

        고려시대의 안시성 위치 인식과 당 태종 눈 부상설의 검토

        김철웅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8 군사 Vol.- No.109

        The Battle of Anshi Castle has been talked about by many as an event that represents Korean history. Therefore, This paper reviewed two problems about Anshi Castle, the perception of the Goryeo period about the position of Anshi Castle and the rumor of the eye injury of Tang Taizong. The Battle of Anshi Castle is recorded in Chinese documents such as ZhenGuanzhengyao( 貞觀政要 ), Tongdian( 通典 ) and ZizhiTongjian( 資治通鑑 ). In the ZhenGuanzhengyao, the Ansi Castle was said to be in the Liaodong. In the Tongdian, there is Anshi on the south side of Daliaoshui(大遼水). By doing so, the people of Goryeo would have recognized that Anshi Castle was in the eastern part of Liaohe(遼河). In the late Goryeo period Lee saek, Jeong mongju, and Lee sungin traveled through the Liaodong region to reminisce about the Battle of Anshi Castle. They understood that Anshi Castle was in Gaizhou(蓋州) of Liaodong region. Liaoshi and Jinshi compiled from the Yuan Dynasty, Yuanshi compiled from the Ming Dynasty recorded that Anshi Castle was in Gaizhou. However Anshi Castle, which was recognized as in the Liaodong until the Goryeo Dynasty, was officially recorded as Yonggang-Hyun by the ShinjungDonggukRyujiSeunglam. As a result this later led to confusion in Anshi Castle's location. On the other hand, the rumor of the eye injury of Tang Taizong is handed down as a representative memory of the battle of Anshi Castle. However, many librarians have recorded that Taizong leaved Liaodong and suffered from a boil after arriving in Dingzhou. Therefore, the rumor of the eye injury of Taizong is a misinterpretation of the fact that Taizong's disea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Mongol·Yuan, the battle of Anshi Castle was reinterpreted as a historical case of emphasizing the strength and independence of Goryeo. In response Lee saek, Jeong mongju, and Lee sungin pay attention the Battle of Anshi Castle as a historical event. This came from a historical recognition that Goryeo succeeded Goguryeo. 안시성 전투는 한국사를 대표하는 사건으로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안시성에 관한 두 가지 문제, 즉 안시성 위치에 대한 고려시대의 인식과 당 태종의 눈 부상설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정관정요』, 『통전』, 『자치통감』 등의 중국 자료에 안시성 전투가 기록되어 있다. 『정관정요』에 ‘요동안시성’이라 하여 안시성이 요동에 있다고 하였다. 『통전』에는 대요수 남쪽에 안시가 있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고려 사람들은 안시성이 요하의 동쪽 지역에 있었다고 인식하였을 것이다. 고려후기에 이색, 정몽주, 이숭인 등이 요동 지역을 지나면서 안시성 전투를 회고하였다. 이들은 안시성이 개주에 있었다고 이해하였다. 원에서 편찬한 『요사』와 『금사』, 그리고 명이 편찬한 『원사』에서 안시성을 개주로 비정하였다. 그런데 고려시대까지 요동에 있다고 인식되었던 안시성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해 공식적으로 용강현으로 비정되었다. 그리하여 이후에 안시성의 위치는 혼란을 가져오게 되었다. 한편 당 태종의 눈 부상설은 안시성 전투에 대한 대표적인 기억으로 전승되고 있다. 그런데 여러 사서에서는 태종이 요동에서 철수하던 도중 정주에 도착 이후에 종기를 앓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눈 부상설은 당 태종의 종기병에 대한 사실이 와전된 것이다. 고려와 원의 관계 속에서 안시성 전투는 고려의 강성함과 독자성을 강조하는 역사적 사례로 재조명 되었다. 이에 이색, 정몽주, 이숭인 등은 안시성 전투를 역사적인 사건으로 주목하였다. 이는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역사인식에서 나온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