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자전환 시 채무면제익・대손금의 발생과 주주에 대한 증여세 과세 문제에 관한 연구

        배영석(Bae, Yeong-Seok),배한빈(Bae, Han-Bin)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3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증자 과정에서 신주 인수자로부터 기존 주주에게 그 주식가치가 증가하는 방법으로 富가 이전 되면 증여세를 과세하도록 하고 있고, 지배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이 30% 이상 지분을 가진 특정법인에 지배주주 등이 채무면제 등을 하여 특정법인 주주의 주식가치가 증가하는 방법으로 富가 이전할 경우도 증여세를 과세하도록 하고 있다. 금전채권을 출자전환하면 자본금이 증가하고 이 증가에 따른 신주가 발행되어 출자전환채권자에게 교부된다. 따라서 출자전환 시 출자전환받은 채무자 법인의 기존 주주에게 증여세 과세 문제가 발생한다면 출자전환을 신주 발행의 과정을 중시하여 증자에 따른 이익의 증여세로서 과세할 것인지, 아니면 채권자의 채권회수의 과정을 중시하여 채권회수 과정에 채무면제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하여 채무면제익에 따른 증여세로서 과세할 것인지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출자전환이 가진 이러한 2가지의 성질(채무자 입장에서는 증자의 성질과 채권자 입장에서는 채권 회수의 성질)을 구분해서 출자전환 시 주주에게 증여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어떻게 과세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논증한다. 회생절차, 워크아웃절차, 일반절차 등 어느 절차에서 출자전환을 하든 실무에서는 ‘출자전환채권액=신주의 주금 납입액’이 되는 상계 방식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렇게 상계 방식으로 출자전환하면 채무면제익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출자전환 시 주주에게 증여세 문제가 제기될 경우 채무면제익이 발생해야만 적용되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5를 적용할 수 없고, 증자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 발생할 경우 적용되는 제39조가 적용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출자전환 시 채무면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주식발행액면초과액 중 주식 시가 초과액을 채무면제익으로 정한 법인세법의 규정’과 ‘회생계획 인가 결정에 따라 출자전환 시 출자전환한 매출채권과 주식 시가 간의 차액을 대손금으로 정한 부가가치세법 시행령의 규정’은 피출자전환법인의 기존 주주에게 증여세를 과세할 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이런 논란을 없애고 세법을 일관성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출자전환채권액을 주금납입에 갈음하는 방식으로 출자전환을 할 때에는 자본거래에 해당하여 손익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관련 법인세법과 부가가치세법 시행령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자전환과 관련한 기존 연구는 출자전환 채권자 입장과 피출자전환 채무자 입장에서 연구한 것이 대부분인데, 본 논문은 출자전환 시 주주의 입장에서 주주의 증여세 과세 문제를 연구한 것이므로 향후 주주의 증여세 문제가 제기될 경우 이를 해결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or the process on increase of capital, current inheritance and gift tax law is ruled as follow. That is, if the share value of existing shareholders is transferred from new shareholders to existing shareholders, or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related parties are exempt from debt, gift taxes to be levied. In case of a debt-to-equity swap is issued, as the capital increases, new shares are issued, and debt-to-equity convertible creditors receive new shares to repay their financial bonds. In this case, If the existing shareholders of the investment conversion corporation are subject to taxation of gift tax, the problem of whether to tax the gift tax as a capital increase process for issuing new shares or whether a creditor should tax the gift tax by identifying whether a debt exemption occurs in the bond collection process can be raised. This paper distinguishes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debt-to-equity con- version (the nature of capital increase from the debtor’s point of view and bond recovery from the creditor’s point of view) and then proves validity to gift tax for a shareholder when debt into equity occurs. Regardless of the procedures such as rehabilitation procedures, workout procedures, and general procedures, most of the practices are offset by the amount of debt-to-equity swap=payment of new shares, so this offsetting method doesn’t happen debt-exempt profit. Nevertheless, in such cases, where a gift tax issue is raised for shareholders,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regulations to be applied is not Article 45-5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but Article 45-5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us, with respect to the a debt-to-equity swap, Not only does the current corporate rule that the excess of the issued stock market price out of stock issue face value exceeded amount is debt-exempt profit. but in case of a debt-to-equity swap based on the decision to authorize the rehabilitation plan ruled by the enforcement decree of value added tax act, codes prescribed as a bad deb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rted trade receivable and the stock market price shall not apply to taxation of gift tax on existing shareholders of an investor conversion entity. To eliminate this controversy and to ensure consistent application of tax laws, in case of an investment conversion is made by substituting the amount of the self-conversion bond for the payment of the principal,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relevant corporate tax law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value added tax act to ensure that no gain or loss occurs in accordance with capital transactions.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n a debt-to-equity swap has been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debtors and debtors. Meanwhile, this paper is a study of shareholder’s gift tax tax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hareholders in case of investment conversion. It is expected to help resolve the issue of shareholders’ gift tax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회생절차에서 출자전환 후 감자한 매출채권의 대손세액공 제액에 대한 추징 가능성 여부 - 대법원 2019. 7. 4. 선고 2019두35329 판결사건을 중심으로

        배영석,김병일 한국채무자회생법학회 2019 회생법학 Vol.19 No.-

        회생계획에서 금전채권을 출자전환한 후 발행 주식을 즉시 '전부' 무상소각하기로 한 경우 2018년도 대법원 판결에서는 출자전환 채권가액 전액은 대손금으로 확정되었다고 하였으나, 출자전환주식의 '일부' 만 소각하기로 한 경우 2019년도 판결에서는 출자전환 채권가액은 '전액 회수' 되었기 때문에 대손금이 없다고 판결하였다. 특히 2건의 2019년 도 판결은 ① 출자전환채권의 99.86%는 소각하고 0.14%만 잔존 주식 으로 남긴 경우와 ② 95%를 소각하고 5%만 남긴 후 나머지 5%를 다시 변경 회생계획에서 전부 소각하여 결과적으로 100%를 소각한 경우에 대한 판결이다. ①, ②의 경우 채권자는 출자전환으로 회생채권을 100% 회수하였기 때문에 대손금이 전혀 없다는 판결이다. 얼핏 보면 2018년도 사건과 2019년도 사건은 똑같은 것으로 보이나 결론은 정반 대의 판결이다. 이해하기 힘든 이런 결론의 판결은, ㉠ 출자전환주식의 취득에 의하여 채권자가 출자전환 채권가액 전부를 회수한 것으로 볼 것인가(전액소 멸설) 시가 평가액 만큼만 회수한 것으로 볼 것인가(일부소멸설)라는 채 무자회생법의 해석상 차이와 ㉡ 채무자회생법에서 출자전환으로 소멸하 는 채무액과 준비금을 회생계획에 기재하도록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증 발행 형식의 출자전환 시 회생계획에 발행가액과 액면가액 간의 차액을 준비금으로 기재하지 않는 실무에 기인한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출자전환 시 채권자에게 대손이 발생하는 문제는 채무자 입장에서는 채무면제익이 발생하는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동안 출자전환 시 채무자에게 채무면제익 발생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세당 국 해석의 변경에 이어 법인세법 시행령, 법인세법 및 부가가치세법 시 행령을 각각 수차례 개정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의 2018년도 판결과 2019년도 판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얼핏 보면 같은 내용인 것 같은데 도 정반대의 결과가 나오는 등 여전히 문제가 많다. 지금까지 출자전환 시 세무상 문제는 '채무자에게 발생하는 채무면제 익의 문제' 와 '채권자에게 발생하는 출자전환주식의 취득가액의 문제 및 대손금ㆍ대손세액공제의 문제' 이었다. 출자전환 채권자의 손해의 일 부라도 보전해 주기 위하여 채권자에게 출자전환가액과 주식 시가 간의 차액을 대손금으로 인정, 대손세액공제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 을 과세당국이 받아들여 2019년도에는 부가가치세법 시행령까지 개정하 였다. 그러나 채권자에게 허용된 대손세액 공제액이 곧바로 채무자에게 공 익채권으로 추징됨에 따라 회생채권자들 간에 채권회수에 있어서의 형 평성 문제가 발생하고 회생계획 진행에 지장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하 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없애기 위해서는 출자전환 시 출자전환 채권액 이 발행주식의 주금납입액에 충당되는 것으로 되도록 회생계획의 작성 실무도 변경되어야 하고 대법원 판례 변경도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관련 세법의 개정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If newly issued stock is immediately canceled without payment after Debt-Equity Swap for the monetary claims under the rehabilitation plan procedures, all claims can be treated as bad debt expenses pursuant to the Supreme Court judgments in 2018. However, if part of the newly issued stock is canceled after Debt-Equity Swap, no bad debt expenses are allowed because all monetary claims were recovered by the Debt-Equity Swap in accordance with the holding of the court in 2019. Two scenarios are relevant: The first case is, if 99.86% of monetary claims by debt-equity-swap are canceled and 0.14% of monetary claims remain as stock. The second is, if 95% of monetary claims are canceled by debt-equity-swap and 5% of monetary claims remain by debt-equity-swap, and If this 5% of remainder is canceled in accordance with the newly established rehabilitation plan procedures, then 100% of claims by Debt-Equity Swap are canceled. These two cases show that no bad debt expenses occurred because creditors collected all rehabilitation claims by the debt-equity-swap pursuant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t first glance, these two 2018 and 2019 holdings look like similar,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quite the opposite is observed. These judgments resulted from quit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 ruptcy Act. The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is whether we can consider creditors collected all claims by acquiring newly issued stocks from Debt-Equity Swap (the theory of all of cancellation of debt) or claims collected the same amount of fair market value of newly issued stocks from Debt-Equity Swap (the theory of part cancellation of debt). Despite plan requirements describing the difference the amounts between the canceled debt by Debt-Equity Swap and reserve amounts at the rehabilitation plan under the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the taxpayer usually did not show the difference the amount between the newly issuing stock price and the face value stock which is the reserve amount at the actual practice. Accordingly, the undetachable related issues existed. There were bad debt expenses deductions on the creditor side and gain on waiver from creditor's claims on the debtor side. In order to solve the issue of gain from the waiver of debt by creditors to the debtors, the rules and regulations were amended several times. Also the tax authority changed the tax rule interpretation including the enforcement of corporation tax, and value-added–tax. However, even if the Supreme Court judgments in 2018 and 2019, look similar, one can draw opposite conclusions. Until now, the Debt-equity-swap taxation issues were the gain from the waiver of claims by creditors to the debtors, the acquiring value of newly issued stocks, bad debt expense and tax credit on the bad debt etc. to the creditor at the debt-equity-swap. In order to reduce and recover losses from the debt-equity-swap to creditors, creditors recognized the bed debt expenses in an amount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ly acquired book value of stocks at the debt-equity-swap and fair market value of new stocks. Also, the tax authority accepted the taxpayers petition and opinions and amended the Enforcement of Value-added-tax Act in 2019. However, the same amount of allowed bad debt expense to the creditors was treated as debtors priority claims. As a result, unequal claims occur among the creditors on the rehabilitation plan. Furthermore other issues come out under the continuing rehabilitation plan. In order to remediate these problems, all amount of claims at the debt-equity-swap should be fulfilled as paid-in-capital for the newly issuing stocks and also the related tax law should be amended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 should change.

      • KCI등재

        출자전환 및 회생채권 관련 대손금과대손세액공제에 관한 연구 -해석론의 정립방안을 중심으로-

        배영석,김병일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학 연구 Vol.34 No.1

        Debt-Equity swap is used for a kind of simple vehicle to increase a company’s capital as well as for companies in financial hardship. Debt-equity swap is a typical capital increase transaction but a lot of issues occur on the taxation during procedures of debt-equity swap. Debit-Equity swap procedures use offset method with liabilities and paid-in-capital in practice except for the company’s rehabilitation procedures. Accordingly bad debt should not be incurred to the creditors legalistically but there are some adverse criticism on this issue. Regarding the company rehabilitation procedures, if the target company is a personal company such as limited or unlimited partnership company, and rehabilitation creditors recovered all claims from the guarantor when debt-equity swap occurs, then bad debts will not be incurred on the claim for public interests(i.e. priority claims). Except for the above, according to corporation tax law regulation acquisition stock price should be the same amount of book value of claim right at debt-equity swap on the company rehabilitation procedures. In this case also we could assume that there is no bad debt.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refute on bad debt on the claim rights and also tax office’s interpretation is not consistent for this regulations. Particularly, there are a lot of confusing on bad debt expense deductions because bad debts are not recognized in the Corporation Tax Act but Value-Added Tax Act allowed bad debt on the premium of stock price over the issuing stock value at the debt-equity-swap. Allowing to deduct bad debt expense looks favorable to the taxpayers, but allowable bad debt expense deduction will be fulfilled to the claims for public interest (priority claims) for the government. Accordingly, there are no loss to the government but the unsecured rehabilitation claimants bear the loss for the their claims. Since, in the view of this irrationalistic regulations system, we should interpret bad debt expense deductions are not allowable and it should be an adequate interpretation. If rehabilitation creditors lose their claim rights because they did not report within due date or claims are uncollectible because the rehabilitation procedures approved by agreement of partial release of claim rights, then these claims are fixed as uncollectable claims, so these kind of claims should be interpreted as deductible bed debt expenses and it is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Also, even if release of claims designated in the future time on the plan of rehabilitation procedures, the agreement of release of claims will be effected without considering any conclusion or repel of the rehabilitation procedures. Therefore the approval date of plan for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is same as the release of the claim rights, therefore the date of release of claim rights is appropriate date for allowable bad debt expense deduction. 재정적 어려움에 처한 기업뿐만 아니라 일반기업도 간편한 증자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출자전환은 자본을 증가시키는 자본거래인데도 출자전환의 과정에 여러 가지 세무상 쟁점이 발생한다. 기업회생절차 이외에서 출자전환하는 경우에는 실무상 상계방식으로 출자전환하므로 법리적으로 채권자에게 대손금이 발생할 수 없음에도 그 발생 여부를 두고 논란이 있으나 출자전환채권액이 상계에 의하여 주금납입액에 전액 충당되므로 대손금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기업회생절차에서 하는 출자전환 중에서 공익채권을 출자전환하는 경우, 피출자전환자가 인적 회사인 경우, 회생채권자가 보증인 등으로부터 잔여 채권액 전액을 변제받는 경우에는 대손금이 발생할 수 없다. 「법인세법」은 기업회생절차에서 출자전환을 할 경우 출자전환하는 주식의 취득가액을 출자전환채권액의 장부가액으로 하도록 정하고 있으므로 이 경우의 출자전환 시에도 대손금이 발생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논란이 있고 과세관청의 해석도 일관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출자전환 시 발행가액 중 주식의 시가초과액을 「법인세법」 상으로는 대손금으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부가가치세법」 상으로는 대손금으로 인정, 대손세액공제가 가능한 것으로 해석함에 따라 혼선이 가중되고 있다. 대손세액공제를 인정하는 견해가 납세자를 보호하는 견해인 것처럼 일견 보이나, 허용된 대손세액공제액은 곧바로 공익채권으로 국가가 우선변제를 받아가므로 국가에게는 손해가 없고 다른 일반 회생채권자에게 그 만큼 피해가 돌아간다. 이런 불합리한 점이나 논리일관성 측면에서 이 경우 대손세액공제를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해야 타당하다. 회생채권을 채권신고기간 내에 신고하지 않아 실권되거나 회생채권의 일부를 채무면제하는 내용의 회생계획안에 찬성함으로써 그 회생계획안이 가결된 경우 회수하지 못하는 매출채권은 회생계획인가결정에 따라 회수불능으로 확정된 채권이므로 모두 대손세액공제가 가능하다고 해석해야 한다. 또한 회생계획안에서 매출채권의 채무면제 시기를 장래의 기일로 정했다고 하더라도 회생계획안에서 결정한 면책의 효력은 회생절차의 종결이나 폐지와 상관없이 계속 존속하므로 채무면제하기로 한 금액이 확정되는 날이 회생계획인가 결정일인 이상 이 날을 기준으로 대손세액공제의 여부를 가리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출자전환 시 채무면제익에 관한 연구 - 입법론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배영석,김병일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학 연구 Vol.33 No.3

        채권자가 자신의 채권을 출자전환하여 회생회사 등이 정상화가 되도록 지원한 후 나중에 출자전환 주식을 처분하여 주식가치 상승에 따른 이익을 취하려고 하는 출자전환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출자전환을 할 때 대부분 취하는 상계방식에서의 출자전환가액은 본질적으로 주주가 주금을 납부한 것이므로 주주가 출자한 원본이어서 과세대상이 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출자전환가액 중 시가초과액을 채무면제익으로 보면서 과세 이연하는 현행 세법 규정을 과세상 특혜로 볼 수 없고, 오히려 원본에 대해서 과세하는 것이므로 부당한 과세라고 해야 한다. 현금증자 후 채권회수방식으로 출자전환을 하느냐, 단순 할증 방식으로 현금 증자하느냐, 액면가액으로 증자한 후 감자하느냐 등에 따라 과세관계를 달리하면 내용적으로 같은 것을 다르게 과세하는 것이므로 형평과세에 어긋난다. 피출자전환법인의 발행가액 중 시가초과액을 세법에서는 채무면제익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워크아웃법인과 일반법인이 출자전환받는 경우에는 사법상으로 채무면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데도 세법에서 채무면제가 있는 것으로 의제하고 있으므로,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의제한 것이어서 실질과세원칙에 반한다. 또한 이렇게 발생한 채무면제익을 주주에게 배당할 경우 배당소득으로 과세하므로 원본과세하는 결과가 되고, 회생절차를 진행하다가 회생절차가 폐지될 경우 과세 이연되던 채무면제익이 일시에 익금 산입됨에 따라 회생회사가 회생절차에 들어가지 않고 곧바로 파산되었더라면 회생채권자에게 배당되었을 금액이 법인세로서 국가에 우선 변제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질적으로 과세되지 않아야 할 부분을 채무면제익으로 간주, 과세하는 것에 기인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식발행액면초과액 중에서 출자전환시 발행가액 중 시가초과액을 채무면제익으로 보아 과세하는 규정과 이와 관련된 세법의 규정은 과세하지 않는 것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이렇게 세법을 개선하면 출자전환 시 회생회사 대표자의 연대보증책임이 없게 되도록 하는 제도 개선을 세법이 지지하는 것이 되어, 우리나라의 창업기피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에 세법이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When creditors support corporate rehabilitation through debt-equity swap and take profits by selling off debt-equity swapped shares, there arise many problems. In Korea, the most common method of debt-equity swap is offsetting through which shareholders pay for their stocks. As amount of debt-equity swap is originally from the shareholders, it cannot be taxable. If debt-equity swap price exceeds market value, this surplus is defined as gain on waiver of debts under the current tax law. Such deferral of tax, therefore, cannot be considered as a tax favor. Taxation on the original fund is rather unfair. Thus, taxation system and policies have to be reformed accordingly. Taxation varying upon types of debt-equity swap, capital increase in cash and debt collection afterwards, capital increase in cash through simple premium method or face value capital increase and capital decrease afterwards, is against fairness as these three types are simply the same in practice. If stock issuing price of the debt-equity swap target company exceeds the market value, such excess amount is considered as gain on waiver of debts under the tax law. However, normal companies or companies in workout go through debt-equity swap, waiver of debts is not incurred in legal terms. Even so, waiver of debts is still considered to be incurred under the tax law, which means something not existing is defined as existing. This is against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There are more complicated problems involved in other issues. When this gain on waiver of debts is paid out as dividend, dividend income is taxable. Since problem of taxation on their original fund can arise. Furthermore, when corporation rehabilitation process is repealed, gain on waiver of debts of which tax has been deferred is included in profit at once. This makes debt-equity swap even worse than going bankrupt because gain on waiver of debts which would be paid out as dividend to creditors otherwise is paid to the government first in the form of corporate tax. Basically, all of these problems arise as something should not be taxable is considered as gain on waiver of debts. In order to improve such problems, relevant clauses of the tax which define stock issuing price exceeding the market value in case of debt-equity swap as gain on waiver of debts and therefore taxable shall be modified in a way to consider it as capital transaction. In this way, CEO of the company in rehabilitation is free from joint responsibility, and the tax law supports this system. Eventually, tax law will contribute to solve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avoidance of business star-up.

      • KCI등재

        성장옵션과 부채조달정책에 관한 실증연구

        이장우 ( Jang Woo Lee ) 한국금융공학회 2006 금융공학연구 Vol.5 No.2

        이 논문에서는 성장옵션과 기업의 부채조달정책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표본은 1980-2004 기간 중 한국증권시장에 계속 상장된 140개 기업의 패널자료이며,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옵션이 클수록 부채를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추가 자금조달 시 부채발행이 적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성장옵션이 클수록 단기부채의 비중이 증가하고 추가 부채조달 시 단기부채의 발행이 증가하며, 사적부채의 발행이 증가한다는 것이 어느 정도 확인되었다. 성장옵션 대용변수에 따라서 그 결과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대규모기업일수록 유의적으로 부채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현금흐름 위험이 작아서 부채의 자본비용이 낮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자산의 유형화 정도가 작은 고성장기업일수록 부채를 적게 사용하고 내부현금흐름이 많은 기업일수록 부채를 발행하기 전에 먼저 내부현금을 사용함으로써 자금조달우선순위이론이 유효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외환위기가 우리나라 기업들의 자금조달정책에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This paper is interested in growth options and corporate debt policies. The sample includes 140 firms continuously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during 1980-2004. Panel regression models with fixed effects are used. The result shows that firms with greater growth options use less debt. However, the hypothesis of less debt issue for additional funding in the case of firms with greater growth options is rejected. It is confirmed that firms with greater growth options use relatively more short term debt, issue more short term debt, and issue more private debt. The sig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arameters are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proxies of growth options. Also, it is confirmed that bigger firms use relatively more debt, which is presumed to be that firms with bigger size have lower cash flow risk and resultantly lower cost of capital. High growth firms with lower level of physical assets are found to use lower level of debt. Firms with more internal cash flow are found to use less debt, which can be interpreted to confirm the pecking order theory of funds. Finally, it is ascertained that the IMF financial crisis of Korea in 1997 affected the capital raising policies of Korean firms.

      • KCI등재

        채무의 출자전환과 채무면제이익: 2012. 11. 22. 선고 2010두17564 전원합의체 판결

        이정란(Lee, Jeong Ra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연구 Vol.55 No.1

        대법원 2012. 11. 22. 선고 2010두17564 전원합의체 판결에서는 채무의 출자전환 과정에서 발행된 주식의 시가가 액면가액 이상이고 발행가액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그 발행가액에서 시가를 차감한 금액을 구 법인세법 제17조 제1호에 규정된 주식발행액면초과액에서 제외하고 있는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5조 제1항 후문은 법률의 위임 없이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나 법인세법 제17조 제1호에 규정된 익금불산입의 대상인 주식액면초과발행액의 범위를 함부로 제한하는 것으로서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대상사건에서 쟁점이 된 주식의 발행가액에서 시가를 차감한 금액은 주식발행액면초과액이 아니라 채무면제이익에 해당함을 대상판결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어떤 시행령 규정이 모법의 위임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중 하나는 예측가능성인바, 이러한 예측가능성의 유무는 당해 특정조항 하나만을 가지고 판단할 것은 아니고 법률의 입법 취지 등을 고려하여 관련 법조항 전체를 유기적ㆍ체계적으로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단지 모법에 이에 관하여 직접 위임하는 규정을 두지 않았다고 하여 이를 무효라고 볼 수는 없다. 또한 대상판결에서 지적한 ‘출자전환되는 채무 전부가 주식에 대한 인수가액으로 납입된 것으로 인정되어야만’ 발행예정주식 전부에 대하여 신주발행의 효력이 발생한다는 논리는 실질적으로 채무면제이익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형식상 채무면제이익이 아니라 주식발행액면초과액으로 취급하려는 불합리한 해석이다. 이처럼 대상판결은 조세법률주의라는 형식적 틀에 갇혀 채무면제이익으로 인한 법인의 담세력 증가라는 경제적인 실질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에 부당하다. In the case of 2010Du17564 Decided November 22, 2012,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second sentence of enforcement decree Article 15(1) of the former corporate tax act(hereinafter “Decree §15(1)-2”) is null because it exceeds the limit of delegated legislation. When the market value of stock from debt-equity swap is over the par value but less than the issue price, Decree §15(1)-2 excludes the amount where market value is deducted from issue price from the amount in excess of par value of issued stocks defined in Article 17(1) of the former corporate tax act(hereinafter “Act §17(1)”). This exclusion, however, indiscreetly restricted the scope of amount in excess of par value of issued stocks which is subject of exclusion from gross income stipulated in Act §17(1) without proper delegation of law. The case, however, acknowledges the disputed amount where market value is deducted from issue price is relevant to gain on condoned liabilities rather than amount in excess of par value of issued stocks. Considering that foresee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standards for judging whether enforcement decree exceeds delegation range or not, the presence of foreseeability should be judged in light of legislative intent and through piecing relevant laws together systematically. Just because a law does not have an article that directly delegates on the matter, does not refer to its nullity. In addition, this case reasoned that all the issue-scheduled stocks take effect as new stock issuance only when all debt that are subject to debt-equity swap is recognized as payment for issued stock. This reasoning, however, is an irration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interpretation formally treats it as amount in excess of par value of issued stocks instead of gain on condoned liabilities although there was actual gain on condoned liabilities. The court decision is thus unjust as it formalistically binds itself to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disregarding economic substantiality of increased taxable capacity due to gain on condoned liabilities.

      • KCI등재

        출자전환 주식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의 행사와 증여세

        안경봉(Ahn Kyeong-Bong) 한국세법학회 2014 조세법연구 Vol.20 No.1

        출자전환 주식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의 행사와 관련된 대법원 2011.4.28.선고 2008두17882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의 쟁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증여세 과세대상인 ‘증여재산’의 개념, 둘째,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세법’이라 한다)상 ‘증여’의 개념, 셋째, 상증세법 제2조 제3항을 과세근거 규정으로 하는 경우 증여재산가액의 산정방법이다. 첫 번째 쟁점과 관련하여 상증세법 제2조 제3항 및 제31조 제1항이 증여재산의 범위에 어떠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출자전환 주식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은 증여세 과세대상인 증여재산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가능하다. 그러나 출자전환 주식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은 동 권리의 행사에 응할지 여부가 채권금융기관들의 재량에 달려 있고 법적 의무가 없다는 점에서 ‘재산적 가치가 있는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권리’ 라고 볼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두 번째 쟁점과 관련하여 상증세법 제33조 내지 제42조의 과세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증세법 제2조 제3항을 과세근거 규정으로 보아 증여세를 과세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상증세법 제2조 제3항은 단순히 확인적·선언적 규정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도 있으나, 조세법률주의 등에 비추어 볼 때 상증세법 제2조 제3항의 규정만으로는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본다. 그런 관점에서 출자전환 주식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에 관해서는 상증세법 제33조 내지 제42조 어디에도 명확한 근거규정이 없기때문에 증여세를 과세할 수 없다고 본다. 세 번째 쟁점과 관련하여 대상판결은 출자전환 주식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은 신주인수권과 성격이 유사하므로 상증세법상 신주인수권증권 또는 신주인수권증서의 가액 평가방법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여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하여 ‘취득한 주식의 가액’에서 그 ‘취득에 소요된 비용’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우선매수청구권의 가액을 산정하되, ‘취득한 주식의 가액’은 ‘평가기준일 이전·이후 각 2월간에 공표된 매일의 한국증권거래소 최종시세가액의 평균액’에 의하여야 한다고 판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증세법상 구체적으로 평가방법이 규정되지 않은 비정형적인 재산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시가주의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평가기준일(특정일)현재의 시세(시가)’를 ‘취득한 주식의 가액’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대상판결에 관해 대법원이 상증세법 제2조 제3항에 따른 증여세 과세를 인정한 최초의 판시라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고, 다만 우선매수청구권도 신주인수권에 포섭시킨 것으로 보고, 상증세법 제40조가 정한 방법으로 증여재산가액을 산정하되, 우선매수청구권의 평가방법이 없는 이상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본 판결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Supreme Court Decision 2008Du17882 on the exercise of preferential right to acquire shares issued in a debt-to-equity swap dealt with the following three principal issues: (1) concept of ‘donated asset’ subject to gift tax; (2) concept of ‘donation’ under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Law (“IGTL”); and (3) valuation of donated asset in case of taxation thereof based on Article 2(3) of the IGTL. With regard to the first issue, given that Article 2(3) and Article 31(1) of the IGTL do not restrict the scope of donated assets, it may be viewed that the preferential right to acquire shares issued in a debt-to-equity swap should be considered as a donated asset subject to gift tax. However, since whether or not to exercise such right entirely depends on the creditor’s own discretion, i.e., the creditor is not legally obliged to exercise such right, it is questionable whether or not the preferential right to acquire shares issued in a debt-to-equity swap can be viewed as a ‘legal or de facto right that is valuable as an asset.’ With regard to the second issue, whether or not gift tax can be assessed based on Article 2(3) of the IGTL even where the requirements for taxation under Articles 33 through 42 of the IGTL are not satisfied, there is a view that it is difficult to regard Article 2(3) of the IGTL as a legal-effect-confirming or declaratory provision. However,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taxation based on law, etc., it is impossible to assess gift tax solely based on Article 2(3) of the IGTL. From such perspective, since none of Articles 33 through 42 of the IGTL provides any statutory grounds to assess gift tax on the preferential right to acquire shares issued in a debt-to-equity swap, it can be concluded that such right is not subject to gift tax. With regard to the third issue,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preferential right to acquire shares issued in a debt-to-equity swap is similar in nature to the preemptive right, and hence, it should be valued by deducting ‘cost incurred from acquiring shares by exercising the preferential right’ from the ‘value of such shares acquired’ pursuant to the IGTL provisions on the valuation of a certificate of preemptive right or corporate warrant, with the value of the shares acquired being the average of the daily closing prices announced by the Korea Stock Exchange 2 month before and after the valuation date. However, non-regular assets, the valuation of which is not prescribed by the IGTL, should, inprinciple, be valued based on market value and thus, it is reasonable to value the ‘shares acquired’ at the market value thereof as of the valuation date. It is unreasonable to view that the Supreme Court acknowledged assessing gift tax based on Article 2(3) of the IGTL for the first time. Instead,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view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o the effect that the preferential right to acquire shares falls within the scope of preemptive rights and thus should be valued as donated assets under Article 40 of the IGTL, but in the absence of a clear statutory method of valuing the preferential right to acquire shares, such right can be valued in other objective and reasonable manner.

      • KCI등재

        자본조달비용이 회계보수성에 미치는 영향: 사채발행기업과 유상증자기업을 사용한 분석

        최승욱 ( Seung Uk Choi ),배길수 ( Gil S. Bae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4

        보수적 회계처리의 근본적 기능의 하나는 손실을 이익에 비해 빨리 인식하여 외부투자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최근 일부 선행연구는 경영자가 보수주의의 대표적인 표출인 영업권과 자산손상을 인식하는 시점과 정도 선택에 상당한 재량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기업이 특정 시점에서 선택하는 회계보수성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보수주의가 기업에 효익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그에 따른 비용도 수반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을 조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기업이 추가로 사채를 발행하거나 유상증자를 할 때 선택하는 회계 보수주의의 정도가 이들 기업의 자본조달비용과 체계적인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새로 자본을 조달하기 전 자본조달비용이 높은 기업이 추가로 자본을 조달할 때 높은 자본조달비용을 낮출 목적으로 자신의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계보수성을 높이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는 이 조사를 위해 회사채를 발행한 기업과 유상증자 기업을 이용하며, 각각의 표본에서 자본조달비용은 부채조달비용과 내재자기자본비용을 이용하였다. 부채조달비용의 대용치로는 신용등급과 이자율을 이용하였다. 이는 기업의 신용등급이 낮고 이자율이 높을수록 사채를 발행하는데 수반하는 자본조달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주식발행비용의 대용치로는 Easton(2004)의 PEG, MPEG 모형과 Gode and Mohanram(2003) 모형에서 산출한 내재자기자본비용을 사용하였다. 회계 보수주의 기업-연도별 측정에는 Khan and Watt(2009)와 Penman and Zhang(2002)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는 회사채를 발행한 기업연도에 대한 분석에서는 1) 회사채 발행 기업연도만을 사용한 조사, 2) 표본기간 동안 회사채를 발행한 기업들 중발행연도와 발행연도 이외의 연도를 비교한 조사, 그리고 3) 회사채를 발행한 기업년도와 표본기간 동안 회사채를 한 번도 발행하지 않은 기업의 기업연도를 비교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유상증자를 한 기업연도에 대한 분석에서도 유사하게 1) 유상증자 기업연도만을 사용한 조사, 2) 표본기간 동안 유상증자를 한 기업들 중 증자년도와 증자년도 이외의 연도를 비교한 조사, 그리고 3) 유상증자 연도와 표본기간 동안 유상증자를 한 번도 하지 않은 기업연도를 비교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신용등급이 낮아 회사채를 발행할 때 높은 자본조달비용을 예상하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보수적인 회계선택을 하고 있었다. 이자비용을 이용한 결과도 유사하였다. 유상증자 기업을 사용한 분석의 결과도 회사채를 사용한 분석의 결과와 대체로 동일하다. 즉, 내재자기자본비용이 높은 기업은 추가로 증자를 할 때 내재자기 자본비용이 낮은 기업에 비해 회계보수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관련성은 다른 통제 그룹과 비교할 때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상기한 결과는 회계보수성이 기업과 투자자 사이의 정보비대칭을 해소하여 투자자들를 보호할 수 있고, 투자자보호에서 파생하는 효익은 자본조달 비용이 높은 기업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아, 추가로 자본을 조달할 때 자본조달비용이 높은 기업에서 회계보수성의 수준을 높이고 있다는 해석과 일치한다. 추가분석으로, 사후적 자기자본비용을 이용한 결과나 재무분석가 예측치 공시 시점을 달리하여 도출한 내재자기자본비용을 사용한 결과에서도 전술한 결과는 대체로 유사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자본조달비용에 따라 기업의 회계보수성에 체계적 차이가 발생함을 보였으며, 회사채와 주식이 발행되는 연도에 중점을 두어 계약관계에서 보수적 회계처리의 역할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최근의 연구 흐름을 따라 그 조사의 범위를 채권시장뿐 아니라 주식시장으로 확장하여 보수주의 연구에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보수적 회계처리 수준의 선택에 상황에 따른 경영자의 재량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간접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One important role of accounting conservatism is the protection of investors via imposing differential recognition requirements between losses and gains.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requirements for gains are more stringent than those for losses. Therefore, under conservative accounting, reported income is likely to be lower than that under aggressive accounting.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conservative accounting could impose significant costs to companies, e.g. lower reported income might violate debt covenants; managerial compensation might be low; investors might assign lower value to the firm``s stock price, among others. While most previous studies have not specifically addressed the issue about how much, if any, discretion managers have in determining the timing and amount of the recognition of losses, several recent studies provide evidence that managers have considerable discre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inciples. These studies demonstrate that managers appear to systematically delay the recognition of potential asset impairments when evidence indicates that impairments have occurred. Moreover, the delay is associated with the firms`` characteristics. This finding implies that conservatism not only benefits firms but also incurs considerable costs to firms and managers. We extend this line of recent research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 ante cost of capital and the degree of conservatism that the firm adopts at the time of acquiring additional capital through debt and equity issues. In particular, we posit that firms with a higher ex ante cost of capital will select higher conservatism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capital associated with an additional capital acquisition. Based on the finding in previous research that credit rating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erest rates, we proxy cost of debt capital by the ex ante credit rating applied to the firm. We also use interest rates as a proxy of the cost of debt capital. The interest rate on the firm``s debt is calculated as interest expense divided by average debt during the year. The cost of equity capital is measured by the conventional models used in the related literature (i.e. the models used in Easton 2004 and Gode and Mohanram 2003). Accounting conservatism is calculated by the Khan and Watt(2009) model. We also augment our analyses using the model suggested by Penman and Zhang(2002). We find that ex ante credit ratings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accounting conservatism at the time of an additional debt issue. That is, firms with a lower credit rating tend to show a higher level of conservatism compared to those with a higher credit rating. We also find that firms with a higher interest rate increase their levels of conservatism compared to those with a lower interest rate. The results from seasoned equity issues are similar; firms with a higher ex ante cost of equity capital tend to manifest a higher degree of conservatism at the time of a seasoned equity offering.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interpretation that firms consider potential benefits accruing from selecting high conservatism when implementing conservative accounting principles in their accounting. This finding is also consistent with the argument that degrees of conservatism are not fixated but flexibly vary according the benefits and costs that the firm perceives at a point of time. We also find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cost of debt (equity) capital and accounting conservatism is increment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at of non-issue firms. Non-issue firms are defined as 1) the non-issuance years of firms that issued corporate bonds (or stocks) in our sample period and 2) the years of firms that did not issued bonds (or stocks) during the sample period. Lastly, our results remain robust when we use ex-post cost of equity capital rather than the implied cost of equity capital. Our study has two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First, we demonstrate that the level of conservatism that a firm adopts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the ex ante cost of capital using both debt issues and seasoned equity offerings. Second, we provide additional evidence to the literature that the implementation of conservatism is partly affected by the managerial discretion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inciples. Given that a line of prior literature has shown income 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in many different contexts, our finding that managers adjust the level of conservatism is in line with the findings these studies report.

      • KCI등재

        사채발행과 투자형태간의 시장반응에 관한 연구

        김성신 ( Sung Sin Kim ),손판도 ( Pan Do Sohn ) 한국금융공학회 2010 금융공학연구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 거래소시장에 상장된 제조업에 대한 과잉(과소)투자기업의 사채발행 공시가 시장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검증 한다. 이론적 관점에서 기업이 사채(부채)를 발행할 경우 대리인이론과 잉여현금가설 및 성장기회에 따른 과잉 및 과소투자문제에 대한 시장에서 시장 참가자들의 반응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특히 과거 많은 연구에서 부채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만이 강조 되었지만, 최근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에서 과잉투자문제는 부채 발행 시 채권자의 감독기능에 의해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 가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외국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과잉투자기업의 부채발행공시는 시장에서 호의적인 반응을 줄 것이며, 과소투자기업의 부채 발행 공시는 시장에서 비호의적인 반응을 보일것이다라는 두 가지 가설을 기초로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사건 기간 중에서 (-30, -2)기간에서 과잉투자기업의 경우, 사채발행 시에 채권자의 감독기능에 의해 과잉투자문제가 감소하여 시장에서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따라서 첫 번째 가설을 지지하였고, 또한 과소투자 기업의 경우, 채권자와 주주간의 자산대체문제가 심화하여 시장에서 부(-)의 결과를 보여 두 번째 가설도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변수 즉 기업의 위험, 연구개발, 기업규모, 레버리지, 신용등급 및 만기수익률 등을 통제한 후 강건성 검증에서도 기존 결과와 일관성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This paper examines market reaction to debt issue announcements conditioned on overinvestment, and underinvestment via event study using data of publicly traded non-financial firms listed on KOSPI market from 2000 to 2007. It is known that in theory, when firm issues bond, the market reaction has been mixed result in terms of agency theory, free cash flow hypothesis, and growth opportunity, which are regard to overinvestment and underinvestment. The major empirical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e evidence that debt financing is more valuable because of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overinvestment firm and its stock price, but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underinvestment firm and its stock price in response to announcements of debt issues. Thu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are different response to announcement of issuing debt.

      • KCI등재후보

        사법 : 한국 도산기업의 M&A

        박재완 ( Jae Wan Park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법학논총 Vol.25 No.4

        In Korea,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in late 1990`s, law and practice in bankruptcy procedures evolved dramatically. As for practice, two features are of importance: raise in discharge ratio in individual bankruptcy and implementing M&A in corporate bankruptcy. This article aims to elaborate on M&A schemes in Korean corporate reorganization procedures. The reason why the court of Korea applied M&A to corporate reorganization procedures is to prevent corporations under the procedure from entering into liquidation procedures. The procedure of M&A consists of ① preparation, ② selecting a buyer, ③ issuing stocks and paying debt, ④ closing. In the stage of preparation, the timing of M&A and formulation of strategy for M&A are important issues. Most of time, M&A starts after the conformation of reorganization plan. There are three types of M&A that are used in Korea corporate reorganization procedure: issuing stocks to non shareholders, asset acquisition and corporate division. Issuing stocks to non shareholders is the most common type and has its merit in that, through the type, the whole business of a corporation can exit from the reorganization and the buyer can succeed the achievement of target corporation. But when a corporation has multiple lines of business and it is impossible to sell every business to a single buyer, other types of M&A, asset acquisition and corporate division are used. In the stage of selecting a buyer, formulation of criteria for selection is of most important. The amount and structure of purchase money, the capacity of payment of buyers, the ability and vision for future development are among important factors. Current shareholders sometimes claim priority to be the buyer, but the court has been turn down the request. In the stage of issuing stocks and payment of debt, decision on the necessity of the interested party meeting and managing the meeting are of importance. If further modification of interest of creditors or shareholders is necessary, M&A procedure must include the interested party meeting. The claims to be swapped into stocks in the future raised difficult problems. In the stage of closing, the timing of closure of the reorganization procedure is important. As long as the reorganization procedure is going on, the buyer cannot run the target corporation. In Korea, the court closes the reorganization procedure as early as possible, though it depends on whether appeals to the court`s conformation rulings on the new reorganization plan are raised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