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서비스산업의 상호 연관구조

        임상수 ( Sangsoo Lim ),이종하 ( Jong Ha Lee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8 질서경제저널 Vol.21 No.2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의 상호 연관구조를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산업연관표가 한 국가의 산업 간 투입 및 산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 달리 국가 간 산업연관표는 64개국의 산업 간 투입 및 산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가 간 산업연관표는 특정 산업의 국가 간 투입과 산출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상호 연관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한국의 서비스산업이 전 세계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함께 타국의 서비스산업이 한국의 서비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여덟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세계 서비스산업 중 중국의 투입 비중은 상승하고 있는 반면 미국과 일본은 감소하고 있으며 한국은 소폭 상승하고 있다. 둘째, 서비스 생산을 위한 투입재는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소폭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산이 가장 크며 한국산의 비중은 정체하고 있다. 셋째, 국내 서비스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투입재의 경우 국산 비중은 하락하는 반면 중국산 비중은 급등하고 있다. 넷째, 국내 서비스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투입재 역시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비스 투입재의 국산 비중은 급락하고 있는 반면 미국, 중국, 인도, 독일 비중은 상승했다. 다섯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해외로의 수출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또한 한국 서비스산업에서 서비스산업 부문으로의 수출은 미국, 일본, 싱가포르, 사우디아라비아이며 일본의 비중은 급락한 반면 중국의 비중은 급등했다. 여섯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유발계수는 2011년 기준 5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서비스산업의 해외 생산유발계수의 증가 속도는 국내 생산유발계수의 증가 속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생산유발효과의 국가별 전방연쇄효과는 중국, 일본, 미국이 가장 크며, 후방연쇄효과는 베트남이 가장 크고, 베트남, 싱가포르, 홍콩, 말레이시아의 후방연쇄효과는 감소하는 반면 캄보디아,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의 후방연쇄효과는 증가하고 있다. 여덟째, 한국 서비스산업의 산업별 전방연쇄효과는 증가한 반면 후방연쇄효과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서비스산업의 국내 생산유발효과는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로의 수출 역시 증가하고 있으므로 서비스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제고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서비스산업 수출은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중국, 미국, 일본에 대한 편중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 서비스산업의 후방연쇄효과가 큰 캄보디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동남아시아와 중동지역으로의 수출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trying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economic effects of service industry using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In contrast to the Input-output table, which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s and outputs by industry in a country, the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cont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s and outputs by industry for 64 countries. So the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make th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effects by industry possible.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while the proportion of China’s input in the world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the propor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decreasing and that of Korea is flat. Secondly, The input of services for service production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rdly, In the case of inputs used for domestic service production, the portion of domestic input is falling while the portion of Chinese input is soaring. Fourth, the proportion of inputs for domestic service production was higher in the service industry tha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le the share of the input of Korea for domestic service production plummeted, while the share of the US, China, India and Germany increased. Fifth, the export of Korean service industry to overseas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exports to China is rapidly increasing. Sixt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is increasing, specially the domestic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high enough to reach 5th place in 2011. Seventh, the effect of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is largest in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backward linkage effect is the largest in Vietnam and the backward linkage effects of Cambodia, Philippines, Taiwan, Indonesia and Saudi Arabia are increasing. Eighth, the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has increased while the backward linkage effect has decreased. In sum, the domestic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the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and exports to overseas are also increasing, so there is a need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However, since the export of the service industry is concentrated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diversification of exports to South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such as Cambodia,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Saudi Arabia, which have a strong backward linkage effect of the Korean service industry, is needed.

      • KCI등재

        새로운 “産出ㆍ産出表” 作成은 왜 필요한가?

        김호언(Gim, Ho-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0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0 No.1

        The complemented general relation between two different notions of direct and indirect input requirement(γ<SUP>f</SUP>ij and γ<SUP>g</SUP>ij) and the decomposition of factors in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final demand C<SUP>f</SUP> were proposed by Gim and Kim(2005, 2008). Furthermore we showed that there is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the Leontief inverse C<SUP>f</SUP> and the final demand f, but there is no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C<SUP>f</SUP> and the total output x. From the research results above, the study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 develop an alternative "Output-Output(OO) model" without having overestimation and consecutive connection problems and compile a new "Output-Output table" on the basis of the OO model to analyse the various economic impacts. (2) We mak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input-output table and the output-output table for the complementary using. For the performance of the empirical illustration, we consider an economy with 5 sectors which has been obtained by reaggregating the 28 basic sectors given in the 2003 Input-Output Tables of Korea. Moreover as a specific example for the usefulness of the OO model and table, we formulate the OO multipliers, corresponding to input-output multipliers, that can accept output as an initial change.

      • KCI등재

        건축공사 주요자재별 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 원단위 값 산출에 산업연관표 적용 적정성 검토 연구 -2005년, 2007년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정영철,김성은,장영준,김태희,김광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1 No.3

        한국은행에서 2000년도에 발행된 산업연관표를 적용한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량과 CO_2 배출에 대한 원단위DB는 있지만 2005년, 2007년에 발행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원단위 DB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행된 2005년, 2007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주요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 원단위 값을 산정하고자 한다.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원단위 산출을 위한 방법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DB 구축방식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으며,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16가지의 건설자재는 선별하여 적용하였다. 기존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2000년도 산업연관표를 적용하여 산출된 원단위 DB 값과 비교한 결과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본연구의 산출방법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2005년,2007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출한 에너지소비량과CO_2 배출 원단위 값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멘트와 철근을 주원료로 하는 자재에서 가장 많은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 원단위 값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건설자재 생산단계에서발생되는 환경부하의 간접적인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there is database for per unit requirements of major construction materials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00, but no database for per unit requirements based on input-output tables was published in 2005 and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e unit requirement values of major construction materials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generated by using the input-output tables published in 2005 and 2007. To estimate the unit requirement values, a database building method with the input-output tables was adopted by selecting 16 types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wide use on construction sites. When the study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isting unit requirement values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 of 2000, there were small discrepancies, from which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ethod used in the study is reasonable. Unit requirement values estimated based on input-output tables of 2005and 2007 tended to decrease, and the highest value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were found in the materials using cement and rebar.

      • KCI등재

        지역사업의 고용영향평가 적용 방안 연구

        주수현(Joo, Soo-Hyeon),김수영(Kim, Soo-Young),진재문(Jin, Jae-Mo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우리나라는 저성장체제가 심화되면서 고용창출이 최우선 정책 목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요 사업에 대해 고용영향평가가 시행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도 이 제도의 도입을 검토 중이다. 그런데 지역사업에 대해 전국산업연관표로 분석하거나 기존의 투입산출모형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 지역 및 사업의 특성이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아 추정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전국산업연관표와 지역산업연관표의 고용유발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고, 투입-산출모형과 산출-산출모형의 경우에도 고용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 모형을 노인고용을 대표하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적용한 결과, 지역과 모형에 따라 고용유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고용유발효과 차이에 대한 검정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지역사업에 대한 고용영향을 평가할 경우에는 지역산업연관표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사업의 성격에 따라 투입-산출모형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산출-산출모형을 사용할 것인지도 추가로 판단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노인 고용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고용유발효과가 큰 상위 업종을 제시함으로써 노인고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도 마련하였다. As the advent of low growth economy becomes a reality, creation of employment becomes a priority of public policy. To this, government is conducting employment effect evaluation and local government is considering to adopt this policy. However, when applying the analysis of IO tables of Korea or existing input-output model to local business, it leads to deficient reflection of region and program's characteristics-distortion of estimated outcome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former two models did not reflect adequate regional and program characteristic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O tables of Korea and regional IO tables in the effect of induced employment. The input-output model and the output-output one also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ment effect. When these two models were applied to the Employment Program for the Aged, significant differential effects of induced employment were found according to regions and models. Testing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induced employment was also significant. Consequently, our study found that us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 was an adequate option, wh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valuated the effect of employment on the proposed local projects. According to the inherent nature of local projects, additional judgment w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between the input-output or the output-output model. Moreover, based on the analysis to increase the employment effect for the aged, it suggested supra-type businesses with greater positive effects on producing induced employment and job creation, provides basis for efficient employment for the aged.

      • KCI등재

        산업연관 승수효과를 통한 부문별 성장 잠재력 분석: IO모형과 OO모형을 통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호언 국토연구원 2009 국토연구 Vol.63 No.-

        Gim and Kim(2008b, 2009)에 의해 개발된 산출⋅산출(OO)모형은 투입․산출(IO)모형이 갖는 부문 사이의 연속적 연결과 과대추정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어진 것이다. 또한 OO모형과 OO표는 IO모형과 IO표에 대한 대안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외생적 최종수요 변화에 대한 파급효과분석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IO모형을, 외생적(혹은 내생적) 산출물 변화에 의한 각종 유발효과 등의 분석을 위해서는 새롭게 개발된 OO모형을 활용하면 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IO모형과 OO모형의 성격과 특성을 상호 대비하는 데 있다. 둘째, IO모형과 OO모형을 통한 부문별 성장 잠재력을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성장 잠재력을 설명하는 지표는 투입계수행렬과 산출계수행렬, 전․후방연관효과, 각종 승수효과 등을 토대로 분석하고자 한다. 개별 부문의 값에 의한 부문분류는 상위(혹은 하위) 10%에 해당되는 부문은 높은 성장 잠재력(혹은 높은 성장 애로)이 있는 부문으로 규정하였다. Recently, Gim and Kim(2008b) verified that there is no consecutive connection between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final demand and the total output and that there are some limits to counting the economic impacts of the initial change of output. Therefore, we newly developed the Output-Output(OO) model and compiled the Output-Output table to solve the consecutive connection and overestimation problems naturally on the basis of the output requirements matrix for output . Based on the results and research findings in the literature of Output-Output Economic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e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IO and OO models i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to choose the best fitting model which coincide with the research themes. (2) We compute good indicators of growth(or impact) potential by sectors through interindustry multiplier and linkage effects originally developed by the author in the raw data of 2007 Output-Output Table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are followed below. The growth potential sectors, which account for the top 30% of th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SND), judged by sectoral multipliers for output, employment and income are petroleum and coal products, basic metals, and transport equipment, etc. in the IO model. As for the OO model, the only high growth potential sector, which account for the top 10% of the SND, is petroleum and coal products sector.

      • KCI등재

        환경산업연관분석(EEIOA)을 이용한 경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특성분석

        박유진,김준범,경대승,박흥석 대한환경공학회 202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4 No.9

        Objectives: As climate change deepened, the concept of 2050 carbon neutrality was introduced. The COP 26 Glasgow Agreement strengthened the national greenhouse gas (GHG) target of 2030. However, there are controversies over the feasibility of these GHG reduction goals, considering the economic sectors energy policy and the attributes of GHG emissions.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aimed to formulate the 2017 Environmentally Expanded Input-output Tabl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Korea's economic sectors. Methods: The carbon dioxide emission was calculated by applying each fuel source's carbon dioxide emission coefficients to the 2017 energy balance using each fuel's calorific value and emission factor, while other GHG emissions are taken from the national GHG inventory. All the GHG emissions calculated and taken were allocated to 381 basic sectors of the Input-Output Table to represent each sector's characteristics of GHG emissions. Then 381 sectors are combined into a large category of 35 sectors to formulate the 2017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ly Extended Input-Output Table (ROKEEIOT). Using this ROKEEIOT, the emission of Scope 1. 2, and 3 by economic sectors were estimated, and the GHG emissions and GHG intensity by economic sectors. Results and Discussion: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calculated by the 2017 ROKEEIOT prepared in this study showed a difference of 2% from the 2017 national GHG emission statistics, confirming that the 2017 ROKEEIOT is very effective. The three economic sectors with the highest direct GHG emissions were electricity, steam, chilled or hot water, air conditioning supply (262,280 kt CO2eq.), primary metal products (117.098 kt CO2eq.),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58,332 kt CO2eq.). However, the total GHG were different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151,476 kt CO2eq.), transportation equipment (112,168 kt CO2eq.), computer, and electronic and optical instruments (107,868 kt CO2eq.).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cope of GHG emissions, 6 industries exceeded 50% in Scope 1, and 29 sectors exceeded 50% in Scope 3, indicating that GHG reduction measures were necessary for the supply chain in consideration of the GHG emissions characteristics by economic sectors. In particular, the contribution of export to greenhouse gas emission reached 41.68% of final demand, confirming the urgent need to strengthen the carbon competitiveness of export industry in prepa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onclusions: the economic contribution, direct GHG emissions of industries, and the amount of GHG emissions induced by supply chains and value chains show very different patterns by economic sector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cientific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uch as net-zero and climate change measures,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cope 1, which is direct emission by industry, Scope 2 emissions caused by electricity and steam consumption and scope 3 emissions generated along the supply chain or value chain. 목적: 기후변화가 심화되면서 2050 탄소중립 개념이 도입되었고, COP 26 글래스고 회의에 의해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크게 강화되었다. 그러나 에너지 정책과 경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고려할 때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7 환경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경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연료별 발열량과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연료원별 이산화탄소 배출계수를 2017년 에너지밸런스에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든 온실가스 배출량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산업연관표의 381개 기본 부문으로 할당한 후 대분류와 유사한 35개 부문으로 통합하여 2017 대한민국 산업연관표(ROKEEIOT)를 작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경제활동별 배출량과 배출계수를 산출하고, Scope 1, Scope 2 및 Scope 3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본 연구에서 작성된 2017 ROKEEIOT로 산출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7년 정부의 공시된 온실가스 배출통계 자료와 비교한 결과 2%의 차이를 보여주어, 2017 ROKEEIOT는 실효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 상위 3개 산업은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와 증기 및 온수 공급업(262,280 kt CO2eq.), 1차 금속제품업(117.098 kt CO2eq.), 운송업(58,332 kt CO2eq.)순이 였으며, 온실가스 총 배출량 상위 3개 산업은계수는 건설업(151,476 kt CO2eq.), 운송장비업(112,168 kt CO2eq.),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업(107,868 kt CO2eq.)순으로 나타나 서로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총 배출량 Scope별 구분한 결과 Scope 1에서 50%를 넘는 산업은 6개였으나, Scope 3에서 50%를 넘는 산업은 29개가 나옴에 따라, Scope 3에 의해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려한 공급망 및 가치사슬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대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출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기여가 최종수요의 41.68%에 이르러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에 대비한 수출산업의 탄소경쟁력 강화가 시급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산업부문의경제적 기여와 온실가스 직접배출과 공급망 및 가치사슬에 따라 유도된 온실가스 간접 배출량이 경제활동별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Net zero 나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과학적 정책은 경제활동별 직접 배출인 Scope 1, 전력 및 증기 사용에 의한 Scope 2, 그리고 공급망 및 가치사슬에 따라 발생되는 Scope 3의 배출특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제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제조업 부문의 경제적 파급 효과에 관한 연구

        임상수(Sangsoo L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 부문의 국제 경쟁력을 독일, 일본, 중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OECD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별 산업연관표와 국제 산업연관표를 활용한다. 분석 결과, 한국 제조업의 투입액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승하고 있지만 중국의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생산유발계수는 비교 대상 국가들에 비해 높았으며, 국내 생산유발계수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제조업 생산을 위한 투입액 중 해외에서 의존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국제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산출한 생산유발계수는 국내에서 유발되는 생산유발계수와 해외로 유출되는 생산유발계수로 구분된다. 한국의 경우, 해외로 유출되는 비중은 비교 대상 국가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볼 때, 한국의 제조업 부문에서 유발된 생산과 부가가치는 상당 부분 해외로 유출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제조업 부문의 효율성이 비교 대상 국가들에 비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rying to examin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by comparing to Germany, Japan and China. National Input-output table and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are used to analyze it. One of results shows that Korea’s proportion of input in the world’s manufacturing sector is rising but China’s proportion is increasing faster than Korea. In addition, Korean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which is computed by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in manufacturing sect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countries(Germany, Japan and China), and Korean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by national input-output table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ose countries. However, the proportion of overseas inpu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Korea is largest among 3 comparative countries. Generally,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which is computed by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is divided into the part induced in Korea and the part induced in overseas. In the case of Korea,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n overseas is larger than that of Germany, Japan and China. In this regard, production and value added induced in manufacturing sector in Korea can be seen to be largely leaked overseas. This means that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Korea is lower than that of those countries.

      • KCI등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 추계

        이종상 한국농업교육학회 200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2

        농업인력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농업생산부문과 농업관련산업에 펼요한 인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농업생산직의 취업자수는 농업통계연보 등과 같이 직접적인 통계 수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에 관한 통계는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추계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산업간 투입관계와 산업별 취엽자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자료로 적합한 것이 산업연관표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산업별로추계하는데 있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은 후방관련산업의 경우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동일하나, 전방관련산업은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서로 달라야 한다. i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i부문에서 농업에 투입액)/(i부문의 총산출액)×(i부문의 취업자수)로 추계할 수 있으며, 전방관련산업에 있어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부문을 제외한 일반부문 j부문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농업에서 j부문의 투입액/j부문의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을 제외한 중간투입액)×(j부문의 취업자수) ,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하는데 필요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의 취업자수는 (j부문에 투입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총생산액) x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액/(j부문중간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투입액)}×(「도소매, 운수 및 보관」 취업자수)으로 추계할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농업생산부문의 취업자수는 1,791,607명,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355,484명으로 이중 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101,390명, 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254,094명으로 농산엽의 농업관련 종사자수는 2,147,091명이었다. 산업연관분석은 각 산업 간의 관계가 무한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농업과 직접 적인 전·후방농업관련산업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간접적인 전·후방관련산업의 취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Agricultural product industry is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input industries(backward) in agriculture and post-farm gate industries(forward). We call agriculture-related industry a agribusiness. When we develop manpower in agriculture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also that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e can us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by using agricultural statistic books. But we must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stimation method and to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by using Input-Output Tables.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contained in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but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not contained in post-farm gate industries. (Total intermediate inpu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i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should be (Value of input from i industry to agriculture)/(Gross Domestic Output of i input industries)×(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of i input industrie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post-farm gate industries, in case of general industry tha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is excluded in total industry, should be (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excep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industry) and in case of 「Transport and storage」 should be (in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o j industry)/(Gross Domestic Out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he number of employed industry of agriculture was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as 355,484, that in input 101,390, that in post-farm gate industry was 254,094.

      • KCI등재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미·일간 전자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분해

        이춘근 ( Choonkeun Lee ),김호언 ( Houn Gim )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2018 경제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WIOD에서 발표한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간 전자산업의 생산유발효과를 요인 분해하였다. 세계산업연관표는 EU 28개국과 기타 국가 15개국 등 총 43개 국가로 이루진 산업연관표이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기타 국가 등 4개 국가로 재분류하고, 산업부문은 56개 부문을 42개 부문으로 재분류 통합하여 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국내 승수효과는 한국의 경우가 가장 높은 약 2.0배의 파급효과를 나타냈고, 그 다음 일본이 1.9배, 미국이 1.4배 가량의 효과를 나타냈다. 한·미·일 각 국이 타 국가에 미치는 확산효과는 한국과 미국의 경우 일본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일본은 한국보다 미국에 미치는 효과가 약간 높았다. 국가별 확산효과도 한국, 일본, 미국 순으로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미국의 경우 타국가로부터의 수입제품을 많이 사용하여 자국내 산업연관관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미국과 일본의 산업간 연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나 우리나라로서는 다소 문제이다. 2014년의 분석결과를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3국 모두 2010년에 비해 2014년의 승수효과가 약간씩 작았다. 2014년의 효과가 2010년에 비해 작아진 요인은 각국 간, 산업간 전자산업의 연관관계가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는 전자산업의 중간거래 및 부가가치 사슬 등을 연구하고, 전자부품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켜 자국 내 및 피드백 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composition of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f the electronics industry among Korea, the USA, and Japan using the 2014 World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WIOD in 2016. The World Input-Output Table consists of a total 43 countries, including 28 EU nations, and other 15 countries. The countries were reclassified into four parts: Korea, the USA, Japan and other countries. Industrial sectors were re-grouped from 56 to 42 sectors and they were re-analyzed. As a result of the decomposition of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the domestic multiplier effect was highest in Korea having about double times higher effects than other countries, and followed by Japan which had a 1.9 times effect, and then the USA which had a 1.4 times effect, respectively. For each country's spillover effects on other countries among Korea, the USA, and Japan, both Korea and the USA had the highest effect on Japan, while Japanese spillover effects were a little higher on the USA than Korea. For the spillover effects by nation, Korea was the highest, and Japan and the USA followed in order. These trends seem to be explained by the conclusion that the USA used imported products from other countries more, causing it to have lower domestic input-output relations. However, the input-output relations between the USA and Japan were higher. It is a bit of a problem for Korea. Compared to the analysis results in 2014 with those in 2010, all three countries had lower multiplier effects in 2014 than in 2010. The reason for lower effects in 2014 than in 2010 seems to be that the input-output relation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among the countries and industries were reduced. Korea should try to double the domestic and feedback effects by studying intermediate transactions and global value added chain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by raising its competitiveness in the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ies.

      • KCI등재후보

        보건 공급표·사용표 구조 형태에 대한 연구

        문권순 통계청 2008 통계연구 Vol.13 No.2

        After the input-output tables were developed by Wassily Leontief in 1936 to analyze the US economy, they have been applied to the domains of environment and health as well as economy to examine the flow of goods and services between them. The input-output tables of health are comprehensive, mixing the economic input-output tables with the salient features of the health sector. They entail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oduction process, the use of goods and services, and the income generated by health production. In 2007, Quintela produced a framework of the health supply/use tabl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s of the OECD's System of Health Accounts. My study explains Quintela's supply/use tabl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ccounts(Jeong, 2007). Through the study, I propose to separate goods and services to allow a precise analysis of input and output, and discuss the need for the conduct of a special survey for the analysis. 산업연관표는 1936년 레온티에프에 의해 미국경제를 대상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흐름을 투입산출관계로 분석된 이후, 경제뿐만 아니라 환경, 보건 등의 분야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과 사용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보건산업연관표(Health Input-Output Table)는 93SNA(System of National Account 1993)의 산업연관표에 보건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건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과 사용, 소득발생 등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위한 종합적인 통계표이다. 보건산업연관표의 사용표와 공급표는 Quintela(2007)에 의해 OECD의 보건계정(SHA: System of Health Accounts) 기본분류 체계를 기초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Quintela(2007)의 보건 공급표와 사용표 구조 형태를 정형선(2007)의 보건계정 분류체계에 맞춰 설명하고, 이들 표 작성을 위한 기초통계를 제시하였다. 보건 재화와 서비스의 정확한 투입·산출분석을 위해 재화와 서비스가 혼합된 기능별 분류를 재화와 서비스로 각각 분리할 것과 이를 위한 투입구조조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