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별 회계정보의 품질에 대한 실증연구

        김성환 ( Sung Hwan Kim ),손성규 ( Sung Kyu Sohn ) 한국회계학회 2011 會計學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기업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환경으로서의 산업이 기업의 회계정보 품질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회계정보 품질 측정치를 활용해 산업별 회계정보 품질 차이를 실증하였다. 실증결과 산업 차원에서 회계정보 품질의 차이가 존재하며 산업 요소가 회계정보 품질 차이에 미치는 영향도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른 사회과학분야에서 산업별로 조직형태, 전략수립, 자본구조 등 기업의 특성이 유사해지는 현상이 회계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산업별 특성이 존재한다는 재무회계 분야의 통념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별로 회계정보의 질적 속성이 상이하다는 실증적 증거를 통해 산업별전문 감사인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경쟁 환경, 기술 환경, 사업의 영위 형태 등 산업 차원의 특성이 기업의 회계품질차이를 초래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그 결과 경쟁 정도가 높은 산업에서 회계정보 품질이높게 나타났다. 경쟁 정도와 회계정보 품질 간의 인과 관계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추가분석을 하였는바, 경쟁 정도가 낮은 독과점 산업에서 규제기관의 주의를 끌지 않기 위해서 수익성이 높을 경우 이익을 하향 조정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회계정보 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첨단기술 산업의 경우 감사인 및 투자자들이 기술과 관련되어 이해와 전망이 어렵기 때문에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이 더 많이 개입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사업의 영위 형태와 관련되어서는 수주형 산업에서 회계정보 품질이 낮고, 규제산업에서 회계정보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주형 산업의 경우 진행기준 적용과정에서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는 반면, 규제 산업의 경우 요금 산정에 기초가 되는 재무자료가 규제기관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관찰되어 이익 조정이 상대적으로 힘들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가, 기업 차원에 추가하여 산업 차원에서도 기업의 회계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찾아낸 것으로서, 개별 기업의 회계정보 품질을 추정할 때 산업의 특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회계정보 품질의 제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또한 회계정보 품질이 낮은 산업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감리를 더욱 강화하고, 보다 엄격한 내부통제 제도를 갖추도록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별 특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한 감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제도적 노력 역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swer to whether industry as the business environment is a main factor determining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of individual corporations. The sample of this study covers firms having December fiscal year from year 2000 to 2007 listed in either the Korea Stock Exchange or KOSDAQ markets. I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mong industries using two metr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ccounting quality among industries. From these results, I find that corporations in the same industry have similar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s shown in the patterns of other social sciences studies. And applying the theory of other social science to financial accounting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s of corporate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s. These results also provide clear empirical evidence concerning common notions about industri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audit research, these results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industry-specialized auditors. I then endeavor to demonstrate whether there are industrial characteristics that cause differences in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of an industry. I classified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to competition environment,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ypes of business opera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industrial characteristics on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The empirical result indicates that accounting quality improves in competitive industry. To investigate more closely the causality between the degree of competition in industry an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the accounting quality in the industry where competition is limited is observed. The firms in the industry which the regulatory bodies perceive as monopolistic or oligopolistic have low accounting quality. When high profitability is reported, a regulatory agency may think it is due to the problem of monopoly, leading to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I conclude that accounting quality improve as the competition increase, because firms in the industry which regulatory agent perceive as monopolistic manipulate earnings so as to circumvent restrictions of a regulatory agent. As for high-tech industry, accounting quality is low.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I can infer that when the technology researched and developed is cutting edge, manager`s discretionary estimation has more impact on the accounting procedure, and the manager can manage earnings more easily. As for the type of business operation, contracting industry has low accounting quality. Regulated industry has high accounting quality. In contracting industry, the manager`s discretionary estimation(or judgement) can influence the accounting procedure much more. Firms in a regulated industry maintain high accounting quality due to continuous monitoring of a regulatory agency. These results contribute to finding out the main causes that affect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t the industry level. And these results provide caution for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to consider industrial characteristics together in estimating accounting quality of individual companies. This study suggests that regulatory agencies should take steps to improve th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by considering industrial characteristics. To be more precise, differentiated plans by industry should be applied to enhance accounting quality for the industries where competition is limited, high-technology is used, and so on. In the year 2011, Korean listed companies should report financial statement in accordance with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complies with a principle-based approach, and it does not suggest an industrial accounting standard that classify by type of business. Since Korean companies are accustomed to rule-based accounting standards, they can be confused by adopting the principle-based approach that there are possibilities to imitate the accounting practices of other companies in the same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lays out a logical basis for establishing industry accounting standards classified by types of business (working-level guideline) that reflects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 industry. This paper also raises the necessity of the institutional complements like selective audit review or strict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s for the industries showing low accounting quality. And this study proposes that systemic efforts to enhance the industry expertise of auditors should be made. For example a check list in audit quality review including an audit manual classified by industry, industry expertise training and so on.

      • KCI등재

        정보기술업의 운영 효율성 분석

        강다연,이기세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2

        In this study, management efficiency was analyzed for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that will lead the domestic industry due to the recent fourth revolu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ways for companies to conduct efficient management activities. As a research method,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was analyzed based on the BCC-I and CCR-I models using the DEA method.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analysis, 15 efficient companies in the BCC model and 10 efficient companies in the CCR model were analyzed. In the CCR model, a total of five companies with an efficiency value of .50 or more were analyzed, and finally, each improvement ratio was presented for inefficient factors to confirm the efficiency projection valu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n this study, a traditional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 called DEA was used for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Unlike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iciency of each company was measured through patent, the most representative outpu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n the future, the direction of research is to suggest ways to eliminate non-financial factors and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each company by chang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for many years after the Fourth Revolution.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

        손영화 한국기업법학회 2022 企業法硏究 Vol.36 No.1

        Humans value being protected in the areas of privacy and personal life. I want to be able to control who knows what about themselves. I don't want anyone to have access to their personal information at any time. However, recent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reaten privacy, reduce control over personal information, and open the possibility of various negative consequences as a result of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a data protec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21st century, the strength of the platform economy is beginning with the rise of big data and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e.g., in the form of deep learning), the rise of big tech companies, and the storage and processing of exabytes of data. Technical features are currently in place to collect, store and retrieve large amounts of data on phone calls, Internet searches, and electronic payments, and are routinely used by both government agencies and business actors. The large-scale use and spread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for the rise, surveillance and control of China has raised concerns among many people. For companies, personal information about customers and prospects is now a key asset. The scope and purpose of the privacy-oriented business models of big tech companies such as Google, Amazon, Facebook, Microsoft, and Apple are often referred to as "monitoring capitalism."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legislative precedents and theorie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other countries, focusing on the EU, and examines the issu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companying the development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brief summary is as follows: Appropriate regulation and protection must be implemented while accurately recognizing the impact of new technologies on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First, there is the problem of regulating the use of so-called cookies with regard to Internet privacy.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a point of contact to achieve information sharing and sharing efficiency without over-infringement of individual privacy. Second,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issue of privacy i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in an internationally consistent manner. Third, there is the problem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particular,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privacy protection is permitted is a problem when using so-called predictive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me up with a concrete plan to ban the use of predictive information by case rather than a general plan to ban the use of predictive information. Fourth,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ing. Utiliz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is one of them. Generally, the acquisi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using “reconfigurable technology” can be solved by informing individuals of such information. Fif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bring about changes in the voting process. This is the so-called e-governance or e-government. Electronic democracy should be achieved by allowing voters to vote freely and secretly at any stage, and by preventing the sale and coercion of votes. Finally, the so-called surveillance capitalism, which is a reaction to the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s using surveillance cameras, should be resolved. At least national surveillance of citizens should be strictly prohibited, and laws and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to inform the public of such surveillance facts and prevent personal privacy from being violated when using information. 인간은 사생활과 개인 삶의 영역을 보호받는 것을 중요시한다.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하여 언제든지 누구라도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또한 타인이 자신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에 대하여 통제할 수 있기를 원한다. 그러나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프라이버시를 위협하고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력을 감소시키며 개인정보에 대한 다양한 접근의 결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20세기 후반에는 개인정보의 처리 수준 증가에 대한 대응으로 데이터 보호체제가 구축되었다. 21세기는 빅데이터와 첨단 정보기술(예: 딥러닝의 형태), 빅테크 기업의 부상과 엑사바이트급 데이터 저장 및 처리와 함께 플랫폼 경제의 세기가 시작되고 있다. 전화 통화, 인터넷 검색 및 전자 결제에 관한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는 기술적 기능이 현재 마련되어 있다. 정부 기관과 기업 행위자 모두가 그러한 기술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국의 부상과 감시와 통제를 위한 첨단 디지털 기술의 대규모 사용과 확산은 많은 사람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기업에게는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개인정보가 이제 핵심 자산이기도 하다. 빅테크(Google, Amazon, Facebook, Microsoft, Apple)의 개인정보 중심 비즈니스 모델의 범위와 목적은 ‘감시 자본주의’라는 표현을 자아내기도 한다. 이상에서는 EU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 등의 입법과 판례 및 학설을 비교고찰하며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간략하게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신기술의 홍수 속에서 그것이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면서 적절한 규제와 보호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선, 인터넷 프라이버시(Internet privacy)와 관련하여 이른바 쿠키(cookies)의 사용에 관한 규제의 문제가 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과도하게 침해하지 않으면서 정보공유 및 공유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접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달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에 대해 국제정합성 있는 규범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빅데이터의 이용 및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가 있다. 특히, 이른바 예측정보의 활용에 있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어느 범위에서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예측정보의 일반적인 활용금지의 방안이 아닌 구체적인 사안별 금지방안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넷째, 사물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개인정보의 침해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등의 이용과 활용도 그러한 내용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재구성 가능한 기술(reconfigurable technology)’을 사용한 개인정보의 취득 및 이용의 경우 그러한 기술의 정보에 대하여 개인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의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투표 과정에서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른바 E-거버넌스 또는 전자정부의 과제이다. 어느 단계에서의 기술이용이든지 간에 유권자의 자유투표 및 비밀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투표매매와 강요를 방지함으로써 전자 민주주의를 달성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감시카메라 등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의 발전에 따른 반작용이라고 할 수 있는 이른바 감시 자본주의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 적어도 국가에 의한 대중의 감시는 엄 ...

      • KCI등재

        How Internal Capability and External Collaboration Influence Technological Development Using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Automotive Industry

        Jung, Hyung-Shik,Kim, Youngshim,Ryou, Se-Seon 한국마케팅학회 2008 ASIA MARKETING JOURNAL Vol.2 No.2

        Focusing on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auto industry's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is a corporate internal learning proces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ernal capability, external collaboration, and the decision-making method on technology learning through infor- mation processing, and subsequently on technology development. Data was collected from 64 small-and-medium-sized auto parts SM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the internal capability factors, existing technological capability negatively affected exploitative learning of outside information and adaptation learning, while core technology capability negatively affected un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CEO's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positively affected adaptation learning and learning and accumulation. Second, of the external collaboration system factors, joint development negatively affected the exploitative learning of outside information and adaptation learning, whereas industry-academy collaborative support positively affected both. Third, the decision-making method of auto parts compan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unlearning, the exploitative learning of outside information, adaptation learning, or learning and accumulation. Finally,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es, only adaptation learning and learning and accumul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echnology learning, indicating that creativity and using spontaneous ideas facilitate technology development learning. In addition, technology learning was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technology development in a positive direction, suggesting that to increase technology development, investment and efforts made at full capacity in relatively small-sized auto parts SMEs.

      • KCI등재

        Co-IPC 정보를 활용한 대구·경북 섬유산업의 기술융합 분석

        한장협,나중규,김채복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지식재산연구 Vol.1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echnology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textile Industry in the Daegu-Kyungbuk area by reviewing patent information and network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methodology for technology innovation and present strategic tasks. This study analyzes patent information enrolled in the Daegu- Kyungbuk area. Technology-industry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code and applied patent codes is performed for the functional high technology textile industry. The path finder network analysis suitable for visualization and grouping is employed by using PC codes. Based on result analysis, confusion technology of textile industry is classified into 14 groups and are regrouped as technology for the living textile and industrial textile industrie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fusion trend of the textile industry by investigating patent information. The correlations among 14 groups of confusion technology of the textile industry are analyzed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extile industry by network analysis in Daegu-Kyungbuk area is presented.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의 기술구조와 기술현황 및 기술개발실태를 특허정보를 통해 살펴보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역 섬유산업의기술융합 수준의 정도를 가늠하여, 기술개발 및 혁신을 위한 방안도출 및 전략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대구 및 경북지역에서 출원된 특허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허자료의 활용을 위해 현재 지역에서 사업 수행 중인 기능성하이테크 섬유산업의 표준산업분류 코드와 출원특허 코드 간의 기술-산업 연계작업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특허는 하나의 기술이 아닌 여러 개의 기술코드로 분류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며, 만약 하나의 기술에서 IPC 코드가 동시에 여러 개가 나타날 경우, 이를 융합기술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IPC 코드를 활용하여 시각화 및 그룹(군집)화에 가장 적절한 방법인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섬유산업 관련 융합기술의 경우 총 14개의 그룹(군집)으로 구분되었고, 이를 다시 생활용 섬유산업 기술과 산업용 섬유산업 기술 그룹으로재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는 특허정보를 섬유산업에 적용하여 최근 섬유산업 내 본격화되고 있는 융합화 경향을 처음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으며, 분석 방법 또한 특허정보를 기반으로 섬유산업의 특성에 따른 그룹화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겠다.

      • KCI등재

        방위산업기술 판정을 위한 기술검토방안 연구

        양영규,양정은,유나영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With the emphasis on protecting Defense Industry Technology,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Protection Act (DITPA) was enacted (in 2015)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article 7 of the DITPA, a target institution may apply to the Director of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for a decision as to whether the technology it possesses belongs to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The Director of the DAPA shall make a decision through a technical review and notify the applicant in writing of the result. On the other hand, as detailed procedures and standards for the decision are not stipulated, the objectivity of the decision result may deteriorate,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cedur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ision. In this study, a technology assessment proced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Decision is propos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technology protection regulations and case analysis. The procedure consists of three-stage: fundamental review, technical attribute review, comprehensive review.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objectivity of a technology assessment for the Technology Industry Technology Decision will be secured, and the efficiency will be improved. 방위산업기술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내에서도 방위산업기술 보호법을 2015년에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방산기술 보호법 제7조에 의하면 대상 기관은 해당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방위산업기술 해당 여부 판정을 위해 방위사업청장에게 신청할 수 있고, 방위사업청장은 기술검토를 통해 판정하고 결과를 신청인에게 서면으로 알려야 한다. 하지만 법 시행 초기로 판정을 위한 세부적인 절차 및 기준이 규정화되어 있지 않아 판정결과의 객관성이 저하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방위산업기술 판정 특성과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절차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기술보호 규정 및 사례 분석을 통해 방위산업기술 판정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검토 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술검토 절차는 판정대상 기본검토, 기술특성 검토, 종합검토의 3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기술특성 검토를 위한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델파이 설문을 통해 중요도를 분석하여 7개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항목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방위산업기술 판정의 일관성 유지 및 객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방위산업기술 판정 기술검토 절차를 규정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산업발전을 위한 정보통신기술의 융합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이재삼(Lee, Jae-S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71 No.-

        오늘날 이슈가 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은 모든 산업에 활용 가능한 미래의 성장원동력으로서 산업의 각 핵심기술들과 연결되어 수요가 충족되고, 모든 사회생활에 응용하여 무한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발전의 원동력으로 국가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은 현실적으로 법적인 쟁점과 더불어 실제 생활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정보통신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이 제한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IT부문은 정보를 저장하고 이전시키며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을 기본요소로 하나, 각종 규제나 통제가 주어지는 등 외부적 환경변화에 따라 정보의 처리와 대응체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부작용이 일고 있다. 둘째, IT기업의 창의성과 시장중심의 의사형성 부족이다. ICT산업에 있어서 정부의 불필요한 규제와 간섭으로 인하여 기업과 시장에 제한이 가해지고 민간시장 중심의 의사형성에 있어서도 제한이 가해지고 있다. 이러한 지나친 간섭과 규제는 결국 기업의 가동 정지의 위험과 국가경제의 위축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셋째, 경제・환경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즉 중소기업의 협상력의 부족은 성장기반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경쟁력을 악화시키며, 대・중소기업 간 전속적이고 종속적인 관계로 이어져, 중소기업의 다양한 거래선 확보의 어려움 내지 자생력 부족의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넷째, 정보통신의 해외진출 저조이다. 그 이유는 수출계약에 있어서 그 절차가 복잡하고, 높은 세금과 저가 입찰에 따른 용역대금 하락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정부의 전자정부의 수출에 있어서도 총괄적인 사업 추진, 전략 수립 및 실행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정보통신기술 현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는 첫째, 지속가능한 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정부의 지원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산업 기술 진흥정책의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 즉 정보산업 기술의 사회적 규제의 원리, 시민참여의 원리,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에 따른 정부의 지원 원리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의 창조력으로 인한 공정한 경쟁, 경제적 효율에 기초한 시장진입, 경쟁과정에 의한 자원배분의 선순환 연계로 인한 경제의 효율성을 제고시킴으로서 국민경제의 균형적 발전에 이바지해야 한다. 그리고 IT산업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제한된 내수시장 보다는 광범위한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는 정부의 적극적인 권장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를 해소하여 동반성장을 달성함으로써 국민경제의 지속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가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위한 목표와 시책 추진, 성과공유 및 기술·인력교류의 추진, 상생협력우수기업 선정 및 지원,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 완화,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 넷째, IT서비스 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가 기업지원 차원에서 사전에 수출이나 해외시장에 관한 정보제공·상담·자문 및 교육 등을 통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자정부 수출에 있어서도 정부기관 간의 협력과 대응능력 결집으로 기업의 니즈를 반영하도록 해야 하며, 특히 수요국을 대상으로 한 전자정부 수립계획 및 기술지원 컨설팅, 전자정부 양해각서 교환 등 상대국가와의 협상력 강화도 필요하다. 요컨대, 정보통신기술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발전과 창의력 제고,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 그리고 해외진출의 확대를 위해서는 현행 실정법상의 통합적인 구조 형성과 입법적 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써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업발전은 물론 국가의 경쟁력도 향상될 것이다. The convergence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which is currently becoming an issue is a new growth engine in the future available in all industries. It is connected to each core technology of industries which satisfies demands, and is applied to the social life which creates infinite, new values. Especially it is making contributions to national development as the driving force of industrial developmen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however, is causing not only legal issue, but also various problems in real life. Firstly, sustainability of the ecosystem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s limited.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and keeping the ecosystem healthy in the IT field are regarded as an essential element. However side effects which information and response processes are not systemically organized depending on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e.g, regulations and controls) begin to emerge. Secondly, creativity of IT companies and formation of market-oriented wills are scarcity. Government’s unnecessary regulations and interference in the ICT industry cause limits to not only companies and the market, but also formation of private market-oriented wills. Such extreme interference and regulations may ultimately lead to stopping the operations of companies and contracting the national economic, and so forth. Thirdly, the polarization of conglomerates and small businesses has become more serious economically, environmentally. Especially small businesses’ lack of negotiating power results in not only undermining the foundations for growth, but also weakening competitiveness throughout major industries. It also creates exclusive and subordinate relations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 businesses, thereby leading to difficulties in attracting various clients or lack of autogenic power. Fourthly, entry into overseas markets remains low. That’s because export procedures are quite complicated and high taxes and below-cost tendering result in dropping the worker pay. Even for exports of government’s e- government, promoting the overall business, establishing and executing strategies, etc are also pointed out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failure. Improvement plans against problems arising ou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are shown as follows: Firstly, a complete reversal of promotion policies 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s necessary for sustainable growth of the information industry. In other words, principles such as social regulation for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citizen participation, government’s supports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technical innovation are necessary. Secondly,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should be promoted through fair competition by creativity of companies, market entry based on economic efficiency, and efficiency improvement of economy by virtuous circle connection of resource distribution. In the IT market, exploring widespread overseas markets rather than limited domestic market is more important. To do this, government’s active encouragement and support are required. Thirdly, setting a foundation of sustainable growth for the national economy by strengthening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 businesses, increasing their competitiveness, and resolving their polarization are required. Therefore the nation has to set goals and push forward with the policy for a win-win cooperation of conglomerates and small businesses, implement technology and manpower exchange, select and support top cooperative companies, ease income disparity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 businesses, and encourage public institutions to cooperate with small businesses.

      • KCI등재

        북한 정보 산업과 스마트폰 -‘정보기술교류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은이,박종철 평화문제연구소 2023 統一問題硏究 Vol.35 No.2

        이 연구는 김정은 시기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전국적으로 보급·확산된 정보기술교류소에 주목하여 다양한 사례연구를 토대로 북한 정보산업의 등장과 이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기술교류소는 인민의 정보 욕구와 당국의 정보통제 사이에 절충된 형태로 발전하며, 북한 특색의 정보 유통 장치로 등장·확산되었다. 즉, 북한은 가상의 공간을 접속하는 내부 인트라넷조차 통제하는 특수한 방식으로 정보를 제한하면서도 동시에 산업 측면에서는 경제적 효과를 노리는 제한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주민은 외부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정보 욕구에 의해 이동식 저장매체나 블루투스 기능을 활용하여 동영상과 소프트웨어를 개발·복제·확산시켰다. 이에 당국은 정보통제를 위해 법·제도를 보완하고 주민의 무단 복제와 블루투스 기능을 기술적으로 제약하는 한편, 정보기술교류소를 통해 IT 관련 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유통 및 판매할 수 있도록 상업망을 전국적으로 구축하여 북한 내에서도 외부세계와 다른 형태의 정보산업이 싹텄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차원의 열린 가상공간이 개방된다면 정보기술교류소는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겠지만, 현재는 북한 정보산업의 중심축으로 산업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명문대학을 졸업한 IT 엘리트와 돈주의 붉은 자본이 몰리는 신흥산업으로 육성되어 점진적으로 북한의 정보와 문화산업이 산업의 한 축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였다. 동시에 국가 또한 정보산업의 가치를 인지하여 독점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 시기 스마트폰과 정보기술교류소는 모기장을 친 제한적인 정보 개혁개방의 형태이며, 북한 특색의 디지털 권위주의의 상징이기도 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exchange center that was distributed and spread nationwide with the advent of smartphones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analyzes the emergence of North Korea's information industry and its social and economic ripple effects based on various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formation technology exchange developed as a compromise between the people's desire for information and the government's information control, and emerged and spread as a North Korean-specific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In other words, North Korea restricted information in a special way by controlling even the internal intranet that accesses virtual spaces, while at the same time pursuing limited reforms aimed at economic effects in terms of industry. Driven by curiosity about the outside world and desire for information, residents developed, copied, and spread videos and software using removable storage media and Bluetooth functions. Accordingly, the authorities supplemented laws and systems for information control, technically restricted residents' unauthorized copying and Bluetooth functions, and established a nationwide commercial network to distribute and sell IT-related devices and software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exchange centers. Meanwhile, a type of information indust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utside world sprouted within North Korea. In this sense, if a global open virtual space such as the Internet were to be opened, it would be impossible to mainta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exchange, but it is currently the central axis of North Korea's information industry and has a great impact on the industry. It was fostered as an emerging industry attracting red capital from IT elites and donjus who graduated from prestigious universities, contributing to the gradual growth of North Korea's information and cultural industries as an axis of the industry. At the same time, the state also recognizes the value of the information industry and shows a tendency to monopolize it. It wa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ill aspects of the smartphone and information technology exchange center under Kim Jong-un that reveal the limitations of reform and opening.

      • KCI등재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법제의 필요성과 그 정립방향에 관한 소고- 4차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에서 데이터 거래의 기반 확보를 중심으로 -

        방동희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연구 Vol.59 No.1

        Now, as the paradig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dvocated, offline and online values ​​are constantly crossing, and online is absorbing offline values ​​like black holes, creating new technologies and the world and even the tim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the main mechanism of fusion of exist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lligence, connects the physical and biological world and the digital world by using Big Data (O2O) And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at changes all societies. The basic mechanism that creates value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the algorithm that injects the data produced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into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combines data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find the optimal result. In other words,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algorithm are the three factors that make up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ll three elements play an important role, but the data is the phase which has a phase that exceeds the two elements as a fundamental element.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and intelligent intelligence service society can start from the data. Data is a key element and the most influential resource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n the e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data revolution, and the data is produced as high-quality and mass data through AI technology and algorithms, and serves as a driving forc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virtuous cycle. Data is now attracting attention as an asset, producing a huge chain of ripple effects, such as the creation of a data ecosystem through data distribution and the creation of a data economy, and the resulting value added.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for data circulation, data ecosystem, and data economic revitaliz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data is central. In fac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Korea's information technology legislation still remains in the basic framework of information technology 20 years ago. Already, the paradigm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changed and evolved through a period of turbulence, and now it has become an era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Now that data becomes the main artery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new services are introduc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lgorithms, and the world is being renovated, we need to diagnose where the current state of our legal system is.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present addres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our legal system for data circulation and data economy, with particular emphasis on data as the key mechanis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we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data and data economy, and current legal system, and then describe the necessity of data - based legisl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data economy and its direction.

      • 국방정보보호산업 관련 중부권 연구기관 활용방안

        엄정호,Eom, Jung-Ho 대전대학교 군사연구원 2011 군사학연구 Vol.9 No.-

        This study is presented a scheme that information security research institutions located within the central area can be participated actively m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The many of information security company ar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Daejeon) and there are many research institutes. However,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is not high compared to other provinces. Although a variety of reasons, there are no the Defense Privacy Office that could have a role in protocol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industry.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Defense related to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have not information about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central region and are not well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technology and research. So in this paper we presented some of the alternatives. 1) Building Pool involved in information security resear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ncy 2) Constitute the research community between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company 3) Build the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defense research institutes 4) Utilization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5) Make strategic alliances among research institutes based on technical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