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선택 기준 개발

        최길수 ( Gil Su Choi ),김영주 ( Yeong Ju Kim ),이종연 ( Jong Y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5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새로운 정보 교과서가 2010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된 뒤 중등학교로 점차적으로 확대 시행된다. 그러나 정보 교과서 선택을 위한 평가 관련 연구가 미미하며, 특히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개발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의 제안을 연구 목표로 하며, 그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과서 평가 관련 연구들을 일반 교과서 선택 준거, 탐구성에 대한 교과서 분석법, 기존 중등 정보 교과서를 분석한 선행 연구로 나누어 분석한 뒤,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위한 선택 기준을 제안한다. 둘째, 제안된 정보 교과서 선택 기준과 타 평가준거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정보 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선택 기준 제안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정보 교과서의 선정에 도움을 주고, 향후 정보 교과서의 평가 연구를 위한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new `informatics` textbooks have been used since 2010 as a textbook for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nd will eventually be used in other grades. However, only a few studies that have evaluated the `informatics` textbooks, have been performed. What is worse is the fact that none of the evaluating tools even exist. Therefore, we propose the criteria of selecting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Its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textbook evaluation into general criteria of selecting textbooks, method of textbook analysis based on how inquisitively students can learn and previous studies which analyzed existing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propose the criteria of selecting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Second, using the proposed selection criteria for `informatics` textbooks and other evaluation criteria, five kinds of infor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we can use the selection criteria as a material to choose the new `Information science` textbooks, and to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in the area of evaluating `Information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김자미(Kim, Ja-Mee),장윤재(Jang, Yun-Jae),이원규(Lee, Won-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정보’ 교과의 성격 중 하나는 정보사회의 일원으로서 실천적 태도를 고취시킨다는 것 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실천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로 탐구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적 경 향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검정 교과서 중 채택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6개의 내용 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3개 이상의 요소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본문지수 에서는 1개, 활동지수에서는 2개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나 그림 지수, 평가 지수, 장 끝 지수에서는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가 없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토대로 탐구적 경향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고, 특정 페이지에 한 정하지 않고 해당 영역 전체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cs subject implementing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o develop the practical attitude of the student as an active member of inform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units 'Information Society and IT'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reflect inquisitive tendencies to student's practice. After four textbooks that were widely selected by school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authorized textbooks, the sentences of the selected textbooks were analyzed by utilizing Romey's analysis method to see whether there was such an inquisitive tendency in them. As a result of analyzing six content elements of the textbooks, one textbook and two textbooks had an inquisitive tendency in three elements or more in terms of texts and activities index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inquisitive tendency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figure/diagrams, questions at the end of chapters and chapter synthe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an inquisitive tendency in the textbooks by analyzing every statement and sentence instead of analyzing just some parts of the textbook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강오한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8 No.5

        In this research, one common chapter,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in seven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aspect of learners’ explorations. These textbooks were newly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omey’s analysis was used to the textbooks along with four analytic elements: texts, data, activities, and evalu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extbooks can highly encourage learners’ further explorations according to the four analytic elements reflected in the seven textbooks: one out of the six textbooks well designed for texts, three for data, six for activities, two for evaluation. In terms of Romey’s involvement index points, six of the seven textbooks had low indexes of texts, ranging from 0.175 to 0.393. Data indexes were extremely low in four out of the seven textbooks, ranging from 0.058 to 0.226. Five out of the seven textbooks had very high indexes of evaluation in the broad range of 2 to 6.333 points. Furthermore, these newly designed textbooks can more greatly facilitate students’ explorations than previously existing textbooks in three elements: texts, data, and activities. Evaluation index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se new textbooks from 0.916 to 3.914, which had excessive points in terms of promoting students’ explorations. Further methods to improve the textbook quality i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 단원에 대한 탐구성을 분석하였다. 7종 교과서에 Romey 분석법을 적용하였으며, 4개 분석항목인 본문, 자료, 활동, 평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문, 자료, 활동, 평가의 항목에서 각각 1종, 3종, 6종, 2종의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omey 평가지수를 기준으로 6종 교과서의 본문이 0.175∼0.393로 낮게 분포되었으며, 자료 항목에서 4종 교과서가 0.058∼0.226로 매우 낮았다. 평가 항목은 5종 교과서가 2∼6.333로 매우 높게 분포되었으며, 교과서 간의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운 교과서가 본문, 자료, 활동의 3개 분석항목에서 이전 교과서보다 탐구성이 향상되었으며, 평가 분석항목은 Romey 지수가 0.916에서 3.194로 크게 증가하여 탐구성이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나타난 추상화 내용 분석

        김수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5

        The revised informatics is to be compuls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018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ncept of abstraction in informatics curriculum has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compared with general abstraction, however there is a mix of concepts in the current informatics textbook. The abstrac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needs to connect with automation, so it is difficult to teach correct concept of abstraction with these textbooks.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to investigate several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developed by the revi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concept and examples of abstraction. As a result, some textbooks have that there is a mix of concepts about general abstraction and no connection with automation. This research suggests clarified abstraction and educational examples for cultivat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improve this situation. This result will be basic recourse for the reconstruction of abstraction lesson to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정보 교과는 2018년부터 중학교 학생들에게 필수 교과로 도입되었다. 정보 교육과정에 나타난 추상화의 개념은 일반적인 추상화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데, 현재 정보교과서에는 이런 개념이 혼재되어 있다. 컴퓨팅 사고력의 추상화는 자동화와의 연결이 반드시 필요하며, 지금처럼 혼재된 사례로는 제대로 된 추상화 개념을 가르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정보 교과서를 조사하여 추상화의 개념과 예시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러 정보 교과서의 추상화 내용이 자동화와 연결되지 않고 있으며, 일반적인 추상화의 개념과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명확한 추상화의 개념과 교육활동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컴퓨팅 사고력을 증진하기 위한 추상화 수업 재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핵심 개념의 빈도 분석

        최현종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정보 교육과정과 4종의 교과서의 핵심 개념을 텍스트 마이닝 방법으로 추출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핵심 개념을 비교하였다. 2014년에 발표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학교에 어떻게 정착되고 있는지를 알기위해 다양한 현장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교과서 분석은 현장 연구의 가장 기본이 된다. 교과서 집필의 기준이 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정보 교육과정과 4종의 교과서를 워드 클라우드와 단어 빈도 분석을 통해 핵심 개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과서간의 핵심 개념에 관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문제 해결, 컴퓨팅 사고력과 같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종의 교과서별로 제시되고 있는 핵심 개념들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고등학교 정보 교육과정에서는 추상화와 자동화가 비슷한 중요도를 가지고 있었는데, 4종의 교과서에서는 자동화 개념과 관련된 프로그래밍이 강조된 것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core concep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nd four textbook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compared these core concept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A variety of field studies are underway to see how software education, announced in 2014, is settling in schools. Textbook analysis is the basis of field research. The core concepts of high school informatics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the standard for textbook writing, and four textbooks were extracted through word cloud and word frequency analysis. The direction of software education emphasized in the textbooks was confirm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re concepts presented by textbook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bstraction and automation concepts had similar importance in the curriculum. But, four textbooks confirmed that programming contents related to automation concepts is highly emphasized.

      • KCI등재

        Anderson과 Fuller의 교육목표 분류법을 이용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 목표 분석

        최현종(Hyun-Jong Cho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9

        본 연구는 Bloom의 교육목표 분류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수정한 Anderson의 분류법과 프로그래밍 수업목표에 적용할 수 있는 Fuller의 분류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출판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다. Anderson 분류법에 의하면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이해하다와 적용하다의 목표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Fuller 분류법으로 동종의 교과서 6종을 분석해 보니 프로그램 코드의 해석과 생산 영역이 대체로 균형 있게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이루어지는 정보 교과만의 교육목표 분류법 연구와 교과서 개발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this year in the basis of 2009 revised curriculum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at was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d Fuller's taxonomy that was presented for programming activities. Some dimensions of Anderson's taxonomy, such as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understand and apply in cognitive process are much more used in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Interpreting and producing dimensions of taxonomy are well presented to balance in 6 Informatics textbooks by analysis of Fuller's taxonomy. This results will be a good case study in research about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textbooks.

      • KCI등재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바라본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모델링 과제 분석

        오세준(Se J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를 수학적 모델링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디지털 자원을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 설계에 있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8종의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모델링’단원과 ‘프로젝트 단원’의 과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문헌 분석 하였다. 분석 대상인 모델링 과제가 수학 혹은 실생활과 연관되어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소양 등 미래 역량으로 주목받는 컴퓨팅 사고력의 단계, 수학적 모델링 사이클의 관점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모델링’ 단원 과제의 소재는 ‘수학’을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 교과에서 ‘모델링’은 추상화 방법의 하나로 다루고 있어 ‘수학적 모델링 사이클’ 과정으로 분석하면 구성하기-단순화하기-수학화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 <정보> 교과서의 프로젝트 과제는 수학적 모델링 사이클과 컴퓨팅 사고력 과정의 구성요소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었으며, 별개의 독립된 단원으로 구성되어 모델링 과정을 체계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다. 결론 2022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미래사회의 역량 중 하나인 디지털 소양을 수학적 모델링을 학습하며 함양하기 위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정보> 교과의 모델링 과제와 연계하여 지도하는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정보> 교과서의 모델링 과제, 프로젝트 과제를 수학교과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수학적 모델링과 관련된 프로젝트 과제를 독립적인 단원으로 구성하여 수학 교과서를 구성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modeling, with the goal of gaining insights for designing mathematical modeling tasks using digital resources.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selected the ‘modeling’ unit and ‘project unit’ tasks from eight high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for analysis,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modeling tasks were related to mathematics or real-life scenarios, and analyzed them through the len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cycle and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which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crucial competencies for the future workforce, including digital literacy. Results The material in the ‘Modeling’ unit of the high school <information> textbook was heavily based on ‘mathematics’. <Information> ‘Modeling’ is treated as a method of abstraction in the textbook, and when analyzed as a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cycle’, it consists of constructing, simplifying, and mathematiz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modeling’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was distinct from ‘mathematical modeling,’ as it was seen primarily as a method of abstraction. However, the project tasks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included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cycle and the computational thinking process, and were organized as independent units for a systematic experience of the modeling proces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that a systematic discussion is needed to teach ‘mathematical modeling’ in connection with modeling tasks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in order to foster digital literacy, which is a crucial competency for future societies. Additionally, the modeling and project tasks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can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be incorporated into mathematics courses. Finally, the study recommends organizing project tasks related to mathematical modeling into independent units to better structure mathematics textbooks.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Anderson의 교육목표분류법을 이용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최현종 ( Hyun Jong Cho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1

        수업 목표는 수업 시간에 제시되는 목표로 수업 설계의 기본 방향과 틀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교수ㆍ학습을 설계할 수 있게 해주고, 수업 평가의 지침이 된다. 다른 교과에서는 Bloom의 교육목표 분류법의문제점을 수정한 Anderson의 분류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교과의 수업목표와 평가의 성취수준을 분석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nderson의 분류법이 정보 교과의 수업목표진술에 적절한지 정보 교사의 설문을 통해 확인하고, Anderson의 분류법으로 중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의수업목표를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Anderson의 분류법이 Bloom의 분류법보다 정보 교과의 목표진술에 더 유용하다는 결과를 얻었고, 정보 교과서 6종의 분석 결과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이해하다와 적용하다의 목표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교육목표 분류법 연구와 교과서 개발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Learning objectives is used to be a good guidance of a class evaluation and activity design for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at was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has presented in research field of other subject matters and used as a better guideline for analyzing learning objectives in textbook and achievement levels in test recently. This study has behaved some questionnaires for that Anderson`s taxonomy is suitable for a guideline of stating learning objective in Informatics subject matter, and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by Anderson`s taxonomy. It has proposed that Anderson`s taxonomy is satisfactory for expressing learning objective of Informatics subject matter in class and some dimensions, such as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understand, and apply,are much more used in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This results will be a good case study in research about taxonomy of educat ional objective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textbooks.

      • 초등 정보 교육 관련 교과의 인정교과서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이영호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 교육연구소 2023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 Vol.2 No.4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에서는 미래 대응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주요 방향 중 하나로 디지털 기초소양 강화를 제시하였으며, 기초소양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AI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등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 과목이 필 수로 지정되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체계적인 정보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지만 초등학교에서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시간은 실과 교과에서 17차시, 전체 초등학교 시수의 0.29%에 불과하다. 우선적으로 정보 관련 교육을 할 수 있는 교과 독립이 필요하 지만,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학교장 주도의 정보 관련 과목 개설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장 주도의 정보 관련 과목 개 설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과 이를 지도하기 위해 필요한 인정도서 개발 절차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정도서 개발 및 지도를 위한 교 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국내외 정보 교육과정 및 총론 수준에서의 문헌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장 신설 인정도서의 인정 신청을 위해서는 해당 도서가 사용될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초등학교 정보 교과에 필요한 핵심 역량에 대한 연구와, 현장 교사의 참여 를 바탕으로 한 중등 정보 교과와의 연계성을 확보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raft proposed strengthening AI software education to develop basic literacy and competencies. In secondary education, since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informatics has been mandated, enabling systematic informatics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in elementary schools, the time allocated for teaching informatics-related content is limited to 17 class hours in practical arts courses, accounting for only 0.29% of the total elementary school hours. There is a primary need for the independent establishment of informatics-related subjects. As one solution, the introduction of such subjects led by school principals is proposed.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necessary for the principal-led introduction of informatics subjects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textbooks for instruction. It also proposed direc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guidance for textbook development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cs education curricula and general principles.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 the approval of new textbooks initiated by principals, a corresponding curriculum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nvestigates the key competencies needed for elementary informatics subjects and ensures coherence with secondary informatics subject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field teachers.

      • KCI등재

        한국어 교재 어미 출현 분포의 정보학

        임현열 현대문법학회 2023 현대문법연구 Vol.119 N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discuss linguistics implications that can be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ending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listening and reading passage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this work, we will have mor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ppearance of endings in Korean textbook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n objective basis for seeking improvements in Korean textbooks. This study used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analysis data. Python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The kkma morpheme analyzer included in the konlpy package was used. For analysis, functions such as ‘kkma.sentences()’, ‘kkma.morphos()’, ‘kkma.pos()’, and ‘len()’ were applied. I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nfiguring it as a data frame using the pandas library. Through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frequency and appearance frequency of final endings, pre-final endings, conjunctive endings, and function-converting endings in listening and reading passag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ecessary items for the kkma morpheme analyzer to perform more appropriate endings analysis were also men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