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한중 비교연구

        박재기(Jaekie Park),리봉(Li Feng)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0 경영경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제품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동시에 국가이미지가 제품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선호도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소비자와 중국소비자가 제조국 이미지에 따라 제품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에 대한 고찰 속에서 기존의 이론적 연구와 실태조사,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낸 주요결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 브랜드 이미지를 기능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 경험적 이미지로 보고 독립변수로 사용하고 브랜드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한국과 중국소비자들에게 대부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 상징적 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 되었다. 둘째, 국가 연상이미지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제품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영향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면, 한국소비자에 대해서는 기능적 이미지만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영향력을 안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소비자와 중국소비자들이 제조국 이미지에 다른 제품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한국소비자들이 기능적 이미지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징적 이미지와 경험적 이미지에 대하여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조국 이미지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를 보면, 한국소비자들은 한국에서 생산된 제품의 브랜드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의 브랜드 선호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소비자들은 제조국 이미지에 따라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 of product brand image on brand preference, as well as the effect of national image on product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In addition, an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differences exist between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in terms of product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empirical study, the key survey findings are listed as follow: First, th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clarify what kind of effect the product brand image exerts on br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 presented in the analysis, significant relationship is confirmed by most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hereas, product symbolic image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brand preference in view of Korean consumers. Second, the results of study investigate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when adopting national associative image as control variable, the findings indicate most hypotheses as supported, however, it finds no evidenc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image and brand preference in case of Korean consumers as well as no evidence of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image and brand preference in case of Chinese consumers. Third, in view of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terms of product brand image influenced by manufacturing country image, all of Chinese consume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Korean consume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erms of functional image, symbolic image and experience image. Forth, as to the difference of brand preference influenced by manufacturing country image, in Korean samples, there exists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brand preference attitude towards product which is made in Korea, however, no difference is found when the product is made in China. In view of Chinese consumers,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brand preference followed by manufacturing image.

      • KCI등재

        1950-60년대 모더니즘 시의 이미지와 자아 인식 : 김춘수와 문덕수의 시를 중심으로

        서진영(Seo Jin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3

        이미지의 조형성은 한국 현대 모더니즘 시에서 가장 핵심적인 특징을 드러내는 것이다. 1950-60년대에 전개되었던 전후 모더니즘 시에서도 사물의 영상을 명료하게 제시하는 시적 감각으로서의 이미지는 현대성의 핵심에 놓여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50-60년대 모더니즘 시에서 강조하고 있는 이미지는 사물의 영상을 명료하게 제시하는 시적 감각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좀 더 포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1950-60년대 모더니즘 시인들에게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에 대한 명료한 묘사나 회화적 영상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물에 대한 자아의 인식, 사고의 과정을 드러내는 독자적인 시적 방법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김춘수와 문덕수는 이미지를 강조한 1950-60년대 대표적인 모더니즘 시인들이다. 그러나 그들이 시론에서 강조한 이미지는 대상과의 조형적 연관성을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과 차별화된다. 이들은 대상과의 조형적 연관성보다도 오히려 대상성과는 무관한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언어의 재현적 표상성을 비껴나고자 했으며, 이와 관련하여 자아의 인식이 그들 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독특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들의 이미지 시학은 사물과 언어를 인식하는 자아 인식의 변화와 과정적 추이에 따라 그 내용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본고에서는 김춘수의 ‘서술적 이미지’와 문덕수의 ‘순수 이미지’간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이들이 객관 세계의 재현을 부정하고 이미지만을 위한 이미지를 주장하는 데에 대한 인식적 기원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들의 초기시에서 나타나는 사물의 존재성에 대한 주목은, 언어로 명명되기 이전의 존재의 깊이와 경험적 시간에서 벗어난 무한의 세계에의 믿음에서 기인한다. 존재의 깊이와 무한의 시간을 넘나드는 시의 공간 속에서, 시적 언어는 의미 전달이라는 현실의 도구적 유용성과는 무관하게 자족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들 시의 주요한 제작 원리인 ‘이미지의 자유 연쇄’ 방식은 언어의 순수를 통해서 오염된 의미의 세계를 벗어나 순수하고 본질적인 세계, 무한의 궁극적인 세계로 진입할 수 있다고 믿는 믿음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The formative element of the image is the most essential features of Modernism poetry. It is considered as the core of modernity in the 1950-60' Modernism poetry to clarify and present images of things. However, images were more emphasized in terms of a poetic sense in those days. It is important that poet's modernist image of the object provide a clear description or pictorial image as well as the process of thought with its own poetic way. Discuss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image of Kim chunsoo & Mun deoksu, who are the leaders of 1950-60's modernist poets. However, they emphasized on the images which does not hav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ative sense and object, which differentiate with other writers of his contemporaries. These formative association independent of the target is caused by their thought that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ternal essence of things by languages, and it leads their language and images to 'narrative image' or 'pure image'. I paid attention to the similality between the 'narrative image' and 'pure image' and examined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their images in this study. When they show the initial notice of the existence of objects prior to the naming by language it is from this faith. In the presence of infinite time and the space, poetic languages stay in sufficient independence. They made the free chain of the image as the main method. That method is originated by the faith that purity of the language can be beyond the contaminated world and make it possible to enter into the ultimate.

      • KCI등재

        일반 장면의 정규분포 분석을 기반으로 한 화질 측정 모형

        박형주 ( Hyung Ju Park ),하동환 ( Dong Hwan Har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객관적 평가 항목들의 범위를 구체화하고 실제 이미지를 기반으로 화질의 선호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따랐다. 즉, 무기준법(No-Reference)을 기반으로 하고 화질 평가 요소를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로 규정하였다. 샘플 사진 수집은 인터넷 갤러리에서 추천수 30회 이상을 기준으로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풍경사진 200장의 이미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객관적 화질 평가 항목에 의한 정규분포분석을 통하여 총점을 백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최종적으로 예상되는 화질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적용한 실제 사진 샘플의 다이내믹 레인지 측정값은 10 stop, LAB 평균은 L:54.7, A:2.96, B:-15.84, RSC 콘트라스트는 376.9로 나타났다. 총 200장 샘플 사진의 정규분포 z값은 다이내믹 레인지가 0.21, LAB 평균이 LAB 평균이 L:0.15, A:0.38, B:0.13, RSC 콘트라스트가 0.08을 나타냈다. 표준정규분포 표에서 위의 z값이 나타날 확률을 상위 백분율로 나타내면 실제 사진 샘플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8.32%, LAB 평균은 LAB 평균은 L:5.96%, A:14.8%, B:5.17%, RSC 콘트라스트는 3.19%를 나타낸다. 즉 화질 평가 모형에 사용된 실제 사진 샘플의 상위 백분율을 100점으로 환산한 다이내믹 레인지는 91.68점, LAB 평균은 91.36점, RSC 콘트라스트는 96.81점이다. 따라서 세 가지 객관적 화질 평가 항목에 의한 총점의 평균은 94.99점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화질 측정 모형을 통하여 실제 사진 샘플에 대한 선호도를 수치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이미지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재현 성능 범위를 구체화하고 예상되는 화질의 선호도를 수치화하는 실용적인 연구 결과를 제안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specify the image consumers` preferred image quality ranges based on objec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factors and follow a method which measures preference of the natural image scene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No-Reference, we select dynamic range, color, and contrast as factors of image quality measurements. For collecting sample images, we choose the preferred 200 landscapes which have over 30 recommendations by image consumers on the internet photo gallery. According to the scores of three objective factors of image quality measurements, the final expected score which means the image quality preference is measured and its total score is 100 points. In the main test, the actual image sample shows dynamic range 10 stop, LAB mean value L:54.7, A:2.96, B:-15.84, and RSC contrast 376.9. Total 200 image samples` normal distribution z value represents in dynamic range 0.21, LAB mean value L:0.15, A:0.38, B:0.13, and RSC contrast 0.08. In th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table, we can convert the z value as a percentage; dynamic range is 8.32%, LAB mean value is L:5.96%, A:14.8%, B:5.17%, and RSC contrast is 3.19%. And then, we convert the percentage values into the scores of 100; dynamic range is 91.68, LAB mean value is 91.36, and RSC contrast is 96.81.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sample image`s total mean score is 94.99 based on three objective image quality factors. Throughout our proposed image quality assessment model, we can measure the preference value of natural scenes. Also, we can specify the preferred image quality representation ranges and measure the expected image quality preference.

      • KCI등재

        논문 : 이미지와 소리의 상호매체적 교차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09 디자인융복합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21 세기 디지털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문화콘텐츠들이 감각화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문화콘텐츠의 가장 중요한 리소스인 이미지와 소리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을 한다. 보는 것이 곧 진리라는 명제를 확립한 서구의 시각중심주의는 형이상학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시각과 청각의 분리를 가져온 서양의 전통적 사유에 대해 본 논문은 이미지와 소리가 역사적으로 분리주의의 길을 걸어 온 것이 아니라, 매 시대마다 공존적 동반자였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한 시대가 시각중심주의 또는 청각중심주의라는 생각에서 탈피하여 이미지와 소리가 상호 교차하고 있는 문화현상을 밝힘으로써 문화콘텐츠디자인의 한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19 세기 말과 20 세기 초유럽에서는 시각예술과 청각예술의 위상이 획기적으로 바뀐다. 즉 이미지와 소리는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새로운 전환을 맞게 되면서, 이미지의 청각화와 소리의 시각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와 소리의 교차현상은 시간성이나 공간성과 관계된다. 공간적 특성을 가지는 이미지에 시간이 개입되고, 시간을 존재의 특성으로 가지는 소리에 공간성이 개입되는 예술적 시도들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미지와 소리의 상호작용은 예술사에서는 장르들의 혼합현상 또는 상호매체적 현상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의 배후에는 이미지와 소리가 각각 단일매체로서 가지고 있는 표현의 한계를 넘어 서로를 보완함으로써 다감각적 표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것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시각과 청각의 융합현상은 더욱 더 활성화되고 있다. 이미지와 소리는 정보화된 데이터로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들의 자유로운 조합을 통해서 이미지와 소리는 무한히 변형 가능하게 된다.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fact that all contents are being sensitized due to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This tries to examine the cultural history of image and sound, the two most important resources of cultural contents. The Western visualism which is seeing is knowing primarily has its roots in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Due to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image and sound has been separated, however,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image and sound have not walked the path of separatism, but have always inter-related. Also, it plans to set a foundation for cultural contents design by clarifying the cultural phenomenon of image and sound mutually intersecting, other than centralizing only on sound or imag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 phase of visual art and sound art changes drastically in Europe. With image and sound facing a new conversion in the reciprocally supplementing relationship, sound becomes visualized and image becomes sound and vice versa. The interrelation between image and sound represents the phenomenon of genres mixing and the intermedia in art history. Such a phenomenon is closely related to image and sound each trying to overcome the barrier of expression in order to supplement each other to fulfill the desires of a multi-sensual expression.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merging phenomenon of image and sound is being further activated. With such combinations of data, image and sound become infinitely transformable. The sound and image that become data are drastically changing art production and the formula of design. It is creating a new creative concept through the combination of data and network, and intends to unify the sense of the multimedia age. In this aspect, this article indicates the issues of an image-centered cultur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ewly rising sound culture.

      • KCI등재

        서울시 공간구조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김건희(Kim, Geon-Hee),이희정(Lee, Hee-Ch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시민들은 주로 어떤 요소를 인지하여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지 도출하고, 인지지도에 나타난 서울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데이비드 그레이엄 쉐인의 이론을 적용하여 랜드마크, 특정장소, 공간축, 복합중심의 네 가지 요소로 인지지도에 나타난 이미지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서울의 대표적인 도시이미지 요소는 한강이며, 그 외에 도심 ㆍ 강남 ㆍ 여의도가 시민들에게 강하게 인지되어 있었다. 둘째, 한강은 서울의 대표적인 도시이미지 요소이지만 서울의 공간구조를 결정하는 물리적 경계로써의 이미지가 강하다. 셋째, 서울은 한강을 경계로 도심으로 대표되는 강북과 강남구로 대표되는 강남이 서로 이질적인 도시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넷째, 서울의 도시이미지는 주로 랜드마크와 특정장소의 단일요소로 인지되고 있어, 여러 지역이 복합중심으로 구조화 될 수 있도록 도시이미지의 제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시민의 인식을 반영한 도시이미지의 제고와 도시 관리의 방향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hysical image elements of Seoul’s image and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ity image. The study analyzes the cognitive map by applying the theory of David Grahame Shane. Four elements for analyzing the image structure are landmarks, enclaves, armatures, and heterotopia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Han River appeared as the most striking element of Seoul’s image. Image elements other than the Han River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city centers of Gangnam and Yeouido. Second, the Han River is a representative image element of Seoul and has a strong image as a physical boundary that determines the city’s spatial structure. Third, Gangbuk and Gangnam have formed a heterogeneous urban image. Fourth, due to the variety of city images, many regions in Seoul should be recognized as heterotopia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ffers signposts for the direction of urban management and improving the city image so that it reflects citizens’ consciousness.

      • KCI등재

        문학,문화 : 러시아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 연구 -인터넷 블로그 분석과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강수경 ( Su Kyung Ka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2 비교문화연구 Vol.26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national image of South Korea held by russians. Surveys(based on Free-association Image) and discussion were conducted on LiveJournal (internet blog) with russian netizen. A national image is influenced by a subjective perspective rather than an objective one. Therefore, an image can differ substantially from reality. Futhermore, it takes a long time to change an established image, particularly to a positive imag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age of South Korea were dominated by unstable political situations, especially factors related to North Korea. In addition, based on Free-association image, thinking about Korea or Korean, most russians recognize Korea(South) with North Korea. Above all Russians recognize Korea, basing their images on factor of the past or their neighbors-russian korean- or famous Korean brand like Samsung, LG, Hyndai, "Dosirak". Russian netizen did not recognize South Korea as one of leading countries in Asia, paying little attention to South Korea compared to China or Japan. We belive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situations in future efforts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of South Korea.

      • KCI등재

        이미지스탬프를 활용한 부분이미지의 검색 및 결과보기 방법의 제안- 외곽라인, 인덱스, 유추 태그 그리고 색상 검색 중심으로 -

        김성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search partial images of a specific region in a whole image and a method of viewing the results of a search. It is a design solution which applied the image search method in the past. Image retrieval include methods using image stamps, mosaic blocks, and inference indexes. First, the image stamp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transforms an outline vector line to an image of a specific region that the user desires to search. Second, the mosaic block is a function for storing the internal color information of the partial image. Third, the analogy index is a user information input interface that stores information including the region, time, object classification, and tag information of the partial image. We have developed a concept prototype that uses the combination of shape, color, and index information to perform inference retrieval. A limited number of 4032 tropical stamp images were developed for testing. And we developed a pop-up type application for viewing the inference search results. In this search result window, there is a correlation network mini-map that shows the correlation of the image of the result and 5 kinds of search information view using the existing information search method. There are ‘Spherical lens’ view that can see large area, ‘Zoom In-Out’ view for using correlation network, ‘Transparency control’ view that can be overlaid in the same space, ‘Perspective wall’ view using sharpnes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objects, ‘Constantly pop-up’ view using persistence principle. Each result view method suggests a user UI for displaying various search results to the user. 본 연구에서 전체이미지에서 특정 부위의 부분이미지를 검색하는 방법과 검색의 결과 보기 UI을 제안한다. 기존에 이미지 검색 방법을 복합적으로 응용한 디자인적 해결안이다. 이미지 검색에는 이미지스탬프, 모자이크블록, 유추 인덱스를 이용한 방법이 포함된다. 첫째, 이미지스탬프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하는 특정부위의 이미지를 외곽선 벡터라인으로 변형시키는 기능이다. 둘째, 모자이크블록은 부분이미지의 내부 색상 정보를 간략하게저장하는 기능이다. 셋째, 유추 인덱스는 부분이미지의 지역, 시간, 사물 분류 그리고 태그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입력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형태, 색상, 인덱스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유추 검색하는 콘셉트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한정적으로 열대어 이미지스탬프 4032개가 테스트를 위해 개발됐다. 그리고 유추 검색결과 보기를 위해 팝업 형식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이 검색결과 창에는 결과물 이미지의연관도를 알 수 있는 상관관계망 미니맵과 기존의 정보 검색 방법을 응용한 5가지의 검색 정보 보기가 있다. 일정 영역을 크게 볼 수 있는 볼록렌즈 보기방식, 상관관계망을 사용을 위한 줌인아웃 보기방식, 동일 공간에중첩 표현이 가능한 투명도 조절 보기방식, 사물의 위치에 따른 선명도를 활용한 원근 전망 보기방식, 잔상원리를 이용한 지속적 팝업 보기방식이다. 각각의 결과보기 방식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검색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사용자 UI로 제안하다.

      • KCI등재

        Research on the Detection of Image Tampering

        Hye-jin Kim(김혜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2

        정보의 주요 전달체로서 디지털 이미지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 획득 장비의 대중화와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최근 몇 년간 디지털 이미지 위조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이미지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사회와 개인에게도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미지 복사-붙여넣기 변조(image copy-paste tampering)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이미지 변조 중 하나이며, 조작이 쉽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디지털 이미지 의미 정보 변경에 자주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복사 및 붙여넣기의 변조 탐지 방법을 연구하여 이미지 콘텐츠의 진정성과 무결성을 보호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딥러닝의 우수한 학습과 분석능력을 감안해 영상처리작업이 남긴 흔적을 활용해 영상 속 원본 영역과 변조된 영역을 구분하는 딥러닝 기반 변조 검출법 2가지가 제안되었다. 또한 실험을 통해 이론적 근거의 합리성, 변조 탐지, 위치 및 분류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As the main carrier of information, digital im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However, with the popularity of image acquisition equipment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mage editing software, in recent years, digital image counterfeiting incidents have emerged one after another, which not only reduces the credibility of images, but also brings great negative impacts to society and individuals. Image copy-paste tamper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image tampering, which is easy to operate and effective, and is often used to change the semantic information of digital images. In this paper, a method to protect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image content by studying the tamper detection method of image copy and paste was proposed. In view of the excellent learning and analysis ability of deep learning, two tamper detection methods based on deep learning were proposed, which use the traces left by image processing operations to distinguish the tampered area from the original area in the image. A series of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e rationality of the theoretical basis, the accuracy of tampering detection, location and classification.

      • 이미지 메이킹 교육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

        진형여 ( Hyung Yeong Jin ),김지연 ( Ji Yuon Kim ) 대한미용문화예술학회 2013 대한미용문화예술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ize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image making education for 20s and 30s people who would have the interview or find a job, and live in society.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have desirable image making training for them. 20s and 30s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or Gyeonggi province who have interviews or finding a job, and live in societ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samples. The period of questionnaire was from March 19 th to April 17th in 2012. The study was conducted a total of 400 copies for the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done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program for analysis. As the analysis technique, t-test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general data of image making education, and an actual condition survey of image making education, and awareness and necessity of image making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79.3% which recorded the highest answer among the participants thought “It is the creating process to realize their seeking image.” Second, the phone manner (importance and characteristics of answering phones) ranked the first and general manner (greeting, posture, and attitude) was the next rank in the question of the necessity of image making education. Third, 93.0% of the total respondents said that they need the image making education and 90.5% of them responded that image making education is important. Fourth, 86.5%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re willing to take part in classes for image making education and 34.8% of the total subjects thought the proper number of image making education is twice. Finally, 52.0% of the whole participants answered that image making education is helpful for their social life, job interviews or employment. All things consider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image making education of 20s and 30s men and women. When considering the social awareness changes, this study suggests the basic data for desirable and necessary image making educational programs in modern society where image making education is growing important.

      • KCI등재

        2000년대 신춘문예 소설에 나타난 서울 이미지 - 서울, 찢긴 청바지 같은 -

        김옥련 한국기호학회 2009 기호학연구 Vol.25 No.-

        Cet article a pour but de rechercher une nouvel image de Séoul dans des nouvelles publiées avec le concours Sinchunmunye dans les années 2000. Il s'agit de montrer une image fausse, une images écrite de Séoul. Celle-ci est liée à la spécificité littéraire. Premièrement, nous montrons les trois types de la présence de Séoul dans les nouvelles, disons, avec le mot ‘Séoul’, avec des noms régionals de Séoul, et sans aucun signe désignant Séoul. Nous vérifions qu'ils accédent à 10 pour cent de 117 nouvelles de l'année 2001 à 2009. Cela montre que des écrivains ne préfèrent pas Séoul comme un décor de nouvelle. Deuxièment, nous présentons la différence entre la notion traditionnelle de l'image et la nouvelle notion de l'image de la poétique de la signifiance. Les notions courantes de l'image, mettant en relief la notion du visuel, sont insérées dans la théorie du signe qui est fondatrice du dualisme, par là, on définit la poésie par l'image, la prose par le “sans image”. Nous nous proposons dans cet article de comprendre la nouvelle notion d'image pour la prose. Il s'agit de déplacer l'image du signe vers le discours. C'est la lignée de “l'image accoustique” de F. de Saussure, du discours de E. Benveniste et de “l'oralité” de H. Meschonnic. Troisièmement, nous essayons de présenter comment l'image visuelle de Séoul se transforme en “image, mode de signifier”, d'une part, par l'utilisation spéciale de la personne qui neutralise la première et la troisième, et d'autre part, par de la ponctuation qui participe à la signifiance. Séoul y est présenté syntaxiquement et rythmiquement comme un bleu pantalon volontairement déchiré sans aucune histoire. Séoul, c'est un moi déchir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