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의학과 예술의 융합적 상상력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2

        현대사회의 복잡계 현상들은 더 이상 근대 이후 각 분야별로 전문화된 지식으로는 파악되기 힘들다. 이런 맥락에서 융합은 21세기 디지털 문명사회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고 있다. 그런데 모든 분야에서 융합이라는 거대담론을 논하며 그 필요성에 대해 공감은 하고 있으나 융합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안들은 아직 적극적으로 모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융합은 단순히 이질적인 분야들이 만나는 것만으로 구현되기는 힘들다. 각 분야들의 만남을 넘어서 구체적으로 화학작용을 일으킬 때 진정한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타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전혀 다른 맥락에서 발전되어 온 의학과 예술 간의 상호교차적 소통을 통해서 융합 문화현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의학이 예술에 미친 영향들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또한 역으로 예술이 의학에 영향을 끼친 구체적인 보기들을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의학과 예술이 융합된 메디컬아트들에 대한 사례들을 통하여 오늘날 의학과 예술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네트워크 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의학과 예술의 융합이 어떠한 새로운 담론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새로운 담론이 각 분야에 어떠한 상호보완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Current society`s complex phenomenon can no longer be understood simply through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separate fields. Because of this, convergence is the most important keyword of the 21st century`s digital civilization. In all fields, the great discourse on merging is dealt with and its necessity is agreed upon, but the reality is that the specific plan for putting convergence into practice is not found. Convergence cannot simply be expressed by different fields meeting together. Going beyond the meeting of various fields, there should be a chemical reaction for a true merging to take place, and in order to do this, preceding studies and interests must take place.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specifically the converged cultural phenomenon through the mutual intersection of medicine and art, which has developed throughout history in drastically different contexts. For this, the article will examine cases in which medicine has affected art, and those in which art has affected medicine. Moreover, through the cases of medical art, in which medicine and art are converged together, it will examine exactly how today`s medicine and art are networked. In addition, it hopes to discover what discourses can be produced from the convergence of medicine and art, and how that new discourse will be able to affect each field with a mutual supplement.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이미지와 소리의 상호매체적 교차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09 디자인융복합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21 세기 디지털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문화콘텐츠들이 감각화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문화콘텐츠의 가장 중요한 리소스인 이미지와 소리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을 한다. 보는 것이 곧 진리라는 명제를 확립한 서구의 시각중심주의는 형이상학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시각과 청각의 분리를 가져온 서양의 전통적 사유에 대해 본 논문은 이미지와 소리가 역사적으로 분리주의의 길을 걸어 온 것이 아니라, 매 시대마다 공존적 동반자였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한 시대가 시각중심주의 또는 청각중심주의라는 생각에서 탈피하여 이미지와 소리가 상호 교차하고 있는 문화현상을 밝힘으로써 문화콘텐츠디자인의 한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19 세기 말과 20 세기 초유럽에서는 시각예술과 청각예술의 위상이 획기적으로 바뀐다. 즉 이미지와 소리는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새로운 전환을 맞게 되면서, 이미지의 청각화와 소리의 시각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와 소리의 교차현상은 시간성이나 공간성과 관계된다. 공간적 특성을 가지는 이미지에 시간이 개입되고, 시간을 존재의 특성으로 가지는 소리에 공간성이 개입되는 예술적 시도들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미지와 소리의 상호작용은 예술사에서는 장르들의 혼합현상 또는 상호매체적 현상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의 배후에는 이미지와 소리가 각각 단일매체로서 가지고 있는 표현의 한계를 넘어 서로를 보완함으로써 다감각적 표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것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시각과 청각의 융합현상은 더욱 더 활성화되고 있다. 이미지와 소리는 정보화된 데이터로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들의 자유로운 조합을 통해서 이미지와 소리는 무한히 변형 가능하게 된다.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fact that all contents are being sensitized due to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This tries to examine the cultural history of image and sound, the two most important resources of cultural contents. The Western visualism which is seeing is knowing primarily has its roots in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Due to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image and sound has been separated, however,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image and sound have not walked the path of separatism, but have always inter-related. Also, it plans to set a foundation for cultural contents design by clarifying the cultural phenomenon of image and sound mutually intersecting, other than centralizing only on sound or imag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 phase of visual art and sound art changes drastically in Europe. With image and sound facing a new conversion in the reciprocally supplementing relationship, sound becomes visualized and image becomes sound and vice versa. The interrelation between image and sound represents the phenomenon of genres mixing and the intermedia in art history. Such a phenomenon is closely related to image and sound each trying to overcome the barrier of expression in order to supplement each other to fulfill the desires of a multi-sensual expression.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merging phenomenon of image and sound is being further activated. With such combinations of data, image and sound become infinitely transformable. The sound and image that become data are drastically changing art production and the formula of design. It is creating a new creative concept through the combination of data and network, and intends to unify the sense of the multimedia age. In this aspect, this article indicates the issues of an image-centered cultur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ewly rising sound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상상의 과학 나노와 시각패러다임의 전환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09 디자인융복합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오늘날 문명의 대전환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나노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이다. 나노는 자연을 객관적으로 탐구하는 과학의 개념을 넘어 상상력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시각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나노기술의 특징을 주사형터널링현미경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이 원자를 다루는 방식을 통하여 고찰하고, 이것이 어떻게 시각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고 있는지를 밝힌다. STM 은 원자의 구조를 파악하고 개별적 조작을 가능하게 해준다. STM 의 특징은 감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이미지로 원자세계를 볼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이처럼 현미경을 통해 감각으로 느끼며 원자를 조작한다는 것은 보는 것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말해준다. 즉 ‘봄’으로부터 ‘센싱’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감각적 센싱으로부터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원자의 지형도 topograhphy 를 처음으로 볼 수 있게 되었고, 원자의 개별적 이미지를 보고, 이 원자들의 배열을 조작할 수 있음으로써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나노기술에서는 보는 것과 아는 것을 동일시했던 서구의 전통적 시각중심주의가 만지고 느끼는 것이 곧 아는 것이라는 감각중심주의로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기술은 결국 물질과 비물질, 실재와 상상의 이분법적 경계를 해체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적 문화를 열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offers a humanistic reflection on the nano technology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great shift in civilization today. Nano incorporates features that are based on both imagination and creativity beyond the concept of science, which is to explore nature in an objective manner and lead a shift in the visual paradig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nano technology through the method used by a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 in dealing with atoms, and discusses how it brings about a shift in the visual paradigm. The STM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atoms and manipulate the individual atoms. It also allows us to see the world of atoms in a set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sensation. In this way, it indicates a shift in the paradigm of seeing in that we can sense an object and manipulate individual atoms through the microscope. In other words, this represents a paradigm shift from "seeing" to "sensing." As a result of such sensing, we are now able to see for the first time the topography of atoms that we had not been able to until now. As we can manipulate a sequence of atoms while viewing their individual images, it also has become possible to create a new substance. With the advent of nano technology, a great paradigm shift is taking place from the idea of traditional Western visualism that "to see is to know," to the idea of sensualism that "to touch and feel is to know."

      • KCI등재

        퐁주의 감각의 시학: 시각적 사물에서 유희적 오브제로

        허정아 ( Jung A Huh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4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9

        Francis Ponge est connu comme poete de la chose. Il consacre la plupart de sa vie a ecrire sur les choses banales qu’on rencontre dans la vie quotidienne. L’ecriture pongienne consiste principalement a metamorphoser l’image visuelle de la chose en l’objet sensoriel. Chez Ponge, l’aspect visible de la chose est negative, car la chose en tant qu’image visible est concue comme un tyran qui domine tout le monde sans permettre la possibilite de communication. Ponge pratique ‘l’objeu’ en defaisant l’image de la chose par les mots. Cet article vise a etudier les caracteristiques de l’objet sensoriel tout particulierement marques dans les aliments tels que le pain, la figue, l’orange, la crevette, l’huitre, etc. Pour elucider la poetique pongienne de l’objet, cet article se procedera par les themes suivants : la mise en lumiere de l’arriere-plan du “parti pris des choses”; la signification de la visibilite de la chose; la deconstruction de la surface visible de la chose; la transformation du ‘visible’ en ‘lisible’; la signification du materialisme dans l’ecriture pongienne a partir du role primordial des mots; ‘l’objeu’(terme neologique pongien qui reunit objet et jeu) et ‘l’objoie’(terme neologique pongien qui reunit objet et joie). La visibilite et la sensibilite sont les pairs qui vont avec la chose sans parole et l’objet exprime par les mots. Dans la pratique de l’ecriture pongienne qui transforme la chose muette en l’objet sensoriel, les mots sont les materiaux concrets du texte tout en jouant le role qui empeche l’ecriture d’etre enfermee dans la metaphysique et le lyrisme subjectif. La visibilite releve en effet de la problematique de la miesis dans la representation litteraire. Et la mise en oeuvre de l’objet sensoriel par la deconstruction de l’image visible de la chose nous fait savoir que l’ecriture pongienne realise la deconstuction du dualisme metaphysique traditionnel de la philosophie occidentale. La poetique de l’objet pongienne nous affirme que le texte est un tissage de signes et qu’il n’est autre qu’un acte de jeu effectuant ‘l’indecidabilite’ du sens au lieu de pretendre ‘vouloir signifier’. L’ecriture pongienne se caracterise par la bonne distance entre mots et choses au lieu de s’agripper a la parfaite entente. Il s’agit d’un mouvement de de-prise: la distanciation dans la proximite. D’ou derivent ‘l’objeu’ et ‘l’objoie’ qui se procurent comme “sapates”(la presence inouie de l’objet fabrique par les mots). Dans cette distanciation, il y a l’accord de la part de l’objet et en meme temps de dessaisissement du sujet lui-meme. Ce dessaisissement sera pousse jusqu’au point ou l’auteur se detache de l’objet et de la forme meme qui en resul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