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uth Korea’s Humanitarian Diplomacy

        이경석,박광기 한국정치정보학회 2023 정치정보연구 Vol.26 No.2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meanings of humanitarian diplomacy in the modern international system and explore the purposes of humanitarian diplomacy. We argue that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conomic interest, national reputation in global arenas, and diplomatic channel maintenance are three overarching driving forces why a state harnesses humanitarian diplomacy. Based on theoretical analyses of a state’s humanitarian diplomacy, we then analyze South Korean cases of humanitarian diplomacy, which are ODA policies, UN PKOs, and humanitarian aids toward North Korea. South Korea’s ODA policies and UN PKOs have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over the past decades and contributed to enhancing South Korea’s national interests. Also, South Korea has attempted to maintain diplomatic channels with Pyongyang by recovering the human networks between the two Korea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offering a new line of argument that humanitarian diplomacy is a toolkit for improving national interests.

      • KCI등재

        평화외교와 안보공공외교로서의 국제평화유지활동(PKO)에 관한 고찰

        이신화(Shin-wha,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9 OUGHTOPIA Vol.34 No.1

        PKO(Peacekeeping Operation)는 많은 국가에서 주요 외교정책으로 부상한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군의 활동이 자국 안보수호를 넘어 해외파병을 통해 세계평화증진에 공동의 책임을 갖고 기여하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추이인데, PKO 기여를 통해 대상국 국민의 마음을 사고 상호 소통하는 과정으로서의 ‘안보공공외교’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여기서 안보공공외교란 국가 간 군사적 유대와 안보협력을 통한 자국의 외교안보역량 제고 및 글로벌 평화구축 달성을 위해 타국의 대중 및 외교안보정책을 수행하는 개인과 집단의 신뢰와 공감대를 확보하는 외교활동을 일컫는다. 그러나 군 중심으로 이루어져야할 PKO에 있어 민간인 역할이나 현지인들을 상대로 한 소프트파워 제고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효과적인 임무수행이 어렵다. 따라서 글로벌 공익과 자국의 이익을 조화롭게 고려하여 ‘열린 국익’의 관점에서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를 상황에 맞게 적절히 투사하는 PKO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의 PKO 활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명심할 것은 정치적이고 안보지향적인 특정 국익만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파병은 결코 성공적일 수도 인정받을 수도 없는 국제평화활동이라는 점이다. 도움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힘든 상황의 국가와 국민들을 돕는 것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그들의 필요에 가장 잘 부합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때 도덕성과 효과성 모두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장기적으로 국익의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PKO is important in terms of public diplomacy as a major foreign policy in many countries. This is because the activities of the military are extended beyond the protec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peace through overseas dispatch. Through PKO contribution, the awareness of "military public diplomacy" or "security public diplomacy" as a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by acquiring the minds of the people of the target country has increa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effective missions if the PKO, which should be centered on the military, over-emphasizes civilian role and soft power enhancement towards local people. It is thus necessary to establish a PKO policy that projects hard power and soft power appropriately in view of "open national interest" in consideration of the global public interest and its own national interests. One thing to keep in mind in this process is that political and security-oriented dispatches with a primary purpose of only a specific national interest are never successful or unacceptable PKOs. Giving priority to helping countries and peoples in tough situations that desperately need help and approaching them in a way that best meets their needs can ensure both morality and effectiveness, and it can have a great effect on the national interest in the longer term.

      • Korea’s Role for Peacebuilding and Development in Asia

        ( Brendan M. Howe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Vol.5 No.2

        South Korea (Korea) lacks the compulsory power of regional and global great powers, but still strives to play a major role in the fields of peacebuilding and development. It is a middle power which, due to geopolitical constraints, is unable to play the neutral or brokering role of traditional middle powers, and thus must turn to other areas of agenda setting and niche diplomacy. This article examines policy arenas for which Korea is particularly well suited to playing such a role, and in which Korea can have a major impact, significantly to the mutual advantage of Korea and its regional partners. In order to do so to the best of its ability, Korea needs to shift its policy emphasis from bilateral to multilateral endeavors.

      • KCI등재

        인도주의적 행동 촉구의 국제법적 함의

        안준형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叢 Vol.29 No.1

        On April 2, 2019, foreign ministers of both France and Germany launched an informal consultative body, The Alliance for Multilateralism, to strengthen the rules-based multilateral order. This was not established as an official international organization but was a kind of "network" that helped participating countries sympathize with the basic principles and norms for cooperation flexibly unite according to issues. The Alliance for Multilateralism presented six initiatives at its first meeting in New York on September 26, 2019, and asked for support, including "Call for Action to strengthen respect for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principled humanitarian action"(hereafter, Call for Humanitarian Action). On the surface, the Call for Humanitarian Action initiative seems to emphasize compliance with existing rules related to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rather than creating new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The endorsement in this is still limited to European countries, but the need to seek a direction for Korea's response is raised in that it forms the core of middle power diplomacy centered on strengthening rules-based order and multilateralis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depth whether a more strengthened obligation is imposed in its content and what international legal implications such obligations have for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international legal implications based on the main contents of The Call for Humanitarian Action and derives Korea's response direction. 2019년 4월 2일 프랑스와 독일 양국의 외교부 장관은 규칙에 기반한 다자질서 강화를 위하여 비공식 협의체인 “다자주의 연대”(Alliances for Multilateralism)를 출범시켰다. 이는 공식적인 국제기구로 설립된 것이 아니라, 협력을 위한 기본 원칙과 규범에 공감하는 참여국들이 사안에 따라 유연하게 연합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네트워크’였다. 다자주의 연대는 2019년 9월 26일 뉴욕에서 열린 첫 번째 회의에서 여섯 가지의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면서 그에 대한 지지를 요청했는데, 여기에는 “국제인도법 존중 및 원칙에 입각한 인도주의적 활동 강화를 위한 행동 촉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표면적으로 인도주의적 행동 촉구 이니셔티브는 새로운 국제법상의 의무를 창출한다기보다 기존에 이미 존재하던 국제인도법 관련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참여는 아직까지 유럽국가들에 국한되어 있지만, 규칙에 기반한 질서와 다자주의 강화를 중심으로 한 중견국 외교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해서는 그 내용에 있어서 보다 강화된 의무가 부과되는 것은 아닌지, 그와 같은 의무가 한국에 어떠한 국제법적 함의를 갖는지를 심층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인도주의적 행동 촉구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국제법적 함의를 분석하고 한국의 대응방향을 도출한다.

      • KCI등재

        South Korea’s Aid to North Korea from 1995 to 2016: Analysis Based on Humanitarian Diplomacy

        문경연,이수훈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23 국제관계연구 Vol.28 No.1

        Since North Korea called for international aid in 1995 and up to 2016, the aid from South Korea added up to three trillion dollars. South Korea’s aid by both state and non-state actors influenced the political, socio-cultural, and humanitarian aspects of both Korea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critically assesses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South Korea’s 22 years of aid to enrich the discussion of aid to North Korea. South Korea’s aid not only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humanitarian condition of the country but also opened a door for building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us, this research employs the discussion of humanitarian diplomacy as a theoretical framework. In light of such framework, the case of South Korea’s aid to North Korea proved to be an effective humanitarian diplomacy that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r-Korean trust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제인권개입의 유형 및 특성

        이원웅(LEE Won-Woong)(李元雄)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1 신아세아 Vol.18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인권 개입의 유형을 인권레짐, 인권외교, 인도적 개입으로 세분하여 제시하면서 인권개선을 위한 국제사회 개입의 정당성과 수단 및 효과들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2003년 이후 북한에 대한 유엔의 인권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이러한 국제인권압력이 초래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한 관심과 연관되어 있다. 아직까지 극단적인 폐쇄체제를 유지하는 북한에 가시적인 인권개선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차후 북한급변사태를 가상한다면 인도적 개입 등 국제인권개입의 다양한 유형과 특징들이 가지는 함의는 유의하다고 본다. 인권개입 실패사례들은 북한과 같은 극심한 인권침해 국가들에 대한 국제개입이 불필요하고 부당하다는 논리를 지지하는 논거가 될 수는 없다. 국제 인권개입의 실패는 인권의제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 그리고 국제정치의 현실이 부딪혀서 나타나는 결과일 따름이다. 인권문제는 단순히 특정한 국가행위의 도덕성을 따지는 지엽적인 쟁역이 아니라 정치제도, 인식의 변화, 법제도의 변화를 내포하는 거시적인 사회변화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따라서 인권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국제개입의 강도와 지속성 여부를 포함해서 다양한 정치 사회 문화적 변수들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강대국의 의지와 능력, 국제사회 개입 합의에 대한 강도, 주도국가의 존재 여부, 지역 세력균형 등 국제정치적 변수들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국내정치, 사회적 변수도 중요할 것이다. 반대세력집단의 존재여부, 저항세력의 강도, 국가의 통제능력, 외부정보의 투입여부, 국제세력과의 관계 등도 인권개입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and comparing legitimacy, effectiveness, and the mea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essures such as international regime, human rights diplomacy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 It is related to an interest wheth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essures on North Korea after 2003 could effect a domestic reform. Especially humanitarian intervention approach might have some meanings when it comes to North Korea’s contingency issue. The failure cases cannot be a ground for an argument that international human rights engagements are unnecessary and unfair. The cases show not only a structural limitation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but also conflicting reality of the world system. Human rights promotion cannot be achieved only by moral assets of a nation. It can also include comprehensive social changes in political system, cognitive system and legal system as well. Various socio-economic domestic factors are working for it with external factors including political will of leading powers, the strength of consensus among major players, and regional balance of power. To make a succ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essure, domestic factors like the strength of opposition group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powers, control power of the state, and information penetration are important.

      • KCI등재

        어느 ‘재일 권투선수’의 선택과 1960년대 한국 외교 ‒‘북송교포 김귀하 망명 기도 사건’문서를 중심으로‒

        박미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6

        In December 1966, Zainichi boxer Kim Gwi-ha who had gone to North Korea, went to the Japanese Embassy and attempted asylum. However, while wandering between the Korean consulate general’s residence and the Japanese Embassy, he was arrested by Cambodian police and eventually repatriated to North Korea. Kim was a graduate of Chosun School which was supported by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he acquired Korean national registration card. He was a Japanese a middleweight champion and chosen as a defensive opponent of Kim Ki-soo, who later became the world champion. However, one day he suddenly had gone to North Korea and few months later, attempted asylum in Cambodia. South Korea, Japan, North Korea, and Cambodia fought for a fierce diplomatic war over his future, and South Korea failed in this war and cut off diplomatic relations with Cambodia. The Kim Gwi-ha incident can be said a case that can enhance multilateral discussions on the background of the repatriation project, policies for Koreans residents in Japan, and Korea’s diplomatic reality and status in the 1960s.

      • KCI우수등재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중국의 공적개발원조(ODA) 법제 현황과 과제

        양효령 ( Hyo Ryoung Yang )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9

        중국은 개혁·개방정책을 시행한 이후, 서방국가로부터 공적개발원조의 혜택을 받은 최대 수원국인 동시에 제3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시행하는 지원국으로서의 이중적 지위를 가지게 된 국가이다. 중국의 공적개발원조는 1950년부터 시행되어 왔으며, 현행 공적개발원조의 기본정신과 원칙은 각국과의 국제교류를 통해 중국 지도자들의 개혁이념의 변화에 따라 확립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중국정부가 초기에 시행한 공적개발원조는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관련 정책을 시행 하였다기보다는 경제외교의 일부분으로 인식하고 시행된 원조이기 때문에 서방국가들이 추구하고 있는 공적개발원조의 기본이념과는 다소 차이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 특유의 공적개발원조에 관한 정책과 법제의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중국의 공적개발원조는 원조사업의 관리체계와 지원체계로 나뉘어 시행하고 있고, ``상무부의 공적개발원조사`` 및 그 산하 기관인 ``국제경제합작사무국``에서 원조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주로 무상원조, 개발사업차관 및 기금전대차관(Two-Step Loan)의 3가지 방식을 통해 시행하고 있고, 아직까지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기본법률이 제정되지 못한 상황에서 공적개발원조 사업자금 사용·사업관리 및 인력관리에 관한 법제를 중심으로 관련 부처기관들이 제정한 일련의 규범성문건과 내부규칙으로 구성된 부문규정으로 공적개발원조에 관한 주요 활동을 규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전인대의 비준절차에 따라 공적개발원조 정책을 수립하거나 관련 지원 사업을 규율할 수 있는 기본법이 제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정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 정부는 국내 경제의 제반여건을 고려하여 공적개발원조의 이념과 목적을 새롭게 정립하고, 사업의 효율화,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협력체제 구축, 무상·유상원조 전략의 연계성 구축, 시민사회와의 협력 등 제반 사항을 제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차원에서 검토하여 관련 정책을 수립함과 동시에 상술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대외원조기본법의 제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