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진전쟁기 강화교섭의 결렬 원인에 대한 연구

        김경태 ( Kyueng Tae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본 연구에서는 임진전쟁기의 강화교섭이 결렬된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강화교섭을 통해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조선의 영토를 할양받으려는 의사를 접었다. 그리고 다만 조선의 왕자를 인질로서 받아들여 전쟁을 승리로 포장하고자 했다. 조선이 일본에 파견한 통신사는 일본의 강화교섭 담당자들이 히데요시가 제시한조선 왕자라는 조건을 히데요시의 양해하에 대체한 것이었다. 그러나 히데요시는 파견된 통신사의 형태를 포함하여 책봉사와 통신사 파견 과정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건에 대해 불만을 가졌다. 히데요시는 전쟁을 승리로 마무리 지으려 했던 계획이 실패했다고 판단했다. 히데요시는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그러나 즉시 전쟁이 시작되지는 않았다. 히데요시는 다시 조선 왕자를 인질로 보내라는 조건을 내세운 협상을 시도했다. 교섭과정에서 일본이 제시한 요구조건이 전적으로 조선 왕자였다는 점을 감안하자면 조선 영토의 할양 문제는 강화교섭의 결렬 원인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쟁을 막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던 조선과 명은 사절을 파견하라는 조건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히데요시는 조선의대응이 적극적이지 않다고 판단하였고 재침을 결정했다. 결렬선언부터 재침결정에이르는 교섭과정, 그리고 재침시의 전투지침을 살펴볼 때 재침의 성격은 임진전쟁개전 당초와 달리 대륙 침략이나 영토 분할을 목적으로 한 대규모 전쟁이 아니라,원하는 전리품을 얻기 위한 무력 도발에 가까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es behind the rupture of peace negotiations during Imjin War. Through peace negotiations, ToyotomiHideyoshi gave up on his intention of having the territory of Joseon cededto him. Instead, he decided to take the prince of Joseon as a hostage anddisguise the war as Japan`s victory. He consented to the idea that thecondition of prince of Joseon was replaced with Tongshinsa(Joseon envoy)but raised complaints about a series of events that took place in the dispatchprocess of Chaekbongsa(Ming envoy) and Tongshinsa including the form of dispatched Tongshinsa. He reached a judgment that his plan to end the waras Japan`s victory failed and declared the rupture of negotiations. However, there was no immediate outbreak of war. Hideyoshi made an attempt at negotiations with the condition of taking the prince of Joseon as ahostage once again. Considering that taking the prince of Joseon as a hostage was the full condition claimed by Japan in the negotiation process, it isapparent that the cession of Joseon territory was not the cause of rupture of negotiations. Both Joseon and Ming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condition of sending envoys, being firmly determined to stop war. Judgingthat Joseon`s responses were not active, however, Hideyoshi decided to invade Joseon for the second time. Judging from the negotiation process from the declaration of rupture to the decision of another invasion and the combatguidelines for the second invasion, it is clear that the second invasion was close to armed provocation to get trophies he desired rather than a large-scalewar for the invasion of the continent and division of territory.

      • KCI등재

        임진왜란

        박재광(Park Jae-Gwang)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2008년에 사용될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6종에서 기술된 임진왜란에 대한 내용을 분석했다.교과서에 기술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전쟁의 배경으로 표현상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을 위한 명나라 정복 야망을 대표적인 이유로 들고 있다.부분적으로 무역 부활,내부적 모순의 대외적 표출 등을 언급한 교과서도 있기는 했으나 히데요시의 야망을 과대망상적인 것으로 평가하는 교과서는 없었다. 둘째, 전쟁의 경과와 관련해서는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전쟁 초기 일본군의 연승과 명의 참전, 조선 수군과 의병의 활약,강화교섭,정유재란 발발과 히데요시의 사망,일본군의 퇴각 등을 설명하고 있고, 일부 교과서는 일본군내의 염전분위기와 부상자 속출,제장들의 불화 내용까지도 언급하고 있었다. 셋째, 전쟁의 성격과 관련해서는 분석 대상 교과서 모두가 임진왜란에 대해서 ‘조선침략’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본다. 다만 부분적인 측면에서 ‘출병’내지는 ‘군사를 보냈다’,‘도해’와 같은 용어도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침략전쟁의 잔혹상에 대해서는 조선의 피해상황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서술에 머물러 있는 반면 일본의 고통에 대해서는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서술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전쟁의 피해는 모두에게 있었다는 잘못된 인식을 형성하기 쉽게 되어 있다. 다섯째, 침략전쟁의 결과와 영향에 대한 기술 역시 적극적으로 서술하지 않고 있어 간단한 문화적 영향에 머물러 있다. 전반적으로 조선침략으로 조선이 많은 피해를 입었고 일본은 막대한 전비와 병력을 소모하여 도요토미 정권의 쇠퇴 원인이 되었다고 설명하고, 부분적인 설명에서 문화재 약탈과 유학과 인쇄술?도자기 제조기술의 전래를 통한 일본으로의 문화전파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명칭과 관련하여 『日本史B(??出版)』 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서는 분로쿠ㆍ게이쵸의 역(文祿ㆍ慶長の役)을 쓰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임진왜란?정유재란을 함께 명시하고 있고, 일부는 명칭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contents about the Japanese Invasions in1592 in Japanese highschool textbook. First, they mostly explain the background of the Japanese Invasions in 1592 to Hideyoshi’s ambition to conquering the Ming dynasty for transforming the international system as the representative reason,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t mode of expression about the Hideyoshi’s war of aggression. Second, they give expression to the winning streak of Japanese military in early period of this war, Ming’s military involvement, the activity of Joseon’s navy force and righteous armies, peace negotiations, the recurrence of the Japanese invasions in 1597, Hideyoshi’s death, and Japanese army’s retreat with the progres sofwar. And some of the textbooks describe war-weariness within Japanese army, the succession of the wounded, commissioned of ficers’ discord. Third, they brint to conclusion that the Japanese Invasions in 1592 is the war of aggression for Joseon with the character of war. In a partial aspect, they keep describing some terms like ‘the dispatch of troops’, and ‘sent out a troop’. Forth, they confine the damage of war or the brutality of war with in the general description. But they use a emotional description about an ache of Japanese. And it make them easily build up some wrong-headed cognitions that every one fall a victim in the war. Fifth, they don’t actively describe the influence or the result of the war as aggression, but give an account of the simple cultural influence of it. They explain that Joseon was badly damaged, and that the increasing military funds and the committing military force drove Toyotomi Hideyoshi’spolitical power into a state of decline. And in the partial mention, they describe Joseon’s culture to be spreaded into Japan, due to the pillaged goods, Joseon scholars and potters were taken to. And lastly, there is need to change the title of the Japanese Invasionsin 1592 to the different wording which can make the meaning clearer among three country that have used other title on the same war.

      • KCI등재

        임진왜란 조선인 포로에 대한 기억과 전승 -"절의(節義)"에 대한 현창(顯彰)과 배제(排除)를 중심으로-

        김정신 ( Jung Shi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0

        이 논문은 임난 피로인에 대한 조선의 절의 위계화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피로인을 바라보고 그 존재를 규정한 조선의 정치·사회적 시선은 어떠했으며 이러한 시선이 피로인 개개인에게 어떻게 내면화되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일본의 조선 침략과정에서 발생한 피로인 문제는 전후 조선-일본관계의 복원에 있어서 핵심적인 장애물로 작용했다. 전쟁이 끝난 직후 조선인 포로의 쇄환문제는 조선과 일본 양국의 국교 회복과 관련해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는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가 되었다. 조선은 피로인을 본국으로 쇄환하기 위해 1605년 惟政 외에도 1607년·1617년·1624년·1636년·1643년에 걸쳐 다섯 차례의 사절을 더 파견하였다. 그중에서도 1607년·1617년·1624년의 사절은 피로인 쇄환을 사명으로 하는 ``刷還使``라는 직책으로 파견되어 일본에 산재한 피로인을 쇄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였다. 그러나 公民을 확보하고 전쟁으로 손상된 체면을 회복하여 국가의 공적 기능을 복구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쇄환책은, 순절자를 찬양하고 이를 서사화하여 절의를 표상화 하는 대민교화책에 의해 빛을 발하지 못하였다. 조선은 국가 위기 상황에서 절의의 관념을 확대 재생산하여 종래의 질서와 권위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에 ``죽음``을 전제로 한 ``절의``, 즉 ``殉節``이 특히 강조되었고, 순절자들은 왜적에게 굴복하지 않고 장렬한 죽음을 맞이한 절의의 열사로 추장되고 받들어졌다. 이렇듯 ``순절``을 애도하고 추모하며 국가적으로 현창하는 과정에서 살아남은 ``피로인들의 절의``는 배제되고 있었다. 전쟁으로 인해 강제로 離散된 삶을 살아야 했던 조선인 피로인들은 사회가 ``절의``를 표상하고 기억하는 방식에 따라 차등적으로 위치 지어졌다. 이러한 방식은 순절자와 피로인의 절의를 위계화 하여 순절로 표상되는 절의에 가장 높은 권위와 위엄을 부여하였으며, 상대적으로 피로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켰다. 조선에서 근 60여 년에 걸쳐 쇄환사·통신사를 통해 피로인 송환에 힘썼던 것과는 다르게 본국 귀환 후 피로인에 대한 사후 처리 과정이 빈약하였던 것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피로인들 스스로도 ``불굴의 죽음``과 ``비굴한 삶``, ``삶보다 가치 있는 죽음``과 ``죽음보다 못한 삶``의 극명한 대비를 내면화 하였다. 특히 사대부로서 포로가 되었던 이들은 자신들이 겪었던 희생과 고통이 그들의 ``毁節``까지 합리화할 수 있다고 보지 않았다. 피로인들 내부에서도 끝내 일본에 동화되지 않고 위험을 무릅쓴 탈출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목숨을 잃은 이들의 절의, 갖은 고생 끝에 무사히 탈출에 성공하여 귀환한 이들의 절의, 그리고 국가의 쇄환에 의해 뒤늦게 돌아온 이들의 절의는 동등하게 인식되지 않았다. 강항이나 정희득 같이 의리명분을 철저히 내면화했던 양반사대부일수록 ``절의``를 그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손상시킬 수 없는 지고한 가치이자 인간의 도리로 더욱 강조하고 내면화하였다. 조선사회가 전란의 순절자와 살아남은 피로인을 차별화하였던 시선, 더불어 포로 스스로 이러한 차별적 시선을 내면화하여 갖게 된 自責과 죄의식은 조선후기 내내 피로인에 대한 기억을 규정했다. 이로 인해 살아남은 포로들에게 고국 조선은 또 다른 ``異域``이 되었던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and social gaze through which those Joseon nationals who were taken captive by the Japanese armies during the Hideyoshi Invasions (1592-1598) were looked at and identified. It also analyzes how these gazes were internalized by individual captives. In the aftermath of the war, Joseon developed an edification policy which emphasized the notion of honor (節義, jeolwui) and the concept of ``death`` in defense of such honor (殉節, sunjeol). Joseon established a hierarchal structure under which those who died without ever surrendering to the Japanese invaders were regarded as having a greater honor than those who were taken captive but remained alive. The highest status and dignity was granted to those who died in defense of their honor. As such, the perception of those who were taken as captive but later returned alive as servile individuals became widespread within society. In the aftermath of the Japanese invasions, Joseon made efforts to repatriate the captives. To this end, it dispatched royal envoys to Japan on five different occasions during the period that spanned from 1607 to 1643. However, the government`s policy of glorifying those who died in defense of honor and lionizing their efforts ensured that those who returned home alive did so damaged. On the other hand, the captives internalized extremely contrasting notions such as those of ``indomitable death`` and ``servile life``, and ``death as more valuable than life`` and ``life as less valuable than death.`` In particular, the captives who belonged to the sadaebu class did not regard their sacrifice and pain as being justification for their forgoing of honor (毁節, hwejeol). The honor (節義, jeolwui) of those who did not want to assimilate in Japan and lost their life trying to escape, of those who successfully escaped and made their way back to Joseon, and that of those who returned to Joseon late in conjunction with the government`s repatriation policy were not perceived as being equal, and this even amongst the captives. Yangban such as Gang Hang and Jeong Huideuk, who had thoroughly internalized the notions of righteousness and justification, viewed honor (節義, jeolwui) as the supreme value and moral duty of man, and as something which should not be damaged under any circumstances. Joseon society`s discrimination between those who died in defense of honor and those who were taken captive, and the sense of self-condemnation and guilty conscience possessed by the captives that was created by their internalization of these discriminative gazes defined the memories of these captives during late Joseon. As such, the Joseon homeland became another strange land to these living captives.

      • KCI등재

        중・근세 동아시아의 인기 무역품, 일본도(日本刀)

        윤유숙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This paper examines the fact that Japanesemade swords were distributed as international “trade goods” in recognition of their excellence as weapons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East Asia.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Japanese swords were transport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form of tribute trade goods by Japanese envoys or trade ships sailing to Joseon and China or by Japanese pirates. During the period from the early 15th to the mid16th century, the total export volume was beyond imagination, as more than 100,000 swords were dedicated by the Muromachi Shogun to the Ming emperor.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Edo Shogunate prohibited the export of Japanese armaments by national law and promoted a policy of closure, leaving Japanese sword to disappear from the “authorized” trade items of the East Asian world. Even in this situation, Ming and Qing's interest in Japanese swords did not disappear, and as a result of asking Joseon to dedicate Japanese swords as gifts, it is confirmed that Japanese swords moved from Joseon to China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Meanwhile, the influence of Japanese swords on traditional weapons systems and manufacturing in Joseon and China was different. Joseon was interested in the introduc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in Japanese swords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Japanese sword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ircumference in form and manufacturing Hwando(環刀), considering that the traditional Hwando with little bending was still used even in the late Jose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ing Dynasty, due to its economic advantages and quality excellence, Japanese swords were actually used in the military as a practical weapon. 이 논문은 일본제(日本製) 일본도가 중근세 동아시아 지역에서 무기로써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국제적인 ‘무역품’으로 유통된 실태를 검토한 것이다. 15세기 이후 일본도가 조선과 중 국으로 유입되는 양태와, 조선과 중국의 전통적인 무기에 끼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14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약 200년간 일본도는 조선과 중국으로 도항하는 일본의 사 절단이나 무역선에 의해 진공품의 형태로, 혹은 왜구에 의해 대량으로 운반되었다. 15세기 초 에서 16세기 중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무로마치 쇼군이 명 황제에게 바친 부탑품 도검만도 10만점 이상에 달하므로 수출된 총량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막대했다. 에도 막부가 17세기 초 일본제 무구류의 해외수출을 국법으로 금지하고 쇄국정책을 추진 하면서 일본도는 동아시아 세계의 ‘공인된’ 무역품목에서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 서도 일본도에 대한 명과 청의 관심은 사라지지 않아서 일본도를 예물로 바치도록 조선에 요 구한 결과 17세기 전반까지 조선에서 중국으로 일본도가 이동한 사례가 확인된다. 한편 일본도가 조선과 중국의 전통적인 무기체계와 제조에 끼친 영향은 제각기 달랐다. 조 선은 전기부터 일본도 제조기술의 도입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선후기에도 여전히 날의 휨이 거의없는전통적인환도가애용된것으로보아, 일본도가형태나제조면에서환도에큰영 향을 끼쳤다고 보기 어렵다. 반면 명의 경우에는 경제적 이점과 질적 우수성으로 인해 일본 도가 실제 군대에서 활용되었고 일본도술이 중시되는 등 실용무기로 사용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