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임스 에글린턴의 『바빙크 비평적 전기』 한역본에 대한 서평적 고찰

        이상웅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In 2021, the 100th anniversary of Hermann Bavinck’s death had been celebrated worldwide. Around this time, James Eglinton of Edinburgh University published a new biography of Bavinck, which caused a great sensation among Bavinck researchers. It is a widely accepted fac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a theologian's thoughts and ideas thoroughly, one must know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life, so the publication of an academic biography of Bavinck is truly welcome. This paper presents a book review discussion of Eglinton’s biography of Bavinck . First, after mentioning the importance of Eglinton and his Ph. D. disciples in Bavinck’s research (section 1), I briefly examined several biographies published before Eglinton’s work (section 2). Although the biographical writings on Bavinck began to appear immediately after Bavinck’s death, Rolf H. Bremmer’s Herman Bavinck and his Contemporaries (Herman Bavinck en zijn tijdgenoten, 1966) is considered to be the only biography that has academic value. In section 3 I examined the basic position and its structure and contributions of Eglinton’s Critical Biography of Bavinck, and pointed out some problems that need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Eglinton extensively covered the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related to Bavinck, and studied newspaper articles, congressional speeches, and archival sources of the time to complete an academically standard biography. Through such a process, the problems of previous biographies could als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in many ways, so for the time being, Eglinton’s Bavinck biography alone can be said to be sufficient for the background study of Bavinck. 2021년에 전세계적으로 헤르만 바빙크의 소천 100주년을 기념했다. 이 시기에 맞추어 에딘버러의 제임스 에글린턴이 바빙크에 대한 새로운 전기를 출간하여, 바빙크 연구자들의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한 신학자의 사상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성장 배경과 역사적인 배경을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은 널리 인정된 사실이기에, 바빙크에 대한 학술적인 전기가 출간된 것은 진심으로 환영할 만한 일이다. 본고에서는 에글린턴의 바빙크 전기에 대한 서평적 논의를 제시했다. 우선 바빙크 연구에 있어 에글린턴과 그의 제자들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한 후에(1), 에글린턴 이전에 출간된 여러 전기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 보았다(2). 바빙크 사후에 곧바로 전기들이 나오기 시작했지만, 학문적인 가치를 가지는 전기는 롤프 브렘머(Rolf H. Bremmer)의 『헤르만 바빙크와 그의 동시대인들』(1966)이 유일무이했다고 평가된다. 3절에서는 에글린턴의 『바빙크 비평적 전기』의 기본 입장, 구성과 기여점들에 대해 살펴보고, 보완해야 할 몇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서도 지적해 보았다. 에글린턴은 바빙크에 관련된 1, 2차 문헌들을 광범위하게 섭렵하고, 당시의 신문기사들, 의회 연설문, 그리고 아카이브 자료들을 연구하여 학술적으로 표준적인 전기를 완성했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이전의 전기들의 문제점들도 여러 면에서 수정 보완할 수가 있었기에, 이제 당분간 에글린턴의 바빙크 전기만으로도 바빙크의 배경 연구에는 충족하다고 할 수가 있다.

      • An Orthodox Calvinist or a Deviant Calvinist? A Study on B. B. Warfield and Herman Bavinck’s Evaluations of Jonathan Edwards

        이상웅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2022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 Vol.27 No.-

        This year (2021) marks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death of Reformed theologians Benjamin B. Warfield and Herman Bavinck.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how the two theologians evaluated Jonathan Edwards’ theology. One of the motives for writing this paper is the controversy that has been constantly raised in recent years over Edwards’ theological legitimacy. First, we examined how Warfield of Princeton Seminary evaluated Edwards (section 2). The Old Princetonians positively evaluated and followed the piety and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who was the president of the New Jersey College. In line with this tradition, Warfield was confirmed to be very positive about Edwards ’ theology. In an encyclopedia article, “Edwards and New England Theology”(1912), Warfield introduced the main contents of Edwards’ life, ministry, and theology. In it, Warfield strongly upheld that the content of Edwards’ teaching is“ a standard’ Calvinism in its complete form.” Of course, Warfield did not deny some elements in Edwards’ expression that would be difficult for future generations to understand, but Edwards ’ theology in all aspects is evaluated as orthodox Calvinistic theology. Next, we examined Herman Bavinck’s evaluation of Edwards, expressed in his Reformed Dogmatics (section 3). While acknowledging Edwards’ theological contributions on some doctrines, he strongly criticized Edwards for weakening ortho-dox Calvinism in his main doctrines. That is, Edwards’ theory of imputation of sin, evaluated as the theory of the mediate imputation, and also as evoked a Pelagian tendency in another point. These simple and clear criticisms of Bavinck were fully reflected in the doctoral dissertation of his disciple Jan Ridderbos. Looking into the conflicting evaluations of Edwards from Warfield and Bavinck, we realize that the work of evaluating Edwards’s theology is not easy, concluding that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read and study Edwards’ original writings and to grasp and understand well the background of the time.

      • KCI등재

        고통에 대한 헤르만 바빙크의 견해

        박재은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5 No.-

        온 세상이 고통으로 신음하고 있다. 전쟁, 전염병, 살인, 자연재해, 대규모 인명사고 등 고통은 더 이상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곧 우리 모두의 현재적 이야기이다. 신자들에게도 고통은 그리 낯설지 않은 이야기이다. 경건하고 신실한 신자들에게도 고통이 찾아온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은 하나님의 선하심에 대해 의심한다. 선하신 하나님이 살아 계신다면 왜신자들의 고통에 눈을 감으시고 침묵하고 계시는가? 이런 신정론 문제는 교회 역사 속에서 다양한 의견으로 분출되었다. 본고는 고통의 문제를 19-20세기 네덜란드를 살았던 개혁파 교의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빛 아래서 살핀다. 바빙크는 고통의 문제에 대해서 보다 더 본질적이고도 근원적인 접근을 했다. 물론투박한 접근일 수 있지만, 사안이 복잡하면 복잡할수록 ‘본질 그 자체로’ 얽히고설킨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바빙크의신정론 논조는 고통 가운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우리 모두에게 큰 신학적귀감이 된다. 이 지점을 드러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고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바빙크의 개혁교의학 과 계시 철학 에 나타난 네 가지의 큰 흐름, 즉 고통과 섭리, 고통과 죄, 고통과유익, 고통과 자연과학의 흐름 가운데서 고통에 대한 바빙크의 견해를 요목조목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 후 바빙크의 견해에 근거해 실천적 고찰 및 적용을 한 후 논의를 요약·정리하며 글을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바빙크는 1차 세계 대전이라는 뼈아픈 고통을 겪었다. 전쟁의 치열한 틈바구니에서 고통에 대한 본질적인 신학적 진술을 했던 바빙크의 족적을 살피다 보면 현재적 고통 가운데 있는 우리 모두가 고통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에 대한 궁극적인 방향성 설정을 깨닫게 되리라 믿는다. The whole world is groaning in pain. Suffering from war, epidemics, murder, natural disasters, and large-scale casualties is no longer a story of a distant country, but a present story of all of us. Pain is not an unfamiliar story to believers either. Suffering comes even to pious and faithful believers. Many people, therefore, doubt the goodness of God. If a good God lives, why does he turn a blind eye to the suffering of believers and remain silent? There were various opinions on this issue of theodicy throughout church history.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suffering under the light of Herman Bavinck (1854-1921), a Reformed theologian who lived in the Netherland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Bavinck took a more essential and fundamental approach to the problem of pain. Of course, it may be a crude approach, but Bavinck’s theodicy serves as a great theological example because the more complex the issue, the more effective it is to solve the tangled problems ‘by nature itsel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ose this point. The order of progres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paper will look at Bavinck’s views on pain among the four major trends in Bavinck’s Reformed Dogmatics and Philosophy of Revelation: suffering and providence, suffering and sin, suffering and benefit, suffering and natural science. After that, the study will summarize and organize the discussion and conclude the article after practical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based on Bavinck’s view. Bavinck experienced the painful suffering of the World War I. The study asserts that if we look at Bavinck’s traces of making essential theological statements about suffering amidst the fierceness of war, we will realize the ultimate direction for how all of us who are currently suffering should view suffering.

      • 헤르만 바빙크의 첫 번째 설교문이자 유일한 유작 설교문, ‘세상을 이기는 믿음의 능력’(요일 5:4b)

        박태현(Tae-Hyeun Park) 신학지남사 2017 신학지남 Vol.84 No.3

        Herman Bavinck(1854-1921), one of the great three Reformed theologians of the 20th century, is generally well known as a dogmatician, Christian philosopher, pedagogue, etc. Yet, he is not well known as a preacher. For this there are two reasons we may point out. Firstly, Bavinck’s booklet on Eloquence (De welsprekendheid) is not known to many, for it is written in Dutch. It is very recent that the booklet is translated and edited in English by James P. Eglinton. Secondly, that we are here going to introduce his ‘The World-Conquering Power of Faith’(1 John 5:4b) is the only posthumous sermon by Bavinck. Comparing with Abraham Kuyper’s many published sermons, it is strange for us to have only one extant sermon of Bavinck. Yet Bavinck was an experienced and excellent preacher, exercised his pastoral ministry at Franeker around 19 months. Moreover, as a theologian he was frequently invited to preach the gospel at various churches and occasions. As far as As far as his sermon is concerned, we can summarise three characteristics of it as follows. Firstly, Bavinck reminds the contemporary Church and Christians to live according to biblical principles in a rapidly changing world. According to Bavinck, the world that people has developed cannot change the heart of people. Only the faith that Jesus is Christ can do it, and conquers the world that always opposes God and His kingdom. Secondly, Bavinck’s sermon is featured as thoroughly biblical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His sermon is woven by so many biblical passages. Thirdly, the sermon of Bavinck has very vast in its depth and height and width and length. He shows the world-conquering power of faith with the eye penetrating the whole Scriptures, in the redemptive historical perspective freely quoting Old and New Testament. His sermon has not only such a theological depth, but also many practical applications expressed in plain language. Now we can learn many precious points from Bavinck’s only posthumous sermon which is for the first time translated into Korean.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의 설교 연구

        박태현 ( Park¸ Taehyeun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1 No.-

        이 논문은 헤르만 바빙크의 서거 100주년을 맞아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한국교회를 위한 그의 설교 이론과 실제를 논구한 글이다. 첫째,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바빙크는 설교자였던 아버지를 보고 성장했으며, 1881년 3월에 시작된 프라네커 교회에서 약 1년 반 정도의 사역을 통해 인간 마음에 대한 지식을 얻었는데, 이는 서재의 책이 줄 수 없는 유익이었다. 특히 1883년 이후 교수로서 바빙크는 다른 교수들보다 탁월한 설교로 영향력을 발휘했다. 둘째, 바빙크는 자신의 여러 작품들, 즉 『개혁교의학』, 『하나님의 큰 일』, “설교와 예배,” 그리고 『웅변술』에서 개혁주의 설교의 원리를 선명하게 드러낸다. 즉, 설교란 하나님 말씀의 봉사로서 결코 주권적 지배가 아니다. 설교는 그리스도의 은혜를 나누어주는 ‘은혜의 방편’으로서 하나님의 말씀 전체인 율법과 복음을 설교하되, 성령의 자유로운 사역아래 수행되어야 한다. 교회의 모든 봉사는 그리스도의 모범에 기초를 둔 것으로서, 본질상 말씀의 봉사이다. 특히 설교자는 무엇보다도 성경을 부지런히 연구해야 한다. “말씀의 봉사자들이 사람들의 양심을 사로잡는 대가(meester)가 되길 원한다면, 말씀의 대가(meester)가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설교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 웅변술이 가르치는 바, 설교자는 원리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된 온전한 사람이 되어야 하며, 본질적으로 논증(지성), 묘사(마음), 설득(의지)을 통해 청중의 전인을 겨냥해야 하며, 형식적으로 좋은 전달은 설교자 자신과 분리될 수 없다. 셋째, 바빙크의 첫 번째 설교문이자 유일한 유작인 『세상을 정복하는 믿음의 능력』은 원고 없이 전달한 즉흥 설교였다. 이 설교는 성경 본문에 기초한 전형적인 삼대지 설교로서, 교회와 성도들은 오직 믿음으로 살아야 할 것을 가르친다. 성경 전체를 꿰뚫는 신학적 깊이와 너비가 인상적이며, 철저하게 성경적 설교이다. 마지막으로, 바빙크의 설교론은 한국교회를 위해 다섯 가지 교훈을 제공한다. (1) 설교 사역과 관련하여 설교는 그 성격상 지배권이 아니라 봉사의 권세이다. (2) 설교자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설교자는 웅변술의 원리, 본질, 그리고 형식에 있어서 온전한 사람이어야 한다. (3) 설교의 직무와 관련하여 설교자는 무엇보다도 성경을 부지런히 연구해야 한다. (4) 참된 교회의 표지로서의 설교와 관련하여 신자들은 경솔하게 교회를 떠나서는 안 된다. (5) 설교의 능력과 관련하여 설교자는 성령의 기름부음을 간구하는 기도자여야 한다. Celebrating the centenary of Herman Bavinck’s death,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erman Bavinck on preaching in a perspective of practical theology for Korean churches. Firstly, Bavinck born of pastor’s son naturally grew up seeing his father’s preaching ministry, 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nineteen months ministry at Franeker begun in March 1881, he received much benefits of the knowledge of human hearts that the books cannot provide. Particularly Bavinck, as a theological professor since 1883, exercised his influence with excellent preaching more than other professors. Secondly, Bavinck reveals principles of reformed preaching in his works such as Reformed Dogmatics, Magnalia Dei, “predikdienst,” and Eloquence. That is, preaching as a ministry of divine word is not sovereign ‘magisterium’ but ‘ministerium’ in nature. As a ‘means of grace’ providing Christ’s benefits preaching needs to deliver the whole God’s word, the law and the gospel, under the Holy Spirit’s free ministry. All the ministry of the Church based on Christ’s example is essentially the ministry of the word. The preacher should study the Scripture diligently anything else. “If a minister of the word want to be a master of people’s conscience, he should try to be a master of the word.” Concerning true eloquence closely related preaching ministry, in principle the preacher should be a whole person recovered the image of God, in essence he aims the whole person of the congregation by argument(intelligence), description(heart), and persuasion(will), and in form good delivery of preaching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reacher himself. Thirdly, the first and only sermon of Bavinck, The Power of Faith Conquering the World, was preached without notes. This sermon shows a typical three points based on a scriptural text, 1 John 5:4b, and it teaches that the church and the believers should live by faith only. This sermon is characterized as a thorough biblical sermon revealing his theological depth and width covering the whole Scripture. Lastly, Bavinck’s teaching on preaching suggests five lessons for Korean churches. (1)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preaching ministry, preaching is not ‘magisterium’ but ‘ministerium’. (2) Concerning the identity of the preacher, the preacher should be a whole person in principle, essence, and form of eloquence. (3) Regarding the task of preaching, the preacher should above all study the Bible diligently. (4) In respect of preaching as a sign of true Church, the believers must not depart the church rashly and carelessly. (5) In connection with the power of preaching, the preacher should be a person who asks for the Spirit’s unction.

      • KCI등재

        공적으로 신학하기(Doing Theology Publicly): 헤르만 바빙크를 중심으로

        김은득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erman Bavinck’s theological prolegomena in terms of the current public-theological debate between the Chicago and the Yale school. Bavinck’s public theology represented by his prolegomena serves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Christian theology: Bavinck makes public arguments about the knowledge of God without losing Christian particularity. In his prolegomena, Bavinck argues for theology as a science 1) by articulating theological principia in a reasonable way that is open to all reasonable persons through the Logos theory and 2) by stressing the formal function of faith and correlating faith and special revelation in theological princip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undation of theological knowledge, Bavinck seeks to make theology a science belonging properly within the university. With his commitment to put theological principia on strictrly public grounds, Bavinck is a public theologian in terms of the standards of David Tracy and Linell E. Cady. On the other hand, Bavinck emphasizes the indispensability of theologian as a believer in doing theology as a special science. Also, Bavinck acknoweldges that there are no universal criteria which can be identifi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hristian faith outside the context of the community of all believer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ground of faith in terms of the standards of universal rationality, Bavinck presupposes the validity of first principles of Christian faith as in other sciences scientists assume first principles as true until proven false. In this sense, Bavinck’s approach is similar to the position of the Yale school because postliberal theologians propose a public way of doing theology as emphasizing coherence of theological truth claims within a particular faith community with shared convictions and langu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헤르만 바빙크의 신학서론을 최근 시카고 학파와 예일 학파 간 공적-신학 논쟁의 관점에서 살펴 보는 것이다. 신학서론에서 드러나는 바빙크의 공공신학은 기독교 신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논쟁의 이슈에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바빙크는 기독교 특수성을 훼손하지 않고도 하나님 지식에 관한 공적인 논증을 제공한다. 바빙크는 신학서론에서 학문으로서의 신학을 위한 논증을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1) 그는 로고스 이론을 통해 모든 합리적인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논리적인 방식으로 신학적 원칙들을 제시한다; 2) 그는 신앙의 형식적 기능과 신학적 원칙들 내 신앙과 특별 계시의 상호연관성을 강조한다. 신학적 지식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바빙크는 신학을 대학교 내에 합당하게 속할 학문이 되도록 추구한다. 신학적 원칙들을 공적 근거 위에 놓으려는 시도를 통해서 볼 때, 바빙크는 데이빗 트레이시와 리넬 캐디가 제시하는 공공신학의 기준에 걸맞는 공공신학자이다. 다른 한편으로, 바빙크는 특별학문으로서 신학을 수행할 때, 신학자가 신자여야만 하는 필수불가결성을 강조한다. 또한, 바빙크는 모든 신자들의 공동체 이외에 기독교 신앙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보편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한다. 보편적 합리성의 기준으로 신앙의 근거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빙크는 다른 학문에서 학문의 제 1원칙들이 오류가 입증될 때까지 참으로 가정하는 것처럼, 기독교 신앙의 제 1원칙들의 타당성을 전제한다. 이런 측면에서, 바빙크의 접근 방식은 예일 학파의 입장과 유사하다. 왜냐하면 후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신학을 공적으로 행하는 방식으로 특정 확신과 언어를 공유하는 신앙 공동체의 신학적 진리 주장의 정합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 총신에서의 헤르만 바빙크 수용과 연구사

        이상웅(Sangung Lee)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3

        본고에서 헤르만 바빙크 소천 100주년을 맞이하여 총신에서의 바빙크 신학의 수용과 연구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해방 이후 총신에서 바빙크를 처음 수용한 이는 박형룡 박사이다. 그는 만주에서의 조직신학 강의를 시작하면서 루이스 벌코프를 통해 바빙크의 신학 사상을 간접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고, 그후에는 베르까워의 저술들을 통한 간접 수용에 이르기까지 진전했다(2절). 그리고 박윤선 박사의 경우는 놀랍게도 이미 1930년대에 화란어를 깨치고 바빙크의 원전들을 읽고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자신의 주석 전집과 개혁주의 교리학에서 바빙크의 원전을 자주 활용하고 있다(3절). 총신에서 바빙크 신학에 대한 직접적인 수용과 전파에는 차영배 교수의 기여가 컸다는 점을 4절에서 우리는 개관해 보았다. 죽산이나 정암에 비해 심산은 바빙크 신학에 대한 강조가 우세했고, 원전에서의 번역 소개하는 작업도 처음으로 시작했다는 점에서 심산의 바빙크 연구는 기여점이 크다고 본다. 심산의 제자인 최홍석 교수 역시 심산을 따라 바빙크 신학에 크게 의존하고 신학 작업을 했으며, 신학적인 주제들을 설명하면서 세밀하고 세밀하게 살피고 설명하려는 특이점을 보여 주었다. 반면 서철원 교수는 다양한 개혁신학자들과 현대 신학자들 연구에 조예가 깊을 뿐 아니라 화란 신학에도 정통했지만, 좀 더 비판적으로 바빙크 신학을 대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총신에 재직 중인 여러 교수의 바빙크 연구 현황도 개관해 보았는데, 총신은 어느때 보다 바빙크 연구의 붐이 왕성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점과 바빙크 원전을 읽고 연구하거나 번역 소개하는 학자들이 활동하고 있다는 점 등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된다. 이들의 지도하에 앞으로 더 많은 바빙크 연구자들이 양성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한다. In this paper, on the occas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Herman Bavinck’s death, the acceptance and study of Bavinck’s theology in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are historically considered. It was Dr. Park Hyungnong who first received Bavink to Chongshin after liberation. He began to indirectly accept Bavinck’s theological thought through Louis Berkhof when he started lectures on systematic theology in Manchuria, and then progressed to indirect acceptance through Berkouwer’s writings (Section 2). And, surprisingly, in the case of Dr. Yune-sun Park, he had already learned the Dutch language in the 1930s and began to read and use Bavinck’s original texts. He makes frequent use of Bavinck’s original texts in his entire Bible Commentaries and Reformed Dogmatics (section 3). In section 4, we overviewed Professor Chah Young-bae’s contribution to the direct acceptance and propagation of Bavinck’s theology in Chongshin. Compared to his predecessors, Chah’s study of Bavinck has a greater contribution to it in that the emphasis on Bavinck’s theology prevailed, and the work of introducing translations from the original text was started for the first time. Professor Hong-suk Choi also followed Chah to heavily depend on Bavinck’s theology and work on theology, and he showed the singularity of examining and explaining the theological subjects in detail and meticulously. On the other hand, Professor Suh Cheol-won was well versed in the studies of various reformed and modern theologians and was well versed in Dutch theology, but he treated Bavinck’s theology more critically. In addition, I took an overview of the research status of Bavink by several professors currently working in Chongshin. It is said that the boom in Bavink research is being developed more vigorously than ever before and that scholars who read, study, or translate the original Bavink are active. It is expected that more Bavinck researchers will be nurtured under their guidance in the future.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의 일반은혜론: 칼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병훈 ( Woo Byunghoon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2 No.-

        헤르만 바빙크(1854-1921)는 여러 작품에서 일반은혜론을 다루었다. 특히 『개혁교의학』, 『일반은혜』, “칼빈과 일반은혜”에 그의 일반은혜론이 분명하게 기술된다. 바빙크의 일반은혜론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지점에서 칼빈의 사상을 전유한다. 첫째, 일반은혜는 특별은혜의 배경과 예비가 된다는 점이다. 바빙크는 칼빈을 직접 인용하면서 일반은혜와 특별은혜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둘째, 자연과 초자연의 이원론이 극복된다는 점이다. 바빙크에 따르면, 칼빈은 다른 종교개혁자들 가령 루터나 츠빙글리보다 더 철저하게 자연과 초자연의 이원론을 극복한 신학자이다. 바빙크는 이러한 칼빈의 특징을 일반은혜론에 적용한다. 바빙크의 일반은혜론이 고유하게 가진 특징은 그것의 삼위일체론적 성격에 있다. 바빙크는 일반은혜의 근거를 성부께 두지만, 역사 속에서 일반은혜가 작용하는 방식을 삼위일체적으로 기술한다. 이 점에 있어서 바빙크는 칼빈보다 더욱 철저하며 일관성이 있으며, 이는 그가 보다 건실한 일반은혜론을 제시할 수 있었던 토대가 된다. Herman Bavinck (1854-1921) dealt with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in several works. It is especially expounded clearly in his Reformed Dogmatics, Common Grace, and “Calvin and Common Grace.” Bavinck’s doctrine of common grace appropriates Calvin’s ideas in two ways. First, common grace is the background and preparation of special grace. Bavinck directly quotes Calvin when he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common and special grace. Second, the dualism between the natural and supernatural realms is overcome. According to Bavinck, Calvin was a theologian who overcame the dualism of the natural and supernatural realms more thoroughly than did other Reformers such as Luther and Zwingli. Bavinck applies this feature of Calvin’s thought to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Bavinck’s doctrine of common grace lies in its trinitarian character. Bavinck bases common grace on the Father but describes from a trinitarian perspective the way in which common grace works in history. In this respect, Bavinck is more thorough and consistent than Calvin, and it is the foundation on which he was able to present a more sound doctrine of common grace.

      • KCI등재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헤르만 바빙크의 견해

        박재은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4 No.3

        The ‘only’ principles that Reformation theology of the 16th and 17th-centuries pursue ultimately converge with the concept of the ‘glory to God alone’(soli Deo gloria). If the principles of the Scripture alone(sola Scriptura), Christ alone(solus Christus), grace alone(sola gratia), and faith alone(sola fide) stand firm, the final result is solely one: the glory to God alone. If the principle of the ‘glory to God alone’ is greatly important, what is the ultimate ‘content’ of this principle? This study will try to answer this quest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works of Herman Bavinck(1854-1921), a Reformed theologian who lived in the Netherlands in the 19th and 20th-centuries. Bavinck was a person who constantly pondered and worked hard on how to reveal the ‘glory of God’ in all areas. In his writings, Bavinck correctly describes the principle and context of the concept of the glory of God, and the way and attitude toward this principle with a uniquely balanced tone. In particula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Bavink’s ‘theological context,’ which deals with the expression of God’s glory, because if we closely examines the nature of theological context in which Bavinck uses the expression of God’s glory,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principle of ‘God’s glory’ and the ‘glory to God alone’ can be clearly revealed. This point is the core thesis of this paper. The proced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will review Bavinck’s works as a whole, and identify and analyze the theological context in which Bavinck uses the expression and concept of ‘glory of God.’ Based on this analysis, the paper will grasp the essence and attributes of the concepts of the ‘glory of God’ and the ‘glory to God alone’ and conclude this paper with a final arrangement after examining the practical consideration points of all previous discussions. 16-17세기 종교개혁 신학이 지향하는 ‘오직’ 원리들은 ‘오직하나님께만 영광’(soli Deo gloria)이란 개념으로 궁극적으로 수렴된다. 만약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그리스도(solus Christus),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믿음(sola fide)의 원리들이 건실하게 서 있기만 한다면, 그 최종 결과는 오직 하나님께만영광이 될 수 있다.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라는 원리가 그토록 중요하다면, 과연이 원리가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은 ‘내용’은 무엇일까? 본고는이 질문에 대한 답을 19-20세기 네덜란드를 살았던 개혁파 교의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작품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며 내려 볼 것이다. 바빙크는 모든 영역 속에서‘하나님의 영광’이 어떻게 하면 오롯이 드러날 수 있는지에 대해부단히 고민하고 애썼던 인물이었다. 바빙크는 자신의 글 가운데서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개념의 원리와 맥락, 이 원리를 대하는방식과 자세에 대해 특유의 균형감 어린 논조로 올바르게 말해주고 있다. 특별히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을 다루는 바빙크의‘신학적 맥락’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바빙크가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신학적 맥락의 본질을 면밀하게 살피다 보면 ‘오직 하나님께만 영광’이라는 원리의 본질과 속성이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이 본고가지향하는 핵심 논지이다. 본고의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바빙크의 작품들을 전반적으로 훑어보며 바빙크가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표현과 개념을 어떤 신학적 맥락에서 사용하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개념의 본질과 속성을 파악하고, 앞선 모든 논의의 실천적 고찰 지점을 살핀 후 최종정리하며 본고를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H. Bavinck)의 언약 이해와 가정사역: 성경적 가족생활교육을 위한 언약의 실천신학적 함의

        김규보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1

        This paper argues that Herman Bavinck's understanding of the covenan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mily Life Education. For Bavinck, the family is a covenantal community driven by God. According to Bavinck, the covenant is originated by the triune God from the eternity. Through Christ’s merit, his people eternally enter the covenantal relationship with God. Bavinck stress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covenant. First, the covenant has its origin only in God’s grace. Second, the covenant highlights God's sovereignty over his people. Third, the covenant in essence is unilateral, but it turns out bilaterally. Fourth, the covenant embraces the organic unity of his creation. These aspects of the covenant contain practical values on Family Life Education. First, grace is the origin of the family. Second, the owner of the family is God. Third, family members voluntarily obey one another in love, and thereby they together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which includes forgiveness and mortification of sin. Fourth, the family is a channel through which its members experience the kingdom of God and carry its grace and value into a broader society. These implications will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theological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biblical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개혁주의 신학자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언약 이해를 중심으로 가족생활교육의 실천신학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바빙크에 의하면,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언약 공동체이다. 바빙크의 언약 이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약은 본질상 인류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이다. 둘째, 언약은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한다. 셋째, 언약은 편무적으로 시작하되 쌍무적이 된다. 넷째, 언약은 그리스도 안에서 유기체적 구원을 성취한다. 이 언약은 영원 전 삼위 하나님의 작정 가운데 시작되었고,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으며, 그분께서 다시 오실 날 완성될 영원한 하나님의 섭리이다. 언약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는 가족생활에 중요한 실천적 가치를 제공한다. 첫째, 가족은 은혜이다. 둘째, 가족의 주인은 하나님이시다. 셋째, 가족은 서로를 향한 자발적인 순종과 사랑의 섬김으로 함께 성화되어 간다. 언약 가정의 구성원들은 십자가 사랑으로 서로를 용서하고 그 사랑 안에서 스스로 죄 죽임을 실천하며 함께 하나님 형상의 온전함을 이루어 간다. 넷째, 가정은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고 흘려보내는 통로이다. 이와 같은 언약의 실천적 함의는 성경적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발전을 위한 실천신학적 기초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