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묵자의 「천지(天志)」, 「명귀(明鬼)」 및 「비명(非命)」편 분석을 통한 천인(天人)관계 고찰

        황성규 ( Hwang Seongky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3

        이 글은 묵자가 기술한 「천지(天志)」, 「명귀(明鬼)」 그리고 「비명(非命)」세 편에 내재된 주안점이나 의의를 고찰함으로써 묵자의 `천(天)`과 `인(人)`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천지」와 「명귀」는 `천`이 지닌 권위를 바탕으로 묵가 학설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진된 것이며, 묵자의 유신론적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비명」편은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인식 방법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묵자의 무신론적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글이 보기에, 「천지」편은 통치자나 일반 백성이 어떤 점에 입각해서 통치하며 생활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원리적 성격의 행위 준칙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에 부응하거나 위배되었을 때 직접 나서서 상을 주거나 응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가 바로 귀신이다. 따라서 인간은 `하늘의 뜻`에 입각하여 현실 사회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에 의해 나의 명(命)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나의 명이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노력을 하는 인간에 대해 하늘이 도움을 준다는 것이 「비명」편의 주된 논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천지」, 「명귀」와 「비명」은 모순되는 것이 아니며, 유신에서 무신으로의 전회도 아닌 것이다. 묵자는 하늘과 귀신이 하는 일과 인간이 해야 할 일을 명확히 구분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천지」, 「명귀」 그리고 「비명」에서 명확히 표출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This thesis is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zi`s `Heaven and Man` through the inspection of meaning and emphasis in his three books,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Heaven`s Will and Verification of Ghost are justify Mozi`s theory of theistic stance with the Heaven`s authority. And in case of the `Indeterminism`, there seems to be positive and rational way of awareness and it`s thought to be atheistic stanc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rule of action which is about the personality principle, and it suggest that how the government rule the country, and how the people lead a life. And it is the ghost that give prize or punishment when they did something according to this principle or not. So, men should do their best in actual life to meet the heaven`s will. Because my fate is not decided by heaven`s order but my own action. And it is thought that the main point of `the indeterminism` is about Heaven helps those who do independent and active efforts. In short, `the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are neither contradiction nor conversion form theism to atheism. Mozi is thought to divide clearly about ghost`s works and people`s works, and it is expressed explicitly in his works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 KCI등재

        『치평요람』의 한국사에 대한 접근 : 전쟁 등의 혼란기 기사를 중심으로

        김가람(KIM Ka Ram)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개국 직후부터 역사서 편찬에 관심을 가진 朝鮮은 1445년(세종 27) 世宗의 명에 따라 鄭麟趾와 集賢殿 학자들을 중심으로 중국 역사를 정리한 『治平要覽』을 편찬하였다. 이때 세종이 우리나라의 역사도 포함할 것을 지시하면서, 『치평요람』은 중국 역대 왕조의 제목 아래 해당 시기의 한국 역사를 서술하는 체제로 편찬되었다. 그 결과 한국사는 약 1,200건의 기사와 15건의 사론이 있으며, 이는 『치평요람』의 전체 분량 가운데 기사는 약 9.8%, 사론은 약 0.8%의 비율이다. 『치평요람』이 18개의 중국 국가를 다룬다는 점에서 한국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은 것만은 아니다. 이 가운데 古朝鮮부터 삼국시대까지의 기사는 228건이고, 나머지 약 1,080건은 고려의 기사이다. 기사의 상당수는 전쟁과 반란, 향락, 재해 등의 국가적 혼란 및 중국과의 외교와 관련이 있다. 제도 개편을 비롯하여 학문 및 종교, 왕실, 풍속, 충절, 인륜, 구휼 등의 기사도 등장하지만, 이들도 대부분 평탄한 시기보다는 국가적 혼란 및 변화의 시기와 연관되어 등장한다. 이것은 『치평요람』이 국가의 흥망성쇠를 주제로 하였기 때문이다. 『치평요람』은 다른 사서로부터 기사를 발췌하여 편찬하였다는 점에서 특별한 내용을 부각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치평요람』에 실린 한국 기사들은 조선 초기에 주목을 받았던 사건과 그 사건을 바라보는 편찬자들의 시각이 담겨 있다. 즉 『치평요람』에서 서술한 한국사를 살펴본다는 것은 조선 초기 『치평요람』 편찬자들의 한국사 인식에 접근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그러므로 특정한 사건을 부각하고 그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치평요람』 편찬자들의 편찬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치평요람』은 전쟁이나 정권 교체와 같은 혼란 혹은 변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데, 특히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과 고려 및 조선이 건국되는 과정은 꽤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우선 삼국시대의 경우 고구려와 백제에 대해서는 對중국 전쟁 패배 및 倭에 세자를 보내는 등의 미성숙한 국가 체제, 淵蓋蘇文의 국정 장악 등을 서술하며 영토 확장과 같은 업적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이에 비하여 신라는 다양한 충절 기사를 제시하면서 삼국 통일 전쟁 당시 신라인의 간절함을 부각시켰다. 이를 통해 민심에 감동한 천명이 신라로 옮겨 갔다는 인식을 심어준 것이다. 고려의 건국 또한 비슷하다. 王建이 등장할 무렵 후삼국 사회의 혼란과 이를 평정하는 왕건의 활약에 대하여 상당한 분량의 기사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천명이 옮겨 가는 과정으로 묘사한다. 조선의 건국 또한 고려 후기의 혼란과 천명을 받은 李成桂가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고 있는데, 이쯤부터는 중국의 기사보다 고려 기사의 수가 더 많다. 다만 신라의 삼국 통일과 고려 및 조선의 건국은 천명을 받은 영웅의 유무에서 차이가 난다. 신라의 경우 신라인들의 충절을 강조하지만 영웅은 등장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고려와 조선은 천명을 받은 왕건과 이성계라는 영웅이 등장하여 사회의 혼란을 수습하고 그를 중심으로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기본적으로 『치평요람』은 임금의 정치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인데, 신라의 경우 임금이 아닌 신라인들의 활약상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다른 나라와의 외교 활동을 통해 삼국 통일의 초석을 다진 임금이 여왕이었다는 점과 연관이 있다. 『치평요람』은 여성의 대외적 활동을 인정하지 않았으므로 여왕과 천명을 연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신라인들의 충절에 감동받은 천명이 움직인 것으로 서술하였던 것이다. 이에 비해 고려와 조선은 결격 사유가 없는 왕건과 이성계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러므로 『치평요람』은 기존 사회의 혼란을 수습하고 새로운 시대를 여는 천명을 받은 영웅으로 이들을 부각시켜 새로운 국가 건설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치평요람』은 혼란을 딛고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점에서 삼국 통일 때의 신라와 고려 건국, 조선 건국을 모두 같은 체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성계의 출현은 혼란스러운 사회를 수습하기 위한 필연적인 결과였으며, 천명이 움직인 여러 역사를 통해서도 이를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치평요람』은 조선 건국에 대해 쿠데타가 아닌 천명에 따른 당연한 결과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Joseon dynasty(조선) had been interested in compile the history books since open, King Sejong directed Jeong Inji and Jiphyeonjeon's scholars to compile the Chipyungyoram(치평요람) which describes Chinese history. Then, King Sejong ordered to narrate include Korea history, Chipyungyoram wrote Korean history at that time under the name of Chinese successive dynasties. As a result, there are 1,200 articles and 15 history essaies on Korean history at Chipyungyoram, each of these has 9.8% and 0.8% of whole articles, it is no small ratio. The important sbject of these articles is Dynasty's confusion like wars, revolts, king's pleasure, and disasters. Chipyungyoram could give prominence to special historical event, because it compiles articles from other history books. Therefore Korean history articles of the Chipyungyoram showed history events that attracted at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editors' values. For this reason, catching the meaning of Chipyungyoram helps to check its compilation intention. Korean history of Chipyungyoram focuses on Silla(신라)'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establishment of Koryo dynasty(고려) and Joseon dynasty. First of all,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hipyungyoram's articles of Koguryo(고구려) and Baekje(백제) just describe their defeat of wars with china, unorganized state system, and continuous revolts and don't range over various achievements like territorial expansion and successful wars. In contrast, the history of Silla writes about loyalty of various classes, it gives prominence to Silla people's earnest desire about unification. As a result, these articles make the readers think that Heaven's will was deeply impressed by Silla people's loyalty moved to Silla. The articles of Koryo dynasty's open is similar to that.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the confusion of later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activity of Wang Geon, King Taejo in Koryo dynasry, to clear it in Chipyungyoram. And this process is described as the moving of Heaven's will. The open of Joseon dynasty is narrated the confusion of late Koryo and the activities of Lee sunggye, King Taejo in Joseon dynasty, to clear it like Koryo cynasty's case. Further Koryo dynasty's articles focused on Lee Sunggye's activities of this time is many more than China's. By the way, there is a difference in being of a hero between Silla and Koryo dynasty, Joseon dynasty. The articles of Silla emphasize Silla people's loyalty, but it wasn't a hero. In contrast, the articles of Koryo dynasty and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activity of a hero got Heaven's will like Wang Geon and Lee Sunggye. This difference was caused the being of quee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Silla's Queens laid the foundation of unification. However Chipyungyoram based on a patriarchal ideology didn't admit Queens' achievement, it had no choice but to focus on loyalty of various classes. As mentioned above, the plot of Chipyungyoram is what a someone like a hero got Heaven's will clears social confuse and opens new period. And It means that the appearance of Lee sunggye was an inevitable consequence like many history's examples.

      • KCI등재

        『周易』으로 해석한 고구려의 祭天儀禮와 三足烏

        임병학(林炳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7 No.-

        본 논문은 동북아 고대의 근원적 사상을 담고 있는 『주역』을 바탕으로 고구려의 제천의례와 삼족오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주역』은 천도(天道) 운행의 원리와 인간 삶의 깊은 이치를 담고 있기 때문에 수천 년 동안 동북아의 문화 발전 과정에서 가장 근원적인 학문이다. 『주역』이 점서(占書)라는 의미도 새롭게 이해해야 한다. 점(占)이나 무(巫)의 한자 속에는 벌써 하늘과 인간의 소통이라는 의미가 들어 있다. 고대사회는 물론이고 지금의 제천의례는 모두 하늘의 뜻과 소통하고자 하는 인간의 행위이다. 제례(祭禮)와 복서(卜筮)는 하늘과 인간의 소통이라는 입장에서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대의 제천의례는 천명(天命)을 받은 후손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주역』의 천명사상에 근거한 것이다.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것은 천명(天命)에 순응하는 것이자, 바른 정치를 행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 모신 제(帝, 天神)와 지신(地神, 社稷)은『 주역』의 여러 곳에 밝힌 것으로 역학적(易學的)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또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 행한 집단 무도(舞蹈)는 ‘북치고 춤추는 행위를 통해 하늘의 신명(神明)을 다한다.’는 「계사상」의 내용과 일치하고 있다. 특히 제천의례에서 희생(犧牲)으로 사용된 돼지는 『주역』에서 하늘의 뜻을 대행하는 감괘(坎卦)를 상징하고 있다. 즉, 돼지는 하늘의 뜻을 상징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제사에 사용된 것이다.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는 돼지와 사슴을 함께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 돼지만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고구려의 삼족오와 『주역』의 역도(易道)에서는 삼족오는 새로 하늘의 소리를 전하는 천사(天使)이기 때문에 인류 역사에서는 성인(聖人)을 상징한다고 하겠다. 또 삼족오와 두꺼비가 같이 등장하여 일월의 음양원리를 담고 있으며, 삼족오가 해 가운데 존재하여 그 자체적으로 음양의 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삼족오의 삼(三)은 하늘의 수로 세상의 모든 이치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주역』의 삼재지도(三才之道)를 그대로 상징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Koguryo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amzoko based on the I-Ching which contains the ancient ideology of Northeast Asia. I-ching is the most fundamental academic discipline in Northeast Asia"s cultural development process for thousands of years because it has a deep sense of human life and the principle of the running on the way of Heaven. The meaning of the divination book about I-Ching must also be understoo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divination(占) and shaman(巫), there is already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As well as the ancient society, mordern Jecheon rituals also are all human’s acts to communicate with the will of heaven. The ritual, divination, and the exorcism have a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 Ancient Heaven-Worshipping Rites ar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chosen people of I-Ching as a confirmation that the priest is a descendant of the heavenly. It means that rite for heaven is to conform to God"s will and to do the right politics. In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Goguryeo, the god of the sky and the god of the earth are revealed in many places in I-Ching , and it is possible to be interpreted into I-Ching order. The group dance performed at Heaven-Worshipping Rites in Goguryeo is consistent with I-Ching doctrine of "responding the god of heaven through dancing and drumming." Especially, the pig used as a sacrifice in Heaven-Worshipping Rites symbolizes the the Kan(坎) Trigram that deputize for heavenly will in I-Ching . In other words, pigs are traditionally used for sacrifices because they symbolize the will of heaven. In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Goguryeo, we understand that pigs and deer are used together as sacrofices, but we can see that we only used pigs through Samguksagi and Samgukyusa . Next, in Samzoko of Goguryeo and in the logic of I-Ching , Samzoko is a messenger bird of the command of heaven, so it is said to symbolize a saint in human history. In addition, the Samzoko and the toad appear together in Goguryeo tomb murals and contain the yin and yang principles of the lunisolar, and the Samzoko is in the middle of the sun and represents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tself. The three of the Samzoko are symbolic of Samjaejido of I-Ching because it is the base of all the things in the world as the number of the sky.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와 저항의 의미

        남기혁(Nam, Ki-hyeog)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6

        본고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운명론과 "시쓰기"의 자의식, 내면적 모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당대 현실을 고려하는 가운데, 윤동주 시에 그려진 시인-표상과 분열적인 자아-서사, 더 나아가 시쓰기의 자의식이 지닌 함의를 윤리적 주체의 형성이란 관점에서 밝혀내고자 하였다. 흔히 윤동주 시는 저항문학의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런데 그의 저항성은 특수한 집단(민족)의 정치적 이념이 아니라 보편지향적 윤리(가령, 인류애처럼 )에 기초하여 내면적 모럴의 진정성을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획득된 것이다. 특히 기독교 신앙은 윤동주가 윤리적 주체를 확립하며 내면적 모럴의 진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윤동주의 초기시에 나타난 "풍경의 발견과 내면의 탄생" 문제를 분석하고, "소외"된 내면이 역설적으로 시적 주체를 역사적 자아로 정립시키는 출발점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1938년부터 1940년경에 이르기까지 윤동주는 내면에 잉태된 신실한 믿음을 길러냈으며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이를 절대자에 대한 확고부동한 믿음으로 발전시켰다. 그 결과 후기시(1941년 이후)에 이르러 윤동주는 신앙인의 윤리적 결단과 실천에 한걸음 다가서게 된다. 그것은 신이 부과한 "시인의 운명", 즉 "시인"이란 슬픈 "천명"을 받아들이고 이에 기반한 모럴 의식을 "타자로서의 시쓰기"로 표출하는 위태로운 길이었다. "시인=천명"론이 지닌 가장 큰 특징은 절대적 타자인 "신"의 시선을 도입한 점이다. 그에게 "신"의 시선, 혹은 신이 부과하는 "비극적 운명"의 문제는 식민지 근대 사회의 타자로서 시인-표상을 드러내고, 자신의 내면의식 공간에 절대적인 윤리를 구축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특히 그의 시적 사유가 지닌 저항성은 특수성이 아닌 보편성을 윤리적 가치판단의 준거로 절대화함으로써, 특수성의 절대화로 치닫고 있던 "대동아공영권"의 이데올로기적 허구성을 폭로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저항성을 통해 한국시의 내면성을 확대·심화시킨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fatalism, and the cognition of “writing poems as the other”, and the poet’s inner moral appeared In Yun Dong-ju’s poetry. For this analysis,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of ethical subject. Critics have argued on Yun Dong-ju’s poetry from the view point of resistance literature. However, his resistance is not expressed through the political ideology of special ethnic community such as a nation, but through the authenticity of inner moral based on the universal ethic such as love for humanity. Especially, christian faith had an absolute effect on the process of his building “ethical subjectivity” and acquiring the authenticity of inner moral. At first stage, this article analyzed “the discovery of landscape and the birth of the inner world” in Yun Dong-ju’s poetry, and examined that the aliened inner world of the poetic subject should be the beginning point of founding historical-self. But from 1938 to 1940, Yun Dong-ju expressed his sincere christian-faith germinated in his inner world. His faith is gradually converted into a firm belief on the absolute by his self-reflection. Finally, his poetic subject arrived at the point of ethical resolution and its practice based on his christian -faith. Now, he accepted the fate, “the sad heaven’s will(슬픈 천명)” that the God imposed on the “poet”. The heaven’s will was the only reason that he should write poems based upon his faith and morality. The thinking that the poet’s fate is the heaven’s will needs the God’s gaze as an absolute other. Through the God’s gaze, or poet’s tragic fate imposed by Him, Yun Dong-ju could represent the fate of “poet” as the other against the colonial modernity. And he could build the absolutely ethical base on the authenticity of his inner world. Especially, the resistance of his poetic thought is not obtained by the particularity but by the universality as an absolute standard of ethical evaluation. Thus, he could betray the ideological fictive-nes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대동아공영권)” that would absolutize “the particularity” of the nation.

      • 조선시대 언론의 공정성: 공론정치론과 그 한계

        김영수 ( Young Soo Kim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5 정치와 평론 Vol.17 No.-

        In general, the traditional political system of East Asian states had been known as tyranny and had never the press. In fact, Legalist(法家) and Mohism(墨家) thought the press negative. But, Confucian(儒家) had put importance on it. Confucius said that the press` absence was the national peril in the dialogue with King Chungkong(定公). The theory of the Press in East Asia was started from Confucius. It developed into Heaven`s will(天命), people`s will(人心), and public opinion(公論) by turns. Confucianism criticized the faults of king and state on the pretext of people`s will and public opinion and justified the right of the press. According to its theory, kingship is conferred and shall be subject to the command of the Heaven`s will. According to people`s will, it is the same as Heaven`s will. The theory of public opinion asserted that what the Heaven and people think as the right is the public opinion, and politics shall be subject to it. In other words, the Heaven, the people, public opinion be the standard of the publicness and the criteria to assess the kingship and the state. Chosun was founded on New Confucianism. Then, she recognized the press and established the Censorial organ(臺諫) as the independent press. Chosun`s press had reached the ideal state in the reign of King Sejong. After that, the seizure of power by Salim(士林, the clerisy group) was the new epoch. Salim asserted the politics by public opinion instead of power politics. But with the beginning of the factional struggle(黨爭), the press was transformed into a arena of bloody political struggle. Thus public opinion of Chuson press was changed to factional opinion(黨論) and the public nature of the press was destroyed seriously. Then, various alternatives had been proposed to normalize the public sphere. First, Yulgok(栗谷) asserted the monopoly of the press by the leading figure instead of the Censorial organ.(君子專權論) Second, Yusuwon(柳壽垣) and Dasan(丁若鏞)`s alternative was to abolish the Censorial organ and open the press to all persons. Third, King Youngjo and King Junjo exercised anti-partisan politics(Tangpyeong, 蕩平). But lastly, it resulted in the so-called ``Sedo Politics``(politics by maternal relatives, 勢道政治). In this period, the politics of public opinion had been suddenly stopped and Chosun dynasty entered into the era of a long silence. This situation was not fundamentally changed and Korean lost the country.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와 저항의 의미 ― ‘天命’으로서의 시쓰기와 ‘시인’의 표상을 중심으로

        남기혁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6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fatalism, and the cognition of “writing poems as the other”, and the poet’s inner moral appeared In Yun Dong-ju’s poetry. For this analysis,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of ethical subject. Critics have argued on Yun Dong-ju’s poetry from the view point of resistance literature. However, his resistance is not expressed through the political ideology of special ethnic community such as a nation, but through the authenticity of inner moral based on the universal ethic such as love for humanity. Especially, christian faith had an absolute effect on the process of his building “ethical subjectivity” and acquiring the authenticity of inner moral. At first stage, this article analyzed “the discovery of landscape and the birth of the inner world” in Yun Dong-ju’s poetry, and examined that the aliened inner world of the poetic subject should be the beginning point of founding historical-self. But from 1938 to 1940, Yun Dong-ju expressed his sincere christian-faith germinated in his inner world. His faith is gradually converted into a firm belief on the absolute by his self-reflection. Finally, his poetic subject arrived at the point of ethical resolution and its practice based on his christian-faith. Now, he accepted the fate, “the sad heaven’s will(슬픈 천명)” that the God imposed on the “poet”. The heaven’s will was the only reason that he should write poems based upon his faith and morality. The thinking that the poet’s fate is the heaven’s will needs the God’s gaze as an absolute other. Through the God’s gaze, or poet’s tragic fate imposed by Him, Yun Dong-ju could represent the fate of “poet” as the other against the colonial modernity. And he could build the absolutely ethical base on the authenticity of his inner world. Especially, the resistance of his poetic thought is not obtained by the particularity but by the universality as an absolute standard of ethical evaluation. Thus, he could betray the ideological fictive-nes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대동아공영권)” that would absolutize “the particularity” of the nation. 본고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운명론과 ‘시쓰기’의 자의식, 내면적 모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당대 현실을 고려하는 가운데, 윤동주 시에 그려진 시인—표상과 분열적인 자아—서사, 더 나아가 시쓰기의 자의식이 지닌 함의를 윤리적 주체의 형성이란 관점에서 밝혀내고자 하였다. 흔히 윤동주 시는 저항문학의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런데 그의 저항성은 특수한 집단(민족)의 정치적 이념이 아니라 보편지향적 윤리(가령, 인류애처럼)에 기초하여 내면적 모럴의 진정성을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획득된 것이다. 특히 기독교 신앙은 윤동주가 윤리적 주체를 확립하며 내면적 모럴의 진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윤동주의 초기시에 나타난 ‘풍경의 발견과 내면의 탄생’ 문제를 분석하고, ‘소외’된 내면이 역설적으로 시적 주체를 역사적 자아로 정립시키는 출발점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1938년부터 1940년경에 이르기까지 윤동주는 내면에 잉태된 신실한 믿음을 길러냈으며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이를 절대자에 대한 확고부동한 믿음으로 발전시켰다. 그 결과 후기시(1941년 이후)에 이르러 윤동주는 신앙인의 윤리적 결단과 실천에 한걸음 다가서게 된다. 그것은 신이 부과한 ‘시인의 운명’, 즉 ‘시인’이란 슬픈 ‘천명’을 받아들이고 이에 기반한 모럴 의식을 ‘타자로서의 시쓰기’로 표출하는 위태로운 길이었다. ‘시인=천명’론이 지닌 가장 큰 특징은 절대적 타자인 ‘신’의 시선을 도입한 점이다. 그에게 ‘신’의 시선, 혹은 신이 부과하는 ‘비극적 운명’의 문제는 식민지 근대 사회의 타자로서 시인—표상을 드러내고, 자신의 내면의식 공간에 절대적인 윤리를 구축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특히 그의 시적 사유가 지닌 저항성은 특수성이 아닌 보편성을 윤리적 가치판단의 준거로 절대화함으로써, 특수성의 절대화로 치닫고 있던 ‘대동아공영권’의 이데올로기적 허구성을 폭로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저항성을 통해 한국시의 내면성을 확대․심화시킨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상고대 동양 형이상학의 형성과정과 후대에 미친 영향

        주시영 ( Si Young Ju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5 기독교철학 Vol.21 No.-

        본 연구는 중국 상고대 형이상학의 형성과정과 후대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여기서 상고대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기원전 771년까지이며, 시대 별로는 오제시대, 하나라, 상나라, 그리고 주나라가 동쪽으로 도읍을 옮기고 춘추시대로 접어든 때까지이다. 이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 상고대에 사람들이 삶에서 가장 힘들어 했고 중요하게 다루었던 일은 홍수 등 자연재해에서 오는 위험을 극복하는 것들 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그 위험을 두 가지 방법으로 대처했다. 첫째, 자연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했다. 밤과 낮은 순환하면서 계절을 변화시켰고, 계절의 변화는 기후를 변화시켜 홍수 등으로 사람들의 생존을 위협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사람들은 자연변화의 법칙을 읽고 표시할 수 있는 음양, 오행, 십간십이지, 역법 등을 개발했다. 그리고 자연변화의 내용을 미리 알아내는 점占을 고안했다. 둘째, 자연과 하늘에 의지하고 기원했다. 상고대 사람들에게 자연환경은 삶의 터전임과 동시에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그 대상들은 산, 강, 바다, 땅, 하늘(공중) 등이었다. 사람들은 그것들을 숭배대상으로 삼아 각종 신으로 섬겼다. 또한 그들은 자연재해 등을 막는데 기여했던 조상들도 신으로 섬겼다. 그리고 그들은 자연신과 조상신보다도 높은 존재가 있다고 여겼다. 그것은 바로 하늘이었다. 그 하늘에는 이 세상 모든 일을 주재하는 상제가 있었으며, 그의 뜻을 천명이라 했고, 그를 대리하여 집행하는 왕을 천자라고 했다. 따라서 왕은 하늘이 점지한 자여야 했으며, 천명을 받아 정치를 했다. 여기서 사람들이 하늘을 숭배하는 사상이 뿌리 깊게 정착되었다. 이를 위해 하늘의 뜻을 미리 알아 낼 수 있는 점이 역시 필요했다. 점은 자연의 질서와 하늘의 뜻을 알아내는 수단이었다. 그 점을 치기위해서 이론과 방법이 필요했다. 그 것을 정리한 것이『易經』이었으며, ‘역易’은 태극, 도, 음양, 천명 등을 포괄했다. 역은 하늘의 뜻을 알아내는 수단이면서 그 자체도 형이상학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역경』이외에 책들에 기·오행사상과 십간십이지 등에 형이상학의 요소를 지닌 내용들이 있었다. 상고대에 형성된 이 요소들은 당시는 물론 후대 도가의 도 사상, 유가의 천명사상, 음양가의 음양사상 등의 형이상학으로 발전했으며, 이들은 오늘날 까지도 정치, 교육, 의술, 천문, 문화사상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We have studied in this report how the metaphysics had been formed in the earliest ancient times in China and what has affected on the future generation. I would like to let you know that the period studied here in this article was from B.C. 2,500 to B.C. 771. Above all, the metaphysics performing processes was as follows; it is important for the people who lived in the earliest ancient times to overcome the dangers from natural phenomena especially the risk of floods. And the people were able to deal with the risks in two ways. First, they were able to manage the dangers from the natural phenomena aggressively. The nights and the days had changed the seasons by rotating themselves, and the seasons also made the climate changes by creating the floods or droughts to the threat of people``s life. Therefore, they had no choice but to invent the methods to read the laws of natural phenomena like calendar, Yin and Yang, Wuxing(Five Phase), Ten Heavenly Stems and Twelve Earthly Branches etc. And they also designed the fortunetelling which forecast the law of natural phenomena in advance. Second, they had depend on the laws of natural phenomena and the will of heaven, and worshiped them. They also worshiped big mountains, rivers, sea, earth and sky(heaven) as a God and they even worshiped their ancestors or the spirits as a God who contributed to fight the natural disasters. And they even believed that there is a higher existence than god of nature and god of ancestor, that is the Heaven. There is a great king called God in heaven who controls everything even appointing a king in this world. The king in this world should govern the nation according to the will of Heaven. Therefore, the idea of worshipping the Heaven deeply put down roots on people, and they needed to forecast the will of Heaven in advance. The fortunetelling was a means of discovering the nature``s order and will of the Heaven. The fortunetelling had needed the several theories such as Yi(Supreme Polarity), Yin and Yang, Tao, will of Heaven. These theories had formed a metaphysics or had possessed some metaphysical essential elements. On the other hand, these metaphysics and metaphysical essential elements had transformed to other type of metaphysics, and have effected several parts of politics, education, medical science, cultural thoughts etc. in the oriental society nowadays.

      • KCI등재

        <옥황기>의 천명과 권선징악에 나타난 작가의식

        김용기(Kim, Yong-Ki)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1 No.-

        이 글은 황중윤의 한문소설인 <옥황기>에 나타난 천명과 권선징악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옥황기>는 총 13개의 형식적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두와 결말을 제외한 11개 단락은 중국 역대 왕조의 황제와 주요 인물들 중심으로 서사가 진행된다. 전체 11개 왕조의 이야기는 각기 독립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한 왕조의 멸망과 새로운 왕조의 수립은 옥황상제의 懲惡이나 天命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 왕조교체의 논리는 권선징악과 천명에 의한 두 가지라 할 수 있다. <옥황기>에서 징악의 근거는 옥황상제의 뜻에 따라 帝王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 했는가의 유무에 있다. 현실계의 백성들을 고통스럽게 하고 잘 보살피지 못하면 옥황상제가 징치하여 다음 왕조로 교체 된다. 그리고 왕조교체의 명분은 ‘천명’이라는 절대적 권위에 의해 실현된다. <옥황기>에는 定命에 의해 제왕이 되기도 하고 교체되기도 하는 내용이 나타난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적 근거에 의해 인물의 행위를 懲惡하기도 한다. 그러한 징악의 과정 속에 작가 황중윤의 현실적 대안과 사대부로서의 정치적 포부가 드러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 of Heaven’s will and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in <Okhwangki>, the Si-no Korean Novel. <Okhwangki> consists of thirteen formal passages. Eleven passages progress tale with kings of many generations and main characters as the central figure excluding and ending parts. The stories of the total eleven dynasty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establishment and the fall of a royalty appear in the Great Jade Emperor’s reproval of vice or Heaven’s will. The logic of replacing dynasty was defined as two things of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and Heaven’s will. The basis of punishment for evil doers depends on the played the king’s role following the Great Jade Emperor’s Will or not. If he make the people painful and doesn’t take care of them, the Great Jade Emperor would castigate and replace the new dynastuy. And justifying it’s conduct of replacing dynasty is realized by the absolute authority, Heaven’s Will. The king can be the king or replaced by fate in <Okhwangki>.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act can be punished by realistic grounds. The writer, Hwang Joongyoon’s realistic alternative and political ambition as the nobleman appear on the process of chastising vice.

      • KCI등재

        『治平要覽』의 편찬 및 그 목적 : 「國朝」의 편찬을 중심으로

        김가람(Kim, Ka-ram)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9

        이 논문은 조선시대 역사서인 『治平要覽』의 편찬과 그 목적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치평요람』의 마지막 부분에 실린 「國朝」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사실 『치평요람』은 조선시대에 국가에서 편찬한 유일한 중국역사서임에도 그동안 많은 조명을 받지 못하다가, 李佑成이 『치평요람』을 모아 간행하면서 점차적으로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연구의 초기 단계이므로 『치평요람』의 편찬 배경과 과정, 그리고 목적을 밝히는 것에만 집중되었다. 그러므로 『치평요람』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살펴보면서 『치평요람』이 실제로 추구하던 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조선은 건국 직후 고려시대에 대한 역사서인 『高麗國史』의 편찬을 시작으로, 삼국시대를 다룬 『東國史略』 및 朝鮮王朝實錄의 첫 번째 편인 『太祖實錄』 등을 편찬하였다. 조선에서 이렇게 일찍부터 역사서를 편찬한 것은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조선의 새로운 이념 및 개혁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이 가운데서도 세종이 특히 역사 연구에 관심을 가졌는데, 그는 경서가 학문의 근본이라면 역사서는 이를 현실에서 구현하는 것으로 파악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를 위하여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과의 끊임없는 경연을 통하여 유학 및 史書에 대한 이해를 쌓아 갔고, 이것을 바탕으로 세종 대에는 경서에 대한 훈의본과 여러 사서들을 편찬할 수 있었다. 중국과 한국 국가들의 흥망성쇠를 살펴보는 『治平要覽』 또한 이러한 분위기에서 편찬되었다. 1441년(세종 23) 세종은 鄭麟趾에게 『치평요람』을 편찬하도록 하고, 편찬 기간 내내 적극적인 지원을 하였다. 그 결과 『치평요람』은 편찬 4년만인 1445년(세종 27) 150권으로 완성되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치평요람』은 周나라부터 明나라까지의 중국 역사와 箕子朝鮮부터 고려까지의 한국 역사를 다루었는데, 특히 다른 국가와의 전쟁 및 새로운 국가가 설립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종과 『치평요람』의 편찬자인 정인지가 밝힌 『치평요람』 편찬의 직접적인 목적은 여러 국가들의 흥망성쇠를 거울삼아 정치를 잘 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조선 건국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함이라는 목적이 숨어 있었다. 이러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바로 『치평요람』 「국조」이다. 「국조」의 대부분은 李成桂와 관련된 기사로, 이성계의 다양한 활동과 업적 및 품성, 그리고 여러 사람들의 찬양이 실려 있다. 이를 통하여 이성계는 고려 말의 혼란을 수습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국할 만한 사람으로 그려졌다. 또한 「국조」는 고려 말의 혼란을 유교적 시각에서 바라보며 유교적 사회로의 변화를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치평요람』은 다른 서적들이 참고하기 쉽게 자료를 모아 놓는 편람서적인 체제로 편찬된 덕분에 「국조」의 이성계 관련 기사들은 조선 중기의 문집 등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 과정에서 『치평요람』은 기사 배치 등을 통해 모든 국가들이 기운이 쇠하면 멸망하고, 그 과정에서 혼란을 수습하며 새로운 국가가 탄생하게 되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는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이 人倫을 어긋난 것이 아닌 天命이 옮겨 간 것이라는 점을 인식시키려는 목적에 따른 것이었다. 사실 『치평요람』의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분량이 많은 탓에 기사 및 사론을 직접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 또한 「국조」만을 파악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곧 『치평요람』의 국역 사업이 마무리 되면 많은 이들이 손쉽게 『치평요람』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면 다양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역사서의 변화라든가 조선시대 국경선에 대한 인식, 정치에서의 역사서 이용 등과 같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mpilation and the aim of Chipyungyoram(치평요람) which compiled in Joseon dynasty. Especially it is focused on Kukjo(국조), Chipyungyoram's last part. in fact, although Chipyungyoram was only Chinese history book that was compiled by Joseon dynasty's government, it did not attract great attention. By the way, being published the Chipyungyoram by Lee Woosung in 1990's, the historian started to come into the Chipyungyoram. However, because of the early stage of study, most studies just have analyzed editing background and process, and the aim of the Chipyungyoram.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took an interest in the text of Chipyungyoram and analyzed what Chipyungyoram's compiler pursue. Since Joseon dynasty opened, Joseon Kings, including King Taejo, had been interested in compile the history books. Because they did need to claim historical legitimacy about the 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Chipyungyoram narrated the history of rise and fall of various countries belong to the China and the Korea also compiled in this environment. In 1441, King Sejong directed Jeong Inji and Jiphyeonjeon's scholars to compile the Chipyungyoram and supported actively during the period of compilation. As a result, in 1445, the Chipyungyoram of a set of 150 volumes was completed in four years. King Sejong and Jeong Inji explained that the aim of Chipyungyoram compilcation was for making a good political system on the model of various countries' rise and fall. However, on the other side, there was aims to claim historical legitimacy about the opening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Chipyungyoram's last chapter, Kukjo shows about these contents clearly. Most of Kukjo's article is related to Lee Sunggye, the King Taejo, for example Lee Sunggye's various achievements, a respectable personality, to admire about him, and etc. These articles made Lee Sunggye a great man who solved the confusion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established a new country. Kukjo also claimed that the confusion of the late Koryo dynasty was explained by the confucian view and the Confucianism was regarded as a political ideology. In addition, as the Chipyungyoram gathered different articles from various books, many books referred to its articles. Kukjo's Lee Sunggye articles also had influence on compiling books in the middle of the Jeseon dynasty.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Kukjo wanted to show the process that Heaven's will moves from Koryo to Joseon through articles'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it also meant Koryo's fall and Joseon's rise was not against humanity but Heaven's will. In fact, because Chipyungyoram's resarch is just beginning, the subjects of its research is not various. However, as the Korean translation of Chipyungyoram completes soon, the width of research is expected more larger.

      • KCI등재

        <태원지(太原誌)>의 서사적 특징과 왕조교체

        김용기 ( Yong Ki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The writer discussed about temporary conclusion that <Taewonji> have a chance to be one of Korean works because it has Korean style factors in main contents and form of work. The writer extracted the main narrative factor which is common to the other works` narrative development, considering on the point that it has a narration about the change of dynasty. As a result, all works have a common thing in that the directing point of narration is ``the change of dynasty``. But it has different parts of hero`s personality, position, role and atmosphere of work. The writer described multilaterall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aewonji> through the point that this work has similar and different parts to <Jangbaek-Jeon> or <Youmoonsung-Je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related to hero`s drift in the sea before arrival at Taewon. multilaterall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aewonji> through the point that this work has similar and different parts to <Jangbaek-Jeon> or <Youmoonsung-Je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related to hero`s drift in the sea before arrival at Taewon. The advanced research suggested the meaning of the story of drift in the sea in this work. The writer respects this opinion but I suggest that the story of drift has to be interpreted in the narrative context of ``Heaven`s order`` and ``the change of dynasty`` as the whole narration was concluded in ``the change of dynasty on the basis of heaven`s order. The drift in the sea of <Taewonji>has a meaning that the hero experienced by stages the different world from the central districts, strengthened the heaven`s order and got out from the mind of central-districs-centrism and history-centrism and have On the ground of these points, the meaning of heaven`s order realization in Taewon and the heroic novel`s stature were examined. The main factors of interpreting this work are the process of space movement; the drift in the sea, unknown land; Taewon, and authorization unquestioning power to the hero; the heaven`s order. It is possible to get out from the mind of central-districts-centrism and history-centrism and have a vision of new world in many points when these factors are combined regardless of Yuan country of the central districts. Therefore the message of this work is ``a deviation from something`` and ``renova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heaven`s order in Taewon. While the other works` hero is a character who get over the real difficulties by using force and Taoist magic, Imsung and his party show us the hero`s image that introduces the bigger world and breaks the conventional way of thingking. So this work has an importance in the literary history because it broke the image of hero`s fig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