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정신’의 번안으로서의 『질마재 신화』와 그 윤리적 의미

        남기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5 No.-

        This paper aims to reveiw poems of “Myth of Jilmajae(질마재)” by Midang Seo Jung-joo(미당 서정주) in terms of ethical consciousness. In particular, the problems of Silla-spirit(신라정신) appearing in these poems were analyzed. Midang looked upon Jilmajae’s stories that preserved the traditional lifestyle, the religious conviction and the nature-oriented mind as a translation of Silla’s stories. In these poems, the narrator frequently interferes actively in the represented world to interpret and reinstruct the customs and the ethics of Jilmajae. In other words, Midang’s ideology and the ethical view contained in the poetics of Silla-spirit became the absolute standard to interpret life and ethical consciousness. In this respect, the nationalistic ideology contained in the poetics of the Silla-spirit is problematic. Despite the sexual morality, the images of abjection and the laugh have the elements of negating the symbolic order or liberating the oppressed in the poems of “Myth of Jilmajae”; the ethical order always retrieves equilibrium. In this process, the morality in the individuals’ inner world, or ethical reflexivity ceases entirely. In addition, the voices and the desires of the individuals integrate into thatthose of the ethical community. The attitude of conformity with destiny that people in Jilmajae had in this context can be understood. Similarly, the Midang’s political (un)consciousness operates vividly in the represented stories handed down orally in Jilmajae. Midang’s poetic work to operate the post-modern aesthetics at the very point of the borderline between the poetic word and the shamanistic language, myth and history, morality and art, individual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Midang’s poetic work led to a regrettable result. 본고는 미당 서정주의 시집 『질마재 신화』(1975)에 반영된 신라정신론과 여기에 담긴 윤리의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주지하듯이 미당은 한국 전쟁을 전후로 ‘신라’라는 고대적 시간과 설화 세계를 탐색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라정신’론을 자신의 시론으로 정립하고 시집 『신라초』와 『동천』등에 수록된 전통주의 시를 창작했다. 『질마재 신화』는 미당이 신라정신론과 전통주의 시 창작에 쏟아지는 문단 내외의 비판을 의식하면서, 신라정신이 오늘날까지 민간에 전승되어 역사적 실체로서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질마재’는 ‘신라’의 번안에 해당된다. 어쩌면 질마재는 ‘신라’라는 선험적 시니피에가 없었다면 재현될 필요도 없고 재현될 수도 없는 세계였다. 시집 『질마재 신화』의 서술자는 재현되는 세계에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질마재의 풍속과 윤리를 재해석 혹은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신라정신론의 이념과 윤리관이 질마재의 삶과 윤리를 해석하는 절대적 심급으로 작동한다. 문제는 신라정신론에 내재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이다. 사실 『질마재 신화』에 넘쳐나는 성적 이미지, 풍속, 배설물의 이미지, 해학적인 웃음 등은 지배 체제의 상징적 질서를 부정하거나 해체할 만한 해방의 요소를 풍부하게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질마재의 풍속과 윤리를 재현하는 서술자의 언어는 이 모든 것을 평형의 상태도 되돌리고 공동체의 인륜 질서를 보존한다. 공동체의 도덕 규율이나 인륜 질서와 대립하는 개인의 내면적 모럴, 혹은 윤리적 성찰성은 완전히 작동을 멈추고 질마재를 살아가는 구성원 개개인의 목소리나 욕망은 집단의 그것으로 흡수, 소멸된다. 이와 같이 ‘질마재’의 이야기 속에는, 신라를 소환하고 전유했던 미당의 정치적 (무)의식이 생생하게 작동하고 있다. 미당은 시적 언어와 주술적 언어, 신화와 역사, 윤리와 예술, 개인과 집단의 경계가 무너지는 그 지점에서 탈근대의 미학을 작동시켰다. 하지만 그의 신화 탐색은 끝내 당대 현실에 대한, 기성의 정치 현실에 대한 순응으로 귀착하였으며, 이는 미당 자신이 신라정신론에 내재한 국가주의 윤리의 바깥을 상상하지 않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SDN 프로그래밍 기술 연구 동향

        남기혁,신명기,김형준,강미영,최진영,Nam, K.H.,Shin, M.K.,Kim, H.J.,Kang, M.Y.,Choi, J.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2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7 No.6

        최근 네트워킹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에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SDN 프로그래밍 기술에 대해 최근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 KCI등재

        서정주의 ‘신라정신’론에 대한 재론 - 윤리의식과 정치적 무의식 비판을 중심으로 -

        남기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한국문화 Vol.54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etics of Shilla-Spirit(新羅精神) in order to reveal its aesthetic strategy and its ideological limits together. Especially, I tried to analyze the ethic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 poetics of Shilla-Spirit, and to criticize its meaning not only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of 1960s in Korea, but also in the existential context of poet’s private life. Ethics of devotion as the death consciousness (which is) is inherent in the poetics of Shilla-Spirit. Midang discovered the ethics of devotion from the death of the mythical heroes in Shilla. He regarded their belief in eternity, or the psychomancy between the living and the dying, as the most fundamental tradition consciousness to be transmitted to posterity. This ethics of devotion shows Midang’s nationalistic view as the ideological basis of Shilla-Spirit. Originally, Midang’s nationalistic view appeared in the pro-Japnese poetry which aestheticised the inforced death of colonial subject as the death for Japanese Emperor. In this way, Midang fell into the ethnic community’s ethics oppressing individual liberty. Especially, the implicit connection between nationalism of 1960’s and the poetics of Shilla-Spirit was well revealed not only when Midang regarded ‘Shilla-Spirit’ as the national leader's virtue, or the philosophy of managing the nation, but when Midang showed the fascistic and anticommunistic bias during the debate with Kim Jonggil.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etics of Shilla-Spirit(新羅精神) in order to reveal its aesthetic strategy and its ideological limits together. Especially, I tried to analyze the ethic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 poetics of Shilla-Spirit, and to criticize its meaning not only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of 1960s in Korea, but also in the existential context of poet’s private life. Ethics of devotion as the death consciousness (which is) is inherent in the poetics of Shilla-Spirit. Midang discovered the ethics of devotion from the death of the mythical heroes in Shilla. He regarded their belief in eternity, or the psychomancy between the living and the dying, as the most fundamental tradition consciousness to be transmitted to posterity. This ethics of devotion shows Midang’s nationalistic view as the ideological basis of Shilla-Spirit. Originally, Midang’s nationalistic view appeared in the pro-Japnese poetry which aestheticised the inforced death of colonial subject as the death for Japanese Emperor. In this way, Midang fell into the ethnic community’s ethics oppressing individual liberty. Especially, the implicit connection between nationalism of 1960’s and the poetics of Shilla-Spirit was well revealed not only when Midang regarded ‘Shilla-Spirit’ as the national leader's virtue, or the philosophy of managing the nation, but when Midang showed the fascistic and anticommunistic bias during the debate with Kim Jonggil.

      • KCI등재

        오장환 시의 육체와 퇴폐, 그리고 모럴의 문제-해방 이전의 시 창작을 중심으로

        남기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4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thical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Oh Jang-Hwan's poetry in the colonial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problem of morality and Sittlichkeit. Oh Jang-Hwan dealt with the subject of body and decadence in his early poems. It was related with the poet's spiritual resistance to the two negative situations. The one was the pre-modern Sittlichkeit forced by Feudal remainder. And the other was the colonial modernity as a conjuncture in which the corrupt, industrialized civilization and a fascist order at that time were main constituent parts. The poetic subject in Oh Jang-Hwan's poetry declares the separation from the sticky order of his birth-place which has been swayed by his father's influence, and goes to strange modern city. However, the colonial modern city in his poetry couldn't furnish the spiritual refuge or the hope to future for him. While witnessing the corrupt modern city ruled by material civilization and the crisis caused by Fascism, he tried to reach the apocalyptic vision of the end of this world. So he showed the negating action against the corrupt world by way of being absorbed in the decadence of body. Therefore, one can say the decadence in his poetry is connected with morality. One can also find the cynicism in Oh Jang-Hwan's poetic rhetoric. His poetic subject satirizes the corrupt reality through the cynical voice, or gazes himself absorbed in corrupt body through the self-ridiculous vision. In this way, the body of poetic subject becomes the field of ethical conflicts searching for the authentic morality. After this severe self-criticism, Oh Jang-Hwan found his own dwelling-place of morality. It was his birthplace which he had so seriously negated. However, his returning was not ruled by his father's order any more. His poetic subject as a prodigal son found his old and self-sacrificing mother there and the impoverished condition of rural community as well. So we can say his returning to birthplace is not a surrender to his father's order, but a reclamation of the birthplace which shows his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other's "face". Through this dialect of leaving and returning to birthplace, Oh Jang-Hwan proposes the nation and its people as a new ethical community. For him, it would certainly became the basis for establishing "new nation-state"(새나라) in the Liberating Period. 본고는 해방기 이전 오장환 시에 나타난 육체와 퇴폐를 모럴과 인륜성 문제에 연결시켜 논의하였다. 육체는 전근대적 인륜성과 식민지 근대의 물화된 현실이란 이중의 억압이 가로놓인 곳이자, 억압에 대한 저항이 출발하는 지점이다. 그것은 아버지의 질서가 지배하는 세계를 부정하려는 탈향의 선언과 낯선 도시의 타락한 현실을 폭로하려는 데카당스의 고뇌와 절규로 표출된다. 이런 점에서 오장환 초기시에서 낡은 인륜적 질서를 부정하고 도시문명이나 세계정세의 허위성에 저항하는 윤리의 거점으로서 내적 모럴이 지니는 의미가 문제가 된다. 본고는 오장환이 추구했던 내적 모럴을 육체와 퇴폐를 바라보는 분열된 시선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냉소와 자조라는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내적 모럴에 대한 탐색은 오장환을 귀향으로 이끌었다. 고향은 이제 ‘어머니’의 헌신적 사랑을 표상하는 공간이자, 헐벗은 민중들이 식민지적 타자의 얼굴로 모습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바뀐다. 그러니까 ‘탕아의 귀환’은 고향을 자신의 모럴과 새로운 공동체적 인륜성을 합치시킬 공간으로 표상하는 극적 전환을 보여준다. 이는 국가 및 민족 담론이 다양하게 분출되었던 일제말과 해방기의 시대 상황 속에서, 다른 생명파 시인들과 구별되는 정치적, 윤리적 선택을 감행했던 오장환의 시적 실천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 SDN/OpenFlow 전용 언어 및 신뢰성 검증 방법 연구 동향

        남기혁,신명기,김형준 한국통신학회 2012 정보와 통신 Vol.29 No.11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과 관련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SDN 전용 언어와 신뢰성 검증 방법에 대하여 20l2년도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 KCI등재

        해방기 서정주의 글쓰기에 나타난 정치적 욕망-『김좌진 장군전』과 『이승만 박사전』을 중심으로

        남기혁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0 No.-

        In this paper, I tried to identify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reflectedin Midang Seo Jeong-ju's "Biography of General Kim Jwa-jin" and"Biography of Dr. Lee Seung-man." Midang's writing biographies camefrom the impulse to the narrative, but it is impossible to explain it apartfrom his own existential motives. I focused on the Midang’s anxiety dueto his pro-Japanese career. He wrote two biographies to find a way outof this anxiety. Specifically, "Biography of General Kim Jwa-jin" is forthe political position of his son, Kim Doo-han, and "Biography of Dr. LeeSeung-man." is the result of a political project to consolidate his politicalposition by the idolization. Midang, who chose anti-Communist ideology and nationalism in themidst of the liberation period, wanted to be reunited with the imaginedcommunity by writing thesebiographies and sought to escape from thecrisis of political isolation and condemnation. These two biographies differ in several respects. First of all,“Biography of Kim Jwa-jin” has many elements of amusement becauseMidang followed the composition and style of a previous hero novel. However, "Biography of Dr. Lee Seung-man" has a tendency toemphasize the modern character of Lee. The former is based on theretrospection of family members and people around him, and on thenewspaper reports. So, the writer’s imagination was likely to be involvedin his writing. However, the later, based on the surviving character's oralretrospection and personal records such as diary, tended to describe thestory based on objective facts, excluding the writer's imagination. Midang’s biographical writing itself was a political project linkedtospecific political forces. From Midang’s standpoint, this was a decisivemoment to become an influential figure in the literary circles. However,his experience of joining the nationwas not so consistent. Despite hisobsession to shake off the self-consciousness of pro-Japanese career andhis pride as an anti-Communist, he has always been seized with anxietyand fear. The auditory hallucinosis of the Midang during the Korean Warshows that his identity as a nationalist and a anti-communist ideologywas not so solid. 본고는 『김좌진 장군전』과 『이승만 박사전』에 투영된 서정주의 정치적 욕망을 규명하고자 했다. 미당에게 전기문 쓰기는 친일 경력으로 인한 불안감에서 벗어날 탈출구였다. 구체적으로 김좌진 전기는그의 아들 김두한의 정치적 입지를 위한 것이었고, 이승만 전기는 유력 정치인인 이승만을 우상화하여 정치적 입지를 공고화하려는 것이었다. 해방기의 혼란 속에서 반공 이념과 민족(주의) 노선을 선택한미당은 전기 집필을 통해 민족에 재결속되어 정치적 단죄나 고립에서벗어나려 했다. 한편 인물의 일대기 형식을 따르는 두 전기는 몇몇의 차이를 드러낸다.우선 김좌진 전기는 전대 영웅소설의 구성이나 문체를 따르는 까닭에 흥미본위로 흐르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이승만 전기는 인물의 근대적 성격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다. 전자는 가족과 주변 인물의 구수와 신문 보도에 근거하되 작가적 상상력이 개입될 여지가 컸지만, 후자는 생존인물 자신의 구술과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어서 상상력을 배제한 상태에서 객관적 사실 중심으로 이야기를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이다. 미당의 전기 집필은 해방기에서 고도의 정치적 행위였다. 전기 집필 그자체가 현실 정치와 연계된 정치적 프로젝트였다. 서정주의 입장에서, 이는문단에서 영향력 있는 존재가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다만 그가 민족(주의)에 접합되는 체험은 그다지 수미일관한 것은 아니었다. 친일 경험에대한 자의식을 떨쳐내야 한다는 강박감이나 반공 전사의 자부심에도 불구하고, 그는 늘 불안과 공포가 사로잡혔다. 한국 전쟁 전후에 서정주가 보여 준분열증적 증세는 그가 속하고 싶었던 민족의 정체성, 반공 이념의 정체성이그리 견고한 것은 아니었음을 역설해 준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최근 50년간 한국언어문학 수록 현대시 분야 논문 분석-

        남기혁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5 No.-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Koran modern poetry appeared in the Journa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hich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has published for 50 years. This Journal contains 204 articles on Korean modern poetry.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overview them, and to survey the trend and urgent problems in the studies of Korean modern poetry. First, this essay analyzed general research trends in the sphere of Korean modern poetry by database working. On this base, the various objects of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ologies are categorized. Second, the meaningful research achievements in each category was introduced. In this process, the main question at issue was suggested about the studies of Korean modern poetry, especially connected with the changes in Korean modern poetry and its educational circumstance. Last, several proposals about the future Korean poetry research were made:“diversification of objects of study”,“more challenging research viewpoint”and “the sharing of critical mind about public reader's reception of modernpoetry”.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 -도시풍경과 이념적 시선, 미디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남기혁 겨레어문학회 2009 겨레어문학 Vol.42 No.-

        This paper examined various aspects of urban experience appearing in the 1920s Korean modern poetry. The City of early modern period, especially the city of Seoul, was the space having the cultural multi-dimensionality and complexity. In this period, the emergent landscape of colonial modernity formed the temporal-spatial boundary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ty. Consequently, the mutually contradictory orientations in cultural and ideological areas competed to gain the hegemony for interpretating the reality of colonial modernity in which the non-simultaneity co-existed. In this paper, I analyezed the poetries of Kim Sowol, Yi Janghee, Jung Jiyong, Yi Sanghwa, Park Palyang, and Im Hwa to reveal the landscape of the modern colonial city and the spiritual life that they had witnessed in 1920s' city life. I especially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ideological gaze, and the influence of modern medias like publications, newspapers, the cinema, and modern paints. The urban experience appearing in the poetry of 1920s poets was very formless and confusing. It showed that the modern colonial cities including the city of Seoul was the dynamic Time-Space. The modern colonial city in the process of emergent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caused distraction of gaze to the colonial intellectuals who couldn’t adapt themselves to the modern scopic regime. So the poets like Kim Sowol and Yi Janghee who could not realize the meaning of colonial modernity became to be confined to the inner world of isolated self with the feeling of loss and melancholy. In case of a student studying abroad(especially in Japan) like Jung Jiyong and Yi Sanghwa, the feeling of loss and melancholy seemed to be more complex because of their position as colonial intellecuals. But, unlike Jung Jiyong who was not able to find any ideological gaze, Yi Sanghwa escaped from the feeling of loss and melancholy because of his nationalistic vision. It was connected with the discovery of Chosun and its people. The Singyeonghyangpa(신경향파) poets of mid-1920s' could describe the city of Seoul as a colonial modern space with the ideological gaze. It can be acquired only when the poets gaze at the city with ideology to inquire the historical meaning and tendency of colonial modern city. Compared with the 1930s' modernist poets, The Singyeonghyangpa poets of mid-1920s' could not describe the urban landscape with refined sense and imagery. However, they wanted to create the ger urban landscape with their ideological, Marxistic, vision in ssestitution for the anonymous landscape of city and the fetishistic life of city. It can be found in the poetry of The Singyeonghyangpa poets of mid-1920s like Park Palyang and Im Hwa. Their poems which contain the desire for new utopia are the record of the youth's conflict with the colonial modernity. 본고는 1920년대의 한국 도시시(都市詩)에 나타난 도시 체험의 여러 양상을 추적하였다. 1920년대의 도시-특히 서울-역시 문화적 다층성과 복합성을 갖고 있는 공간이었다. 이 당시 갑작스럽게 출현한 식민지적 근대 도시의 풍경은 전통과 근대의 시간적ㆍ공간적 경계를 만들어냈으며, 비동시적인 것이 공존하는 식민지적 근대의 현실 속에서 서로 충돌하는 다양한 문화적ㆍ이념적 지향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본고에서 고찰한 김소월․이장희․정지용․이상화․박팔양․임화 등 1920년대의 시인들은 식민지 근대도시의 풍경과 정신적인 삶에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하였다. 본고는 서울의 풍경에 압도된 시골뜨기 김소월의 놀란 표정과 신경증적 반응, 세련된 감각과 이미지로 변화하는 도시의 풍경과 군중의 모습을 포착하려 했던 이장희, 식민 제국의 낯선 도시에서 권력의 감시하는 시선을 의식하며 한없이 위축되었던 정지용과 이상화, 다양한 현대적 미디어의 감각으로 풍경을 재현하고 기록하려 했던 박팔양, 전위주의 미술을 통해 도시풍경을 발견하고 마침내 혁명의 전위로 거듭나 ‘청춘의 정열’을 가지고 서울을 계급투쟁의 공간으로 바꾸어 놓은 임화 등의 작품 세계를 추적하였다. 1920년대 시인들의 도시체험은 대체로 무정형하고 혼란스럽다. 이는 1920년대의 도시(서울)이 그만큼 역동적인 시공간이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급격하게 진행되는 도시화ㆍ근대화의 과정 속에 놓인 식민지 근대도시(서울)는 근대적 시각체제에 미처 적응하지 못한 경계인들에게 시선의 착종과 혼란을 초래하였고, 변화하는 시대의 의미를 미처 파악하지 못한 시인들은 알 수 없는 상실감과 우울감에 빠져 고립된 자아의 내면세계에 갇혀버리기도 하였다. 도시(서울)가 지닌 역사적 의미와 방향성에 대한 탐색은 도시를 이념적 시선으로 바라볼 때 가능하거니와, 1920년대의 경향시인들이 서울을 저항의 공간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세련된 감각과 이미지를 동원하여 도시의 풍경을 만화경적으로 포착하였던 1930년대 모더니스트들과 달리, 1920년대의 경향시인-특히 박팔양과 임화-는 익명화된 도시의 풍경과 물신화된 도시의 삶 대신에 자신의 이념적 시선에 맞는 새로운 도시 풍경을 창조하고자 했다. 그것은 자본과 식민권력의 감시하는 시선에 맞서 새로운 유토피아를 꿈꾸는 ‘청년’들의 투쟁에 대한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