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무역협정상의 일반적 예외규정에 관한 고찰

        조유미,이길원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아주법학 Vol.14 No.2

        WTO 전자상거래 무관세대우에서 출발한 디지털무역 논의는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COVID-19)로 인해 비대면 경제의 효용성이 증명되면서 더욱 각광받기 시작했다. 미국, 싱가포르 등을 필두로 양자 간 디지털무역협정이 체결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역시 최근 싱가포르와 디지털무역동반자협정의 협상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면서 본격적 으로 국제규범 논의에 동참하게 되었다. 한편, 디지털무역의 국제규범 정립 논의에 따라 각 국의 디지털주권을 위한 규제 간의 조화 필요성 역시 제기되고 있는 현실에서 디지털무역협정의 예외규정 검토는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이 향후 체결할 가능성이 높은 국가가 기체결한 디지털무역협정을 중심으로 일반적 예외규정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 상 협정들은 디지털무역 자유화를 원칙으로 하되, 예외에 대해서는 GATT 제XX조 및 GATS 제XIV조를 준용하고 있다. 별도의 협정문을 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WTO 협정 상의 일반적 예외규정을 준용한 것은 일견 예측가능성을 담보한 측면도 있지만, 디지 털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예외규정에 대 한 WTO 판결례를 개관하고, 이를 디지털무역협정에 대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구체적인 한계점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디지털무역협정 상의 일반적 예외규정의 적용과 해석에 대한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Discussions on digital trade, which started from the WTO's e-commerce tariff-free status, are being spotlighted as Corona virus (COVID-19) proves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or untact) economy. Amid the conclusion of bilateral Digital Trade agreements led by the United States and Singapore, South Korea also joined in the discussion of international norms in earnest as the start of negotiation with Singapore on Digital Trade partnership has officially been declared. Meanwhile, review on the exceptions of the Digital Trade agreement is very meaningful when the need of harmonization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norms for Digital Trade and regulations for digital sovereignty of each country is also being rais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general exceptions, focusing on Digital Trade agreements completed by countries that are likely to be concluded by South Korea in the future. Agreements subject to review shall, in principle, liberalize digital trade, but apply WTO Agreement, Article XX of GATT and/or Article XIV of GATS, for exceptions. Despite drawing out a separate agreement, the application of general exception to the WTO Agreement appears to guarantee predictability, but also show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In this study, WTO precedents on general exceptions were opened and comparatively reviewed by applying Digital Trade agreement. With this, specific limitations were examined to derive significance for the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general exceptions to future Digital Trade agreements.

      • KCI등재

        Case note: EC Seals–A Review of the Decision of the Appellate Body

        조희경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서울법학 Vol.22 No.3

        The question of the extent to which non-trade related matters can place limitations on the freedom to trade has been a long-standing one. From the days of the GATT, the so-called “general exceptions” to the non-discrimination treatment obligations under the multilateral trade agreement were included as a safeguard measure for state parties. Broadly these provide for exceptional circumstances under which state parties could deviate from the obligations imposed on them under the GATT on grounds such as the protection of public morals, protection of human, animal or plant life or health, compliance with municipal law, conservation of exhaustible natural resources and prohibition of the fruits of prison labour. The ever-present danger was that these exceptions could be abused as a disguised restriction on free trade and protection of domestic industry. In order to guard against that, the standard practice under the GATT had been to interpret the requirement of purposive necessity very strictly that almost no measure could satisfy it. This interpretative approach has been modified somewhat under the WTO regime and the WTO Appellate Body, since the US-Shrimp/Turtle case, has consciously taken a different route in applying the general exceptions. Instead of a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necessity element, the standard practice now is not to scrutinise too closely the question of whether the measure is necessary for achieving the purpose but place more weight and emphasis on the prohibition under the chapeau of the general exceptions clause regarding the manner of the application of the measure, requiring that it should not be used as means of an arbitrary or unjustifiable discrimination. One of the allowed grounds of general exceptions is the protection of public morals. But how does one determine what public morals are? Is there a global yardstick or a standard by which public morals may be judged? Or should we accept relativistic moral values? After all, morals are formed by communities and the culture and standards of various communities around the globe differ significantly. In this regard, the recent WTO Appellate Body’s decision in the case of the European Communities – Measures Prohibiting the Importation and Marketing of Seal Products(EC Seals case) provide some guidelines as to how one should approach this question of the protection of public morals. In essence, the approach of the Appellate Body was a confirmation of the WTO case law tradition, which is not to place the contents of the public morals under too strict or close a scrutiny. In this case, all three parties concerned, that is, the European Union, Norway and Canada, simply agreed or acquiesced without much argument that the protection of public morals included concern for humane treatment of seals. The Appellate Body, upholding the new interpretative approach focused more on the manner in which the measure complained of had been applied by the responding party. However, this outcome means that there is still left open the question of what would happen if the dispute itself concerned the content of the public moral values. This case note provides a brief summary of the Appellate Body report in the EC Seals case and considers how the main issues that were examined on appeal, with a focus on the question of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he general exception under Article XX of the GATT 1994.

      • KCI등재

        1920년대 조선총독부 연초전매권 확립에 따른 犯域 확대와 ‘違法’ 행위의 의미 -「朝鮮煙草專賣令」 예외조항의 설정과 폐지 과정을 중심으로-

        윤서인 한국역사연구회 2023 역사와 현실 Vol.- No.127

        The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 established the Monopoly Office(專賣局) in order to secure fiscal profit and play the role of capital itself. But it was impossible for the authorities to put an end to colonized Joseon’s traditional practices(including consumption) regarding tobacco at once. So, while they did declare full implementation of a monopoly on tobacco, they had to allow certain exceptions. The 「Joseon Tobacco Monopoly Act(朝鮮煙草專賣令)」 that was put into effect in 1921 recognized three exceptions: production of Cutted tobacco(Hwang’gak Yeoncho, 荒刻煙草), disposal of Whole Leaf tobacco(全葉喫用) and cultivation of tobacco for private usages. Such exceptive clauses could only be found from Joseon, and not from other regions within the realm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Empire. Their existence was indeed colliding with the authorities’ need to secure sufficient monetary income, and thus had to be abolished. So the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started to oppress the traditional Joseon tobacco market, and continued their efforts to eliminate independent cultivators, which were being protected by the exceptive clauses and hence the biggest beneficiaries of such exceptional treatment. However, reducing the number of exceptive clauses or at least narrowing their scope meant expanding the range of illegal activities. Number of offenders breaching the 「Joseon Tobacco Monopoly Act」 continued to rise. It was not a temporary phenomenon caused by rigid enforcement or crackdowns. People who had been operating under the exceptive clauses were poor peasants marginalized by the monopolized market overseen by the Monopoly Office. With the 「Joseon Tobacco Monopoly Act」 revised in 1929, full monopoly was achieved, but it was still in conflict with Joseon’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reality. Even after a fully monopolized system was established, Joseon people operating outside the law continued to emerge and be caught.

      • KCI등재

        주식매수청구권의 남용 방지에 관한 연구 -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의 비교법적 고찰 -

        노미리 한국상사법학회 2019 商事法硏究 Vol.38 No.1

        최근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사건의 수가 과거보다 증가하였다. 문제는 차익을 실현하기 위해서 주식매수청구권을 남용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는 점에 있다. 미국 델라웨어주에서도 지난 10년간 반대주주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한 사건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는바, 본고에서는 주식매수청구권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자본시장법과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의 가장 큰 차이점은 후자는 시장성 예외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주식매수청구권의 남용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앞서 주식매수청구권의 기능을 어떻게 볼 것인지가 중요하다. 주식매수청구권의 기능은 회사와 주주와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장의 유동성이 확보되어 있다는 이유로 상장회사의 주주에게는 주식매수청구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부당하다. 시장 가격과 법원이 인정하는 공정한 가격이 일치하지 않고, 주식매수청구권의 기능이 다수파 주주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므로, 단순히 주식매수청구권의 남용을 막기 위해서 시장성 예외 조항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다. 우리나라의 주식매수청구권 제도를 보면, 운영상 불합리한 부분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자격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합병 공시일까지 주식을 취득한 주주만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는 아무런 근거 없이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의 주주를 불합리하게 차별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장회사 주주도 주주명부폐쇄 전까지 주식을 취득하면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음으로 델라웨어주 대법원의 Dell 판결은 MBO 구조를 취한 합병이라고 하더라도 절차상의 문제가 없다면 합병 가격이 공정한 가격을 산정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판시를 하였다는 점에서 참고할 만하다. 형평법원의 Dell 판결, Aruba 판결 모두 형평법원의 재량이 넓게 인정된 것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법원 역시 델라웨어처럼 주식매수가액을 결정함에 있어 모든 사정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주식매수가액 결정은 전적으로 법원의 판단에 달려있다. 주식매수가격은 통용되는 금융원칙에 따라서 산정되는 것으로, 가격을 산정함에 있어 법원의 재량권이 넓게 행사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향후 법원은 가격 산정 방법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라, 가격 산정 절차가 공정성을 확보하였는지 중점을 두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법원의 주식매수가액이 결정될 때까지 발생되는 지연이자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상사법정이율 변동제, 주식매수대금 사전지급 제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상사법정이율 변동제의 시행은 주식매수청구권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확실한 방안이라고 생각되나, 상사법정이율이 1962년 상법 제정 이후 단 한 번도 개정된 적이 없기 때문에 갑자기 이를 변경하면 무리가 따를 것이라고 생각된다. 위 제도의 시행이 어렵다면 지연이자율 변동제를 고려해 봄 직하고, 이마저도 시행이 어렵다면 미국 델라웨어주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식매수대금 사전 지급 제도는 충분히 참고할 만한 제도라고 생각된다. Recently the number of appraisal remedy cases has increased than before. The problem is that appraisal rights are used to realize the profit in many cases. Even in the United States of Delaware, the number of appraisal remedy cas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past ten years. In this paper, the measures to prevent the abuse of appraisal rights in comparison with the Delaware General Corporation Law are described.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nd the Delaware General Corporation Law is that the latter admits market-out exceptions.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the abuse of appraisal rights, but prior to tha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viewpoint to look at the function of the appraisal rights. The function of appraisal rights is to adjust interests between the company and the shareholders. If so, it is unreasonable to deny appraisal rights of shareholders of listed companies by reason of sufficient market liquidity.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market value and the fair value accepted by the court, and to protect the majority shareholders is not the function of appraisal rights.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introduce a market-out excep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abuse of appraisal rights. There is an unreasonable part in operation of the Korean appraisal rights system. Currently, in Korea, the requirements for appraisal rights of listed companies and non-listed companies are different. In the case of a listed company, a shareholder who has acquired shares until the public announcement of merger may exercise appraisal rights. However, this is an unfair discrimination between shareholders of a listed company and those of a non-listed company. It is appropriate to amend the law so that the shareholders of listed companies can also exercise their appraisal rights if they acquire shares until the closing date of the shareholder registry. Next, in the case of Dell, the Delaware Supreme Court ruled that transaction pric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fair value if the structure of MBO does not indicate any procedural problems. There is a problem as the Chancery Court exercised wide discretion in the ruling of Dell and Aruba. In determining fair value, Korean Courts shall also take into account all relevant factors as courts of Delaware does. Therefore determining fair value is entirely at the court’s discretion. Fair value should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general financial principle. So it is not reasonable that court exercises wide discretion in determining fair value. In the future, it seems reasonable for the court to focus on whether determining fair value procedure has secured fairness, rather than valuation methods in appraisal proceedings.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commercial adjustable interest rate, advance payment system as measures to reduce interest for arrears which accrues by the determining fair value, advance payment system. Enforcement of the commercial adjustable interest rate will be a clear way to prevent the abuse of appraisal rights, but it will be hard to enforce it in reality because commercial statutory interest rate has never been revis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Commercial Code. If it is difficult to enforce the revised interest rat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djustable interest rate of interest for arrears. If it is also difficult to enforce, advance payment system is worth considering.

      • KCI등재

        GATT협정 제XX조상의 ‘필요성’ 요건에 대한 검토

        이길원(Lee, Kil Won)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31 No.3

        국가는 때로 공중보건과 환경의 보호 그리고 소비자 안전과 국가안보의 보장 등 사회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의도치 않게 무역장벽을 구성하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즉, 국가가 이러한 사회적 가치들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종종 시장접근, 비차별 등 무역자유화와 관련한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세계무역기구(WTO) 규범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WTO는 국가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WTO가 추구하는 ‘무역자유화’ 사이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을 한다. WTO의 부속협정인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제XX조는 ‘무역자유화’에 대한 예외로 인정받을 수 있는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아주 제한적으로 그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조치의 실체적 내용의 검토과정에서 공중도덕 및 공중보건의 보호, 천연자원의 보존 또는 공급이 부족한 상품의 획득 등 어떠한 정책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지에 따라 해당 조치의 ‘필요성’, ‘관련성’ 또는 ‘필수성’을 각각 검토한다는 것이다. 즉, 정책적 목적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사이의 관계가 어떠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지에 따라 그 관계가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가 어떻게 다른지 공중도덕 및 공중보건의 보호와 국내규범의 준수 등과 같은 정책적 목적과 관련 무역조치 사이에 요구되는 ‘필요성’ 요건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공중도덕과 공중보건의 보호 그리고 국내규범의 준수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필요성’요건을 검토한다. 천연자원의 보존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관련성’과 공급이 부족한 상품의 획득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필수성’ 그리고 무역에 관한 기술장벽(TBT)협정상의 ‘무역장애금지의무’에 따라 요구되는 ‘필요성’도 차례대로 비교·검토한다.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societal values, such as public health, the environment, national security, etc., are essential tasks for state governments. In most instances, trade liberalization and cheaper products and services facilitate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se values. Unfortunately, however, due to its domestic political pressure, a state government may have to adopt measures that constitute barriers to trade in order to protect and promote such values which are, apparently, against the rules established under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The WTO provides exceptions that clearly allow member states to give priority to certain ‘societal values’ over ‘trade liberalization’ in order to strike the balance between the two. Article XX of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GATT), which is the part of the WTO Agreement, enumerates a number of those values that could be justified as exceptions. The notable feature of this provision is that, the measure concerned must be ‘necessary’ to protect public moral and public health, and to secure compliance with laws or regulations.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exceptions, such as the acquisition or distribution of products in general or local short supply and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which require the ‘essentiality’ or the ‘relation’, respectively, of the measure concerned with the societal values pursued. This paper, therefore, discusses about such differences, and on how they have been interpreted by the WTO dispute settlement panels and the Appellate Body.

      • KCI등재

        ‘공급 부족’에 따른 GATT협정상의 일반적 의무에 대한 예외

        이길원(Lee, Kil-Won)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7 국제경제법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GATT 제XX조 (j)호의 ‘공급 부족’에 따른 GATT협정상의 일반적 의무에 대한 예외에 대하여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제II장에서 제XX조 (j)호의 도입 배경과 GATT체제하에서의 관련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제III장에서 ①‘일반적 또는 지역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상품’인 지, ②문제의 조치가 공급이 부족한 상품의 획득 또는 분배에 ‘필수적’인지, ③문제의 조치가 모든 체약당사자가 동 상품의 국제적 공급의 공평한 몫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는 원칙에 합치되는지 그리고 ④이 협정의 다른 규정에 불합치되는 동 조치를 야기한 조건이 존재하지 아니하게 된 즉시 중단되었는지 등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 (j)호의 위반 판단기준에 대해서 India - Solar Cells & Solar Modules 사건에서의 패널과 항소기구의 입장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사회적 가치를 가능한 많이 보호하고자 하는 국가들의 태도를 비추어볼 때, GATT협정 제XX조의 일반적 예외에 따른 다양한 항변 가능성을 검토하여 예외적으로나마 정당한 무역제한조치를 확보하는 것이 건전한 무역질서를 확립하는데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날이 갈수록 비관세장벽이 더 정교해지는 상황에서 수입제한조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자원 고갈위기에 대한 범지구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오늘 ‘공급 부족’ 현상에 대하여 국제경제법적인 관점에서 검토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WTO가 협정상의 의무를 준수하고 다른 회원국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일국이 추구하고자하는 사회적 가치를 존중해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hort supply’ exception under Article XX (j) of GATT. In particular, it first discusses abou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rticle XX (j) and relevant GATT cases in order to provide general understanding of such an exception. On the basis of the recent WTO decisions on India – Solar Cells & Solar Modules, it, then, examines four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onsistency with Article XX (j), namely, ① whether the product at issue is in general or local short supply; ② whether the measure at issue is essential to the acquisition or distribution of products concerned; ③ whether the measure at issue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that all contracting parties are entitled to an equitable share of the international supply of such products; and ④ whether the measure at issue,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other provisions of the Agreement has been discontinued as soon as the conditions giving rise to them had ceased to exist. This paper considers legitimate circumstances for WTO member state governments to deviate from their GATT commitments under Article XX (j). And, it ultimately informs that the WTO respects the societal values that a member wishes to protect as long as it does not infringe upon other members’ rights provided under WTO agreements.

      • KCI등재후보

        GATT/WTO 판례를 통한 GATT 제20조의 분석과 평가

        김대순(Dae-Soon Kim),김민서(Min-Seo Kim)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14 통상법률 Vol.- No.119

        Being the de facto successor to “GATT 1947”, the already twenty-year-old WTO Agreement has accomplished many things it has planned. It is conspicuous, among others, in clarifying the legal regime of GATT, especially Article XX thereof. This provision, entitled “General Exceptions”, provides for important exceptions to national treatment obligations; it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introductory (commonly called “chapeau”) and ten(“a” to “j”) lettered clauses. The ten lettered clauses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therefore should be examined separately. Many questions ensue in interpreting Article XX: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peau and each lettered clause?; are the ten lettered clauses exhaustive or illustrative?; can Article XX equally apply to other agreements than GATT within the WTO regime?; is there any priority in application between the chapeau and the lettered clauses, and if so, why is that?; and how should each clause be interpreted?This paper focused on three exceptions in actuality frequently relied on, that is, clauses (b)(health measures), (d)(enforcement measures), and (g)(conservation measures) of Article XX. It took special note of the difference between “necessary” of clauses (b) and (d), on the one hand, and relating to of clause (g), on the other. The common requirement (“chapeau”) also has been examined by reference to case law of GATT/WTO. This paper traced how the strain between trade and environment triggered by US-Tuna case of GATT 1947 has been relieved by US-Shrimp (Article 21.5-Malaysia) of WTO. Finally, does Article XX permit for Members of WTO to excercise extraterritorial jurisdiction? If so, how far? The case law is not consistent; this question is waiting for a clear answer.

      • KCI등재

        GATT 제21조 안보예외의 WTO 보조금협정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GATT 제20조 일반예외 법리와의 유기적 분석을 중심으로 -

        정누리(Jung, Nu Ri)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66 No.-

        국가안보를 이유로 하는 예외규정은 그간 주장에 대한 확인이나 간접적인 비교로만 사용되고 그다지 적극적으로 원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보호무역주의의 강화와 확산, 다자간 협력체제의 약화 속에 국가안보 예외규정, 특히 GATT 제21조 안보예외의 원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국가안보의 보호를 이유로 미국이 취하고 있는 무역제한 조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산업보조금과 역외보조금 문제가 심화되면서 국제통상체제에서 보조금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보조금은 WTO 보조금협정에 따라 규율되는데, 보조금협정은 일반예외 및 안보예외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관련하여 GATT 제20조 일반예외가 보조금협정을 위시한 다른 WTO협정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선행연구는 어느 정도 존재하지만, GATT 제21조 안보예외가 보조금협정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있어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보조금협정에 GATT 제21조 안보예외가 원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GATT 제20조 일반예외가 여타 상품부속협정, 특히 보조금협정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논의를 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GATT 제21조의 적용과 해석에 대한 포괄적인 사법적 판단이 최초로 이루어진 2019년 Russia-Traffic in Transit 사건의 패널 판정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GATT 제21조 안보예외가 보조금협정 위반에 적용되는지 여부를 분석해 본다. Over the past decade, security exceptions were relied rather on sporadic and informal occasions, and were not invoked actively. However, in the midst of the expansion of trade protectionism and deteriora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system, the invocation of security exceptions, particularly under Article XXI of the GATT, has proliferated. The most obvious and consequential examples of this trend are the trade restrictive measures allegedly take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security by the United States. In the meantime, with the arise of industrial subsidies and transnational subsides, the issue of subsidies has recently come to the fore in the international trading system. Subsidies are disciplined under the WTO SCM Agreement, but the SCM Agreement lacks general and security exceptions. The issue of the applicability of general exceptions under Article XX of the GATT to other WTO agreements, including the SCM Agreement, is appearing quite frequently before the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and thus over the recent years a lively discussion has emerged on this issue. However, the issue of whether security exceptions under Article XXI of the GATT would be available to justify measures inconsistent with the SCM Agreement, devoid of such exception, has still remained untouched.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GATT Article XXI can apply to the SCM Agreement. This paper first introduces arguments in favor and against the applicability of GATT Article XX to the SCM Agreement, along with relevant cases. Then the paper analyzes the applicability of GATT Article XXI to the SCM Agreement, based on the ruling in the Russia-Traffic in Transit case in which, for the first time, security exceptions under Article XXI of the GATT have been interpreted and applied by a WTO Panel in 2019.

      • 디지털 통상 자유화와 ‘정당한 정책 목적’에 의한 규제

        김두식(Doo-Sik Kim) 산업통상자원부 2021 통상법무정책 Vol.- No.2

        디지털 협정은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규범에서 데이터 거버넌스에 관한 규범으로 그 중심이 옮겨지고 있다. 디지털 협정은 데이터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정당한 정책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각국 정부의 규제권한을 명시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협정에서는 정부의 규제를 허용하는 ‘정당한 정책목적’이 무엇이고, 어떻게 그러한 정부규제가 무역자유화에 불필요한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다. 디지털 협정은 일반적으로 GATT 제20조 또는 GATS 제14조의 일반예외를 준용하고, GATS 제14조 bis와 유사한 안보예외 조항을 두고 있다. 이 밖에 특별히 ‘정보의 국경간 이동’과 ‘컴퓨터 현지화 요구 금지’와 관련하여 정부의 규제를 허용하는 조항을 두고 있다. 이 특별예외 조항들은 GATT 및 GATS 협정뿐 아니라 TBT협정의 규정방식과 용어도 차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협정의 예외조항들을 해석, 적용함에 있어서는 많은 혼란과 불확실성이 예상된다. 디지털 협정의 목적과 규율대상이 GATT나 GATS협정과 다를 뿐 아니라, 지역협정의 형태로 존재하는 디지털 협정들은 협정마다 정부의 규제권한을 규정하는 방식과 사용하는 용어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협정상 특별예외 조항을 해석, 적용함에 있어서는 TBT 제2.2조 및 이에 관한 WTO 상소기구의 해석을 상당부분 원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디지털 협정은 정부의 규제권한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면서 그 규제권한의 한계를 설정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TBT협정과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다. 실제로 디지털 협정의 특별예외조항들은 TBT협정 제2.2조와 매우 유사한 규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GATT 및 GATS 일반예외 조항들과 관련 WTO 법리를 디지털 협정의 데이터 거버넌스 규정들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고, 데이터 규제의 특성을 감안하여 GATS 및 GATT상 일반예외 법리에 상당한 수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GATT 및 GATS 일반예외 조항에 명시되지 않는 ‘정당한 정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관련 규제조치를 정당화하기 위하여는, GATS 제14조 (혹은 GATT 제20조)를 매우 유연하게 해석, 준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런 디지털 협정의 특성을 감안할 때, 디지털 관련 국제규범을 수립함에 있어서는 사이버 안보, 개인정보 보호, 소비자 보호, 공정거래 등 건전한 온라인 경제환경 구축과 관련된 국내 법제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우리나라가 추구해야 할 정당한 정책적 가치가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focus of digital trade agreements is moving from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to establishing disciplines relating to data governance. In this regard, digital agreements explicitly recognize governmental ‘rights to regulate’ with a view to achieving ‘legitimate policy objectives’ pursued by each nation. As a corollary, fundamental issues in the realm of digital agreements involve what the ‘legitimate policy objectives’ are, and how to avoid unnecessary obstacles to digital trade resulting from the regulatory measures. Digital agreements, in most cases, provide that GATS Article XIV and/or GATT Article XX apply mutatis mutandis and contain national security exception clauses that resemble GATS Article XIV bis. In addition, they specifically permit each government to take exceptional measures, in furtherance of legitimate policy objectives, restricting cross-border transfer of information and/or requiring localization of computer facilities or their use within its territory. These “special exception” provisions typically borrow the structure of, or languages used in, the GATT/GATS general or security exception provisions as well as the TBT Agreement. Confusions and uncertainties are expected to arise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se ‘right to regulate’ provisions in the digital agreements, as the digital agreements are different from GATS or GATT in terms of their purpose and subject matter and, moreover, the exception provisions significantly vary depending on the digital agreements. Nonetheless, I suggest that insofar as the ’special exception’ provisions are concerned, thei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s could largely be guided by TBT Article 2.2 and the related WTO jurisprudence. In contrast, it seems inapposite to apply GATS Article XIV and GATT Article XX generally to digital agreements in the same manner as WTO panels and Appellate body have applied.

      • KCI등재

        교토대학 소장 금석집첩(金石集帖)에 대하여

        심경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3 No.-

        교토대학 부속도서관에는 일반귀중서로 『금석집첩(金石集帖)』 정편과 속집의 대형219책이 소장되어 있다. 이 둘을 ‘금석집첩(金石集帖)’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조선후기영조 때 정치가 청사(淸沙) 김재로(金在魯, 1682-1759)와 후인(後人)이 엮은 비석 탁본모음이다. 일부 책자의 등에는 ‘흠흠헌(欽欽軒)’이라고 묵서되어 있다, 이것은 김재로의헌호(軒號)로 추정된다. 전체는 항목별로 분류되어 있고, 권차(卷次)는 천자문 순서이다. 219책 가운데 3책은 복본(複本)이다. 교토대학에서 어느 때인가 연필로 외표지에번호를 매긴 것에 의하면 그 시점에서는 230책이 완질이었던 듯하다. 교토대학 소장 『금석집첩』과 『속집첩』에 대해서는 후지모토 유키오 교수가 상세 목록을 작성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교토대학 부속도서관의 정리번호와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또한 『금석집첩』은 묘비(墓碑)의 류와 범비묘비제기사(凡非墓碑諸紀事)의 류를 나누어 수록하고, 묘비의 류는 망자(亡者)의 관직에 따라 정리하되, 김재로 집안의 비문들을 별도로 정리해 두었으며, 음관(蔭官)⋅부인(婦人)⋅호남인(湖南人)⋅영남인(嶺南人)⋅관서북관인(關西北關人)⋅여항인(閭巷人) 등의 항목을 설정해 두었다. 한편, 김재로의 후인이 『금석집첩』의 탁본 목록을 정리하고 추가로 기록한 필사본 『금석록(金石錄)』이 고려대학교 육당문고(六堂文庫)에 이 있다. 이 총목은 ‘천조(天朝)’부터‘석사(釋寺)’까지 34항으로 구성했으며, 2,405점을 본편(本編) 206책, 속편 20책에 나누어 수록했다. 단, 중복이 있어, 실제로는 2,265점의 탁본 목록이 확인된다. 『금석집첩』에 대해서 가쓰라기 스에하루(葛城末治)와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는 규장각에 『금석첩(金石帖)』 39책이 소장되어 있다고 언급한 바 있으나, 현재 규장각에는1책(‘得’자 책)이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형태의 금석첩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육당문고(六堂文庫)에 28책과 개인소장의 5책이 별도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왔으나, 육당문고에서는 교토대학에 없는 ‘邇’자 책, ‘過’자 책, ‘忘’자 책, ‘維’자 책, ‘習’자 책의일부가 확인된다. 그리고 ‘禍’자 책의 예처럼 육당문고에는 교토대학 『금석집첩』과 중복되는 것도 있다. 교토대학의 『금석집첩』에 복본이 3책이 있고, 고려대학교에 별도로28책의 낙질이 있는 것으로 보아, 김재로 등이 『금석집첩』을 제작할 때 일부는 2질을 제작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In Kyoto University Library, 219 volumes of Geumseokjipcheop (金石集帖) Jeongpyeon (the main part) and Sokjip (the sequel) are owned as a general-valuable collection. These books are collectively titled ‘Geumseokjipcheop.’ It is an assortment of rubbings of stone monuments, which was compiled by a politician in the late Joseon king Yeongjo: Cheongsa (淸沙) Kim Jaeroe (金在魯, 1682-1759) and his successors. There is a ink note ‘Heumheumheon (欽欽軒)’ on the spine of some volumes. The note is considered to be a Kim Jaeroe’s manor title (軒號). The entire books are categorized by items, and its volume sequence follows a letter sequence of The Thousand Characters Classic. Three volumes of 219 volumes are duplicated copies. According to a penciled number on the cover, written by Kyoto University at a certain point, it seems that the book collection was 230 volumes in total. Hujimoto Yukio made a detailed list of Guemseokjipcheop and Sokjipcheop in Kyoto University. However, the list have some points that are not correspond with a reference number of Kyoto University library. Guemseokjipcheop separated a category ‘tombstones (墓碑)’ from ‘general articles except tombstones (凡非墓碑諸紀事).’ Also, it arranged the tombstones category by an official title of the deceased, separately arranged epitaphs of Kim Jaeroe’s family. It also set up items such as Eumgwan (蔭官: officials who are specially recruited by a lineage), Buin (婦人: madams), Honamin (湖南人: people from southwestern region), Yeongnamin (嶺南人: people from southeastern region), Gwanseobukgwanin (關西北關人: people from northen region), Yeohanin (閭巷人: middleclass), etc. Meanwhile, Korea University Yukdangmungo (六堂文庫) owns manuscrips Geumseokrok (金石錄), an organized and supplemented list of stone rubbings in Geumseokjipcheop, edited by a successor of Kim Jaeroe. This complete list is composed of 34 categories from Cheonjo (天朝: The emperor’s nation) to Seoksa (釋寺: Buddhist monks and temples). 2,405 pieces of rubbings are contained in the main part 206 volumes and the sequel part 20 volumes. However, it actually has 2,265 pieces of rubbings because of overlaps in the list. About Geumseokjipcheop, Katsuragi Sueharu and Maema Kyousaku mentioned that Gyujanggak owns Geumseokcheop 39 volumes, however currently, Gyujanggak only owns one volume with a ‘得’ letter sequence. Also, Geumseokcheop with the same shape had been known to be owned by Korea University Yukdangmungo (28 volumes) and a private collector (5 volumes). It is confirmed that a ‘邇’ sequence volume, a ‘過’ volume, a ‘忘’ volume, a ‘維’ volume, and part of ‘習’ volume are owned by Yukdangmungo. These volumes are not owned by Kyoto University. Also there are overlaps between Yukdangmungo and Kyoto University, for example the ‘禍’ volume. Considering three duplicated volumes in Kyoto Universiry and 28 separate volumes in Korea University, it can be assumed that some volumes of Geumseokjipcheop was made to two copies at the point of its publication by Kim Jaeroe and his colleag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