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결찰양식이 교정용 브라켓과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에 미치는 영향

        신현정,권오원,김교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5

        마찰력은 치아이동시 활주이동부에 유해한 인자로 인식되어져 왔으나 치아이동에 저항하는 고정원에 있어서는 유리한 인자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즉 마찰력이 작은 결찰법들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치아이동을 도모하는 반면 마찰력이 큰 결찰법들을 이용하여 브라켓의 걸림에 의해 치아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면 고정원을 강화할 수 있다. 인공타액하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교정선과 브라켓 사이의 마찰력 변화, 탄성 모듈과 스테인레스 강 결찰선을 이용하여 각각 결찰양식을 달리 하였을 때의 마찰력 변화 그리고 결찰재의 내료를 달리 하였을 때의 마찰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018" ×.025" 슬롯의 상악 중절치용 standard edgewise twin 브라켓과 .017" ×.022" 스테인레스 강 교정선을 탄성 모듈, .009" 스테인레스 강 결찰선 그리고 .012" 스테인레스 강 결찰선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결찰하였다. 또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찰한 탄성 모듈 결찰군을 결찰 직후와 1주 간격으로 4주간 마찰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탄성 모듈 whole tie시 시간경과에 따른 마찰력은 4주 경과시 가장 높았으나 3주, 2주, 1주, 결찰 직후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탄성 모듈로 결찰시 마찰력은 twisting tie가 가장 높았고 double overlay tie, whole tie, half tie 순으로 나타났으나 twisting tie와 double overlay tie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스테인레스 강 결찰선으로 결찰시 half tie 군이 whole tie 군보다 낮은 마찰력을 보였으며 ligature tying plier로 결찰한 경우가 needle holder로 결찰한 경우보다 더 높았고 .012" 결찰선을 이용한 경우가 .009" 결찰선을 이용한 경우보다 더 높았다(P<0.05). ·통상적인 방법으로 탄성 모듈과 스테인레스 강 결찰선을 이용하여 결찰한 경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he frictional force has been considered as an harmful factor in an active unit where tooth movement occurs, but as an advantageous factor in anchor unit that resist tooth movement. That is, efficient tooth movement is planned by using ligation methods that have low levels of bracket-wire frictional force and the anchorage control can be achieved by using ligation methods that have high levels of bracket-wire frictional force that result in binding of the bracket accompanied by little or no tooth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bracket and wir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of ligation, the material of ligation and the passage of time under artificial saliva. Tested were 0.017×0.022inch stainless steel wires in standard edgewise twin brackets for upper central incisors in a 0.018-inch slot. The wires were ligated into the brackets with elastomeric modules and stainless steel ligatures. Whole tie, half tie, twisting tie and double overlay tie were done with elastomeric modules. With 0.009-inch stainless steel ligature whole tie and half tie were done by needle holder and whole tie by ligature tying plier. With 0.012-inch stainless steel ligature whole ties were done by needle holder. Whole tie groups of elastomeric module were kept in artificial saliva bath at 37℃ for 28 days. The frictional force was recorded by means of an Instron universial testing instrument (4202 INSTRON, Instron Co., U.S.A.) at initial, 7, 14, 21, and 28 days. The results for ligated samples in a simulated oral environment revealed the following: ·In elastomeric module whole tie, 28days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mean static frictional force than any other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ny other group (p>0.05). ·Elastomeric module twisting tie were significantly greater mean static frictional forces than any other ligation metho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isting tie and double overlay tie(p>0.05). Twisting tie, double overlay tie, whole tie, half tie showed differences in decreasing order. ·Stainless steel half tie produced lower mean static frictional force than whole tie, ligature tying plier produced greater mean static frictional force than by needle holder and ligation with 0.012-inch stainless steel ligature produced greater mean static frictional force than with 0.009-inch stainless steel ligature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n static frictional forces of elastomeric whole tie and stainless steel whole tie (p>0.05).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마찰력 개념 이해의 어려움 분석과 한 가지 지도전략의 제안

        김영민,안민영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10

        The concepts of the frictional force held by many Korean students are, `the frictional force on a static object is bigger than the external force, and `When a person walks, the direction of the frictional force on his/her foot is opposite the direction of his/her motion.' Almost all secondary science textbooks explain that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is proportional to normal force. The direction of the frictional force is generally explained in the textbooks as being `opposite the moving direction.' According to an investigation of science teachers' concepts on frictional force, some of them have non-scientific concepts such as `When a car is moving on a road under its own power, a frictional force is acting on the ca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ts motion.' A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s developed by us and was applied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decrease their misconceptions.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마찰력에 대해 가지는 오개념 유형은,`정지해 있는 물체에 수평으로 힘을 가해 움직이지 않으면 가한 힘보다마찰력이 더 크다.', `사람이 걸을 때 발이 지면을 미는 방향과 반대방향이 아니라, 사람의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발에 마찰력이작용한다.'라고 생각하는 것 등이다. 그리고 중학교의 과학 교과서와고등학교 물리에서의 마찰력에 대한 설명을 보면 크기에 대한 설명에서는대부분 수직항력과 표면의 거칠기에 비례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며,방향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물체의 운동 반대 방향으로 지면과의마찰력이 작용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상당수가 `사람이 걸을 때 사람의 진행 반대 방향으로 발에 마찰력이작용한다.'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마찰 면에서의 물체의 상대운동을 강조한 수업 전략을사용하였을 때 마찰력에 대한 오개념을 줄일 수 있었고, 마찰력 개념에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 SCOPUSSCIEKCI등재

        교정용 브라켓과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

        정태종,최목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5

        교정용브라켓과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에 관련된 요소들에는 브라켓의 종류, 교정선의 재질과 형태, 결찰방법의 차이, 건조환경과 타액환경의 차이, 브라켓간 offset의 차이, 브라켓간 거리, 이동속도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 따른 마찰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8종류의 0.018" x 0.025" 상악 견치와 상악 제2 소구치용 브라켓을 슬라이드 위에 부착시키고 0.016" 및 0.016" x 0.022"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같은 크기의 NiTi 교정선 및 Cu-NiTi 교정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조건에서 마찰력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브라켓의 종류에 따른 마찰력의 차이는 Polycrystalline 세라믹 브라켓인 Allure의 평균 마찰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라믹과 합성된 플라스틱 브라켓인 Vogue, 금속 브라켓인 Mini-Twin, 금속 슬롯을 갖는 플라스틱 브라켓인 Elan, monocrystalline 세라믹 브라켓인 Staflre, single 브라켓인 Lewis/Lang, 자가결찰 브라켓인 SPEED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frictionless브라켓인 Shoulder의 평균 마찰력이 가장 낮았다. 자가결찰 브라켓은 원형 교정선에서는 낮은 마찰력을 나타냈고, 사각형 교정선에서는 높은 마찰력을 나타냈다. 2.교정선 재질에 따른 평균마찰력은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이 다른 교정선들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NiTi 교정선, Cu-NiTi 교정선 순으로 평균 마찰력이 높았다. 교정선의 형태에 따른 마찰력은 원형 교정선의 평균마찰력이 각형 교정선보다 낮았다. 3.본 연구에서 스테인레스 강으로 결찰했을 때의 평균마찰력이 탄성모듈로 결찰했을 때에 비해 모든 조건에서 통계학 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건조환경에서의 금속 브라켓에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 NiTi교정선 및 Cu-NiTi교정선의 평균마찰력은 타액환경에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5.브라켓간 offset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마찰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브라켓간 거리의 변화에 대한 마찰력의 차이는 교정선의 재질에 따라 차이가 나며,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은 브라켓간 거리가 감소할 때 마찰력이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NiTi 교정선의 경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브라켓내의 교정선의 이동속도에 따라 마찰력은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교정 치료동안 적정 교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자가결찰 브라켓,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탄성모듈결찰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치료시기에 따라서 요구하는 마찰력이 다르므로 상황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mount of the frictional forces with the brackets and wires, ligation methods, dry/wet, offsets, interbracket distances, velocity and to compare them each other by different conditions. This study tested 0.018" x 0.025" slot sized 8 types of orthodontic bracket systems and 0.016", 0.016" x 0.022" sized stainless steel, NiTi, Cu-NiTi orthodontic wires. One cuspid bracket were positioned on the slide glass and archwire was engaged into bracket and ligated with elastomeric modules. The values of frictional forces were measured with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Polycrystalline ceramic bracket had the highest mean frictional forces and followed and by ceramic reinforced plastic bracket metal bracket, plastic bracket with metal slot, monocrystalline ceramic bracket, single bracket, self-ligating bracket. friction free bracket in descending order. The self-ligating bracket showed low frictional forces in the round wires and high frictional forces in the rectangular wires. 2.Stainless steel wires had the least frictional forces and followed by NiTi, Cu-NiTi wires in descending order. Round wires had lower frictional forces then that of rectangular wires. 3.The stainless steel ligation method had significantly greater mean frictional forces them the elastomeric module ligation method. 4.Artificial saliva statistically increased the frictional forces in stainless steel wire, NiTi wire and Cu-NiTi wire. 5.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ffset change. 6.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bracket distance in stainless steel wire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iTi wires as the interbracket was decreased. 7.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velocity change. From the above findings, self-ligating bracket, stainless steel wires and the elastomeric module ligation method might be effective than any other material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s in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can be correlated to clinical situations seen in orthodontic patient care.

      • KCI등재후보

        테니스화겉창과 테니스 스포츠바닥재간의 마찰관계상관 분석

        김정태 한국운동역학회 2002 한국운동역학회지 Vol.12 No.2

        마찰력(friction)은 급정지나 급출발, 또는 두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미끄럼방지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테니스, 농구, 배구 등 코트 스포츠에 있어서 최적의 마찰력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마찰력은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다른 물체와의 접촉면이 넓을수록, 장력이 클수록 커진다. 또한 표면이 매끄러울 때보다는 거칠수록 커지는 특성을 가지며, 본 연구의 목적은 테니스화겉창과 테니스코트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츠바닥재사이에 마찰력을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으며, 마찰력운동 및 이의 관련 선행 국외 연구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종단적 국외문헌조사를 통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국내 테니스화의 연구와 테니스스포츠바닥재간의 국외 연구활동의 종단적 연구지표로서 스포츠와 스포츠바닥재간의 마찰력 관련주요연구연표를 작성해 봄으로서 연구활동의 경과추이를 조사하였다. 테니스 바닥재 현황으로는 테니스코트의 표층재는 일반적으로 천연재료를 사용한 클레이계코트와 합성재료를 사용한 전 · 천후계 하드코트로 구별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테니스화 겉창과 테니스 스포츠바닥재간의 마찰력의 국외선행연구현황 이해를 돕고, 향후 국내에서 스포츠화 겉창과 마찰력, 스포츠바닥재와 마찰력의 평가에 대한 연구시 국외에서 기 실시된 연구를 중복연구하는 시행착오 방지 및 국외 선행연구에 대한 기초자료 및 연구현황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analysis of friction relation between tennis outsole and tennis plyaing surfaces. Tennis footwear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ennis game equipment. It can support or damage players performance and comfort. Most importantly athletic shoes protect the foot preventing abrasions and injuries. Footwear stability in court sports like tennis is incredibly important since it is estimated that as many as 45% of all lower extremity injuries occur in the foot and ankle. The friction force is the force exerted by a surface as an object moves across it or makes an effort to move across it. The friction force opposes the motion of the object. Friction results when two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closely, causing attractive intermolecular forces between the molecules of the two different surfaces. The outsole provides traction and reduces wear on the midsole. Today's outsoles address sport specific movements (running versus pivoting) and playing surface types. Different areas of the outsole are designed for the distinct frictional needs of specific movements. Traction cre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outsole and the surface allows the shoe to grip the surface. As surfaces, conditions and player motion change, traction may need to vary. An athletic shoe needs to grip well when running but not when pivoting. Laboratory tests have demonstrated force reductions compared to impact on concret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ain, injury and surface hardness. These are a variety of traction patterns on the soles of athletic shoes. Traction like any other shoe characteristic must be commensurate and balanced with the sport. The equal and opposite force does not necessarily travel back up your leg. The surface itself absorbs a portion of the force converting it to other forms of energy. Subsequently, tennis court surfaces are rated not only for pace but also for the percentage of force reduction.

      • KCI등재

        현장시험을 통한 기초 말뚝 부마찰력의 특성과 시공관리

        홍석우 한국도로학회 2012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4 No.3

        In this study the negative skin friction test of foundation pile was performed in order to monitor the negative skin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steel pipe pile installed in soft soil. The monitored frictional stresses obtained from the long-term loading test. Through the long-term frictional stress monitoring test, the economical perio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uperstructure was determ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1) In soft soil, negative skin frictio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rate of settlement. (2) In the friction relationship graph, the period where there is no frictional strain increase is verified and the tim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uperstructure is determined. (3) The pile loading test was performed and the negative skin friction was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the negative skin friction after driving was larger than the negative skin friction obtained from the loading test. 15 days after the construction, the monitored value was similar with the theoretical data. (4) It was determined that even during the occurrence of negative skin friction an economical construction management can be performed using the long-term monitoring method of negative skin friction. 본 연구에서는 교량기초 말뚝의 부주면마찰력 시험을 통하여 연약지반에 타설된 강관말뚝의 부주면마찰력을 측정하였으며장기적인 마찰응력의 관측시험을 통하여 경제적인 상부구조물 시공시기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약지반에서 부마착력의 크기는 침하속도가 클수록 크게 나타났다. (2) 마찰력의 관계 그래프에서 마찰응력의 증감이 없는 시기를확인하여 상부구조물 시공시기를 판단할 수 있었다. (3) 말뚝정재하시험결과와 부주면마찰력 시험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항타직후의 부주면마찰력은 재하시험 시의 마찰응력보다 크게 나오는 것으로 판단되며 15일 경과후의 측정값은 비슷하게 나오는것으로 판단되었고, 이론식에 의한 결과와도 비슷하였다. (4) 부주면마찰력의 장기관측기법을 사용하면 부주면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는 중이라도 적절한 상부구조물의 시공시기를 파악할 수 있어 경제적인 시공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The effect of bracket width on frictional force between bracket and arch wire during sliding tooth movement

        Choi, Won-Cheul,Kim, Tae-Woo,Park, Joo-Young,Kwak, Jae-Hyuk,Na, Hyo-Jeong,Park, Du-Nam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3

        치아의 활주 이동시 교정용 브라켓과 호선 사이의 마찰력은 많은 요인들, 예를 들면 브라켓과 호선의 크기, 형태 그리고 재료, 결찰방법 그리고 브라켓-호선간 각도 등과 관련이 있다. 이런 요인들 대부분에 관하여 명확한 결론이 내려져 있지만 브라켓 폭이 마찰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번 연구는 임상에서와 비슷한 모의 치아 이동시 브라켓 폭이 발생되는 마찰력의 양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폭이 다른 세가지 브라켓 (0.018x0.025 standard) 즉 좁은 것 (2.40mm), 중간 것 (3.00mm), 그리고 넓은 것(4.25mm) 등을 0.016x0.022 스테인레스 스틸 호선과 함께 사용하였다. 세가지 브라켓-호선 조합들은 분속 0.5mm로 4분동안 장치에서 움직이도록 하였고 각각 7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생물학적인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 치아 치조 모형은 치근막과 유사한 탄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는 간접법으로 제작되었다. 게다가 결찰력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브라켓에 레진을 덧붙여서 고무로 결찰함으로써 브라켓 폭의 차이를 보상해주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브라켓-호선 조합의 최대 마찰력은; 좁은것(2.40mm):68.0±94.69 gmf 중간것(3.00mm):72.7±54.98 gmf 넓은것(4.25mm):72.5±94.54 gmf 2. 호선이 브라켓 슬롯을 지나서 나아갈수록 마찰력은 증가하였다. 3. ANOVA 사후검정 결과 임상과 비슷한 모의 실험에서 브라켓 폭은 마찰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rthodontic bracket and arch wire during sliding tooth movement is related to many factors, such as the size, shape and material of both the bracket and wire, ligation method an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bracket and wire. There have been clear conclusions drawn in regard to most of these factors, but as to the effect of bracket width on frictional force there are only conflicting stud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cket width on the amount of frictional forces generated during clinically simulated tooth movement. Three different widths of brackets (0.018x0.025"standard), narrow (2.40mm), medium (3.00mm) and wide (4.25mm) were used in tandem with 0.016x0.022" stainless steel wire. Three bracket-arch wire combinations were drawn on for 4 minutes on a testing apparatus with a head speed of 0.5mm/min and tested 7 times each. To reproduce biological conditions, dentoalveolar models were designed with indirect technique using a material with similar elastic. properties as periodontal ligament (PDL). In addition, to minimize the effect of ligation force, elastomer was used with added resin, which was attached to the bracket to make up for the discrepancies of bracket wid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aximum frictional force for each bracket-arch wire combination was: Narrow (2.40mm) : 68.09±4.69 gmf Medium (3.00mm) : 72.75±4.98 gmf Wide (4.25mm) : 72.59±4.54 gmf 2. Frictional force was increased with more displacement of wire through the bracket slot. 3. The ANOVA post-hoc test showed that the bracket width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frictional force when tested under clinically simulated conditions (P>0.05).

      • SCOPUSSCIEKCI등재

        교정선의 종류, 결찰방법, 타액의 유무에 따른 마찰력의 비교연구

        한정숙,이진우,차경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치아에 부착된 bracket이 교정선을 따라 이동할때 필연적으로 bracket과 교정선, 결찰재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된다. 이에 저자는 동일한 bracket내에서 교정선의 종류, 결찰방법, 건조와 타액상태에 따른 마찰력 차이, 타액의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bracket은 .018"× .025" slot의 상악 견치용 standard edgewise bracket(RMO. USA)이며, 교정선은 .016" , .016" × .022" 크기의 Cobalt-chromium(Elgiloy . RMO. USA), Nickel-titanium(Ni-Ti) (ORTHOLLOY : Goldstar Cable Co. KOREA), Beta- titanium(TMA : ORMCO Co., USA)의 2가지형태의 3종을 이용하여 활주할때의 마찰력을 만능시험기(Instron, M 1000 EC)를 사용하여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각각의 동일조건하에서 교정전의 재질에 따른 마찰력은 Co-Cr, Ni-Ti, β-Ti순으로 증가하였다. 단, 타액상태에서 elastomeric으로 결찰한 .016" 군에서는 예외이다. 2.각 조건하(건조/타액상태, .016" /.016" × .022" ) 에서 결찰방법에 따른 마찰력은 elastomeric보다 stainless steel 결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p<0.05). 3.각각의 교정선과 결찰방법에서 타액 유무에 따른 마찰력은 stainless steel로 결찰한 .016" Co-Cr, Ni-Ti, β-Ti는 타액상태에서 감소하나, stainless steel로 결찰한 .016" × .022" Co-Cr, Ni-Ti, β-Ti는 타액상태에서 증가하였다(p<0.05). 4.각 조건하(건조/타액상태, elastomeric/stainless steel결찰) .016" 과 .016" × .O22"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은 .016" × .022" 교정선에서 증가하였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urfold - to evaluate the general laws of friction applied to orthodontic conditions, to compare archwire materials under these controlled conditions, to compare ligation method, an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artificial saliva on friction with these materials Three wire alloys (Cobalt-chromium, Nickel-titanium, Beta-titanium) in two size wires (.016" ,.016" × .022" ) were examined respect to the bracket (0.18 × .025" standard), and two ligature material (stainless steel, elastomeric) in dry and wer condition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The order of frictional force against alloy materials was Co-Cr (lowest), Ni-Ti, and β -Ti(highest) - with the exception of elastomeric ligation under wet conditions. 2.S.S. ligation gave rise to significantly greater friction than elastomeric ligation did. 3.Testing in the presence of saliva, rather than in dry conditions, decreased the frictional force for S.S. ligation with .016" Co-Cr, Ni-Ti, β -Ti. but, increased the frictional force for 5.5. ligation with .016" × .022" Co-Cr, Ni-Ti, β-Ti. 4.016" ×.022 " wire generated more friction than .016" wire.

      • KCI등재

        물리교육을 위한 운동마찰력 측정 방법의 제안

        전성수,현동걸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11

        Two new methods for measuring the kinetic frictional force were devised and are proposed in this study. One is a method using a spring shooter, and the other is a method using free fall. Th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se methods is their ability to obtain the kinetic frictional force by measuring the elastic potential energy of the spring shooter used to shoot the sample object and the distance the sample object mov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s for calculating the kinetic frictional force. In the existing methods, the kinetic frictional force ar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acceleration of the sample object calculated by using the distance and the times measured between the two positions that the sample object moves into the motion equatio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s in this study was verified by measuring the coefficient of the kinetic frictional force between a wood block and the phenol composite laminate plane. 이 연구에서 운동마찰력을 측정하는 새로운 두 가지 방법이 고안되고 제안되었다. 그 하나는 spring shooter를 사용하는 spring shooter 방법이며, 또 다른 하나는 자유낙하를 사용하는 자유낙하 방법이다. 이들 방법의 중요한 특징은 시료물체를 발사시킨 spring shooter의 탄성운동에너지와 시료물체의 운동한거리를 측정하여 운동마찰력을 구할 수 있다는 것으로, 기존의 마찰력 측정 방법들과는 다르다. 운동마찰력을 구하는 기존의 방법에서는 시료물체가 운동한 두 위치 사이의 거리와 시간을 측정하고, 이들로 부터가속도를 구하며, 운동방정식에 대입하여 운동마찰력이 구해진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들의 타당성은 phenol composite laminate면과 나무블록의 면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마찰력과 운동마찰계수의 측정을통하여 검증하였다.

      • KCI등재

        마찰력을 받는 드럼 브레이크-슈의 동적안정성

        류봉조,류시웅,오부진,김효준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11 No.6

        The paper presents the dynamic stability of a flexible shoe in drum brake systems subjected to a frictional for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drum and the shoe is assumed as a distributed frictional force, while the shute is modeled as an elastic beam supported by two translational springs at both ends and elastic foundations. Governing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by energy expressions, and their numerical results are obtained by employ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critical distributed frictional force and the instability regions are demonstrated by changing the stiffness of two translational springs and elastic foundation parameters. It is also shown that the beam loses its stability by flutter and divergence depending on the stiffness of elastic supports and elastic foundation parameters. Time responses of beams corresponding to their instability types are also demonstrated.

      • 마찰력 모니터링 기반 지능형 CMP 시스템 개발

        정해도(Haedo Jeong) 한국기계가공학회 2008 한국기계가공학회 춘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

        The CMP monitoring system was newly developed by the aid of friction force measurement, resulting from installation of piezoelectric quartz sensor on R&D polisher. The correlation between friction and CMP result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ribological aspects by using the monitoring system. Various friction signals were monitored and analyzed by the change of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pressure, velocity, pad and slurry. First of all, the lubrication regimes were classified with Sommerfeld Number through 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in ILD CMP. And then, the removal mechanism of abrasive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removal rate and coefficient of friction. Especially, the amount of material removal per unit sliding distance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friction force. The uniformity of CMP performances was also deteriorated as coefficient of friction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