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렌체 르네상스와 메디치가 도서관 연구

        윤희윤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3

        Florence is the cradle of the Italian Renaissance. It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medieval humanists’ exploration of ancient Greek and Roman knowledge and culture, the leadership of great monarchs and priests, patronage of the Medici family, etc., free-thinking and creativity of artists, and critic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needs of citizens. However, the Florentine Renaissance could not have blossomed unless the Medici family had collected ancient manuscripts and translations, and built libraries to preserve and provide literature. Based on this logical basis, this study outlined the Florentine renaissance and historic libraries, analyzed the collection and composition of favorite books of the Medici family, and trac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metaphors of the Medici libraries, The San Marco Library (Michelozzo Library), Library of Badia Fiesolana, and the San Lorenzo Library (Laurentian Library) were the priming and birthplace of the Florentine Renaissance despite of many difficulties, including earthquake, fire, restoration, transfer, seizure, and closure. In particular, the San Marco Library, which was opened in 1444 based on the financial support of Cosimo de’ Medici, Michelozzo’s design, and Niccoli’s private collections was the first common library in the Renaissance period. And the architectural highlight of the Laurentian Library, which opened in 1571 under the leadership of Giulio (Papa Clemente Ⅶ), is Michelangelo’s staircase, which symbolizes ‘from ignorance to wisdom’, and the real value of the content is the ancient manuscripts and early printed books, which were collected by the humanist Niccoli and the Medici family. In short, when discussing the Florentine Renaissance, Medici’s collection and historic libraries are very important points. The reason is that the ancient collections were not stuffed products, but syntactic semiotics, and the libraries are telescopes that view the history of human knowledge and culture and microscopes that create knowledge and wisdom. If records dominate memories, libraries accumulate records. Therefore, long breathing and time capsule strategies are also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retroactive books in domestic libraries with a relatively long history. 피렌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요람이다. 그것은 중세 인문주의자들의 고대 그리스․로마의 지식문화 탐구, 위대한 군주와 성직자의 문예적 소양과 리더십, 메디치 가문 등의 문화예술 후원, 예술가의 자유분방한 사유와 창의성, 시민의 비판적 의식과 문화적 욕구 등이 조합된 결과다. 그러나 메디치 가문이 고대 필사본과 중세 번역본을 수집하지 않았다면, 도서관을 건립하여 고전을 보존하고 제공하지 않았으면, 피렌체 르네상스는 개화할 수 없었다. 이러한 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피렌체 르네상스와 역사도서관을 개관한 다음에 메디치가의 고전자료 수집․구성을 분석하고, 메디치 도서관의 건축적 특징과 메타포를 추적하였다. 산 마르코 도서관(미켈로초 도서관), 바디아 피에졸라 도서관, 산 로렌츠 도서관(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은 지진, 화재, 복원, 이관, 압수, 폐쇄 등 무수한 난관에도 불구하고 피렌체 르네상스의 마중물이자 산실이었다. 특히 코시모․로렌초의 재정 지원, 미켈로초 설계, 니콜리 개인장서를 기반으로 1444년 개관한 산 마르코 도서관은 르네상스 시대의 최초 공용도서관이었다. 그리고 줄리오 주도 하에 1571년 개관한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의 건축적 백미는 ‘무지에서 지혜로’를 상징하는 미켈란젤로 계단이고, 내용적 진가는 인문주의자 니콜리와 메디치가가 수집한 고대 필사본과 초기 인쇄본이다. 요컨대 피렌체 르네상스를 논할 때 메디치가 장서와 역사도서관은 매우 중시해야 할 포인트다. 고전은 구시대 박제품이 아니라 통시적 기호학이며, 도서관은 인류 지식문화사를 조감하는 망원경이자 지식과 지혜를 창출하는 현미경이기 때문이다.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면 도서관은 기록을 집적한다. 따라서 비교적 역사가 오래된 국내 도서관의 소급장서 개발과 보존에도 긴 호흡과 타임캡슐 전략이 필요하다.

      • 15C 이탈리아 메디치家 빌라庭園의 造營實態 및 空間構成特性分析

        최종희,김용기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3 論文集 Vol.54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io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Italian Medici villa gardens in 15th century. In this study was selected the cases of the 5 gardens that were constructed as the suburban house of Podesta Medici family in 15th century. To do this, it was studied in two ways: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photographing, research materials about the form of physical structure and review historical documents. The result of analysis in the sight of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was good matched. At the beginning, he concept of construction of the Medici villa gardens had been expressed as intrinsic nature and an ideal of a quiet life of suburb, enjoying of nature of philosopher, poets, politician etc..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Medici Villa gardens was built the hill area where were located in a very good geographical feature with nice looking at mountains and rivers. In the exterior space patterns of the Medici Villa gardens was imported borrowed scenery of surrounding landscape and while placed arranging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asino, terrace, parterre, ninfeo, grotta in trying to formalize the landscap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olitical and social, technical phenomena which constitute the physical construction pattern affected the locational property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neighbor on Medici Villa gardens.

      • KCI등재

        예술·체육의 경영철학과 한림(漢林) 정수봉의 화이부동(和而不同)

        김승호,하형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Hanlim was an executive who fulfilled Dong-jwa-mun-do(同坐問道: a teacher and a student gathers in one place to answer questions in order to seek righteousnes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founder of Dong-A University, Seok-da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stead of cultural industry or economic value, he targeted art and physical education as important things in creating university culture. It was a management philosophy that also considered social responsibilities and spirit of the times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This contemporary era, when these two features move toward to become cultural industry, symbolization of unity and harmony such as Hwa-yi-bu- dong(和而不同); the world of perception such as confronting the Dong-yi-bul-wha(同而不和: the scoundrel may speak the same yet cannot work harmoniously) world rises to surface. It allows us to look back that the management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is not a tool for capital accumulation or competition, but rather in terms of the natural and original value of its existence. In an era where human existence is set as ransom and the purity of senses is set as sales price, Hwa-yi-bu-dong is not a four-character idiom for us, but an epistemological support for art and sports management. This study explores the art management of the House of Medicis, the sports management of Coubertin and the art and sports management of Hanlim under the Hwa-yi-bu-dong phenomenon. Therefore, we will focus on the relationship itself -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is and Renaissance, Coubertin and the Olympics, and Hanlim and creation of university culture. Even if we conceptualize the harmony of the Renaissance, the sportsmanship of the Olympics,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university culture, it was that unity and harmony of body and mind appeared truthful and right in their emotion, leading those concepts to appear positively in our window of consciousness. If however, features regarded erroneous in their emotions appeared, the ransom or sales value that emerged today would have appeared in the window of consciousness. Renaissance art, the Olympic Games, and creation of university culture did not instantaneously appear and disappear in human consciousness, but penetrated continuous time. The House of Medici, Coubertin, and Hanlim all objectified art and physical education and had been realizing one’s self consciousness for a long time in management philosoph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ir correlation without separating subjective and obj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i and Renaissance, Coubertin and the Olympics, and Hanlim and creation of university culture. While the House of Medici and Coubertin specified the range of Hwa-yi-bu-dong, that concept of Hanlim’s is in the state of ‘Entwurf/projet’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He was an executive rightfully perceiving unity and harmony, which are in the state of ‘Geworfenheit/thrownness’ in cultural industrialism, and realized Dong-jwa-mun-do. As Hwa-yi-bu-dong in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arts and sports is categorized into unity and harmony, the three relationships mentioned are being embodied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 Just as the combination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embodied by Medici, Coubertin, and Hanlim with transcendental will is evaluated as self-actualization and management of philosophy with healthy rational reasoning, Hwa-yi-bu-dong should be interpreted while excluding a self-centered tendency, which is to see only what you want to see. 한림(漢林) 정수봉은 동아대학교의 설립자인 석당의 동좌문도(同坐問道) 즉 교육철학을 예술과 체육에서 실현한 경영자이다. 한림에게 있어 예술과 체육은 문화산업이나 경제가치가 아니라 대학문화창조를 구현하는데 있어 중심이자 근원이다. 예술과 체육의 사회적 책무와 시대정신도 고려한 경영철학이다. 예술과 체육이 문화산업으로 치닫는 오늘날 화합과 조화를 상징하는 화이부동(和而不同) 즉 동이불화(同而不和) 세계와 맞대응하는 군자와 같은 인식세계가 수면 위로 부상한다. 예술과 체육의 경영이 자본축적이나 경쟁의 도구가 아니라 본연의 존재가치라는 측면에서 돌아보게 한다. 인간의 존재가 몸값으로 그리고 감각의 순수성이 판매가격으로 책정되는 시대상황에서 화이부동은 이렇듯 우리에게 사자성어가 아니라 예술·체육경영의 본 모습을 들여다보는 인식론적 지지대이다. 이 연구는 메디치가(家)의 예술경영과 쿠베르탱의 체육경영 그리고 한림의 예술·체육경영을 화이부동의 맥락에서 탐구한다. 따라서 메디치가와 르네상스, 쿠베르탱과 올림픽, 한림과 대학문화창조의 관계 자체에 주목한다. 현재 우리가 르네상스의 조화미, 올림픽의 스포츠맨쉽 그리고 대학문화창조의 가능태를 개념화한다고 하더라도, 몸과 정신의 조화와 화합이 그들의 감성에 참되고 올바른 것으로 올라왔기 때문에 긍정적인 것으로 의식의 창에 나타난다. 그러나 만일 그들의 감성에 그르다고 느껴진 것으로 올라왔다면 두말할 필요 없이 오늘날 대두된 몸값이나 판매가치가 그대로 의식의 창에 나타났을 것이다. 르네상스예술과 올림픽 게임 그리고 대학문화창조는 인간의 의식에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시간을 관통한다. 메디치가와 쿠베르탱 그리고 한림이 예술과 체육을 대상화하고 경영철학에서 오랜 기간 자신의 자아의식을 실현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주관과 객관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그것들의 상관관계인 메디치가와 르네상스, 쿠베르탱과 올림픽 그리고 한림과 대학문화창조의 관계성 즉 사태 자체에 주목한다. 메디치가와 쿠베르탱이 화이부동의 범주를 구체화한 반면에, 한림은 조화와 화합이라는 화이부동을 대학문화창조에 기투(Entwurf)한다. 그는 예술과 체육에 피투(Geworfenheit)된 과거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올바르게 의식하고 동좌문도를 실현한 경영자다. 화이부동이 예술·체육의 경영철학에서 조화와 화합으로 범주화되면서 메디치가와 르네상스예술, 쿠베르탱과 올림픽 그리고 한림과 대학문화창조의 관계는 현상학적 접근방법으로 구체화된다. 메디치가와 쿠베르탱 그리고 한림이 초월적 의지로 구현한 예술과 체육의 결합이 자아실현이자 건강한 이성적 사유가 펼쳐진 경영철학으로 평가되어야 하듯이, 화이부동이란 불현듯 나타나거나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자기중심적 경향을 배제한 의식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피렌체 메디치가 연구: 공화정에 내재된 군주정의 계기

        김경희 ( Kyung Hee K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8 韓國 政治 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피렌체의 대부호에서 군주에 오른 메디치가의 정치적 역정을 마키아벨리의 논의에 기대어 고찰하고자 한다. 메디치가는 피렌체 공화정에서 쿠데타가 아닌, 자기 당파와 인민의 지지에 힘입어 군주정의 기반을 마련했다. 마키아벨리는 그 과정을 분석하면서 군주정의 위협은 공화정 외부가 아닌 내부에 있음을 보여준다. 시민들 간의 대립이 파당화로 귀결되면 정치를 당파이익을 위한 사적 경쟁의 장으로 만든다. 뛰어난 인물의 등장은 인민의 지지와 호의를 통해 법률을 뛰어넘는 인기와 힘을 가지게 만든다. 또한 당파싸움의 격화는 권력의 독점과 권력의 사사화로 이끈다. 결국 마키아벨리는 시민들 간의 자유와 평등이 유지되지 않으면, 외관상 공화국이라도 그것은 이미 자발적 복종이 지배하는 군주제가 성립됨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upheaval of the Medici family, which became a monarch in Florence, based on Machiavelli’s analysis. Medici did not rise to the status of monarch in a coup. The foundation of the monarchy was laid in the florentine republic with the support of its own factions and people. Machiavelli analyzed the process of becoming a monarch, and shows that the monarchy's threat of collapsing the republic is not outside, but inside the republic. If the conflicts between the citizens result in a party politics, politics becomes a field of private competition for partisan interests. A virtuous man becomes popular and powerful beyond the law through the support and favor of the people. The intensification of the party struggle leads to a monopoly and a privatization of power. Finally, Machiavelli showed that if there were no citizens who wanted to protect freedom and equality among citizens, it had already established a monarchy dominated by voluntary obedience, even in the republic.

      • KCI등재

        이탈리아 르네상스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정원건축적 특성

        최종희,김규연,최용원 한국전통조경학회 202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정원건축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는 1451년에서 1457년 사이에 코지모의 아들 조반니를 위해 지어진 후 다수의사람이 소유하며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미켈로초가 설계를 하였으며, 알베르티의 전원 거주에 대한 개념이 잘 나타난 첫 번째 르네상스 신축 빌라 사례이다. 둘째, 입지는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가장 큰 특성으로, 피에졸레 급경사지에 지어져 피렌체 일대 경관을한눈에 바라볼 수 있으며, 주변 경관을 빌라 및 정원으로 차경하고 있다. 셋째, 언덕 사면을 이용해 조성된 정원의 전체 구성은 각기다른 높이의 세 단 테라스에 기초하는데, 전체적인 공간 배치 형태는 빌라를 중심으로 종축과 횡축이 교차하는 직교축으로 조성되었다. 넷째, 식생 및 점경물의 경우, 가장 높은 곳의 첫 번째 테라스에는 세 개의 잔디 화단 위로 오래된 오동나무, 장미, 화분에 심긴 레몬나무가 배치되어 있으며. 분수와 벽감이 테라스의 중간과 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두 번째 테라스는 계단을 통해 도달할 수 없고 빌라 또는 문 밖의 경사로를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으며, 특히 비밀의 화원으로 이어지는 등나무 퍼골라가 조성되어 있고, 퍼골라 중앙에는 세 번째 테라스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다. 비밀의 정원은 사분정원의 형태를 띠며, 타원형 연못과 회양목 화단 및 태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아래의 세 번째 테라스에는 원형 분수를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기하학적인 형태의 회양목 화단이 펼쳐지며, 화단 중심에는 커다란 레몬나무와 분수 주변으로는 네 그루의 태산목이 심겨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arde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illa Medici a Fiesol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Italian Renaissance garden, and it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Villa Medici a Fiesole was built between 1451 and 1457 for Giovanni, the son of Cosimo, and then owned by many people and came to the present. It was designed by Michelozzo and is the first newly built Renaissance villa to show Alberti's concept of rural residence. Second, the location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Villa, which was built on the steep slope of the Fiesole and offers a panoramic view of the landscape of Florence. Third,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garden created using the slope is based on three terraces of different heights, and the overall spatial arrangement is made up of an orthogonal axis at whic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intersect around the villa. Fourth, in the case of vegetation and objects, old paulownia, roses, and potted lemon trees are placed on the first terrace on the three lawn flower beds. Fountain and niche are located at the middle and east end of the terrace. The second terrace cannot be reached through stairs, but only through a villa or a ramp outside the door. The second terrace has a wisteria pergola that leads to a secret garden, and in the center of the pergola, there is a staircase that leads to the third terrace. The Secret Garden takes the form of a quarter garden and consists of an oval pond, a coniferous flowerbed, and magnolias. On the third terrace at the bottom, a symmetrically geometric flowerbed spreads out on both sides of a circular fountain, and large lemon trees are in the center of each flowerbed and four magnolias are planted around the fount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