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노인요양시설 과밀 분포 및 입지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현봉,박환용 한국도시행정학회 2019 도시 행정 학보 Vol.32 No.3

        With the population structure changing into that of aged socie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increasing support for elderly welfare; the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 and elderly welfare policies are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elderly care facilities. The government has provided the elderly in need with long-term care benefi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in 2008, which has changed public-based elderly care facility operation into public-based one; as a result, elderly care facilities are now distributed intensively in certain region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factors for their location in the Capital area and present data that could help the government give equal service in terms of policies for operating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and allow elderly care facility operators-to-be to make a rational decision. To do this, the overcrowding index was estimated for elderly care facilities in the unit of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taking supply and demand into account, in analyzing overcrowding distribution; global Moran's I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spatial self-correlation for elderly care facilities; and local Moran's I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high-density regions, taking association with neighboring regions into account. The demographic-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real estate price characteristics,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long-term care characteristic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ose factors for the overcrowding index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the Capital are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geographical factors for the loc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The density of elderly care facilities was very low in Seoul, which is the center of the Capital area, and very high around the Capital area, indicating that there was geographical imbalance of service and that the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crowded in those regions with low real estate price, instead of being determined by the local demand factor. Ultimately, as the people paying the fees for long-term care currently fail to receive equal service, which is expected to worsen,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comprehensive measures again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care facilities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by securing the facilities in low-density regions and by preventing high-density regions from having any problem caused by over-competition. 고령사회로의 인구구조 변화로 인하여 정부에서는 노인의 복지지원을 확대해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와 노인복지정책 등으로 노인요양시설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제정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들에게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중심의 노인요양시설 운영 주체를 민간중심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되어 현재 노인요양시설은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되는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노인요양시설의 분포현황과 입지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운영하는 정부차원에는 형평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적 자료로 활용 할 수 있고 앞으로 노인요양시설을 개설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공급자에게는 입지선택 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자료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요와 공급을 고려한 시군구 단위의 노인요양시설의 과밀 지수를 산정하여 과밀 분포를 분석하였고, 전역적모란분석을 통해 노인요양시설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규명하였으며, 국지적모란분석을 통하여 주변지역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과밀지역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도권 노인요양시설의 과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가구특성, 부동산가격특성, 경제특성, 장기요양특성을 독립변수로 구축하고 공간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노인요양시설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수도권 노인요양시설은 수도권의 중심부인 서울지역은 매우 저밀하였고 수도권 외곽은 매우 과밀한 형태로 도출되어 서비스의 불균형 현상을 알 수 있었고 노인요양시설은 지역의 수요요인보다는 부동산가격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밀집입지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노인장기요양 보험료를 납부하는 국민은 평등한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현상이 심화 될 것이 예상 되는 현 시점에 정부에서는 저밀지역에 노인요양시설을 확보하면서 고밀지역에는 과잉경쟁에 따른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를 하는 등 향후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른 노인요양시설이 증가할 것에 대비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재가 노인과 시설 노인의 장기요양 돌봄 비용에 관한 비교 연구

        이선애(Lee, Sun-Ae)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9 사회복지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재가 노인과 시설 노인의 장기요양 돌봄 비용을 비교 분석하여 장기요양 돌봄 비용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재가 노인과 시설 노인의 장기요양 비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두 집단의 비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재가 노인의 1인당 요보호 평균 총비용이 시설 노인의 1인당 요보호 평균 총비용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가 노인의 생활비는 시설 노인의 생활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가 노인의 요양인건비가 시설 노인의 요양인건비보다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기요양수급 노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도 성별, 연령, 장기요양등급, 질병의 수에 따라 재가 노인의 1인당 요보호 비용이 시설 노인의 비용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측면에서 두 집단의 직접비용만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시설 노인의 1인당 요보호비용이 재가 노인의 비용보다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용의 차이는 간접비용의 요인으로 무급의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으로 추정되었다.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은 약 58만 원으로 추정되었고 이는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음에도 하루 평균 3시간 보호 비용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관점에서 재가 노인의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이 장기요양재정을 절감하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장기 요양재정지출에 관한 정책 결정 시에 직접비용뿐만 아니라 가족에 의한 돌봄 비용까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 하며 가족에 의한 돌봄 서비스의 제도적 보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fficient use of long-term care cos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ng-term care costs of the elderly at home and in the facilities.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ong-term care costs of the elderly at home and the elderly in the facility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sts of the two groups. First, It was turned out ** that the average total cost per person for the elderly at home is higher than the average total cost for the facility s elderly. Second, This shows the living cost of the elderly at home is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in facilities. Third, personnel expense for care of the elderly at hom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Also,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the cost of protection per person for the elderly at hom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y, depending on gender, age, long-term care grades and the number of diseases. However, protection cost per person of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at home in the result of comparing direct cost of the two groups in social aspect. The difference in these costs was estimated as the cost of caring by unpaid families labor as a factor in indirect costs. The care cost by family was estimated at 580,000 won and it showed that the cost of protection for 3 hours a day averagely is more needed, even though the long-term care service is used. Also from a social perspective, it shows that the cost of caring by the family of elderly at home is a factor reducing the long term care budge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 only direct costs but also family carer cos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policy decisions on long term care spending, and I hope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stitutional compensation of care services by family members.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 - Aging in Place 욕구 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김우중 한국장기요양학회 2022 장기요양연구 Vol.10 No.3

        This study examined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personal factors, and how facility satisfaction,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urthermor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ging in Place (AIP) desire before admission and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was examined. Furthermore,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y by dividing them into high and low AIP desire group. The survey data of 433 elderly people living in 47 long-term care facilities nationwide were analyzed. Firs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social support, and facility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AIP desire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it could not be estimated that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AIP desire high group and the low group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facility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to secure an empirical basis for the elderly's AIP desire on life satisfaction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개인적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및 사회적지지와 환경적 요인인 시설만족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우리나라 장기요양정책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반영되고 있는 노인의 Aging in Place(AIP) 욕구와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살던 곳을 떠난 시설 거주노인의 입소 전 AIP 욕구 정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살펴 보았다. 나아가 AIP 욕구 고·저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에 개인적, 환경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47개 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 433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회귀분석 결과 노인장기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사회적지지와 시설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거주노인의 입소 전 AIP 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수간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두 변수 간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추정할 수 없었다. 시설 거주노인의 AIP 욕구 고·저 집단 간에 개인적, 환경적 영향요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설 거주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 방안 및 노인의 AIP 욕구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실증적 근거 확보를 위한 연구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사고 판례분석 연구: 요양사고 유형, 쟁점 사항 및 예방 대책을 중심으로

        윤기혁 ( Youn Ki-hyok ),박경일 ( Park Kyung-il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한 요양사고와 관련된 판례를 요양사고 유형, 쟁점 사항별로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시설에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이후부터 2015년 12월 말까지 소송으로 인하여 법원에서 판결된 7건의 하급심 판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 번째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 발생한 요양사고 중에서 법원소송에 이른 요양사고의 유형은 전도, 배회(무단가출), 오연, 노인학대, 이용자간 트러블, 낙상, 케어 부주의(상해)로 나타났다. 두 번째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사고와 관련된 판례의 주요 쟁점 사안은 주의의무 위반, 예견가능성·회피가능성, 전원지체 과실로 인한 손해 발생(사망과 인관관계), 불법 행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 요양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는 우선 노인요양시설의 요양사고 심각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과 교육을 바탕으로 위험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사고 예방을 위해서 인시던트 보고서 작성을 의무화해야 한다. 그리고 치매노인의 위험 예방 및 보호를 위해 인력배치기준이 강화되어야 하며, 요양사고 발생 시 전원의무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요양사고 예방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해 위험관리매니저(Risk Management Manager)를 선임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udicial precedents on accidents happen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types of accidents and items of disputes in order to find out the measure to prevent the further accidents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focused on 7 judicial precedents on lawsuits tried in the lower courts which happened from July 2008 when the long-term elderly care insurance took effective to the end of December 2015. The study showed us the followings. First, the types of accidents which happen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and which led to the lawsuits in the court include the fall, loitering (without notice), dysphasia, elderly harrassment, trouble between users, fall from bed and careless care (injury). Second, the key disputes arising from the judicial precedents on lawsuits related to the care accidents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include the violation of care obligation, predictability and avoidability, damages due to the delay in prompt care obligation (related to the death) and illegal ac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should be the actions to prevent the care accidents in the elderly car facilities as follows; the severity of the care accident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shall be educated to the practitioners in the facilities and the risk control system shall be constructed. In addition, for accident prevention, the incident reporting shall be made mandatory. The labor displacement standard shall be strengthened for the care and protection of elderlies having dementia. In addition, when the accident occurs, the prompt care shall be sincerely conducted. Lastly, for the prevention and prompt response to the care accident, a risk management manager shall be appointed.

      • KCI등재

        경기도 양주시 및 인근지역의 장기요양기관 추이와 서울시 장기요양공급체계에의 시사점 : 노인의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장봉석 ( Bong-seok Jang ),이경락 ( Kyung-rak Lee ),황재영 ( Jae-young Hwang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장기요양연구 Vol.6 No.2

        사회적 책임에 대한 민간의존의 허용 및 계약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도입·시행은 사회복지서비스 내지 사회서비스공급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바, 장기요양기관의 꾸준한 증가도 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입소시설의 경우 2010년도까지 매년 30% 이상 증가하다가 이후부터는 10% 이내에서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흐름과 달리 경기도 양주시 관내의 장기요양기관 특히 시설급여를 제공하는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수는 최근 3년 내지 5년간 대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군다나, 이러한 현상은 비단 양주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울시와 인접해 있는 다른 시·군에서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양주시 및 서울시와 인접하고 있는 경기도 내 시·군의 노인의료복지시설 현황과 서울시의 장기요양공급체계와 관련한 시사점에 대해 고찰하고, AIP(Aging in place) 내지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 관점에서 이용자의 권리보장을 위한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elderl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llowance of private sector dependence on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the contract-based services, have induced various changes in the manners of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including the steady increas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Particularly, the number of residential facilities has increased by 30% or more every year until 2010, and by less than 10% since then. However, unlike this trend, the number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 Yangju city, Gyeonggi province, particularly the elderly care facilities providing facility allowance, as well as the number of the elderly family care home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recent three to five years. Furthermore, this phenomenon is not limited to Yangju city, which is observed in other cities and counties adjacent to Seoul.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 province, including Yangju city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adjacent to Seoul,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for the long-term care supply system in Seoul.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ies of various countermeasures to ensure the rights of users in terms of aging in place (AIP) or community care.

      • KCI등재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문용필(Moon, yongpil),이호용(Lee, hoyo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문제에 대한 WHO 및 주요국의 정책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기요양시설 노인학대 예방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WHO의 노인학대 위험요인으로 지적된 요인 중에서 장기요양시설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세가지 이슈(노인의 특성(시설내 치매노인 분리수준), 종사자 특성(신체억제대 사용수준, 야간 돌봄인력 처우수준), 시설 특성(시설내 CCTV설치수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많은 국가들에서 시설의 개방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관련 정책으로 옴부즈맨제도, 성인후견인제도 등을 통한 시설방문, 외부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시설의 입소노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장기요양시설 특성상 치매노인, 야간시간대 입소노인의 특성이 고려된 학대예방책이 요구되었다. 셋째, 장기요양시설의 시설종사자의 처우조건, 종사자의 시설환경 수준 등이 각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시설내 학대예방을 위해 시설환경의 향상과 종사자의 처우개선이 중요하였다. 넷째, 향후 입소자 중심 예방정책으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의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WHO, Main countries for improvement of Korean policy. So, This study reviewed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WHO, Main countries. So, This study reviewed risk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tential for abuse of an older person can be identified at individual level, care-woker levels, socio-cultural levels and facilities leve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pennes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emphasized on many countries. There are a need for a policy considerations such as policies of Ombudsman, Adult guardianship for visiting facilities, external monitoring.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workers of treatment condition long-term care facilities each other countries. So It is important to improve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workers of treatment condi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its of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manage dementia elderly and elderly on night tim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 통합에 따른 시설기준 및 공간구성분석에 관한 연구

        좌경웅,공순구,박지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makes up 7% of the total population; Korea is becoming an aged society. In 2015, it made up 13.1% (over 14% of the elderly population).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Korea will become a super elderly society (meaning more than 20% of the population is elderly) by 20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acility collim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integrated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elders so that they can receive various medical services in the same pla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health status through functional integration of hospitals and facilities for the elderly. (Method) In this study, four domestic and foreign facilities were selected that have integrated management types of elderly medical welfare services among the OECD countries with aging societies. We analyzed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functional integration of hospitals and facilities for elders by examining the types of such integrated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facilities and those oversea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suggesting the spatial composition standard of the medical welfare integrated facilities for elders through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of domestic and foreig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and an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We also analyzed the type of facility and space composition ratio. (Results) The space area required for integrated facilities for elders can be divided into medical spaces, care spaces, common spaces, and common use spaces. Restaurants should be located in a position that is accessible to all users. In addition, the thermal therapy room, the occupational therapy room, the language therapy room, and the exercise treatment room should be arranged between the medical area and the care area. The common space area is used by the managers for the machine room, electric room, and staff cafeteria; therefore, it should be inaccessible to general people. (Conclusions) Public art and design have been given a critical role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and space branding, especially in the broad term of city branding, since late 20th Century.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elements working in the process of interactive “participation” in public art and design projects. It provides an analysis of participation-based public art and design’s process mechanism, which i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second generation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with human-centered approaches.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 인구가 전체의 7%를 넘는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으며, 이후 속도가 빨라져 2015년 13.1%를 기록한데 이어 2017년 고령사회(노인 인구 14% 이상), 2026년 초고령사회(노인 인구 20% 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노인보건, 노인복지, 노인주거 등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노인의료·복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 및 서비스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노인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적 통합을 통해 노인들로 하여금 종합적 건강상태의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동일 장소에서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의 시설시준 및 공간구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고령화를 격고 있는 OECD 국가 중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시설유형이 통합 운영되어지고 있는 국내·외 시설 4곳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노인요양 병원과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적 통합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한 후 미국과 일본의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 유형을 분석하여 국내외의 차이점을 파악하였으며 국내·외 노인의료복지관련 시설기준 및 지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의 공간구성 기준을 제안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도출하였고 시설유형 및 공간 구성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에 필요한 공간 영역은 의료영역공간, 요양영역공간, 공통영역공간, 공용영역공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의료영역공간은 노인요양병원의 기능에 속하는 공간으로서 그 중 병동부의 경우 환자들이 장시간 이용하는 공간으로 일조가 잘 되도록 가급적 남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환자들과 간호사들의 외례진료부와 중앙진료부와의 동선연결도 중요하다. 요양영역공간은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에 속하는 공간으로서 노인들이 장시간 이용하는 공간으로 남향을 고려하여 일조에 신경을 써야하고 공통영역과 인접하여 다양한 공간영역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야외활동이 용이하게 완충공간으로의 접근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공통영역공간은 관리기능인 원장실, 사무실, 회의실 등은 모든 기능의 관리가 용이한 중간적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고, 식당은 모든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야 하며, 교육기능인 다목적실과 재활기능인 온열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운동치료실 등은 의료영역과 요양영역의 사이에 배치한다. 공용영역공간은 기계·전기실, 직원식당 등 관리자들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가 적합하다. (결론)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통해 노인의료복지 통합 공간에 영역별로 반영 되야 하는 공간요소를 정리하여 향후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 계획 시 필요한 공간구성 및 공간 구성비를 도출하였고 현재 우리나라의 이원화 되어있는 제도 및 시설이 앞으로 노인의료통합정책이 시행되고 시설통합이 될 경우를 가정하여 시설유형 및 공간구성계획 제안에 있어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 19)로 인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이원웅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8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nxiety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the COVID-19 pandemic was examined. As a research method, a research hypothesis and a research model assum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control were established, and the relevance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ere examined. The survey data for the study were finally collected from 233 care workers’ through a self-writing method survey at 15 elderly care facilities that were able to cooperate for the survey among a total of 79 senior care facilities register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G-city, Gangwon-do.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Structural equation (SEM)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job stress, anxiety control,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diating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set in this study appropriately explain the data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Looking at the relevance of each variable,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nxiety control, anxiety contro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anxiety control,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control, it was found that anxiety control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Based on this study, major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psychological education for care workers’ provid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preparation of support institutions and support manuals for disaster situations.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상황에서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지각된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불안 통제성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불안통제성의 매개 효과를 가정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한 조사자료는 강원도 G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총 79개 노인요양시설 중 조사에 협조할 수 있었던 15개 노인요양시설에서 233명의 요양보호사로부터 자기 기재 방법을 통해 최종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빈도분석 하였고,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불안 통제성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련성과 매개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기 위한 구조방정식(SEM)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은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직무 스트레스는 불안 통제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 통제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불안 통제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불안 통제성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가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불안 통제성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인 심리교육과 재난 상황에 대비한 지원 기관과 지원 매뉴얼 마련에 주요한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노인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시설적응에 관한 연구 - 문화기술지 방법론을 활용하여 -

        백종진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여성노인의 시설적응과정을 시설에 입소할 때부터 삶의 맥락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장기노인입소시설에 입소 후 환경적, 동료관계, 시설측면에서 어떤 과정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 문화기술지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는 5명으로 성별은 모두 여성이다. 연구참여자의 연령은 70세부터 85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본 연구결과 크게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입소과정에서의 경험과 입소 후 초기에서의 시설적응경험, 현재 입소생활에서의 만족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연구자가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입소초기와 달리 현재의 시설적응상태가 신체적, 정서적으로 만족도가 낮음을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적 실천적 측면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derly women is a process of adaptation oflong-term care facilities. In detail, what their experience are long-term care facilities environment,colleague relation in long-term care faciliities. The method of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Studyparticipants, and gender is female. Age at the age of 70 until the age of 85, the number of 5womens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ethnographic methodology. Significantly asa result of this study, the elderly wome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showed in the experience ofthe admission process from the initial admission and experience, currently a resident of satisfactionin life can be summed up the physical and emotionally state was low satisfaction. Thus, it suggesta practically policy in social welfar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ies.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상조 ( Lee Sang-jo ),조성숙 ( Cho Sungs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요양보호사들의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북지역 10개 시·군 소재 22개의 노인요양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21.0과 AMOS v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내 갈등과 이직의도 사이에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작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조직 내 갈등의 하위요인들과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라서 조절효과의 작용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요인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요양시설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에 유용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efficiently manage organizational conflicts of care workers working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and further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onflict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se variables. For these purposes, we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surveys among the care workers engaged in the 22 elderly care facilities in 10 cities and counties of Gyeongbuk provinc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ith the SPSS WIN v21.0 and the AMOS v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onflict of care work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Second, although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found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effect varied depending on the types of social suppor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varied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flict and social support.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nflicts among care worker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