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시도된 통합과 주제 중심 고등학교 경제교육과정

        김경모 한국경제교육학회 2022 경제교육연구 Vol.29 No.2

        In the [Common Social Studies] of the 6th curriculum, the 2007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conomic curriculum, not the typically concept-oriented of economics, was attempted in high school economic education. These attempts, which can be called a topic, problem, or issue-oriented economic curriculum,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subject in mind, more narrowly, the general social studies. Nevertheles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grouping these four economic curriculum into one category. In this study, these four high school economic curriculum were evaluated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revis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economic-related content. Through thi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se curriculum were reviewed as economic curriculum in which the concept of economics was not emphasized relatively or integrated topic-oriented economic curriculum. 제6차 교육과정의 [공통사회],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에서는 고등학교 경제교육에서 전형적인 경제학의 개념 중심이 아닌 경제교육과정이 시도된 바 있다. 주제, 문제 혹은 쟁점 중심 경제교육과정으로 불릴 수 있는 이러한 시도들은 범 사회과 혹은 사회과 더 좁게는 일반사회 내의 통합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 이들 네 가지 경제교육과정을 하나의 범주로 묶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경제 관련 내용의 분석에 기초해서 이들 네 가지 고등학교 경제교육과정에 대한 경제교육적인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경제학의 개념이 강조되지 않은 형태의 경제교육과정, 혹은 통합지향적인 주제 중심 경제교육과정으로서 이들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와 경제학: 학술지 분석 및 방향성 모색을 중심으로

        나희량 ( Hee Ryang Ra ) 한국동남아학회 2012 동남아시아연구 Vol.22 No.2

        This paper examines the performances of economics for Southeast Asian studies and find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s and Southeast Asian studies in Korea. Based on this we try to find the direction and the way how economics contributes to Southeast Asian studies. First of all, we look into several journals on area studies, such as Review of Southeast Asia, and find out that economics researches on Southeast Asia are much fewer than expected. This shows that Korean economists are not much interested in the issue of Southeast Asia and reflects the academic differences as discipline in economics and interdisciplinary Southeast Asian studies. However, we could find the common area that economics and Southeast Asian studies can share. Also, we suggest some points that economics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Southeast Asian studies toward a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t includ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international, and development economics.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economic integration by globalization needs new and modified economic theory and methodology for research on Southeast Asia. Adopting the objective and statistical methodology of economics could level up Southeast Asian studies as social science. Also, Southeast Asian studies need to recruit more actively economics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y. Economics could at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outheast Asian studies.

      • KCI등재

        사회과 교사의 배경이 경제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경호 ( Kyung Ho Jang ),한경동 ( Kyung Dong Hahn ),김경모 ( Kyung Mo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4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social studies teachers` background on their attitudes to economic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s in Korea. We consider sex, age, career, city size, credit hours for economics, and undergraduate department as their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economic education, we consider only social studies teachers` attitudes to economic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s in Korea using the survey data in 2007. We found that the number of economics class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majors at undergraduates. Most teachers with economics majors took at least three economics classes at undergraduates while most teachers with non-economics majors took one or two economics classes only. We also found that the teaching subj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majors at undergraduates. Teachers with economics majors tend to teach economics classes voluntarily, but those with non-economics majors tend to teach economics chapters of social studies classes during a process of distributing classes to meet obligatory time for teaching. We conjecture that teachers with non-economics majors teach economics-related classes less voluntarily as they achieve inadequate economic literacy for secondary economic classes due to insufficient credit hours for economics classes. On the contrary to the traditional thoughts that female teachers have a tendency to avoid teaching economic classes, we found that sexual status affects their attitude to teach social studies classes but not economics classes.

      • KCI등재

        중국경제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오동윤(Dong Yoon Oh),김태식(Taeshik Kim)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8 중국과 중국학 Vol.- No.33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경제 연구의 흐름을 정리 · 분석했다. 중국경제 연구의 비중이 높은 「한중사회과학연구, 「중국과 중국학」, 「동북아경제연구」를 중심으로 중국경제를 연구한 666개 논문을 선정했고, 이를 중주제와 대주제 분류한 후 각 주제별 연구의 흐름을 짚어봤다. 초기에 중국경제 연구는 지역학에 기반을 뒀으며, 중국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학자들이 중국경제 연구에 참여하면서부터 연구의 주제와 방법이 다양해졌다. 특히, 실증분석 활용함으로써 중국경제 연구가 지역학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서서히 경제학으로 그 중심이 이동했다. 특히, 거시경제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가장 두드러졌다. 아울러 지역학에 기반을 둔 연구도 주제가 다양해졌으며, 그 수 또한 크게 증가했다. 따라서 중국 경제 연구는 질과 양에서 성장을 거듭했다. 그러나 중국이 세계 경제와 정치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한국경제의 대중국 의존도가 커지면서 보다 심도 있는 중국경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지역학에 기반을 둔 중국경제 연구가 정통 경제학과 융합연구를 통해 연구의 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flow of Chinese economic research from 1997 to 2016. To do so, we selected 666 papers from the three top journals – Korea-Chinese Social Science Studies, Chin and Sinology and the Journal of Northeast Asian Economic Studies. Chinese economic research was based on area studies. By utilizing empirical analysis, Chinese economic research has overcome the limits of area studies and gradually shifted the focus of research to economics. In addition, the existing research based on area studies has diversified, and the number ha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Chinese economic research has grown in quality and quantity. However, with the growing Korea’s dependence on China and China’s stature in the global economy and politics, it is time for Chinese economic research to upgrade. Therefore, Chinese economic research based on area studies should boost the value of research through joint research with economics.

      • KCI등재

        근대 일본 식민정책학의 전후(戰後) - 아시아 연구의 관전사(貫戰史) -

        박양신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학 Vol.53 No.-

        This paper analyzes the academic achivement of Keio University professor Yamamoto Noboru and traces how prewar colonial studies research leads to postwar Asian studies from a trans-war history perspective. Through this, it is clarified that the study of colonial studies before the war was one of the sources of Asian studies in postwar Japan. Before the war, Yamamoto analyzed the economy of Korea and Taiwan as having a typical colonial character, such as the supply of raw materials and food and consumption of domestic products. In the 1940s, he theorize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proposed by the government as ‘East Asia Greater Economic Theory’, while starting research on Southern Asia. After the end of the war, each university changed the course of ‘colonial policy’ to ‘international economy (theory)’, and colonial policy studies finally reborn as international economics. Yamamoto continued his studies on Asia based on the study of the Southern Asia, which he had undertaken before the war, while converting his major to international economy. Yamamoto's research on Asia focused on economic development in Asia and the formation of an economic cooperation system in the Asian region. He emphasized tha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 is essential in economic development in Asia, and insisted on the conception of an ‘economic development community’. 이 글은 게이오기주쿠대학 교수 야마모토 노보루(山本登)를 대상으로 전전의 식민정책학 연구가 전후 아시아 연구로 이어지는 양상을 관전사(貫戰史)의 시점에서 추적함으로써 식민정책학 연구가 전후 일본의 아시아 연구의 한 원류였음을 밝힌다. 전전 야마모토는 조선과 대만의 경제를 원료 및 식량의 공급과 본국 공산품의 소비라는 전형적인 식민지적=‘외지적’ 성격을 갖춘 것으로 분석했다. 그 위에 1940년대 들어 정부가 제창한 ‘대동아공영권’을 ‘동아광역경제권론’으로 이론화하여 동남아시아=‘남방’을 포함한 ‘동아’ 지역 내 경제의 유기적 결합을 논하는 한편, ‘남방’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패전 후 일본의 식민지 상실에 따라 식민정책학은 존립 근거를 잃고, 각 대학에서는 ‘식민정책’ 강좌를 세계경제(론) 내지 국제경제(론)으로 바꾸고, 식민정책학은 마침내 국제경제학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야마모토는 세계경제로 전공을 전환하면서도 전전에 착수했던 남방 연구를 기반으로 해서 아시아 연구를 이어가는 한편, 아시아 연구의 재건을 위해 아시아경제연구소의 설립, 아시아정경학회 창설 등에 관여했다. 전후 야마모토의 아시아 연구는 아시아 경제개발과 아시아 지역 내 경제협력체제의 형성에 집중되었다. 그는 아시아 경제개발에서 외자의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으며, 지역 내 경제협력체 구성을 둘러싸고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을 했다. 그 결과 복수의 저개발국이 외국 원조의 공동 수용기구를 수립하여, 이것을 공동의 개발기구로 발전시켜간다는 ‘경제개발공동체’를 구상하고 그것을 자신의 지론으로 주장해갔다.

      • KCI등재후보

        불교의 지형과 불교학의 방법 ―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의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와 미래 - ‘연기적 앎’에서 ‘중도적 삶’으로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이 논문은 ‘뉴노멀’과 ‘코로나’ 시대에 붓다의 중도 자비와 연기 지혜에서 비롯된 인문학 불교학의 현재 지형과 미래 방법에 대해 고민한 글이다. 고타마 붓다는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고통인 생(로병)사의 과제를 해결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주었다. 붓다가 성취한 깨침의 완성 즉 생사의 극복은 붓다 내면의 성취로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그의 성취는 인류의 지혜였으며 오늘 여기와 바로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주요한 고통의 해결과 다르기 않기 때문이다. 불교의 중도행과 연기법 및 사선정과 삼명육통, 불교학의 연기론과 일승론, 불타론과 보살설, 심식설과 불성론, 수도론과 열반론 등은 붓다가 성취한 깨침으로 나아가는 우리들의 과제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과제가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만 할까? 먼저 우리의 피부에 가까이 다가오는 사성제의 고통의 자각-진단-처방-치유의 지형과 방법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대의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과제는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고통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과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제시된 것이 살아있는 불교학일 것이다. 살아있는 불교학은 불교학 고유의 주제들에 대해 궁구하면서도 동시대 사람들의 이해와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서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학문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늘 여기를 사는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표준으로 등장하는 문제들과 접목해서 해석하고 해명해야 할 것이다.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현재와 미래의 화두 또한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의 기반에 의거한 불교생사철학과 불교경제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토대에 의거한 불교생태철학과 불교경영학 등과 같은 간주관적(inter subjectivity)이고 융복합적(cross over)인 학문을 통한 상호 소통과 상호 실현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과 기술, 문학과 역사, 철학과 종교, 예술과 교육 등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의 고통에 대한 자각-진단-처방-치유의 과정을 통해 진리의 확신-이해-수행-체증의 과정으로 나아가는 것이 요청된다. 결국 인문학자 불교학자들의 화두는 순수불교학과 이론불교학 및 응용불교학과 실천불교학의 경계를 과감하게 넘어서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 문제에 대해 널리 화쟁하고 깊이 회통하여 지혜의 길을 열어가는 것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landscape and future method of Buddhist studies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and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This method originally derived from the Middle Way of Compassion and Wisdo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Buddha. Gotama Buddha showed us the way of wisdom by resolving the suffering caused by the cyclic existence of birth and death,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uffering that human beings face. The great enlightenment that Buddha accomplished ―in other words, the attainment of release from the world of recurring rebirth ―was not his only accomplishment. Because the wisdom that he attained became the wisdom of humanity, the suffering he resolved is the very suffering that we face now to resolve. The teaching of Buddha’s Middle Way, Dependent Origination, four stages of meditation, three kinds of wisdom, and six supernormal powers is what we must practice to attain Buddha’s enlightenment. Theories of Buddhist studies, such as Dependent Origination, one vehicle, Buddha and Bodhisattva, mind and consciousness, Buddha nature, path of cultivation, and nirvana, lead us to the same path. Is there any more tangible way to accomplish this goal of the extinction of suffering? To become more active and enthusiastic in striving for this outcome, we can use the four stages of method: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healing. The current challenge of Humanist-and Buddhist-studies of this era is identifying the fundamental solution and specific method for real-life situations and resolving the great suffering we face at present. Only when an idea suggests the solution for the suffering in this era will it be qualified to be called living Buddhist studies. Therefore, to become living Buddhist studies, a solution must interact with people and understand people’s needs. To do so, Buddhist studies must be able to interpret and explain ideas that are relevant to the real-life issues that people face, especially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science, technology,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rt,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nd future koan of Humanist- and Buddhist-studies scholars will b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intersubjective studies ―such as pure, theoretical Buddhist studies ―and cross-over Buddhist studies, such as applied Buddhist studies, practical Buddhist studies, Buddhist life and death philosophy, Buddhist economics, and Buddhist ecology philosophy, Buddhist business administration. To resolve this issue, Buddhist studies must undergo the aforementioned four stages of process (self-awareness - diagnosis - remedy - healing) in real-life issues; this process will correspond to the four stages of practice in the Mahayana era (faith - understanding - practice - enlightenment to the truth). Eventually, this fundamental koan should open the path of wisdom by moving beyond these theories to help people get released from the suffering in the present era.

      • KCI등재

        경제학의 변용과 해외지역연구의 방향 : 국제경제학과 지역경제학의 통합화 현상을 중심으로

        황원규 국제지역학회 2001 국제지역연구 Vol.5 No.1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area studies in Korea are in question. While scholars in this field have devoted significant efforts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relatively less endeavors have made to elaborate its methodology and to enrich its contents. In this context, contributions by economists to area studies are essential to upgrade the discipline's scientific level. In spite of growing needs on economic information of foreign states in the real world and the applicability of economics methodology to area studies, interactions between two academic fields are yet to be developed. The on-going metamorphosis in economics brings significant implications on area studies. Most of all, the integrating trends between regional economics and international economics is the most relevant development for area specialists to watch. The birth of new economic geography, yet to overcome controversies about its identity, might be the end result of the trends. It can be a useful tool to analyze evolution among regions, which is again one of quintessential parts of area studies. The current thesis also addresses suggestions to make area studies in Korea to be a full-fledged academic discipline.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경제단원 콘텐츠 시안의 비판적 검토

        이준혁 한국경제교육학회 2012 경제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the contents of the tentative digital textbook for exploring the directions of the content construction of economics-related unit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 to be used in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nation two or three years later. Putting the findings of content analysis on economics-related unit in the tentative digital textbook, the problems in the unit were as follows: ⅰ) The tentative contents were not developed effectively to aid school learners in understanding economic terms ; ⅱ) There were few materials to help children explore the economic world in the tentative contents ; ⅲ) The contents did not contain materials for economic learning motivation sufficiently ; ⅳ) There were not content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aragraphs or sentences of social studies textbook appropriately and directly to help school learners go beyond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m. These problems imply that economics-related units in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contain more materials for economic learning motivation as well as more well-planned contents to help students search and understand the economic world.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개발될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경제단원의 효과적인 내용 구성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경제교육의 효율성 측면에서 사회과 디지털 시안 교과서 경제단원의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사회과 디지털 시안 교과서 경제단원의 콘텐츠들을 검토해 본 결과, 다양한 교수ㆍ학습 편의 기능과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경제세계에 대한 아동들의 이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느냐라는 측면에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검토해 보았을 때, 경제 용어 학습 지원 기능과 학습 동기 유발 지원 기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들이 경제세계의 이해를 위한 탐구 활동을 지원하는 콘텐츠가 미흡하고,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콘텐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콘텐츠 시안을 토대로 개발될 향후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경제단원은 이러한 미비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향에서 그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ⅰ) 아동용 용어 학습 지원 콘텐츠 구성, ⅱ) 안내된 탐구 활동형 콘텐츠의 강화, ⅲ) 문제 중심 학습 동기 유발형 콘텐츠 제시, ⅳ) 텍스트-해설형 콘텐츠 제시 본 연구를 계기로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디지털교과서에 눈을 돌리기를 바라며, 특히 후속 연구에서는 지리와 역사 영역 등 사회과교육의 내용 영역별 교과 전문가들로부터 영역-특수적 (domain-specific) 관점에서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원 내용 구성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2007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 경제 단원 내용 구성의 적합성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준혁 ( Jun Hyuk Yi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1 경제교육연구 Vol.18 No.1

        This study tried to analyze connectedness between the 2007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economics-related uni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o analyze it, the curriculum and its guidelines as well as the new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4rd & 6rd graders were reviewed. Putting the findings of content analysis on the textbooks and the curriculum, the most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economic education were included and reflected well in the economics-related uni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ut some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economic education were not treated or were in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units. Teachers will have to teach the curriculum contents that were not treated or were in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economics-related uni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revealed by this study. To help teach these curriculum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북한 학술지에 나타난 북한의 경제학 -영역별 연구의 주요 주제와 현실정합성-

        진유정 ( Yoo Jeong Ji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0 북한학연구 Vol.6 No.2

        이 글의 목적은 북한의 경제학 관련 주요 학술지들이라고 할 수 있는 『경제연구』와 『김일성종합대학학보』에 게재된 경제학 관련 논문들을 중심으로 분단 이후 60여 년 동안 북한에서 이루어진 경제학 연구의 주요 주제들을 파악·정리하고 북한 경제학 연구의 현실정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제로 북한 경제학의 학문영역을 크게 그 각각을 다시 세분함과 동시에 그 분류기준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경제연구』와 『김일성종합대학학보』의 북한 경제학 연구현황을 분류기준에 맞춰 영역별로 제시하고 주요 연구주제들을 파악·정리하였다. 이어 『경제연구(1956-1967/1985-1995)』의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평가기준의 제시와 함께 북한경제학의 현실정합성을 평가하였다. 제시된 평가기준을 전제로 할 경우 북한의 경제학 연구는 실증분석이 결여된 연구들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전반적으로 현실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ain research topics of North Korea`s study of economics and evaluate the relevance to the reality of North Korea`s study of economics through the analysis of articles in Studies on Economy and the Gazzettes of Kimilsung Univ. which are the major North Korea`s Academic Journals of economic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article classified North Korean economics into six parts (political economy, pure economics, department economics, world economics, demography and statistics) and each part was divided in detail, The classification is a prerequisite for conducting the study systematically, And the article presented the study status of each part and sorted out the main research topics of articles in Studies on Economy and the Gazzettes of Kimilsung Univ, And then it evaluated the relevance to the reality of North Korea`s study of economics through the analysis of articles in Studies on Economy and the Gazzettes of Kimilsung Univ,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the relevance to the reality of North Korea`s study of economics is generally low level because of the lack of posi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