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유전체 연구와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 ELSI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윤정로(Yoon Jeong-Ro) 한국과학기술학회 2001 과학기술학연구 Vol.1 No.2

        생명공학의 문제는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프론티어 영역이다. 이 글은 생명공학의 사회적 함의에 대한 외국과 국내의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은 과학적 탐구와 동시에 그에 함축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분석과 대처방안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목표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일환으로 ELSI(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현재 ELSI가 생명공학의 사회적 함의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방식을 지칭하는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 10여년간의 ELSI 프로그램 운영으로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보건의료 정책, 연구와 임상치료 활동에 성과를 거두었지만, 당초의 포부에는 미흡하며 새로운 이슈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전통적으로 생명윤리의 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규제장치를 마련하였다. 유럽에서는 국가별 내부 규약뿐만 아니라 EU 차원의 공동규약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HUGO, UNESCO, WHO 등의 국제기구도 ELSI 문제에 적극적 관심을 보인다. 한국의 ELSI 프로그램은 과학기술부 지원 21세기 프론티어사업 중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의 일환으로 2001년부터 지원되기 시작했다. ELSI 프로그램은 생명공학을 둘러싼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국가적 전략과 정책으로 구체화하는 ‘사회적 학습’(societal learning)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 향후 한국의 ELSI 프로그램은 생명공학 전반과 정보통신, 나노기술 등 광범위한 첨단기술 분야로 범위가 확대되고, 선택과 집중의 전략이 필요하며, 인문사회과학 뿐만 아니라 자연과학과 의학의 학제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Social issues surrounding biotechnology are the new frontier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is article surveys the ELSI (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programs, a generic term for comprehensive approach to explore the social implications of biotechnology, in the U. S. and Europe,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ELSI program to take. In an effort to cope with the ethical and social issues involved in the scientific research of human genomics, the ELSI program has been included in the Human Genome Project of the U. S. since 1990. Despite the Significant impact on the raised social awareness and improvements in the ethical standard of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and public health policy, the vision of the ELSI program remains far from being realized in the U. S. Against the backdrop of traditional attentiveness to bioethical issues and rising industrial interest in biotechnology, ELSI programs have recently been launched in European counties and at EU level as wel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HUGO, UNESCO, and WHO, have been interested in ELSI programs. The first ELSI project in Korea was launched in 2001 as a research project of the Center for Functional Analysis of Human Genome, a 21st Century Frontier Project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uthor points out three issues to be urgently addressed for the promotion of ELSI programs in Korea: the expansion of funding, priority-setting, and active cross-fertilization among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medical sciences.

      • KCI등재

        첨단과학연구의 윤리·법·사회적 함의(ELSI) 연구의 개념과 한국의 ELSI 연구 경험

        이일학,양지현 한국의료윤리학회 2022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5 No.2

        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ELSI) research was introduced in the 1990s as part of an effort to carry out responsible research in human genetics and genomics. Since then it has become a common practice associated with large-scale research in the life sciences. This article argues that ELSI research that is suitable for Korea society should (a) focus on high-priority and specific issues, (b) relate directly to ongoing scientific research, and (c) be informed by a broad range of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not only law and ethics, but also economics, anthropology and other area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t is an essential task of ELSI researchers in Korea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op-down and bottom-up research can be combined to reflect the perspectives of variety of groups and perspectives. A further objective of ELSI research is to establish a research infrastructure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the public, the government, and other stakeholders. 첨단과학연구의 윤리·법·사회적 함의 연구(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 study, ELSI 연구)는 1990년대 인간유전체연구의 책임 있는 수행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된 이후 규모가 큰 생명과학 연구에 수반되는 연구 관행이 되었다. ELSI 연구가 수행되어 온 배경, 방법론적 특징 및 비판 등을 고려해볼 때 ELSI 연구는 개별 연구를 종합하여 관리하는 사업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한국 사회에 맞는 ELSI 연구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1) 우선성이 높은 구체적인 이슈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2) 진행 중인 과학연구와 직접 관계된 ELSI를 수행하며, 3) 법학, 윤리학을 넘어서 사회과학, 특히 경제학이나 인류학, 종교학 등 및 다양한 인문학적 관점을 포섭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Top-down 연구와 Bottom-up 연구가 서로 조합을 이루어 다양한 집단의 관점을 반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폭넓은 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한국 ELSI 연구의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연구 인프라로서의 서비스를 상시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연구자, 대중,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소통을 매개하는 것 역시 ELSI 연구의 발전적 지향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이일학,김성혜,유승협,김소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2 생명윤리정책연구 Vol.6 No.2

        Personalized genetic medicine(PGM)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genetic information and diseases, and to find a potential treatment and diagnostic method. Large research projects are under way with social concerns. ELSI research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 of an innovative research from humanistic perspectives, and communicating the understanding with society and with scientists, thereby providing practical and concrete recommendations and guides. Of the ELSI studies, ethics of PGM research searches the value problems embedded in various perspectives on PGM and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whether it is permissible to implement certain types of research. A framework for ethical analysis is proposed and explained. The concept of risk in general was explored and its implication for ethical review of PGM in relation with the natures of PGM was given. The risks can be categorized: risks associated with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research/practice, risks associated with human eras and risks related social construction and (in)justic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risk will help the IRB’'s reviewing the PGM researches.

      • Regul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Ethically in the Bio-Economy : A Preliminary Enquiry

        Capps, Benjamin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3 BIOMEDICAL LAW & ETHICS Vol.7 No.1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are an exciting development, and conspicuously avoid some of the pitfalls of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 principally there is no need to destroy nascent human life to obtain them because they are reprogrammed from somatic cells. This has led some to proclaim that IPSCs are ‘ethically clean’. In this paper, I counter this claim by describing some of the issues that do pertain to IPSCs; while they do not have the same ethical baggage as their embryonic counterparts, they do challenge existing legislative regimes and create regulatory puzzles, and, depending on how we choose to approach them, intrigu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o socio-legal convention. This enquiry begins by considering the context in which these challenges arise - what some have called the ‘BioEconomy’, before evaluating an ELSI approach to ethics and law, and finally analysing some distinct regulatory issues that IPSCs raise.

      • KCI등재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정창록 ( Chang Rok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개인별 맞춤의료는 환자중심적인 의학적 선택과 실천과 상품들을 포함하는 미래의학의 모델이다. 개인별 유전학은 개별 유전자 분석과 연관된 유전학의 한 분야이다. 유전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별 맞춤 의료의 어떤 측면들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왜 프라이버시가 본질적으로 중요한가? 의료의 초기부터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환자와 의사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서 어떻게 프라이버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증가시키는가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연구의 중요한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발생하는 개인에 대한 이득과 해악에 관한 것을 파악하는 것이다. 개인별 맞춤 유전체 치료는 개인의 유전적 정보 분석을 전제로 한다. 인간유전체 연구를 인간 유전자 정보에 관한 연구로 볼 수도 있다면 현재 인터넷 사회에서 정보 유출과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이듯이 인간유전체 연구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를 위해 우선 인간유전체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문제를 다루어 본다. 이후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을 기술적 차원, 방법론적 차원, 인식론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세 가지 차원의 유형에 따른 위험관리의 전략을 세워본다. Personalized medicine is a future of medical model that proposes the customization of healthcare with medical decisions, practices, and products. Personal genomics is the branch of genomics concerned with the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genome of an individual. The use of genetic information has played a major role in certain aspects of personalized medicine. What is makes a privacy to fundamental importance in human genetic research? Since the earliest days of medicine, the notion of privacy has been the core of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awareness of how protecting privacy and maintaining confidentiality in human genetic research. There are looked very same problem of internet data leak and problem of genetic data. The problem of internet data leak could occur the same shape problem in the human genetic research. Implications of human genetic research involve privacy breach which may lead to benefit and harms to individuals. This paper addresses the properties of human genetic data provided for the research and the potential threats related to those research at technological,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pect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risk management strategies for protecting privacy in human genetic research at respective asp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