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디퓨저 용기 디자인 표현요소별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박채원,신재욱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4 조형미디어학 Vol.27 No.1

        향에 대한 매출과 관심은 급증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디퓨저에 대한 용기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퓨저에 대한 용기 디자인을 분석하고 향후에는 타 업체들이 디퓨저 용기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를 목표로 한다. 디퓨저 브랜드를 선정한 범위는 2024년 1월 네이버 쇼핑 검색 순위 리뷰 좋은 순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디퓨저 브랜드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헤트라스, 코코드로, 라운드 어라운드, 에리쏭, 멜리멜로 스톤 디퓨저가 선정되었다. 국내 디퓨저 용기 디자인 표현요소별 분석한 결과를 설문조사 진행하였다. 설문대상자는 20~30대 여성으로 하였으며, 2024년 1월 2일부터 1월 15일까지 총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디퓨저 용기 디자인에서 사용성과는 다른 신기능 용기디자인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라운드 어라운드는 타 브랜드와 다른 발향 방식을 선택하면서 디자인 측면에서 차별화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향후 디퓨저 용기 디자인을 개발할 때에 타 브랜드와 차별화가 될 수 있는 디자인 측면이 강조된 용기 디자인을 진행하기를 바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디퓨저 용기 디자인의 차별화 된 방향성을 제시하고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Sales and interest in scents are increasing rapidly, but research on container design for diffusers is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ainer design for diffusers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other companies to develop diffuser container designs in the future. The scope of selecting the diffuser brand was selected based on the good order of Naver Shopping search ranking review in January 2024. It was conducted only with domestic diffuser brands. As a result, Hetras, Cocodro, Round Around, Erisong, and Melimello Stone diffusers were se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by domestic diffuser container design expression elements. The survey subjects were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a total of 55 people were surveyed from January 2 to January 15, 2024. As a result, the suggestions for the diffuser container design are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a new function container design that is different from the usability in the diffuser container design is insufficient. It can be seen that Round Around was differentiated in terms of design by choosing a different fragrance method from other brands. In this way, when developing a diffuser container design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container design emphasizes the design aspect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differentiated direction of diffuser container design in the future will be presented and used as basic data.

      • KCI등재

        국내 신규 디퓨저 브랜드 디자인 검증을 위한 사용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박채원(Park, Chae-Won),한양희(Han, Yang-Hui),한금실(Han, Geum-Sil),김호일(Kim, Ho-Il)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4

        COVID-19 전염병 사태의 장기화로 인해 최근 3년간 실내공간 생활이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실내공간을 꾸미는 물품의 매출이 급증하면서 향기 산업이 집중적으로 성장하였다. 그에 따라 향으로 인테리어를 한다는 ‘향테리어’가 수면위로 대두되었고, 디퓨저에 대한 관심 역시 급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 디퓨저 브랜드 디자인을 검증하기 위한 디퓨저 제품의 사용실태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한다. 디퓨저의 사용실태에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2022년 09월 30일부터 2022년 10월 13일까지의 총 14일간 270건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사용가능한 268건의 설문지를 취합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디퓨저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 그리고 디퓨저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One-way ANOAVA(일원변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디퓨저를 처음 사용하게 된 계기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퓨저의 사용 계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둘째, 선호하는 디퓨저의 계열은 향수의 선호 계열과 동일하게 플로럴 계열의 비율이 높다. 향기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와 앞으로의 향기 산업의 발전을 고려하였을 때 디퓨저 상품의 경쟁력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여전히 종식되지 않은 COVID-19 전염병으로 인해 실내에서 사용되는 향기 제품의 범위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 본 연구가 신규 화장품 디퓨저 브랜드 디자인 검증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epidemic, indoor space life has taken up most of daily life over the past three years. As sales of goods decorating indoor spaces soared, the scent industry grew intensively. As a result, the hyang interior that uses incense has emerged to the surface, and interest in diffusers has also increased rapid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use of diffuser products to verify new diffuser brand designs. In order to conduct a study related to the use of diffusers, 2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14 days from September 30, 2022 to October 13, 2022, and 26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n analysis metho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A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use of diffusers,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diffuser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the diffuser was us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reason for using the diffuser currently in use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 Second, the preferred diffuser series has a high proportion of the floral series, the same as the preferred perfume series. Considering the change in peoples perception of fragrance produc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fragrance industry in the future, the competitiveness of diffuser products is expected to increase. In particular, the scope of fragrance products used indoors is expected to grow further due to the still-unending COVID-19 pandemic.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erifying the design of a new cosmetics diffuser brand.

      • KCI등재

        고고도 모사를 위한 축소형 디퓨저의 길이변화에 따른 비연소장에서의 성능특성

        정봉구(Bonggoo Jeong),김홍집(Hong Jip Kim),전준수(Junsu Jeon),고영성(Youngsung Ko),한영민(Yeoung-min Han)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8 No.4

        고고도 모사를 위한 축소형 디퓨저의 비연소장 조건에서의 성능특성을 수치적으로 파악하였다. 디퓨저 입구길이를 노즐 출구직경과 비교해 0, 50, 100%로 변화 시켰고, 디퓨저 목의 길이는 2차목의 직경과 비교해 3, 5, 6, 7, 8, 12로 다양화하여 해석하고 실제 모사실험 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디퓨저의 입구길이가 짧아질수록 plume의 형상은 수축되었다. 또한, 디퓨저의 2차목 길이가 디퓨저 지름의 최소 8배보다 짧으면 내부에 마하디스크가 형성되어 압력의 급격한 상승을 일으킨다. 아음속 디퓨저의 길이는 설계치의 0, 50, 75, 100%로 변화시켜 유동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길이가 짧아질수록 2차목 내부에 갑작스런 압력 상승을 야기함을 확인하였다.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subscale diffuser under non-reacting conditions for high-altitude simulation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different lengths of the secondary throat diffuser.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diffuser entrance to the nozzle exit diameter was set to 0, 50, and 100%. In addition, flow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for a range of length-to-diameter ratios of the secondary throat diffuser. An insufficient diffuser entrance length caused contraction of the plume immediately after the nozzle exit. When the length-to-diameter ratio was less than 8, a strong Mach disk was formed inside the diffuser, resulting in a sharp increase in pressure. In addition, flow characteristics in the diverging part of the diffuser were investigated for a range of diverging part lengths. A short diverging part may lead to abrupt pressure recovery, resulting in the possible application of mechanical load to the diffuser.

      • KCI등재

        감성 충족을 위한 홈 프레그런스 디퓨저 패키지 디자인 개발연구

        김민지,신상윤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More and more consumers want to heal indoors to overcome the COVID-19 blue. The home fragrance diffuser, which provides an emotional experience to consumers by the sense of smell that stimulates emotions due to this phenomenon, requires a design that satisfies emotions to deliver emotions. The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 of diffuser emotional design through a case study, identify consumers' emotional preferences, compare and analyze with competitor designs, find the direction to develop and move forward, and lay the foundation for diffuser design to satisfy consumers' emotions.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n the theory and applied images derived through diffuser recognition and emotion type preference questionnaire to design based on the emotion-satisfied diffuser case type survey, conducted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designed the final three types of "fineplace" diffusers. Diffuser a high preference for handmade emotional design among the images derived from landscape and story that housewarming presents. Emotions, aroma delivery, interior utilization, and differentiation were all measured higher than competi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 Result of the study, consumers were more intuitive about the design using handmade techniques, saw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nd developing package designs in various ways with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package designs, and expected to be used as a competitive sales strategy.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고자 실내에서 힐링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 현상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후각으로 하여금 소비자에게 감성적 경험을 제공하는 홈 프레그런스 디퓨저는 감성 전달을 위해 감성 충족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 목적은 사례 조사를 통한 디퓨저 감성 디자인 유형을 파악 후, 소비자의 감성 선호 유형을 규명하고 경쟁사 디자인과 비교 분석하여 디퓨저 패키지 디자인이 발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하는 디퓨저 디자인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 및 방법은 이론에 대해 문헌 조사를 하고 감성 충족 디퓨저 사례 유형 조사를 기반으로 디퓨저 인식 및 감성 유형 선호도 설문을 통해 도출한 이미지를 디자인에 적용, 1,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파인플레이스”디퓨저 최종 3종 디자인을 하였다. 디퓨저는 집들이 선물로 접하며 선호하는 감성은 풍경과 스토리며, 도출된 이미지 중 핸드메이드 감성 디자인 선호도가 높았다. 경쟁사 보다 감성, 향 전달성, 인테리어 활용도, 차별성 모두 높게 측정되었고 주목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 풍경 감성에 핸드메이드 기법을 사용한 디자인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감성을 더 직관적으로 전달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성 패키지 디자인 전개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을 다양하게 확장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고 감성 디퓨저 패키지 디자인의 기틀을 마련하며 경쟁력 있는 판매 향상 전략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 고고도 모사를 위한 축소형 디퓨저의 성능 특성에 대한 수치적 연구

        정봉구(Bonggoo Jeong),임경진(Kyungjin Yim),조성휘(Seonghwi Jo),김홍집(Hongjip Kim),전준수(Junsoo Jeon),고영성(Youngsung Ko),김승한(Seung-han Kim),한영민(Yeoung-Min Han) 한국추진공학회 2012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고고도 모사를 위한 축소형 디퓨저의 성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입구길이를 노즐 출구직경과 비교해 0%, 50%, 100%로 변화시켰고, 디퓨저 목의 길이는 디퓨저 목의 직경과 비교해 3, 5, 7, 8, 12로 다양화하여 수치해석하고 실제 모사실험 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디퓨저의 입구길이가 짧아질수록 plume의 형상은 수축되었다. 또한, 디퓨저의 이차목 길이가 디퓨저 지름의 최소 7~8배보다 작으면 내부에 마하디스크가 형성되어 압력의 급격한 상승을 일으킨다.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ubscale diffuser for high-altitude simulation have been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length of diffuser entrance with respect to nozzle exit diameter was changed to 0, 50, 100%, respectively. In addition, flow characteristics have been studied for various length to diameter ratio of secondary throat diffuser. As a result, the shape of plume was contracted for insufficient length of diffuser entrance. Also, if the length to diameter ratio of secondary throat diffuser were less than 7 or 8, mach disk has been formed inside the diffuser.

      • 고공환경모사용 이차목 디퓨저의 배압에 따른 시동특성

        김민상(Minsang Kim),김태완(Taewoan Kim),이장환(Janghwan Lee),고영성(Youngsung Ko),김승한(Seungha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2

        본 연구에서는 이차목 디퓨저(STED)의 배압(Pa)에 따른 시동특성 및 정상상태에서의 유동특성을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디퓨저 배압(Pa)을 조절하기 위해 디퓨저 후단에 이젝터를 장착하였으며, 디퓨저와 이젝터 작동을 위해 고압의 상온 기체 질소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다양한 디퓨저 노즐 전단압력(P0)과 배압(Pa)에서 디퓨저의 시동압력비((P0/Pa)st)는 일정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압력비(P0/Pa)가 같다면 디퓨저 내부유동 특성이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Startup and steady state internal flow characteristics of a Second Throat Exhaust Diffuser(STED) have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ccording to diffuser back pressure(Pa). An ejector device was installed at the exit of diffuser for adjusting diffuser back pressure. And high pressure nitrogen gas was used for cold gas flow test to operate ejector and diffuser. The test results show that a startup pressure ratio((P0/Pa)st) has a fixed value even though nozzle inlet pressure(P0) and diffuser back pressure(Pa) have various values. Also, internal flow characteristics of diffuser at steady state is unchanged under the identical pressure ratio(P0/Pa) condition.

      • 고고도 모사용 축소형/실물형 디퓨저의 유동 특성에 대한 수치적 연구

        임경진(Kyungjin Yim),고현진(Hyunjin Go),김홍집(Hongjip Kim),고영성(Youngsung Ko),한영민(Yeong-min Han)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A nume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flow characteristics of sub-/full-scale diffusers for high altitude simulation. Properties of Burnt gas have been inclu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rmal cooling which is the essential design parameter of the diffuser. Various geometric configurations of the subscale diffuser have been implemented by changing diffuser entrance, the second throat, and subsonic diffuser lengths. Vacuum pressure has been checked to select optimal configuration of the subscale diffuser. Based on these results, flow characteristics of a full-scale diffuser with hot condition have been also investigated. There were high temperature regions over 3000 K especially near wall and subsonic diffuser. If the diffuser did not operate normally, gases of high temperature may be entrained to the vacuum chamber. After the normal start-up, vacuum chamber was choked by supersonic flow and only the small amount of high-temperature gas was entrained. Consequently, cooling system should be included and designed carefully to achieve thermal survivability of the diffuser.

      • 고공 환경 모사용 시험 설비의 성능 평가에 관한 수치적 연구

        임경진(Kyungjin Yim),김홍집(Hongjip Kim),고영성(Youngsung Ko),김승한(Seungha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2

        고고도 모사를 위한 고공 환경 모사용 시험 설비의 성능 평가를 위한 수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디퓨저의 직경을 변화시켜 디퓨저의 성능과 유동 특성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젝터가 작동되어 얻어지게 되는 여러 배압조건을 주어 배압이 디퓨저의 작동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디퓨저의 직경과 배압의 변화는 디퓨저의 시동 압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안정적으로 시동된 이후에는 디퓨저의 배압 변화가 챔버 압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젝터에 발생하는 부유동의 증가가 이젝터의 성능 특성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부유동의 유량 증가는 디퓨저 출구의 배압을 상승시키기는 했지만 이젝터 후류 유동에는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다. A nume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performance evaluation of a high altitude test facility. By changing the diameter of a diffuser, flow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diffuser have been studied. The diffuser operation characteristics in various back pressure conditions by the ejector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diameter of the diffuser and back pressure gave the direct effect to the starting of the diffuser. After the diffuser was started, the back pressure change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vacuum chamber pressure. Next, the effect of secondary flow from the diffuser-heat exchanger system on the ejector performance has been investigated. The mass flow rate of secondary flow increased the back pressure in the diffuser exit, but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ejector were not much changed.

      • KCI등재

        고고도 환경 모사용 축소형 디퓨저 설계 및 시동특성 연구

        이양석(Yangsuk Lee),전준수(Junsu Jeon),고영성(Youngsung Ko),양재준(Jaejun Yang),김선진(Sunjin Kim),김정훈(Junghoo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09 한국추진공학회지 Vol.13 No.5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and the starting characteristics of a supersonic exhaust diffuser. The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on a scaled down model of straight cylindrical supersonic exhaust diffuse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operating fluid(air, nitrogen), the diffuser inlet area over the primary nozzle throat area(A<SUB>d</SUB>/A<SUB>t</SUB>), the inlet pressure of primary nozzle, diffuser length over diffuser inner diameter(L<SUB>d</SUB>/D<SUB>d</SUB>)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diffuser divergenc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tarting pressure increased with decrease in diameter of primary nozzle, and the measured starting pressure of the diffuser had approximately 90∼98% efficiency as compared with the predicted starting pressure. Also, the diffuser was started at all case, regardless of L<SUB>d</SUB>/D<SUB>d</SUB>(above 8.4) and diffuser diverg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ssential database for developing a simulated high-altitude facility for real-scale model.

      • 고온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디퓨저의 복합 열전달을 고려한 냉각 설계 및 검증

        진상욱(Sangwook Jin)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고온의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디퓨저 냉각에 필요한 열량을 산출하여 디퓨저의 설계, 제작 자료로 활용하였다. 직관과 확관의 결합으로 구성된 생긴 디퓨저의 외부는 냉각수가 흐르는 나선 형태의 채널이 구성되어 있고, 내부는 공기와 혼합된 연소가스가 흐르면서 정압력이 회복 되도록 설계 되어 있다. 디퓨저 구조물과 유체 간에 또는 유체 자체적인 열전달과 구조물 내부의 열전달 현상은 복합적인 형태로 나타나는데 고온에서 작동하는 점을 고려하여 복사, 대류, 전도 모두를 적용 하였다. 열전달량 계산은 경험식에 근거한 1차원 해석과 전산유체해석(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의 2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1차원 해석은 경험식에 근거한 수식을 적용하여 열전달량을 계산하였고, CFD 해석은 점성을 고려한 압축성 유동해석 모델에 DO 복사 열전달 모델을 추가하여 계산하여 두 결과를 비교 하였다. 총 열전달량의 차이는 1% 미만으로 거의 같았으나, 1차원 계산은 열전달 모델의 단순화로 디퓨저 입구에서의 순환영역을 구현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열전달량 분포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디퓨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냉각수 용량은 2가지 계산 결과를 조합하여 각 구간별 최대 열전달량을 근거로 산출하였으며, 설계의 타당성은 제작된 디퓨저가 적용된 시험을 통해 확보하였다. Analysis of conjugated heat transfer has been conducted for the design and verification of diffuser exposed to hot combustion gas to design the mechanical durability in high temperature. All the heat transfer means,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have been considered to calculate the total heat flux from hot gas to diffuser surface. The calculation has been implemented by two kinds of methods. One thing is one dimensional method based on empirical equations. The other is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xisymmetric calculation containing k-ω SST(Shear Stress Transport) turbulent model and DO(Discrete Ordinate) radiation model. The derived results of two methods have compared and showed similar values. From this result, the amount of cooling water and the dimension of water cooling channel were decided. And the validity of diffuser design was proved by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