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군신화에 관한 문학적 연구 현황과 전망

        김기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current status and the prospect of the literary studies on Dangun Myth,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such as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studies. By making about the genuine 60 literary studies as an object of study which have been issued until now,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by years and by subjects. It is shown that the precedent studies are categorized into 10 subjects, and that full-fledge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1990s. The 10 categorized subjects are ① perspective of literary history, ② perspective of literary education, ③ embryological perspective, ④ perspective of acceptance, ⑤ perspective of contents, ⑥ perspective of multiculture, ⑦ perspective of textual structure, ⑧ perspective of comparative myth, ⑨ perspective of bibliotherapy ⑩ perspective of translation. The studies of ①, ③, ⑦ intend to find out the literary essentials of the text of Dangun myth, which are named <type of essentials> in this study. The studies of ④ intend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s the text of Dangun myth have on documentary literature or further transmission, and how the text was accepted, which are named <type of transmission>. The studies of ②, ⑤, ⑥, ⑧, ⑨, ⑩ intend to inquire into the present use of Dangun myth, which are named <type of practical use>. It is found out that the numbers of studies included in <type of transmission> and <type of practical use> are more than those of studies of <type of essentials>. The difference in number is diagnosed as an inverted phenomenon, in that the studies of <type of transmission> and <type of practical use> are carried out under the basis of achievements of <type of essentials>. In order to overcome the inverted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on what the literary essentials of Dangun myth are in the studies of <type of essentials> more deeply. And also, it is proposed that the results and achievements of the studies on the literary essentials should be ultimately converged into a unified literary history. In case of <type of transmiss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tudies on the methods or research tools to examine out the influence or acceptance of Dangun myth. The structuralistic method is proposed as an example. On the other hand, it is proposed that field research should be made out because Dangun myth is a recorded document but originally orally-transmisoned literature as the spoken correlative. Lastly, in case of <type of practical use>,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Dangun myth by way of active absorption of the achievements of <type of essentials>, <type of transmission> and also continual studies to make the achievements into a content through various media. 본 연구는 역사적, 철학적, 이념적인 연구와 같은 여타의 연구와 구별되는 단군신화에 대한 문학적 연구들의 현황과 전망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발표 된 약 60여 편*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연구자의 자료 수집 한계로 누락된 논문도 있을 수 있는 만큼 60여 편이 문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단군신화 연구의 모두라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60여 편은 통계적으로 전체의 경향을 보여줄 수 있는 유의미한 수라고는 할 수 있다. 의 순전한 문학적 연구들을 대상으로 삼아 관점별, 연도별 현황을 탐구한 것이다. 선행 연구들은 10여 개의 관점으로 카테고리화가 되고 또한 90년대 이래로 본격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음이 드러났다. 10여 가지로 유형화된 관점으로 ① 문학사의 관점, ② 문학교육의 관점, ③ 발생학적 관점, ④ 수용의 관점, ⑤ 콘텐츠의 관점, ⑥ 다문화의 관점, ⑦ 텍스트 구조의 관점, ⑧ 비교신화의 관점, ⑨ 문학치료의 관점, ⑩ 번역의 관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 10가지 관점 중 ① ③ ⑦은 연구자가 단군신화 텍스트의 문학적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의도를 보인 연구들이다. 이들을 <본질형>이라 명명하였다. ④는 단군신화의 텍스트가 후대 전승 혹은 기록 문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혹은 수용되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이는 연구들이다. 이들을 <전승형>이라 명명하였다. ② ⑤ ⑥ ⑧ ⑨ ⑩은 단군신화의 현재적 활용을 연구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이는 연구들이다. 이들을 <활용형>이라 명명하였다. 그런데 이들 세 유형들은 쟁점별 문제 해결의 노력이 뚜렷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본질형>보다 <전승형>과 <활용형>에 속하는 연구들이 양적으로 더 많은 수를 보였다. <전승형>과 <활용형>에 속하는 연구들이 <본질형>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연구순서로 보아 이를 전도된 현상이라 진단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이 극복되기 위해서 먼저 <본질형>에서는 단군신화의 문학적 본질이 무엇이냐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그리고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문학 본질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궁극적으로 통합된 문학사로 수렴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전승형>에서는 단군신화의 영향 혹은 수용을 밝히기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한 한 예로 구조주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편 단군신화가 기록된 것이기는 하나 원래는 구술상관물로서 구비전승문학이기 때문에 단군신화에 대한 현장 조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분야와 콘텐츠로서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승형>과 <본질형>의 연구 성과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매체를 통한 콘텐츠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Belief System of the Dangun Myth and its Reflection on Korean Christian Faith

        Cho, Jai Kook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5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religious ingredients from the Dangun myth, which has long been the heritage of ancient Koreans to regard it. In particular, I intend to analyze the texts of the Dangun myt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ancient culture and society, find out the religious ingredients, and clarify the analogy between the Dangun myth and Christian church in the meaning of deity.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elucidate the mystery concerning the Korean churches as follows: how the Korean Christian church understands the concept of God, or how the Korean Christian church has influence on such a rapid growth of churches in recent years. To achieve this aim, I worked for the following tasks. At first, I analyzed the editorial resources in the texts of the Dangun myth and their meanings in perspective of religions. The Dangun myth has been handed down by the Korean people’s remembrance and narratives so that it has influenced the religious beliefs of them in history. Thus, as I analyze the Dangun myth, I could seek the structural characters and religious meanings for the Gochosun people who have long desired in order to achieve their ideal vision. At second, I tried to examine the Dangun story as the myth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a nation. I could urge that the bear group who founded Gochosun had developed its original culture and civilization. The Gochosun people had strongly kept his cultural identity and enlarged his subjectivity through a narrative of the Dangun myth. At third, I examined the religious ingredients and their meanings of today in the Dangun myth. I could find the three religious elements; the god and the belief of his descent, belief in fertility, the religious initiations and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At fourth, I interpreted the belief system in the Dangun myth to compare with the Christian faith by hermeneutics. While the Dangun myth had the deity of three types of gods(Whan-in, Whan-ung, and Whan-gum), each of the three gods could compare with God the father, the Holy Spirit, and the Son in Christianity. Moreover, as the bear-woman of the Dangun Myth is changed into a human by great obedience to bore Dangun, Mary is obedient to God when she hears the message about her pregnancy by the Holy Spirit from an angel.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cause of the rapid growth of Korean Christian churches in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ingredients of Gochosun. I can mention the potentiality and capacity to accept Christian faith by the similarity of belief systems between Korean peoples’ religions and Western Christianity.

      • KCI등재

        A Study on the Belief System of the Dangun Myth and its Reflection on Korean Christian Faith

        조재국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5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religious ingredients from the Dangun myth, which has long been the heritage of ancient Koreans to regard it. In particular, I intend to analyze the texts of the Dangun myt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ancient culture and society, find out the religious ingredients, and clarify the analogy between the Dangun myth and Christian church in the meaning of deity.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elucidate the mystery concerning the Korean churches as follows: how the Korean Christian church understands the concept of God, or how the Korean Christian church has influence on such a rapid growth of churches in recent years. To achieve this aim, I worked for the following tasks. At first, I analyzed the editorial resources in the texts of the Dangun myth and their meanings in perspective of religions. The Dangun myth has been handed down by the Korean people’s remembrance and narratives so that it has influenced the religious beliefs of them in history. Thus, as I analyze the Dangun myth, I could seek the structural characters and religious meanings for the Gochosun people who have long desired in order to achieve their ideal vision. At second, I tried to examine the Dangun story as the myth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a nation. I could urge that the bear group who founded Gochosun had developed its original culture and civilization. The Gochosun people had strongly kept his cultural identity and enlarged his subjectivity through a narrative of the Dangun myth. At third, I examined the religious ingredients and their meanings of today in the Dangun myth. I could find the three religious elements; the god and the belief of his descent, belief in fertility, the religious initiations and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At fourth, I interpreted the belief system in the Dangun myth to compare with the Christian faith by hermeneutics. While the Dangun myth had the deity of three types of gods(Whan-in, Whan-ung, and Whan-gum), each of the three gods could compare with God the father, the Holy Spirit, and the Son in Christianity. Moreover, as the bear-woman of the Dangun Myth is changed into a human by great obedience to bore Dangun, Mary is obedient to God when she hears the message about her pregnancy by the Holy Spirit from an angel.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cause of the rapid growth of Korean Christian churches in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ingredients of Gochosun. I can mention the potentiality and capacity to accept Christian faith by the similarity of belief systems between Korean peoples’ religions and Western Christianity.

      • KCI등재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박성혜(Park, Seong Hye)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본고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이곳에서 전승되는 의례가 단군신화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군사묘는 전국적으로 약 40여개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 와우리 단군전은 현전하는 단군전 중에서 그 유래가 가장 오래되고, 단군 영정을 보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매년 두 번씩 단군전에서 의례를 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신화와 의례의 관계를 다룬 논문들은 주로 무속신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고, 건국신화의 경우 현재적인 사례를 확인한 경우는 없다. 따라서 21세기에 단군 의례가 단군 신화와 서로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와우리 단군전은 1910년대에 한 대종교인이 단군영정을 가지고 와서 제향을 드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의례를 제대로 수행할 수도 없었고, 영정을 보관하는 것도 어려웠으나 해방 이후 지역민들이 단군전을 세우고 단군 영정에 제향을 하다가 1987년 현재의 단군전을 중건하기 시작하고, 의례도 유교식으로 재정비하여 지금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곳에 봉안된 단군영정은 20세기 초반에 대종교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단군신화에 형상화 된 것으로 신화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신화와 비교했을 때 신화도상은 단군으로 의미가 집약되는 것이 특징이다. 단군전은 어천제와 개천제가 지켜지는 것, 영정이 봉안된 것을 근거로 단군영정을 봉안하던 천진전의 전통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의례의 참여자들은 일상과 다른 정형적인 행동의 반복을 통해 신화보다 초점화된 신화적 관념(mythical concept)의 단군을 만나고, 단군이 구현한 세계의 당위성을 행위로 추인하며, 의례의 참여자들에게 이를 현시한다. 행동을 통해 강화된 신성성의 감각은 이미 신화도상이라는 형식을 통해 의미가 집약된 신화적 관념(단군)을 한번 더 응집시키고, 고양시킨다. 그러나 의례의 통해 고양된 신화적 관념은 단군신화와 함께 전승되지 못한다. 단군이라는 신화적 관념이 의례를 통해 고양되는 과정에서 천신에서 국조로 그 의미가 바뀌었고, 신화적 관념에 필요한 형식을 신화적 서사 대신 단군영정과 의례를 수행하는 행위가 대체했기 때문이다. 의례와 관련해서 신화는 와해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사(mythical narrative)가 완전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단군전의 의례는 단군전이라는 장소의 유래와 의례라는 행위의 타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증거물인 단군영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군영정은 이제 그 자체로 영정의 역사성과 단군전 의례의 연원을 설명해주는 유래담의 핵심 증거물이 된다. 그리고 단군신화가 와해된 자리에 단군 영정의 유래담이 확장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ritual performed around the Wawoori Dangun Shrine in Unsan-myeon, Seosan-si, South Chungcheong Province, crafts meaning 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Dangun myth. The Wawoori Dangun Shrine originated in 1910 when a Daejonggyo believer brought the Dangun portrai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hrine and gave an offe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perform any rituals, nor was it easy to preserve the portrait, but after the liberation, locals erected the Dangun shrine and gave offerings before the portrait. In 1987, repair work on the shrine began, and the ritual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Confucian ideals into the ritual that continues to be passed down today. The portrait enshrined in this place is a visualization of the Daejongism-centered Dangun myth that was transmit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such, it can be considered a mythical icon. In comparison to the Dangun myth, this mythical icon concentrates its focus on Dangun himself. As evidenced by the preservation of the Dangun portrait and the observation of Eocheonjeol and Gaecheonjeol, the Dangun Shrin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Cheonjinjeon (Dangun Portrait houses), which enshrined Dangun portrait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ritual encounter a more focalized mythical concept of Dangun than in the myth through a series of fixed actions that are a departure from the ordinary, endorse the rightfulness of the world realized by Dangun through their actions, and make this manifest to the other participants of the ritual. The sense of sacredness intensified through such actions once again enhances and binds together the mythical concept (Dangun) that has already been focalized through the mythical icon. However, the Dangun myth is not transmitted alongside the mythical concept that is enhanced through the ritual. This is because, as the mythical concept Dangun became enhanced through the ritual, its significance was transformed from that of a divine entity to that of a founding father, and the mythical narrative was replaced by the Dangun portrait and the act of ritual performance as forms necessary for the mythical concept. Although the myth collapses in relation to the ritual,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arrative disappears altogether. This is because the ritual of the Dangun Shrine, which is sustained for the sake of transmitting tradition, possesses the Dangun portrait, which acts as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e origin of the Dangun Shrine and the performance of the ritual. The Dangun portrait is now in itself a key piece of evidence in the origin tale that explains the source of the Dangun Shrine ritual and the historicity of the portrait. In place of the collapsed Dangun myth, the folktale of the Origin of Dangun portrait is growing.

      • KCI등재

        근대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양상

        박성혜(Park Seong-hye)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본고는 근대에 출판된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현황을 확인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논의 결과 단군 신화가 수록된 일본어 조선 설화집은 1891년부터 1943년까지 총 13종이 확인된다. 그리고 여기에 수록된 단군 신화는 단군론 기술 여부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단군론이 기술되지 않은 단군 신화는 󰡔동국통감󰡕에 수록된 단군 신화나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 단락을 매우 요약하여 기술한 것과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 단락을 수용하면서 각색한 것으로 구분된다. 1891년의 텍스트에 수록된 단군 신화는 󰡔동국통감󰡕을 전재한 것으로, 일본인들은 󰡔동국통감󰡕의 이해에서 비롯된 단군 신화를 바탕으로 단군을 한반도의 역사적 기원으로 인식한 것을 볼 수 있다. 1908년도의 텍스트는 주몽과 단군을 헷갈리기도 한다. 두 번째로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를 각색한 경우 곰과 호랑이의 변신과 곰과 환웅의 결연에 초점을 맞춰 각색하였으며 이 흐름은 1919년부터 1943년 설화집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이는 이 설화의 향유자들이 단군이 탄생이나 고조선의 건국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단군 신화의 신성성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고 곰의 변신담과 곰과 환웅의 결연담으로만 소비된 것이다. 다음으로 단군론이 기술된 신화는 일선동조론을 강조한 것과 단군 신화가 일연에 의해 날조되었다는 주장으로 구분된다. 이 두 경우 모두 󰡔동국통감󰡕이나 󰡔삼국유사󰡕의 단군 신화를 그대로 전재한 후, 자신들의 의견을 뒷받침해줄 자료들을 연이어 배치한다. 일선동조론을 주장하는 경우 자신들의 주장에 대한 본격적인 근거를 제시하기보다 관련된 사료를 연이어 배치하는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단군 신화의 날조설을 주장하는 경우 당시 일본인 학자들의 근거를 답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ngun Myth in Joseon legendry written in Japanese in Modern era. This paper discovered that a total of 13 Japanese Jo Joseon legendry texts containing the Dangun myth were published between 1891 and 1943. These 13 tex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y include a description of Dangun discourse. First, Dangun myths which do not refer to Dangun discourse can be divided into the two sub types. One type summarizes the Dangun myths in Dongguktonggam, or Samgukyusa and the other type are adaptations of the Dangun myth in Samgukyusa. First, the Dongguktonggam record of the Dangun myth was composed in 1891. It is indicated that the Japanese people recognized Dangun as the historical origin of Korea. Another text composed in 1908 confuses Jumong and Dangun. Second, in the case of the adaptation of the myth of Samgukyusa, the narratives focused on the transformation of bear and tiger and the marriage of the bear and Hwanung, and this trend continued from 1919 to 1943. This shows that the storytellers were not interested in Dangun s birth or the founding of Gojoseon, and the Dangun myth was no longer considered sacred. The national myth was transmitted and enjoyed only as a folktale. Next, the myth in which Dangun discourse is described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emphasize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s ancestral homogeneity and those that claim that Dangun myth was fabricated. In both cases, the Dangun myths of Dongguktonggam or Samgukyusa were fully reprinted. Meanwhile the texts arguing that the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followed the arguments that had been put forward by contemporary Japanese scholars.

      • KCI등재

        민족의 기원으로 본 한국춤 사상-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桓雄天王과 檀君王儉에 대한 역사민속학적 고찰

        최광식(Choe, Kwang-Shik)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역사학에서는 고조선을 건국한 건국자 단군에 중점을 두어 단군신화라고 표현하며, 민속에서는 농경생활을 시작한 환인과 환웅 그리고 단군 세 존재 모두에게 숭배를 하고 가신으로서 모셔 의례를 행하고 있다. 역사학에서는 국가에 관심을 갖고 건국신화를 중요시한 것이며, 민속에서는 가정에 관심을 갖고 가신신앙으로 숭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내용은 분명히 환웅이 주인공이며 농경생활에 대한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단군의 존재와 건국에 대한 내용은 그 결과로서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의 단계에서는 환웅이 신화적 존재이므로 환웅신화, 그리고 단군은 인간적 존재로서 기록되어 있으므로 단군왕검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 객관적 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왕운기』에서 제왕들의 이야기를 다루다보니 환웅보다는 단군에 초점이 두어지게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신이한 존재인 환인이나 환웅보다는 인간적 존재인 단군을 역사적 존재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개화기에도 이어졌으나 대종교에서 단군을 신격화하면서 민족주의 사학에서 단군신화라는 명칭이 고착화하게 되었다. 특히 일인 사학자들의 단군에 대한 연구가 전설과 설화로 취급하는 가운데 일본의 건국신화인 天照大神신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桓雄神話라고 하지 않고 檀君神話라고 부르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기 식민지를 극복하기 위한 민족정신을 앙양하려고 하였던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단군을 민족의식의 구심점으로 삼고자 하여 단군에 주목하고 단군을 신격화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해방후 근대 국민국가 건설을 하는 과정에서 고대 국가의 건국자 단군을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활용하고자 이른바 네이션빌딩 과정에서 환웅신화를 단군신화라고 부르게 된 것이라 하겠다. 한편 북한에서는 단군을 설화나 전설 또는 신화라고 하다가 1993년 소위 ‘단군릉’ 발굴 이후 인간적 존재로 인식하여 민족의 구심점으로 삼으려는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였다. 역사학에서는 농경신정을 주재하는 환웅보다는 건국자인 단군에 주목을 하고 있는 반면에 민속에서는 인간 탄생을 농경신과 관련하여 환인, 환웅, 단군 세 존재를 모두 숭배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고 하겠다. 따라서 민속학에서는 국가를 강조하면서 단군의 건국신화에 주목한 역사학과 달리, 가정을 강조하면서 생산과 탄생의 삼신신앙에 주목하였다. On Ancient Joseon item in Samguk yusa, historians call it ‘Dangun Myth’ focusing on the nation builder, Dangun, while people worship three deities of Hwanin, Hwanung, and Dangun as house spirits and perform rituals in folklore. Historians put emphasis on nation and nation-building myth and people put emphasis on households and worship the deities. However, the protagonist of Ancient Joseon item in Samguk yusa is Hwanung and the item mainly tells agricultural life. Story of Dangun and nation-building comes after Hwanung as the result of the main story. Hence, in Samguk yusa, it is more objective to recognize Hwanung as mythical figure and Dangun as historical figure, Dangun wanggeom. In Jewang ungi, the focus was put on Dangun than Hwanung and this recognition of human Dangun continued later in Joseon dynasty and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However, nationalistic historians fixed the term ‘Dangun myth’ as Daejonggyo mythicized Dangun. Particularly Japanese historians disparaged Dangun myth as legend and fable while emphasizing Japanese ‘Amaderas Omikami myth.’ Confronting Japanese position, Korean historians put emphasis on nation-building and call ‘Dangun myth’ rather than ‘Hwanung myth.’ Nationalistic historians tried to raise nationalism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o mythicize Dangun as pivotal figure of nationalism.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historians tried to make use of nation-builder Dangun for nationalism in the process of making modern nation state and name the myth ‘Dangun myth’, not ‘Hwanung myth.’ Meanwhile, North Korea used to consider Dangun as legend and fable. However, after the excavation of the Tomb of Dangun in 1993, Dangun has been recognized as a historical figure and nationalistic pivot. Historians focuced on nation-builder Dangun rather than Hwanung of agricultural thearchy. On the other hand, in folklore, people relate human birth with agricultural deties and worship all of Hanin, Hwanung, and Dangun. In other words, folklore emphasized households and focused on samshin sin-ang of birth and reproduction while historians put emphasis on nation and focused on Dangun’s nation-building myth

      • KCI등재

        한국사상의 연원에 관한 중등 교과서 문제

        정연수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1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사상의 연원에 관한 중등 교과서의 서술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단군신화를 비롯한 한국의 고대 금석문을 통해 한국사상의 연원을 재탐색함으로써 중등 교과서의 집필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사상의 연원에 관한 내용은 중등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및 중학교 『역사1』과 고등학교 『한국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에서는 동양사상의 연원을 유⋅불⋅도 삼교로 소개하고 있으며, 서양사상의 연원을 고대 그리스 사상과 헤브라이즘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사상의 연원에 관해서는 단군신화의 내용을 무속과 결부시켜 샤머니즘으로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중학교 『역사1』과 고등학교 『한국사』에서는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곰과 호랑이에 관한 내용을 근거로 한국사상의 연원을 토테미즘으로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중등 교과서에서 유독 한국사상의 연원을 전 세계 어디서나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원시 신앙으로 소개하는 것은 한국사상의 특수성을 저해하고 그 위상을 격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신인 환웅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세우고 동물인 곰과 더불어 인간 세상에서 살기를 염원하는 것은 샤머니즘이나 토테미즘과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이에 중등 교과서에서 한국사상의 연원을 단군신화와 연관하여 원시 신앙으로 해석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한편, 단군신화에서는 신인 환웅과 자연 사물인 곰이 만나 인간을 새롭게 탄생시킨 것이 아니라, 환웅과 곰이 이미 인간으로 전변하여 단군을 낳았다고 서술되어 있다. 하늘의 신으로 상징되는 환웅과 땅의 자연 사물로 상징되는 곰과 인간으로 상징되는 단군은 본래부터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가 되는 원융한 존재인 것이다. 이에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에서 단군신화의 상징성을 무속과 결부시켜 신과 인간이 수직적 관계에 있는 존재 혹은 별개의 존재라는 것을 전제로 천인합일(天人合一) 혹은 경천애인(敬天愛人) 사상으로 해석하거나, 신이나 자연 사물과 유리된 인간 중심의 인본주의로 규정하면서 현세 지향적 가치관이 담겨 있다고 해석하는 경향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단군신화는 천지인(天地人)이 본래 원융한 존재이며, 인간 세상이 곧 이상 세계이고 이상 세계가 곧 인간 세계라는 것을 상징한다고 서술하는 것이 더욱 합당해 보인다. 무엇보다 단군신화에는 홍익인간의 도리(道理)로 세상을 화(在世理化)하여 신인상화(神人相化)에 이르는 정치사상이 담겨 있다. 이러한 단군신화의 사상적 특징은 광개토태왕비문에서 성덕(聖德)의 도(道)로 천하를 다스린다(以道輿治)는 고구려의 정치사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광명으로 세상을 다스린다(光明理世)는 뜻을 가진 혁거세(赫居世)의 존호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신라의 정치사상에서도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신라의 진흥왕순수비문에는 순풍(純風)의 도(道)로 세상을 화(化)한다는 정치사상이 담겨 있으며, 통일신라의 최치원은 이러한 순풍도화(純風道化) 사상의 연장선에서 유⋅불⋅도 삼교를 내함(內含)하는 풍류도(風流道)를 난랑비서문에서 주창하였다. 이처럼 삼국 시대부터 통일신라 시대에 이르는 우리 민족과 국가의 사상적 특성은 홍익인간의 도리로 세상을 화(化)한다는 고조선의 사상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을 것 ... In this thesis, the problems in the descriptions of the origins of Korean though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were examined, the beginnings of Korean ideas were re-explored through ancient Korean inscriptions including the myth of Dangun, and the ways to writ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origins of Korean ideologies are found in the high school “ethics and thoughts” textbook, middle school “history 1” textbook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of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the high school “ethics and thoughts” textbook, the beginnings of Eastern ideas are introduced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ose of Western ideas as ancient Greek thoughts and Hebraism. Then, regarding the origins of Korean ideologies, the myth of Dangun in Il Yeon's “Samgukyusa” tends to be connected to and described as shamanism. In addition, the middle school “history 1” and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have a tendency of explaining the beginnings of Korean thoughts as Korean Totemism on the ground of the story of a bear and a tiger in the myth of Dangun. This introduction of the origins of Korean ideologies as primitive beliefs which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anywhere in the worl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can make the specificity of Korean thoughts and the status of Korean ideas degraded. The myth of Dangun doesn't include humans' wishing for something from a god by being possessed with a spirit or worshipping natural objects of animals or plants. It is totally different from shamanism or Totemism that Hwanwoong, a god, and a bear wanted to live in the human world in the myth of Dangun. Accordingly, it should be avoided to interpret the beginnings of Korean thoughts as primitive beliefs in connection to the myth of Dangu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Moreover, in the myth of Dangun, rather than a god and natural objects met and gave new birth to humans, Hwanwoong, a god, and a bear, a natural object, had been already transformed into humans and gave birth to Dangun. Hwanwoong, a symbol of heavenly god, and a bear, a symbol of natural object on the earth, and Dangun, a symbol of humanity, were harmoniously united beings that were essentially one and three, and three and one. Thus, what the myth of Dangun symbolizes must not be defined as that humans and the heaven in a vertical relation corresponded to each other and became one(天人合一) or as human-centered humanism isolated from gods or natural objects. Rather, it's more reasonable to describe that 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s(天地人) were originally in harmonious unity, and that human world was also an idealistic world, and an idealistic world symbolized human world. Its meanings can be inferred from that in the myth of Dangun, Hwanwoong, a god, built a city in the human world in order to benefit humans far and wide and also named it Sinsi(神市, a city of god). In addition, when the symbols of this myth of Dangun are interpreted with Il Yeon's “Jungpyeonjodongohwi”, i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meanings of Gyeomjungdo(兼中道) that Jeongwi(正位) and Pyeonwu(偏位) are Wonyungmuae(圓融無碍). Above all, what's noteworthy for the myth of Dangun is that it includes the principle(道理) of Hongikingan, the political ideology to change the world(在世理化) to achieve Sininsanghwa(神人相化) through edification, influence, change and evolution.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 of this myth of Dangun is that it was developed into the political ideology of Goguryeo, that is, to govern the world with royal virtues'(聖德) Tao(道) (以道輿治) as in the epitaph of Gwanggaeto the Great. Furthermore, as Hyeokgeoseo(赫居世)'s regnal name referring to ruling the world with bright light(光明理世) shows, its meanings can be seen in Silla's political ideology. The epitaph of King Jinheung's monument of Silla includes the political idea of ch...

      • KCI등재후보

        북한의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연구 -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재원 고조선단군학회 2005 고조선단군학 Vol.13 No.-

        The study on Dangun-myth of north Korea advocated historical materialism. But the recent recognition on Dangun-myth of north Korea is different occasionally according to change their purpose. After Juche-sasang they make use of Dangun folktale to idolize Kim-ilsung and to proof the real ho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rth Korea. Especially after excavated the royal tomb of Dangun the recognition on Dangun-myth converted Dangun legend in order to emphasize Dangun's existence. So many Dangun-legends came out in the neighbourhood of Pyungyang. The Dangun legends in north Korea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The legends have been used as an instrument for inculcation Juche-sasang and justifying their political power because they hav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bility to persuade north korean people to allow their authority. They can form the validity from their people by making the utmost of the legends. North Korea because there are not a few historical remains and materials of Dangun, so They made many Dangun legends quoted from Gyuwonsahwa(揆園史話). We can comment about North Korea's literary theory, but we must understand it. At this moment, if we realize that we live together under one ethnic history, we can overcome complication and find a rightful basis for harmonizing and unifying our nation. Moreover We can be find new policy those that correspondent with the Chines purpose for the Dongbukgongjeong(東北工程).

      • KCI등재

        단군신화에 갈무리된 문화적 원형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임재해(Lim Jae-Hae) 고조선단군학회 2007 고조선단군학 Vol.16 No.-

        A myth is recognized the story of the beginning of the world, but actually that is both a current story and a future story. Because a myth not only tell us a sacred history, but also function a divine model and paradigm of human behavior. The case of the Myth of Dangun also don't cease from the birth myth of nation of Old Joseon, alive as an barometer example of Korean culture in real currency life.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are a eating life and a housing life. In the Myth of Dangun, bear and tiger pray to Hwanwoong which would be a human being. That time Hwanwoong say that don't see any sunshine and live in the cave, eating only wormwood and garlic. A wormwood and garlic means a vegetable diet centered eating culture and 100 days cave life means a settlement centered housing culture. Therefore the Myth of Dangun show a peculiar eating culture eat a wormwood and garlic and archetype of a peculiar housing culture use bottom heating system, reflecting settlement agricultural culture. Actually our eating life carry on a cultural tradition that eat a wormwood and garlic differently a neighborhood country. If we compare our country with other one in the cultural relationship, the identity of our eating culture is remarkable. In our country we eat not only wormwood and garlic but also wild edible greens, but Mongol don't eat both wormwood and garlic and Japanese don't eat garlic, and Chinese don't eat wormwood. A vegetable diet culture tradition of the Myth of Dangun alive as identity of modern eating culture. A housing life of our people is also peculiar. In the Myth of Dangun a desirable housing life is not nomadic life but settlement life. That is to present a criterion of desirable human life, on relating with a vegetable diet culture. The Ondol culture of korean tradition is caused from settlement housing life. Ondol culture create a bottom seating life, and invent a electronic capet, Ondol boiler, electronic Guduel, Ondol bed. A eating life and housing life that the Myth of Dangun present as a criterion is not only alive in our modern folk life history, but also continue in the future. We need to seize a cultural creation power of the Myth of Dangun and grope for a load of re-creation. We can look forward to find strategy that develop wormwood and garlic to modern eating culture goods and re-create the Ondol culture to new heating system in the modern housing life. A vegetable diet centered eating culture and a settlement centered housing culture is a identity of our national culture, and its archetype is found in the myth of Dangun. Therefore the myth of Dangun was made in the temperate regions in the era of a settlement agricultural life. The cultural archetype of Old Joseon is also found in cultural archetype of the myth of Dangun. Consequently If we overcome a prejudice that our culture is originated from a nomadic culture in Siberia or Mongol, we can find the desirable identity of ou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