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연수,정준표,이덕용,김영,윤희정,지상원,백용한,이세준,이관식,이상인,박찬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3 Clinical Endoscopy Vol.27 No.6
Brunner's gland hamartoma, also called as Brunner's gland adenoma or Brunner's gland hyperplasia,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that results from benign proliferation of the Brunner's gland normally present in the duodenum. It is mostly located at the duodenal bulb, occasionally second or third portion, but is rarely found at the pyloric ring, jejunum or proximal ileum. In Korea, total 27 cases of Brunner's gland hamartoma have been reported, but none of them had their origin at the pyloric ring only. We report a case of Brunner's gland hamartoma, found incidentally, originating from the pyloric ring in a 54-year-old woman, which was resected endoscopically after retracting the tumor into the stomach.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3;27:531-535) Brunner선 과오종은 Brunner 선종, Brunner선 과형성 또는 Brunneroma 등으로도 불리는 질환으로, 정상적으로 십이지장에 존재하는 구조물인 Brunner선의 양성 증식으로 인하여 생기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이들의 대부분은 십이지장의 구부에 위치하나 때때로 십이지장 제2부나 제3부에서도 발견되며 매우 드물게는 유문륜이나 공장, 근위부 회장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모두 27예의 Brunner선 과오종이 보고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유문륜에서 기원한 Brunner선 과오종에 대한 보고는 없다. 저자들은 유문륜에서 기시한 유경성의 십이지장 용종을 위 전정부로 잡아 당긴 후 detachable snare를 이용하여 용종 절제술을 안전하게 시행하고, 병리 조직 검사에서 Brunner선 과오종으로 진단할 수 있었던 54세 여자 환자를 경험하여, 드문 위치에서 발생한 Brunner선 과오종에 대해 새로운 내시경적 접근법을 시도하여 보았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고대 우리 민족과 국가에 관한 중등 역사 교과서의 문제
정연수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100 No.-
In this thesis, the problems in the descriptions of ancient Korean people and nation in th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were pointed out, and their alternatives were looked for based on preceding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In the textbook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the problem is that the focus i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ancient history is neglected, and therefore, the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Korean people is omitted or mentioned briefly. Accordingly, based on the recent research achievement on Dongyi Tribe, the origin of Korean people, centered around Liaohe civilization and Articles in 'Year of Byeongsin' on Great King Kwangkaeto’s Tombstone, alternatives were found in order to reflect the research results, which cope with the distortion of history damaging the independence of Korean people, into the textbooks. There’s another problem that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Gojoseon is described differently depending on a publishing house. Regarding which, even though the foundation time of Gojoseon suggested in <Samgukyusa> and <Dongguktonggam> hasn’t been archaeologically verified clearly, the alternative was proposed that the time of Gojoseon’s foundation should be introduced consistently on the basis of <Samgukyusa> and <Dongguktonggam> while it is described in various contexts and viewpoints. On the other hand, the textbooks wi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have the problem of different standards of Gojoseon’s cultural range depending on publishing companies and making the identity of the ancient Korean countries located in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vague by limiting Gojoseon’s cultural range up to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problems seem to be related to the existence of Gojinguk that is assumed to have been located in the south-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Yet, in the textbook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descriptions of Gojinguk are skipped or Gojinguk is explained ambiguously, so the confusion over the identity of ancient Korea can be aggravated. Therefore, as its alternative, the cultural range of Gojoseon and Gojinguk needs to be divided into the north-central region and the south-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reestablishing the relation between Gojoseon and Gojinguk and limiting it to the era of Wiman Joseon based on the studies of the academic world. In addition, there’s the problem that the historical issue of Gija related to Gojinguk is not even introduced in most of the textbooks wi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and the history of Gojoseon is narrated focusing on Dangun and Wiman. As for which, the alternative was suggested that the historical matter of Gija should be re-examined in ideological and cultural aspects in spit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historical facts of Gija in the political context. As relics of Liahe civilization were excavated recently,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is being examined in depth in the academic circles, and scientific methods, such as molecular anthropology, have been developed and improved every day. Once new studies on ancient Korean people and country are systematically reflected in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through the verification in the academy world, the foundation of history education will be laid out so that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country can be reestablished and their status can be improved. 본 논문에서는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 고대 우리 민족과 국가에 관한 서술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제언하면서 학계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안을 모색하였다.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는 근현대사 문제에 편중되어 고대사 문제를 소홀하게 다루는 경향이 있으며, 고대 우리 민족에 관한 서술을 생략하거나 소략하게 다루는 문제가 있다. 이에 근래 요하 문명의 주역이었던 동이족에 관한 연구 성과와 광개토태왕릉비의 ‘병신년’ 조를 근거로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훼손하는 역사 왜곡에 대응하는 연구 성과가 교과서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는 고조선의 건국 시기에 대해 출판사마다 서로 다르게 서술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삼국유사』와 『동국통감』을 기반으로 고조선의 건국 시기를 일관되게 소개하면서 다양한 맥락과 관점에서 고조선의 건국 시기에 관한 문제를 서술할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한편,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는 고조선의 문화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도 출판사마다 다르고, 고조선의 문화 범위를 한반도 중북부 지역까지로만 한정함으로써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고대 우리 국가에 대한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위만조선 시기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진국의 존재와 연관이 있다. 그런데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는 진국에 관한 서술을 생략하거나 모호하게 설명함으로써 고대 우리 국가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가중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학계의 연구를 토대로 고조선과 진국의 관계를 재정립하면서, 위만조선 시기로 한정하여 고조선과 진국의 문화 범위를 한반도 중북부와 중남부로 나눌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진국과 연관이 있는 기자에 관한 역사적 문제는 대다수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 소개조차 하지 않으면서 단군과 위만을 중심으로 고조선사를 서술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기자동래 및 기자조선에 관한 다양한 학계의 견해를 소개하면서 기자에 관한 역사 왜곡의 문제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사상과 문화적 측면에서 기자에 관한 역사적 문제를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근래 요하 문명에 관한 유물이 발굴되면서 한국 고대사에 관한 학계의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자인류학과 같은 과학적 방법이 개발되어 학술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고대 우리 민족과 국가에 관한 새로운 연구들이 학계의 검증을 거쳐 중등 역사 교과서에 체계적으로 반영된다면, 우리 민족과 국가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역사 교육의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
최적 층 경계점 계산을 적용한 임산물생산통계조사표본설계 연구
정연수,이계오 통계청 2015 통계연구 Vol.20 No.1
This paper suggests a stratified sample design to estimate output level of the five forest products(chestnut, astringent persimmon, jujube, walnut, and shiitake mushroom) on Si-Gun-Gu level with application of the Lavallee and Hidiroglou(LH) Stratific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al Stratification boundaries. First,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on each of the five forest products. Second, we propose the optimal boundary points of the strata with variation of harvesting area, a number of producing units and etc on the five products. Finally, we suggest sample mean method and ratio estimation to determine the Si-Gun-Gu forest output level, and two estimation method were numerically confirmed. 임산물 5개 품목(밤, 떫은감, 대추, 호두, 표고버섯)의 생산량에 대한 시군구단위 통계 추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표본설계를 연구하였다. 첫째, 정확한 생산량 추정을 위해 임산물 품목별모집단의 특성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표본설계에 반영하였다. 둘째, 5개 품목의 모집단 특성인재배면적, 재배본수와 임가의 특성 및 재배특성 등을 반영한 최적 층화방안으로 LH(Lavallee & Hidiroglou)의 층 경계점 산출방법을 적용하였다. 셋째, 품목별 시군구단위 생산량 추정방안으로표본평균법과 비추정법을 제안하고 수치적으로 검증하였다.
기술창업기업에서 기업가의 비즈니스모델 인식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연구
정연수,윤동주,조성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In recent years, “start-ups” have become a key issue for economic revival and sustainable growth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of innovative business models and technology-based start-ups are being emphasized in many countries. In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perceived business model characteristics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technology-based start-ups was analyzed based Data was collected from entrepreneurs and managers in start-up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ustomer segments, revenue sources, key activities, and key partnerships among characteristics of business mode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technology-based start-up. and customer segment, value proposition, customer relationship, key resource, and cost structure had impact on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Customer segmentation and value proposition differentiating from other companies affect significantly managerial performance. In addition, key activities and cost structures among business model components need to be focused to improve quantitative performances in technology-based start-ups. 최근 ‘창업’은 세계 여러 국가들에서 경제의 활력 회복과 지속적 성장을 위한 핵심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신산업 창출, 아이디어 및 지식기반 창업과 관련된 기술창업과 혁신적 비즈니스모델의 개발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각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관심도 늘어나는 추세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창업기업에서 기업가의 비즈니스모델 특성 인식과 경영성과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보면 비즈니스 모델 특성 중 고객세그먼트, 수익원, 핵심활동, 핵심파트너쉽과 관련된 특성이 기술창업기업의 질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세그먼트, 가치제안, 고객관계, 핵심자원, 비용구조의 요소가 재무적 성과를 포함한 양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술창업기업에서 목표고객 세분화, 그리고 타 기업과 차별화할 수 있는 가치제안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이 경영성과 창출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재무적 성과의 창출과 관련해서는 비즈니스모델 구성요소 중 핵심활동과 비용구조에 대한 기업가의 인식이 중요한 영향요인이 되고 있음을 본 연구결과가 설명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