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한의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연구 -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재원 고조선단군학회 2005 고조선단군학 Vol.13 No.-

        The study on Dangun-myth of north Korea advocated historical materialism. But the recent recognition on Dangun-myth of north Korea is different occasionally according to change their purpose. After Juche-sasang they make use of Dangun folktale to idolize Kim-ilsung and to proof the real ho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rth Korea. Especially after excavated the royal tomb of Dangun the recognition on Dangun-myth converted Dangun legend in order to emphasize Dangun's existence. So many Dangun-legends came out in the neighbourhood of Pyungyang. The Dangun legends in north Korea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The legends have been used as an instrument for inculcation Juche-sasang and justifying their political power because they hav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bility to persuade north korean people to allow their authority. They can form the validity from their people by making the utmost of the legends. North Korea because there are not a few historical remains and materials of Dangun, so They made many Dangun legends quoted from Gyuwonsahwa(揆園史話). We can comment about North Korea's literary theory, but we must understand it. At this moment, if we realize that we live together under one ethnic history, we can overcome complication and find a rightful basis for harmonizing and unifying our nation. Moreover We can be find new policy those that correspondent with the Chines purpose for the Dongbukgongjeong(東北工程).

      • KCI등재후보

        근대전환기 한국주재 외국인의 단군 담론 연구- 다카하시 도루와 한국개신교 선교사의 단군 담론을 중심으로 -

        이상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xt around the emergence of Dakahashi Doru(高橋亨)’s Dangun(檀君) research(1920). Surely, his Dangun resear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forming discourse about the new nationality of Korea, after the 3· 1 Movement. But this study more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he wrote it with three different styles, Japanese, Chinese[漢文], and Korean-Chinese style(國漢文體). Second, he was open about talking with Korean scholars. He was aggressive about using these three different styles of writing and regarded Koreans as readers because of the source book published by Daejonggyo(大倧敎) compiling books about Dangun. Through philology, he criticized the source book of Daejonggyo and negated the common notion of Koreans, that is, the idea or logic about Dangun being the origin and source of the Korean race. In fact, the context in which Dakahashi’s Dangun research lies cannot be fully identified only with the horizons of the empire Japan or colony Chosun. It is because the time and space of Korea where there was his Dangun research were, in fact, the field where three subjects of research, Westerners, Japanese, and Koreans, worked all actively and dynamically and also modern Koreanology was being formed. Moreover, that site of hybridity intervened deeply in the process of Korea’s modern language appearing. Regarding this,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discourse of Dangu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resents another context about the emergence of Dakahashi’s Dangun research. Gale was the one that negated Dangun as historical substance and Protestant missionaries’ discourse of Dangun grounded on the philological perspective identical to Dakahashi’s. After the 1910’s, however, Gale accepted Koreans’ new discourse of Dangun differently from Dakahashi. Although he encountered the source book about Dangun compiled by Daejonggyo, unlike Dakahashi, he regarded it as literature equipped with credibility. Also, encountering Korea’s modern language to translate the Bible and the West’s technical terms with, he shared the critical viewpoint about Daejonggyo. However, Gale could not deny Koreans’ idea of the One and Only God related to Dangu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rucial ground to translate the One and Only God in Christianity upon. Furthermore, in the back side of Gale’s change of recognition on Dangun, there existed relationship with modern Korean intellects, for instance, Choi Nam-seon(崔南善) or Kim Gyo-heon(金敎獻). 본고의 목적은 다카하시 도루 단군론(1920)의 출현맥락을 살펴보는 것이다. 물론 그의 단군론은 3·1 운동 이후 근대 국민국가 단위의 새로운 한국 민족성 담론의 형성과정과 긴밀히 관련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두 가지 측면을 더욱 주목했다. 첫째, 그의 글이일본어, 한문, 국한혼용문이라는 세 가지 다른 문체로 씌어졌다는 사실, 둘째, 한국인과의 대화를 열어 놓았던 사실이다. 그가 이렇듯 이질적인 세 가지 글쓰기를 적극적으로활용하고 한국인을 독자로 호명한 이유는 대종교가 단군관련 사적을 집성하여 출판한사료집 때문이기도 했다. 그는 문헌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대종교의 사료집을 비판하며, 한국인에게 통념화된 관념 즉, 단군을 한국민족의 기원이자 시원으로 인식하는 관념과그 논리를 부정하고자 했다. 사실 다카하시의 이러한 단군론이 놓인 맥락은 제국 일본과식민지 조선이라는 지평만으로는 충분히 규명할 수 없다. 그의 단군론이 놓여 있는 당시 한국이라는 시공간은 서양인, 일본인 그리고 한국인이라는 세 연구주체들이 펼친 역동적인 활동의 장이었으며, 복수의 언어를 원천으로 한 근대 한국학이 형성되던 현장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혼종적 현장 속에서 한국의 근대어가 출현하는 과정이 깊이 개입된 것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20세기 초 한국 개신교선교사의 단군 담론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했던 다카하시 단군론의 또 다른 출현 맥락을 제시해 준다. 게일은 다카하시와 동일한 문헌학적인 시각에 의거해 단군이라는 역사적 실체와 개신교선교사의 단군 담론을 부정한 인물이었다. 그렇지만 1910년대이후 게일은 다카하시와 달리, 한국인의 새로운 단군담론을 수용했다. 그는 대종교가 편찬한 단군관련 사료집을 접촉했지만 다카하시와 달리, 이를 신빙성을 지닌 문헌자료로인식했다. 또한 성서와 서구적 학술어를 번역할 한국의 근대어를 접촉하며 대종교에 대한 비판의 시선을 공유했지만, 게일은 기독교의 유일신을 번역할 중요한 토대라고 말할수 있는 단군에 관한 한국인의 유일신 관념 전반을 부정할 수는 없었다. 나아가 게일이보여준 단군인식의 전환, 그 이면에는 최남선, 김교헌과 같은 근대 한국지식인과의 교유관계가 존재했다.

      • KCI등재

        20세기 초 단군영정의 보급과 화본(畫本) 검토

        김성환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5

        The interest in the images of Dangun emerged together with the rise of democracy during the Hanmal (韓末,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While the concerns cannot be said to have immediately followed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these illustrations and images in the form of wood carvings have been confirmed. In spite of this, in the New Light Ceremony (重光) of Daejonggyo (大倧敎) on New Year’s Day of 1909, the image of Dangun was enshrined at the north wall in the form of a Confucian-style ancestral tablet named “Dangun, the Great Holy Spirit (大皇祖檀君聖神).” Dangungyo (檀君敎) maintains that a decision was made at the end of September 1910 to produce and enshrine the portraits of Dangun. The aim was to bring under control a society in chaos immediately after the forced annexation with Japan. Daejonggyo holds that the portraits were disseminated to unite the soul of the Joseon people with Dangun as the center, linking the energy with the independence movement. Thus, in 1912, the portrait of Dangun hanging in Pyongyang’s Sungnyong-jeon Shrine (崇靈殿) underwent a historical examination, after which copies of the portrait were mass produced and sold. In Daejonggyo and Dangungyo (檀君敎), Solgeo (率居), a painter from the Silla period, and Yi Gyu-bo (李奎報), a writer from the Goryeo period, have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rtistry of the Dangun portrait as well as its dissemination to future generations, although the process of this line of reasoning is hard to follow. The basic form of the portrait of Dangun shows him wearing a headgear resembling a hat with leaves spread over or covering his shoulders and waist.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pects of Chinese mythological portraits — well-known through pictorials such as Samjae-dohoe (三才 圖會) and Yeokdae-gunsin-dosang (歷代君臣圖像) — were applied to the portraits of Dangun to show his deification and enlightenment. There are approximately 17 images of Dangun confirmed to be produc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the Korean Empire period. These images can be divided into eight classifications called the “basic form.” Among these classifications, Type III, published in Dongailbo , is the version of Dangun’s portrait that is widely known, especially with the portrait of Park Chan-ik (朴贊翊)’s possession massproduced in 1917,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standard. These emerging images of Dangun, produced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were based on the form of portraits dating from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redit for the portraits has been attributed to artists such as An Jung-sik (安中植), Kim Eun-ho (金殷鎬), Ji Un-yeong (池運永) and others, but the artist’s true identity remains unclear. Indeed, considering the variety of the basic forms that have been confirmed, one would encounter difficulties in assigning any one artist’s style to all. Hereafter, an examination of each portrait type would be needed. 단군과 관련한 이미지에 대한 관심은 한말 민족주의의 대두와 함께 부각되었다. 1910년 국권피탈을 전후하여 갖추어진 영정이라고 할 수 없지만, 삽화 또는 목판화 형태의 이미지가 확인된다. 그럼에도 1909년 정월에 있었던 대종교의 중광기념식(重光記念式)에서 단군은 ‘대황조 단군성신(大皇祖 檀君聖神)의 위패’ 라는 유교식의 위패로 북벽에 모셔졌다. 단군대종교에서는 1910년 9월 말에 단군영정을 제작하여 봉안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목적은 대종교와 단군교에서 일정한 차이가 있었겠지만, 일제의강제병합 직후 어수선한 사회 분위기를 수습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종교에서는단군을 중심으로 조선혼을 아우르고 그 에너지를 독립운동과 연결하고자 하였다. 또 권업회에서는 평양 숭령전에 모셔졌었다는 단군영정을 나름 고증을 거쳐1912년 12월에 보급용으로 제작 판매하였다. ‘단군유훈(檀君遺訓)’을 좇겠다는 다짐을 창간호 만평에 실은 《동아일보》는1920년 4월 초에 단군영정 현상모집 캠페인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이 캠페인은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응모된 총 56건의 작품에서 당선작을 내지 못하였다. 《동아일보》는 1922년 개천절에 「단군 천제의 영정」이라 하여 대종교에서 봉안하고 있던 전신상의 영정을 공개하였다. 이것은 대종교에서 봉안하고 있던단군영정 이후 단군영정의 기준으로 자리할 수 있게 하였다. 대종교와 단군교에서는 솔거나 이규보를 거론하며 단군영정의 화자(畫者)와전래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따르기 어렵다. 단군영정의 기본적인 형태는 모자 형태의 머리쓰개를 쓰고, 어깨와 허리에 나뭇잎을 걸치거나 덮고 있다. 조선후기에 『삼재도회』나 『역대군신도상』 등의 화보류에서 널리 알려져 있던 중국의 신화적 도상을 단군영정에 그대로 적용했는데, 단군의 신화적 성격과 계몽적성격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한말 일제강점기의 단군영정으로 확인되는 것은 약 17건이고, 이를 그림의종류(화본)로 나누면 8종이다. 이 중에서 《동아일보》에 실린 화본 Ⅲ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단군영정으로 보인다. 특히 1917년의 제작연도가 분명한 보급용 「박찬익 집안 소장본 단군영정」은 기준 작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현전하는 단군영정은 조선 후기 초상화 형식을 기반으로 20세기 초에 제작된 작품들이다. 작자로는 안중식·김은호·지운영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다양한 화본의 영정이 확인되는 것으로 볼 때, 어느 한 사람으로 특정하기는 어렵다.

      • KCI등재후보

        현대 한국의 단군 인식과 민족문제

        이용범 동북아역사재단 200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0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Dangun was the symbol and source of national unity and solidarity as national founding ancestor. Such understanding of Dangun exercised a great power in strong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and this understanding is maintained in Korea now. Bu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even when the saying and behavior toward Dangun become unrestricted, the understandings of Dangun in Korea do not become uniform any longer as before. According to their social position and religion, Korean people come to have different views on Dangun. Such changes did not occurred righ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y began to show themselves from 1960s. The Korean society got to be experienced radical changes according as the five-year plan program for economic development was in full operation, and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of Dangun went in gear that situ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four major changes in understanding of Dangun in modern Korea, and examines the relation of Dangun with nationalism in connection with these changes.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Dangun and the changes of thoughts and lifestyles in Korean society make Dangun not to be one and only symbol of the Korean as before. None the less Dangun continues to be one of the symbols of the Korean. Being lost the power of one and only symbol of the Korean, Dangun has the potentiality of revitalization in national wises because it has been always rooted in underlying strata of consciousness of Koreans. 해방 이전, 특히 일제 강점기에 단군은 우리민족의 시조, 우리나라의 국조로서 민족통합과 단결의 상징이자 원천이었다. 이러한 단군인식은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국권 침탈에 항거하는 민족의 대동단결에 큰 힘을 발휘했고, 현재까지도 이러한 인식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단군에 대한 논의와 행위가 자유로워진 해방 이후에 한국사회의 단군인식은 이전처럼 단일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 해방이후 더 이상 계층과 종교를 떠나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단군인식을 공유하게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민족의 시조로서의 단군의 사회적 위상 역시 계층과 종교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이러한 변화가 해방 직후부터 나타난 것은 아니다. 해방 직후 대한민국이 수립되면서 헌법에 홍익인간의 이념이 포함되었으며, 개천절이 4대 국경일의 하나가 되고, 국가연호로 단기(檀紀)가 결정됨에 있어서 큰 논란이 없었다. 이는 해방 직후 우리사회가 당시 계층과 종교의 차이를 떠나 공유된 단군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196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1960년대에 들어서 정부에 의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한국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기 시작하는데, 우리사회의 단군인식의 변화 역시 이러한 사회전반의 변화와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 글은 이런 단군인식의 변화를 국가제도 차원, 단군신앙 종교단체, 개신교의 반(反) 단군운동, 강단학계와 재야학계, 북한의 4경우로 나눠서 정리하였다. 이와같은 단군인식의 차이, 하루하루 달라지는 사람들의 생각과 삶으로 인해 한말이나 일제 강점기의 상황에서처럼 단군이 우리 민족의 통합의 상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단군이 한민족의 중요한 상징으로서의 힘을 잃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유일한 상징으로서의 위치와 힘은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단군을 둘러싸고 나타난 현대 한국사회의 이러한 논쟁과 갈등은 일차적으로 단군신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서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단군신화의 구조 연구 - 시대별 변천을 중심으로 -

        조원진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8

        Structure shown in Samgukyusa and Jewangunki's Dangun Mythology are:Hwanung-Dangun Birth-Founding-city changes-the end. Hwanung part of the story and the birth of Dangun is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pecific foundation courses or achievements. This is a common founding myth and other facts. This is because the Tangun myth Over the long history of the castle was lost. Dangun was the faith and worship of this period is mainly target. Here is one of Dangun Old joseon history was recorded as the full reign. The achievements of the founder and the founding of the process is omitted, this was recorded as one of Dangun ruled the entire history of Old joseon. Tangun will take place in the early Joseon's national bird. Yet omitted the mystical stories and birth Hwanung part. Samgugsajeolyo and Dongguk- tonggam is to convey minimal historical facts about the founding of Dangun. Dangun more than thousand years reign saw descendants ruled that the sum of all ages. Dangun to break the rule of perception about 1,000 years because it has been inserted in Kija article later. The Goryeosa, Dongkukyeojiseungram is to convey the Dangun remains as Chamsungdan, Dangun's Tomb. Late joseon literature says there had been the name of Dangun Wanggom. It also features that highlight the cultural achievements of Dangun. In particular, Pyojeumjudongkuksaryack and Dongsa are recorded so as much as the other founding myth Dangun myth structure is balanced. Dangun myth structure in the Goryeo Dynasty literature is part of the birth was emphasized. Dangun myth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ha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achievements and history of Dangun. Especially telling that Dangun's name Wanggom, reveals his achievements and related sites. 본고에서는 다양한 문헌에 나타난 단군신화를 특히 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단군신화는 궁극적으로 단군의 고조선 건국을 말해주는 것이지만 전승마다 강조되고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단군신화를 이루는 탄생, 건국, 치적 등의 각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무엇을 표현하는지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건국신화의 구조는 탄생-건국과정-치적-최후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고려후기의 문헌인 『三國遺事』와 『帝王韻紀』의 경우 단군의 아버지 환웅의 치적과 단군의 탄생 부분은 자세하지만 건국 이후에는 고조선의 역사가 마치 한 사람의 단군이 다스린 것처럼 묘사하며 간단히 끝맺고 있다. 이것은 단군신화가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역사성보다는 지역 공동체의 신앙과 숭배 대상으로서만 기능함으로 신비로운 요소의 환웅신화와 탄생이야기만 남고 한사람의 단군이 고조선 전체를 다스린 것처럼 기록하여 건국자의 치적과 건국과정은 탈락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인식을 수긍할 수 없었기에 단군의 이름, 치적, 무덤 등이 기록된 다른 전승을 참고하여 단군의 역사성을 복원하려고 했을 것이다. 고려후기․조선전기 문헌에 나타나는 단군은 한 개인이라기보다는 고조선을 통치한 상징적인 존재처럼 기록된다. 그러나 후대 문헌에서는 다른 전승을 이용하여 단군의 이름이 왕검이었고 가족관계와 치적, 관련유적을 밝히며 한명의 건국자로서 역사성이 부각된다. 이와같이 보았을 때 단군신화의 구조는 고려후기에는 신성한 탄생이 강조되었다면 조선시대에는 점차 역사성을 강조하여 단군의 치적을 강조하는 구조를 갖게 되는 양상을 보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고조선 연구의 신지평 단군신화의 구조 연구 -시대별 변천을 중심으로-

        조원진 ( Won Chin Ch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8

        Structure shown in Samgukyusa and Jewangunki`s Dangun Mythology are:Hwanung-Dangun Birth-Founding-city changes-the end. Hwanung part of the story and the birth of Dangun is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pecific foundation courses or achievements. This is a common founding myth and other facts. This is because the Tangun myth Over the long history of the castle was lost. Dangun was the faith and worship of this period is mainly target. Here is one of Dangun Old joseon history was recorded as the full reign. The achievements of the founder and the founding of the process is omitted, this was recorded as one of Dangun ruled the entire history of Old joseon. Tangun will take place in the early Joseon`s national bird. Yet omitted the mystical stories and birth Hwanung part. Samgugsajeolyo and Dongguk- tonggam is to convey minimal historical facts about the founding of Dangun. Dangun more than thousand years reign saw descendants ruled that the sum of all ages. Dangun to break the rule of perception about 1,000 years because it has been inserted in Kija article later. The Goryeosa, Dongkukyeojiseungram is to convey the Dangun remains as Chamsungdan, Dangun`s Tomb. Late joseon literature says there had been the name of Dangun Wanggom. It also features that highlight the cultural achievements of Dangun. In particular, Pyojeumjudongkuksaryack and Dongsa are recorded so as much as the other founding myth Dangun myth structure is balanced. Dangun myth structure in the Goryeo Dynasty literature is part of the birth was emphasized. Dangun myth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ha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achievements and history of Dangun. Especially telling that Dangun`s name Wanggom, reveals his achievements and related sites.

      • KCI등재후보

        대종교와 '단군민족주의'

        정영훈 고조선단군학회 2004 고조선단군학 Vol.10 No.-

        Dangun—nationalism means the consciousness and movements which persued the Korean's national integration upon the belief that Dangun(檀君) was the Korean's common ancestor.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glowth of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national unification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played a central role in arousing national sentiments to resist foreign encroachment and attain independence. In Korea's modern history, nationalism and modernization owe much to 'Dangun—nationalism' for their growth and acceptance.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s between Dangun—nationalism and Daejonggyo. Daejongkyo is one of the national religions which was built up upon the Korean native cultural tradition. It was established by Nacheol in 1909 and played a momentous role on the modern Korean national movement. Daejongkyo was related in many levels with Dangun—nationalism. This article discusses the three following matters : (1) Daejongkyo is the religion which was molded in the tradition of Dangun—nationalism. It was the product of Dangun—nationalism through 5000 year's Korean history and was one the modern Dangun—nationalism phenomena. (2) Daejongky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modern Dangun—nationalism. Dangun—nationalism was diffused and became the energy of national movement against Japan imperialism by Daejongkyo. (3) Daejongkyo's Dangun—nationalism is different from other Dangun—nationalism stream. Dangun—nationalism shows various features and this article will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Dajongkyo's Dangun—nationalism.

      • KCI등재

        단군개념으로 본 기원담론의 상징과 심적효과

        이난수 한국양명학회 2024 陽明學 Vol.- No.72

        세계에서 어느 민족이든 민족의 기원을 표현한 신화가 있다. 이 신화는 언어적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그 내용은 민족의 성립과정과 의의 및 사유체계를 담고 있다. 단군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승되어 온 담론이다. 전승의 과정에서 시대마다 집단의식이 요청되는 방향으로 해석되면서 신화ㆍ역사ㆍ철학ㆍ문학ㆍ종교의 방면까지 아우르는 개념이 되었다. 본고는 근대 조선과 일본의 단군담론을 살펴보았다. 근대시기 일본인들의 단군 인식은 일본 신화를 근거로 동원설을 주장하였고, 신화를 부정한 측면에서는 단군을 승려에 의한 망설로 논의하였다. 단군을 일본에 포섭하거나, 단군의 시원을 부정하는 것은 민족의 심상 공간에 위치한 단군의 영향력 때문이다. 이러한 일본인들의 단군 인식은 식민체제의 목적성에 부합하여 그 내용을 이루게 된다. 최남선의 단군 담론은 일본의 단군부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일본의 단군 부정을 부정하기 위해 신화를 연구하였고, 단군을 신화화 시켰다. 그에게 있어 신화는 근대 민족 국가 형성에 필요한 집단무의식이었다. 일제 강점기 조선의 단군 담론은 민족이라는 실체를 규명해 주는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단군은 민족의 정신적 독립과 주체의식을 발현시킬 수 있는 근원적 사유였다. 조선과 일본의 단군 담론은 집단 무의식에 근거한 심리적 효과를 기대한 논의였다. 이처럼 근대 민족이라는 집단 무의식이 단군으로 귀결되어 공동의 의미 체계와 사유 구조를 갖추어 가면서 단군은 현재화되었다. Every nation in the world has a myth that shows its origin. This myth contains a linguistic system, and its content contains the process of ethnic formation, its significance, and its ideological framework. ‘Dangun’ is a discourse that has been transmitte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Throughout the process of transmission, it has been interpreted in the direction of expres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each era, and encompasses concepts ranging from mythology,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to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of ‘Dangun’ in modern Korea and Japan. During the modern period, Japanese claimed that Japan and Korea emerged from the same ancestor based on Japanese mytholog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denying Dangun was that it came from a flawed argument by Buddhist monks. Including Dangun in Japanese mythology or denying it is due to the influence of Dangun entrenched in the unconsciousness of the nation. Therefore, the discourse of Dangun in Japan is formed to colonize Korea according to its purpose. Choi Nam-seon’s discourse on Dangun began as a criticism of Japan’s Dangun theory. He studied mythology and mythologized Dangun. For him, mythology wa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a modern national state. The discourse on Dangu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had a symbolic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entity of the nation. In this way, the discourse on Dangun in Korea and Japan aimed at the psychological effects based on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the nation. Therefore, a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the modern nation is encapsulated in ‘Dangun’ and develops a shared system of meaning and reasoning, ‘Dangun’ is actualized.

      • KCI등재후보

        근대 한국의 단군 인식과 민족주의

        서영대 동북아역사재단 200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0

        This paper aimed at to explain changing ideas on Dangun, founder of Ancient Joseon dynasty, in Late Daehan Imperial, and these ideas influenced to establishment and diffusion of Korean nationalism. Dangun was regarded as of great importance through Goryeo and Joseon dynasty, because he is founder of Ancient Joseon dynasty which is a first state in Korean history. But in Late Daehan Imperial period, the importance of Dangun is more increased. The reason of emphasis on Dangun is that he is regarded as centripetal point of national cohesion and basis of nation identity. Movements of Dangun nationalism were developed various dimensions. The head of these movements were newspapers and periodical journals. These mass media stressed that Korean nations are descendant of Dangun through articles and lyric lines and through use of a Dangun era, so that inspired patriotism into the heart of peoples. Not only mass media, but also education of korean history acted part role of inspiration of recognition of Dangun. As to approach of Daehan Imperial’s collapse, ideas on Dangun progressed from the ancestor of Korean nation to universal god. This religious movement was take charge of a religious sect called Daejonggyo(大倧敎). Daejonggyo worshipped Dangun as a god of their religion and celebrated Dangun’s birthday and ascension to heaven day. And this religious sect stressed Baekdusan(白頭山) as nation symbol. In spite of Imperial Japan’s oppression to these Dangun movements, ideas on Dangun is continued to contemporary Korea’s 이 글은 한말 단군 인식과 그것이 한국 민족주의 형성과 보급에 일익을 담당했음을 밝힌 것이다. 단군은 한국사상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시조로 역대 왕조를 통해 중시되어 왔다. 그러다가 한말 일제의 침략에 따른 민족적 위기 상황에서 단군의 존재는 새롭게 부각된다. 그것은 민족의 결속을 뒷받침할 수 있는 토대로서 부각된 것이었다. 단군 인식의 강조는 신문 잡지를 비롯한 언론매체나 역사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단군의 역사적 위상이 강화되고 단군을 중심으로 한 단군기년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단군에 대한 애국가사들이 창작되었고, 단군 유적이 중시된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사실은 우리 민족은 단군의 자손이란 인식이 등장한 점이다. 즉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단군은 국가의 시조에 불과했으나, 이때부터 단군은 민족의 시조로 자리 매김되고, 이를 근거로 민족 단결의 당위성이 강조되었다는 것이다. 대한제국의 멸망이 임박함에 따라, 단군인식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한걸음 나아가 단군은 종교적 신앙대상으로까지 승화된다. 1909년 대종교의 출현이 바로 그것인데, 대종교에서는 단군을 신격화하는 한편, 단군의 탄생과 건국을 기념하는 개천절과 단군의 승천을 기념하는 어천절을 제정하여 단군 인식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백두산을 민족의 발상지로 선전함으로서, 민족의식의 구체적 상징을 제공하였다. 이렇듯 한말에는 단군이 한국 민족주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했기에, 일제는 단군인식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해책동을 했다. 그러나 단군인식은 소멸되지 않았고, 이때 형성된 단군인식이 현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단군신화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고–근대출현 단군자료 《부도지》의 활용

        박진규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3 유라시아문화 Vol.8 No.-

        Regarding to Dangun discourse, it has been allowed only to the studies and discourses based on Dangun myth from the authentic and official history. Official materials about Dangun is very limited other than Dangun myth. The framed perception on Dangun fixed by the myth restricts chances for discussion on the real and concrete stories about Dangun. On the other hand, materials related to Dangun appeared on a large scale in modern times. 『Budoji(符都誌)』, 『Gyuwonsahwa(揆園史話)』, 『Dankigosa(檀奇古史)』, 『Hwandangogi(桓檀古記)』, 『Chunbukyung(天符經)』,『Samilshingo(三一神誥)』, 『Seungkyungpalli(參佺戒經)』 are included in modern Dangun materials. Though these material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studies in the educational or academic field due to the issue of bibliographic proof. As a result, official Dangun materials have remained insufficient. To overcome the limit, accommodating Dangun storytelling is suggested. Setting Dangun myth as the original story and unproved Dangun materials as the mediated story, the two stories can be converged toward common features in essence. 『Bu-do-ji(符都誌)』 is an epic which covers the origin and the build of Korean people. It has very clear subject of 'Hongik Ingan(弘益人間) Jaesae Eehwa(在世理化)' and includes rich texts about ancient Korean thoughts. Since 『Bu-do-ji(符都誌)』 has numerous common features with Dangun myth, it's possible to extract substories that can enrich Dangun contents. For a preliminary study, I drew the following three substories. 1)Succession of Chunbuin(天符印) and the mission of Chun-son(天孫) people 2)People of asceticism, Hongik human character 3)Philanthropic Hongik human ideal toward all human kind(viewing all human kind as one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