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극장 국가브랜드공연의 한국문화전통 구현 여부에 관한 규명 고찰

        이주영 ( Lee Joo-young ),현보람 ( Hyun Bo-ram ) 미래융합통섭학회 2021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4 No.3

        연구목적 이 논문은 국립극장 국가브랜드공연의 한국문화전통 구현 여부에 대한 고찰을 다루어 국가브랜드공연과 한국문화전통의 상관관계를 입증한 후, 한국문화전통 구현 여부에 대해 평가하여 극장레퍼토리 구축에 있어서 국가브랜드공연의 역할과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가브랜드공연과 문화전통의 상관관계, 한국문화전통 구현 여부에 대한 평가를 한 후, 극장레퍼토리 구축에 있어서 국가브랜드 공연의 역할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결과 <청>과 <춤, 춘향>은 각각 효와 사랑이라는 보편적 정서를 민족적 정서인 한국적 무대양식과 스토리로 치밀하고 특수하게 담아냈다. <화선 김홍도>는 한국적 삶의 다양성을 파노라마(panorama)식 장면 연출을 통해 표현한다. 이런 평가를 토대로 볼 때, 국가브랜드 공연이 한국문화전통의 실체로 무대화한 점은 의의가 있다. 결론 국가브랜드공연은 한국문화전통의 가치를 현실에서 보여주는 바, 지속적인 실연을 도모해야 한다. 이것이 국가브랜드공연의 정체성에 대한 답이다. 요컨대, 국립극장 국가브랜드공연은 한국문화전통의 구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URPOSE This thesis proves the correlation between national brand performances and Korean cultural traditions by deal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national brand performance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implement Korean cultural traditions, and then evaluates whether Korean cultural traditions are implemented to build the national brand in the theater repertoire.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performance. METHOD After evalu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national brand performances and cultural tradi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cultural traditions,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national brand performances in building the theater repertoire were presented. RESULT < Chung > and < Dance, Chunhyang > each carefully and specifically captured the universal emotions of filial piety and love with the Korean stage style and story, which are national emotions. < Hwaseon Kim Hong-do > expresses the diversity of Korean life through panoramic scenes. Based on these evaluations, it is significant that the national brand performance was staged as a reality of Korean cultural tradition. CONCLUSION The national brand perfornances, show the value of korean cultural tradition in reality. so continuous demonstration should be promoted. This is the answer to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brand performance. In short, the National brand performances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re playing a part in the realization of korean cultural tradition.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 감상 레퍼토리 연구

        김미숙 ( Mi Sook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 감상지도를 위해서 관련 참고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공통적으로 제시된 감상 악곡을 선정하여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 감상 레퍼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교과서 8종, 제7차의 9종, 2007 개정의 16종, 2009 개정의 17종의 교과서 97권과 음악 감상 관련 서적, 서양음악사 관련 서적들이며 분석을 통해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악곡들을 빈도수에 따라 선정하였다. 선정된 악곡은 27곡이며 시대별, 작곡가별, 장르별 음악 감상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그 중 9곡을 요소별 감상지도를 위한 악곡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대표적 악곡 외에도 문화예술교육을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사는 음악 감상 레퍼토리의 확장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pertoire of music appreciation for culture-art educator through selecting music for liste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music literature. Music literature for the analysis are 97 music textbooks in middle school by curricula from the 6th revised curriculum to 2009 revised curriculum, books about music appreciation and music history. Through analysing, 27 music pieces are selected by frequency count among commonly presented music pieces. The repertoire is considered by period, composer, genre and also 9 music pieces are used for teaching music appreciation in music elements. Besides these representative music pieces, the culture-art educator should tru to expend the repertoire of music appreciation for culture-art education.

      • KCI등재

        중국인들의 한국 틱톡 채널 이용 및 레퍼토리 규모 결정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양아남(Yanan Yang),전범수(Bum Soo Cho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3 No.-

        이 연구는 중국인들이 한국 틱톡 채널을 어떻게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채널들에 대한 이용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중국인들의 한국 틱톡 채널 이용 동기를 살펴본 결과 2개의 요인들이 나타났다. 첫째는 즐거움 요인이며 둘째는 취향 및 추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틱톡 19개 채널을 대상으로 이용 정도를 살펴본 결과, 평균적으로 5점 만점에 3.43 정도 이용 정도가 나타났다. 응답자 틱톡 채널 레퍼토리를 평균값으로 살펴보면 응답자 레퍼토리 평균은 9.29개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들의 한국 틱톡 채널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들로 틱톡 이용 동기와 한국문화 관심도, 인구사회 요인 등의 변수들을 분석에 투입했다. 분석 결과, 틱톡 이용 동기 중에 즐거움 동기 요인이나 취향 및 사회 요인 모두 설명력이 높았다. 다음으로 한국 문화 관심도를 구성하는 두 요인 역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외에 중국인들의 한국 틱톡 채널 레퍼토리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들도 분석 결과, 즐거움 동기 요인이나 취향 및 추천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문화 관심도를 구성하는 두 요인 중에 영상 및 대중문화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terminants of repertoires of Korean TikTok Channels among Chinese People.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two motives for using Korean TikTok channels among Chinese People such as pleasure and, taste and recommendation factors. Secondly, the degree of using Korean TikTok channels among Chinese People were 3.43, and the number of repertoires was 9.29. Thirdly, determinants of using Korean TikTok channels among Chinese People were both two motives and the degree of interests for Korean culture. In addition, determinants of repertoires in using Korean TikTok channels among Chinese People were both two motives and a factor of the degree of interests for Korean culture such as audio-visual and popular culture.

      • KCI등재

        글로벌 시대의 한국무용

        松原孝俊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1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400년간 일본인이 어떻게 한국무용을 관람하였는지에 대해 한일교류사의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논하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일본인으로 범위를 한정해,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시선과 한국무용과의 관계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글로벌 시대의 한국무용에 거는 필자의 기대를 피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가 알고 있는 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남아있는 17세기를 시발점으로 하여 약 400년간을 4기로 나누어 각각 아래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1)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 조선왕조시대 - 일본인과 한국인의 교류가 일부 일본인 (대마도)에게 한정된 시기 • Point : 외교와 Soft Power: 「봉오도리」 밖에 모르던 일본인(대마도인)에 대한 한국 무용의 우월성(세련된 예술성) 2)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 일제 강점기 -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지화하여 대량의 일본인이 한반도를 침략한 시기 • Point : 1 그림엽서와 Exoticism 2 제2차대전 당시 일본에서 「발견」된 「조선」 3)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 1945년 ~ 1965년 일본인의 한반도방문이 엄격하게 제한된 시기 • Point : 1 재일 Korean(주로 조총련)의 문화 활동 2 재일 Korean에 의한, 재일 Korean을 위한 조선 민속 예능 - Identity 확인 작업 4)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1965~2000년 - 일본인의 한반도 방문이 전면적으로 개방된 시기 • Point : 1 Tourism과 한국 무용 : 고대로의 「원형찾기」와 「가장 개발에 뒤쳐진 민속촌」에서의 공연 2 일본인의 한국 여행 목적 이제까지의 필자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세기 말 동아시아의 문화 상황은 정부의 강력한 리더쉽을 바탕으로 국민국가 형성하기 위해서 보도관계나 음악 • 영화 등의 수입 제한과 매스컴 등을 동원하여 서로 완고한 벽을 만드는데 노력을 경주해 왔다. 전쟁에 의해서 피폐한 산업이나 사회적 근대화를 추구할 때, 국민적 아이덴티티의 확립을 지향하였고 이로서 국민에 대한 「문화의 주입」을 필요로 했다. 특히 국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침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각종 문화가 동원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국가적 아이덴티티 구축과 국가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자민족문화의 순수배양을 열망했던 시기가 20세기 후반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achronically discuss how the Japanese has enjoyed the Korean dance for about 400 years,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pres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th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limiting the scope to the Japanese, the thesis wil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perspective of Korea and the Korean dance. And finally, the author of the article would like to express her expectation on the Korean dance in the global society. In order to argue it, approximately 400 years have been divided into four periods and each conclusion below has been derived. Here, the 17th century is considered as the starting point because the period has the oldest record, as long as the author knows. 1)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the Joseon Dynasty era - the period when the exchange between Japan and Korea was limited to the part of the Japanese (Tsushirm Island) → Point: diplomacy and soft power: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dance (sophisticated artistry) to the Japanese who knew nothing else than "Bongodori" 2)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when Japan colonized Korea and scores of the Japanese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 Point: 1, Post card; and exoticism 2, "Joseon" that was "discovered" in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3)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the period when the Japanese's visit to Korea was strictly prohibited between 1945 and 1965. → Point: 1, the cultural activities of Koreans in Japan (mainly Jochongnyeon) 2, the Joseon folk art done by Koreans in Japan for Koreans in Japan works confirming their identity 4)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1965 2000 - the period when the door to the Japanese visitors to Korea was entirely opened → Point: 1, tourism and the Korean dance: "Looking for the original form;" from the ancient times and the performances in "the folk village that is the most backward in development" 2, the purpose of the Japanese' visit to Korea The arguement of the thesis can be put in to the following order. In East Asia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state of cultural affairs was concentrating efforts on building up walls to each other by using news censorship, limiting the imports of music and movie and mobilizing the mass media. In order to pursue the modernization of the industries impoverished by war and the society, it was aimed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and therefore, "indoctrination of culture" was necessary. Especially in order to penetrate the nation's political ideology, every type of culture was brought into play. In other words, it was the late 20th century when the pure culture of the national culture was eagerly des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identity and for the political purpose.

      • KCI등재

        공동 두레패 <소동패>에 關한 연구-(남)사당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손인애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8 No.-

        Sodongpae has thus far been assumed to have been a young people’s cooperative group, which was formed in the Jeonllado. However, it is found only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where the typical wandering performers’ groups, Sadangpae played the active role, and most musical repertoires belong to the Sadangpae songs. This raise the questions that Sodongpa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Sadangpa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igin of Sodongpae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a group and musics of Sodongpae. Sodonpae was originated from Sadangpae, which is based on the following facts:(1) the main members which consisted of young males and the group which had strict discipline like Sadangpae; (2) narrow and scattered regional distribu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cooperative groups; (3) text, Gyeonggi musical style, repertoires and performance circumstance influenced by Sadangpae; (4) the local people’s testimony that Sadangpae songs had a longer history than Sodongpae, which means Sodongapae was formed later than Sadangpae and there was Sodongpae in the only villages, which liked music and songs; (5) Sodongpae had a close relationships with local recreation culture. The study then concludes that Sadangpae had a tremendous effect on the folk culture as well as the folk music as pioneers of past popular music. 지금까지 소동패는, <현천 소동패놀이>를 통해 전통시대의 공동 두레패 중 하나이면서 농사의 다양한 뒤풀이 놀이문화도 즐겼던 집단으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소동패가 전라도의 순수한 공동 두레패라는 인식이 깔려있었다. 그런데 본 연구자는 향토민요에 수용된 사당패소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실제 소동패가 발견되는 지역이 매우 좁으며, 이들이 사당패 음악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된 집단임을 발견하고, 본고에서 소동패의 집단 특성을 본격적으로 고찰해보았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소동패는 (남)사당패와 구성원 및 집단 운영 방식, 음악 연행 방식 및 집단 성격, 산발적인 지역 분포, 레퍼토리 등에서 공통되는 특징이 많아, (남)사당패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은 집단임이 확인된다. 그렇다면 본래 공동 두레패인 소동패가 전승 과정에서 단순히 (남)사당패의 영향을 받은 것일까? 아니면 (남)사당패의 영향 아래 지역 놀이패의 성격이 강한 집단으로 형성된 것이었을까? 하는 의문이 들게 된다. 본고는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그 근거로, 첫째, 소동패는 보통 공동 두레패와는 달리 발견되는 지역권이 매우 좁고, (남)사당패소리가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분포 양상을 띠는 점이다. 만약 기존 설처럼 남도 지역의 공동 두레패로 형성된 집단이라면, 남도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있지 않고, 일부 남해안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같은 郡에서도 산발적으로 존재했던 사실을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여천, 보성, 고흥 지역 중 소동패가 발견되지 않는 지역에서 일종의 풀베기두레는 존재했던 사실이 확인되는 점도 소동패가 본래 순수 두레패로 형성된 집단이 아님을 반증한다. 둘째, (남)사당패의 영향이 음악(레퍼토리, 경기음악어법)뿐 아니라 사설, 연행방식, 집단 특성, 구성원 등 여러 부문에서 두루 나타나는 점이다. 셋째, 보성에서는 ‘(남)사당패소리가 소동패보다 더 오래되었다’는 증언이 있는데, (남)사당패의 민요풍 레퍼토리들이 대개 19세기 중반 이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는 소동패의 형성시기가 근세기로 그다지 오래되지 않은 사실을 의미한다. 그러나 소동패가 소위 풀베기나 품앗이 두레패라면, 이처럼 늦게 형성된 것으로 보기에 무리가 있다. 넷째, 고흥에서는 ‘모든 마을에 소동패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노래를 좋아하는 마을에만 있었다’는 증언도 있듯이, 소동패가 여느 두레패에 비해 놀이 문화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 집단인 점이다. 다섯째, 소동패가 있었던 지역에서는 (남)사당패소리가 대개 소동패의 노래로 인식된 점이다. (남)사당패소리는 전라도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소동패가 없는 지역에서는 대개 논농사소리로 전승된 사실이 확인된다. 그런데 소동패가 발견되는 지역에서는 이들 소리가 주로 소동패의 유희요로 전승되었고, 지역 놀이 문화를 담당할 때는 소동패가 (남)사당패의 대체 집단 기능을 가지고 있었던 모습이 보인다. 여섯째, 여천과 보성에서 소동패가 일종의 걸립(걸궁)소리들을 부른 사실이 발견되어, 걸립패의 면모도 보이는 점이다. 따라서 이상의 정황들로 볼 때, 소동패는 현재 발견되는 지역들 중에서 (남)사당패 음악문화의 영향 아래 지역 놀이패의 성격이 강한 집단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내 전통사회의 노동 문화에 맞춰 기존의 풀베기 및 품앗이를 하던 두레패의 기 ...

      • KCI등재

        Same Despair but Different Hope

        Yunjeong Joo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8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7 No.3

        This study attemp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cial movements of young people in East Asia. Since the 2000s, young people in East Asia have been coined as the “Three Giveup Generation” (South Korea), “Bomb Generation” (Taiwan), and “Loss Generation” (Japan), suggesting that they are in despair and lacking visions and hope for their future. However, the youths have been expressing their opinions on multiple issues in the form of organized action, such as the Anti-Constitutional Movement (Japan), the Sunflower Movement against China in the case of Taiwan, and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and feminist protests in Korea. Though they share similar problems of youth unemployment, job insecurity, social inequality, their activism directed towards diverse issues and agendas reflecting each society’s contexts and situations. Therefore, such differences created multifaceted issues and agendas for future visions of youth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youth activism in East Asia a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youth situation and politics in each country concerning frames and repertoires of movements. Also, based on research, I argue that young people developed their way of political engagement and contentious politics reflecting their context and condi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bunk ‘youth deficit model,’ which regards youth as mere victims of the society. Despite visible differences in issues and frames of contentions, East Asian youth politics share many commonalities regarding repertories such as frequent use of digital media and connections to youth cultures. First of all, the prevalent use of SNS made youth activists able to organize the boundary of campus activism reaching wider public. Secondly, the exposure to SNS and online media decreased the repressive violence towards demonstrators and created peaceful demonstrations. Therefore, diverse groups could participate in activisms and contention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critical issues in three countries’ contentions reflecting youth’s situations. Overal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youth activism in East Asian countries revealed that, despite the shared problems of East Asia’s youths, they conjure visions and hopes for society in multifaceted ways.

      • KCI등재

        Same Despair but Different Hope: Youth Activism in East Asia and Contentious Politics

        주윤정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8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7 No.3

        This study attemp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cial movements of young people in East Asia. Since the 2000s, young people in East Asia have been coined as the “Three Giveup Generation” (South Korea), “Bomb Generation” (Taiwan), and “Loss Generation” (Japan), suggesting that they are in despair and lacking visions and hope for their future. However, the youths have been expressing their opinions on multiple issues in the form of organized action, such as the Anti-Constitutional Movement (Japan), the Sunflower Movement against China in the case of Taiwan, and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and feminist protests in Korea. Though they share similar problems of youth unemployment, job insecurity, social inequality, their activism directed towards diverse issues and agendas reflecting each society’s contexts and situations. Therefore, such differences created multifaceted issues and agendas for future visions of youth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youth activism in East Asia a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youth situation and politics in each country concerning frames and repertoires of movements. Also, based on research, I argue that young people developed their way of political engagement and contentious politics reflecting their context and condi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bunk ‘youth deficit model,’ which regards youth as mere victims of the society. Despite visible differences in issues and frames of contentions, East Asian youth politics share many commonalities regarding repertories such as frequent use of digital media and connections to youth cultures. First of all, the prevalent use of SNS made youth activists able to organize the boundary of campus activism reaching wider public. Secondly, the exposure to SNS and online media decreased the repressive violence towards demonstrators and created peaceful demonstrations. Therefore, diverse groups could participate in activisms and contention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f critical issues in three countries’ contentions reflecting youth’s situations. Overal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youth activism in East Asian countries revealed that, despite the shared problems of East Asia’s youths, they conjure visions and hopes for society in multifaceted ways.

      • KCI등재

        비혼을 통해 본 결혼의 탈제도화와 문화적 영향력의 지속

        박수민 한국가족학회 2017 가족과 문화 Vol.29 No.4

        This article explores cultural repertoires of Koreans who don’t want to get married to analyze the how people choose and maintain single life. The meaning of marriage and family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cultural lens of the unmarried. It draws on in-depth interviews with 10 highly educated, unmarried people mostly in their 30’s. Although not following the normative marriage patterns, they have traditional images of marriage which regulate sexuality and intimacy and demand sacrifices of the self. This twist comes from the situation that they adopt family repertoires from their family of the origin while most of the life strategies are aligned to the competitive labor market. Not refusing to marriage, but keeping own lifestyle is the most important force for the unmarried. Under the changes in family and intimacy practices, the pursuit of gender equality, and internalized insecurity, marriage appealed to the young Koreans as a ‘compulsory duty’ whereas not-marrying appealed as a ‘choice’. Given the existence of cultural norms which accords meaning the single life, unmarried life should be acknowledged as one of the life stages, not a temporal or exceptional status. The existence of two conflicting cultural frames suggests the clue that how the marriage can be de-institutionalized while exercising its influence at the same time. 이 글은 비혼의 이유를 결혼하지 않은 이들이 살면서 이미 체득한 문화적 레퍼토리에서찾고, 이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레퍼토리를 통해 바라본 결혼과 가족의 의미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결혼할 의사가 없다고 밝힌 대졸 학력 이상의 고학력자 10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비혼을 선택한 이들이 결혼제도와 가족에 갖고 있는 이미지는 탈규범적이기보단 전통적인 것에 가까웠다. 결혼제도는 친밀성과 섹슈얼리티를 규제하는 제도이자, 개인을 억압하고 희생을 요구하는 제도로 파악되고 있었다. 비규범적 행동과 규범적 가치관이라는 엇갈림은 가족에 대한 문화적 레퍼토리는 원가족과 결혼에 대한 비판적 담론을 통해 형성한 반면자신의 삶을 기획하는 레퍼토리는 개인화된 문화에서 차용하는 이중의 구도 속에서 등장한것이다. 비혼을 지탱하는 것은 결혼제도에 대한 반발이라기보다는 지속해온 삶의 방향성이결혼제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혼제도의 유연화와 친밀성 실천의 변화, 평등한젠더관계에 대한 추구, 신자유주의 경제질서 속에서 내면화된 불안이라는 복합적 요인 속에서 결혼은 강제적이고 의무적이라는 프레임과 비혼은 선택이라는 프레임이 대비되어 나타난다. 비혼이라는 행위를 지원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문화적 규범이 존재 한다는 것은 비혼이임시적이거나 예외적 상태가 아닌 독자적인 위치를 갖는 삶의 양식임을 보여준다. 이는 비혼, 만혼 등 결혼규범이 느슨해지는 와중에도 결혼제도가 그 영향력을 유지하는 모순된 상황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 KCI등재

        조선후기 풍류문화의 음악교육적 접근-역사·문화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임미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Pungryu covered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ainly centers on gagok (songs based on traditional poetry in the Joseon Period), sijo (a Korean traditional poetic form that emerged in the Goryeo Period), and Yeongsanhoesan (a suite of instrumental pieces originated from Buddhist music.) Pungryu is not only focused on particular genres among various pungryu music but also barely utilized as in-class activity materials in the area of singing or music appreciation. While some contents were covered in the Pungryu category, there are quite a few cases found in the context irrelevant to Pungryu. Thus, it is impossible to have a multi-level understanding of gagok, sijo, and Yeongsanhoesan in the textbooks. Moreover, as the Pungryu-related contents in the late Joseon Period music, which should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are so simpl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Pungryu in detail.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ontents of Pungryu covered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contents of the Pungryu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For this reason, the study aimed to discuss the backgrounds of the pungryu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and present educational plans based on the contents. Chapter 3 discussed the background of the Pungryu development from three aspects: expansion of the population who enjoyed Pungryu, changes in styles of enjoyment, and expansion of the population responsible for Pungryu. Chapter 4 dealt with educational approaches to education plan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istory background of the Pungryu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utiliz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xtension of the population who enjoyed Pungryu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ontents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accommodated to Pungryubang, the contents of various repertoires extension, and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Pungryubang.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다루어진 풍류는 가곡, 시조, 영산회상이 주를 이룬다. 풍류의 다양한 악곡들 중 특정 갈래에 치중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가창 또는 감상 영역에서 제재곡으로 활용한 사례가 적다. 풍류의 범주에서 다루는 경우도 있었지만, 풍류와 무관한 맥락에서 다루어진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 까닭에 교과서에 실린 가곡, 시조, 영산회상 등에 대한 중층적인 이해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문화사적인 맥락에서 설명되어야 할 조선후기 음악에서 제시된 풍류관련 내용은 매우 간략하여 풍류의 발전양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본고는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다루어진 풍류관련 내용의 문제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조선후기 풍류 발달에 대한 내용을 역사·문화사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풍류 발달의 배경을 역사·문화사적 관점에서 논하고, 그 내용을 그 내용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풍류 발달이 가능했던 배경에 대해서는 풍류 향유층의 확대, 향유방식 변화, 담당층의 확대 이상 세 가지 측면에서 논하였다. 4장에서는 조선후기 풍류의 발달에 대한 역사·문화사적 배경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다루었는데, 조선후기 풍류 향유층 확대의 내용 활용, 풍류방에 수용된 다양한 악기 내용의 활용, 다양한 레퍼토리 확장의 내용 활용, 풍류방의 사회·문화적 의미 활용 등의 측면에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연애와 행복

        오세일(Seil Oh),박태진(Taejin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50

        오늘날 한국 대학생들에게 사랑과 친밀감, 그리고 행복에 관한 갈망은 매우 중요한 삶의 주제이다. 한국 대학생들의 연애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성격, 애착이나 선호 스타일 분석 등의 심리학적 접근, 연애의 소비자본주의 특성에 관한 문화적 접근, 혹은 연애와 젠더 차이, 정체성 구성에 관련된 여성학적 접근이 주된 흐름이었다. 한편, 남녀 대학생 간의 연애와 행복에 관한 문화사회학적 분석은 미비하였다.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연애에서 드러나는 `사랑·친밀감`에 대해서 문화사회학적 해석을 통해 `행복`의 담론에 접근하고자 한다. 청년으로서 사회인이 되기 전의 불확실한 시기에 대학생의 `행복`에 관한 실제적인 체험을 `연애`의 역동적 과정을 통해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이다. 대학생의 실제 연애 안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사회문화적 요인들은 무엇이며, 행복의 담론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이 질문에 응답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스위들러(Swidler)가 제시하는 문화 레퍼토리 혹은 도구상자(toolkits), 즉 행위 전략을 구성하기 위해 활용되는 습관, 기술, 스타일 등을 `실제 사랑`의 분석의 도구로 활용한다. 서울 A지역 남녀 대학생 열두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한 결과, 한국사회에서 대학생 세대는 `사랑의 신화`와 연관된 `낭만적 사랑`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일상에서 체험하는 `실제 사랑`은 긴장과 갈등, 행복과 고통이 공존한다. 커플 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문제에 대해 낭만적 사랑이라는 문화 레퍼토리의 자원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상황이 많다. 그렇기에, 서로의 취약성을 인정하고 `사회실존적 진정성`에 기초한 소통과 신뢰를 수행하는 실제사랑에서의 문화 레퍼토리의 확장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된다. 또한 행복 담론의 사회문화적 구성의 차원에 관해서 `낭만적 열정 혹은 감정적 진정성`은 실제 사랑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지만, 주체적인 성찰성을 바탕으로 관계적 신뢰와 안정적 정감을 형성하는 문화 레퍼토리의 수용은 공존성의 감각과 더불어 행복의 의미를 확장시킨다. 요컨대, 타자를 통한 자기성찰과 자기인식의 확장은 사회실존적인 진정성을 통해서 행복의 의미를 형성하는 주요 기제임을 설명한다. Nowadays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re relentlessly facing uncertainties in the late-modern society and endless competitions in the neo-liberal regime; however, for them love, intimacy and happiness are very significant themes. Thus far, scholars have researched university students` love and intimacy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logy, feminism, or consumerism. Little has been done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s on love and happiness. This study aims at cultural analysis on love and intimacy of university students in relation to their happiness. It is timely and significant to analyze the social implications of happiness from university students` love experiences. What are socio-cultural factors of tension or conflict in their love relationships? How do they experience happiness in their real-love? In response to these questions, I utilize Swidler`s theory on cultural repertoire or toolkits, that is, habits, skills, and styles to be adopted to perform action strategies. After interviewing twelv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 district in Seoul,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University students tend to pursue “love myth” or “romantic love” repertories; however, it is often in tension with real-love repertories. Also, happiness and suffering coexist in their experiences. Problems of conflict arising from dating relationship can hardly be resolved by romantic love repertories. Therefore, the extension of cultural repertories is quite important to resolve couples` conflicts in their real-love by developing communication and trust based on socio-existential authenticity. Though mere emotional authenticity stemming from romantic passion might do harm to stable reciprocity in real-love, stable emotions based on interpersonal trust might lead to happiness and co-existence. Self-reflexiv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larging self-recognition in socio-existential dimensions in discourses on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