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혼을 통해 본 결혼의 탈제도화와 문화적 영향력의 지속 = De-institutionalization but Sustained Cultural Influence of Marriage through the lens of the Unmarri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cultural repertoires of Koreans who don’t want to get married to analyze the how people choose and maintain single life. The meaning of marriage and family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cultural lens of the unmarried. It draws ...

      This article explores cultural repertoires of Koreans who don’t want to get married to analyze the how people choose and maintain single life. The meaning of marriage and family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cultural lens of the unmarried. It draws on in-depth interviews with 10 highly educated, unmarried people mostly in their 30’s. Although not following the normative marriage patterns, they have traditional images of marriage which regulate sexuality and intimacy and demand sacrifices of the self. This twist comes from the situation that they adopt family repertoires from their family of the origin while most of the life strategies are aligned to the competitive labor market. Not refusing to marriage, but keeping own lifestyle is the most important force for the unmarried. Under the changes in family and intimacy practices, the pursuit of gender equality, and internalized insecurity, marriage appealed to the young Koreans as a ‘compulsory duty’ whereas not-marrying appealed as a ‘choice’. Given the existence of cultural norms which accords meaning the single life, unmarried life should be acknowledged as one of the life stages, not a temporal or exceptional status. The existence of two conflicting cultural frames suggests the clue that how the marriage can be de-institutionalized while exercising its influence at the same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비혼의 이유를 결혼하지 않은 이들이 살면서 이미 체득한 문화적 레퍼토리에서찾고, 이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레퍼토리를 통해 바라본 결혼과 가족의 의미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

      이 글은 비혼의 이유를 결혼하지 않은 이들이 살면서 이미 체득한 문화적 레퍼토리에서찾고, 이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레퍼토리를 통해 바라본 결혼과 가족의 의미를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결혼할 의사가 없다고 밝힌 대졸 학력 이상의 고학력자 10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비혼을 선택한 이들이 결혼제도와 가족에 갖고 있는 이미지는 탈규범적이기보단 전통적인 것에 가까웠다. 결혼제도는 친밀성과 섹슈얼리티를 규제하는 제도이자, 개인을 억압하고 희생을 요구하는 제도로 파악되고 있었다. 비규범적 행동과 규범적 가치관이라는 엇갈림은 가족에 대한 문화적 레퍼토리는 원가족과 결혼에 대한 비판적 담론을 통해 형성한 반면자신의 삶을 기획하는 레퍼토리는 개인화된 문화에서 차용하는 이중의 구도 속에서 등장한것이다. 비혼을 지탱하는 것은 결혼제도에 대한 반발이라기보다는 지속해온 삶의 방향성이결혼제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혼제도의 유연화와 친밀성 실천의 변화, 평등한젠더관계에 대한 추구, 신자유주의 경제질서 속에서 내면화된 불안이라는 복합적 요인 속에서 결혼은 강제적이고 의무적이라는 프레임과 비혼은 선택이라는 프레임이 대비되어 나타난다. 비혼이라는 행위를 지원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문화적 규범이 존재 한다는 것은 비혼이임시적이거나 예외적 상태가 아닌 독자적인 위치를 갖는 삶의 양식임을 보여준다. 이는 비혼, 만혼 등 결혼규범이 느슨해지는 와중에도 결혼제도가 그 영향력을 유지하는 모순된 상황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혼인이혼통계"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혼인동향분석과 정책과제" (204) : 2013

      3 계봉오,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 출생 코호트 및 성별 비교" 한국인구학회 39 (39): 1-28, 2016

      4 신수진,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족주의 전통" 4 (4): 165-192, 1999

      5 이왕원, "한국사회의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 변화: 연령, 기간 및 코호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247-284, 2016

      6 장경섭, "한국사회 제도적 가족주의의 진단과 함의 - 소득보장, 교육, 돌봄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27 (27): 1-38, 2015

      7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8 김미숙, "중소도시 중년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청주시 경우" 한국인구학회 39 (39): 103-152, 2016

      9 로젠펠드, 마이클 J. ((Michael J. Rosenfeld), "자립기" 갈무리 2014

      10 바우만, 지그문트(Zygmunt Bauman), "액체근대" 강 2009

      1 통계청, "혼인이혼통계"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혼인동향분석과 정책과제" (204) : 2013

      3 계봉오,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 출생 코호트 및 성별 비교" 한국인구학회 39 (39): 1-28, 2016

      4 신수진,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족주의 전통" 4 (4): 165-192, 1999

      5 이왕원, "한국사회의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 변화: 연령, 기간 및 코호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247-284, 2016

      6 장경섭, "한국사회 제도적 가족주의의 진단과 함의 - 소득보장, 교육, 돌봄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27 (27): 1-38, 2015

      7 박혜경,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정체성" 한국여성학회 25 (25): 5-33, 2009

      8 김미숙, "중소도시 중년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청주시 경우" 한국인구학회 39 (39): 103-152, 2016

      9 로젠펠드, 마이클 J. ((Michael J. Rosenfeld), "자립기" 갈무리 2014

      10 바우만, 지그문트(Zygmunt Bauman), "액체근대" 강 2009

      11 최선영, "압축산업화 시대 노동계급가족 가부장제의 물질적 모순 : '남성생계부양자' 노동생애 불안정성의 가족 전이" 한국사회학회 46 (46): 203-230, 2012

      12 유계숙,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0 (40): 79-94, 2002

      13 통계청, "생애주기별 주요특성 및 변화분석"

      14 이순미,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1955-1974년 성인기 이행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8 (48): 67-106, 2014

      15 통계청, "사회조사" 2016

      16 통계청, "사회조사" 1998

      17 벡, U,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새물결 2002

      18 일루즈, 에바(Eva Illouz), "사랑은 왜 아픈가" 돌베게 2013

      19 이순미, "비혼 청년층의 가족의식에 나타난 가족주의의 변형과 젠더 차이" 사회과학연구소 40 (40): 1-30, 2016

      20 지은숙, "부모를 돌보는 비혼 남성의 남성성: 일본의 젠더 질서와 가족 돌봄의 역학" 한국여성학회 30 (30): 77-117, 2014

      21 성미애, "부모-비혼 성인자녀 관계의 재조명: 동거 및 경제적 의존 여부에 따른 집단별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35 (35): 139-158, 2017

      22 김혜경, "부계 가족주의의 실패?: IMF 경제위기 세대의 가족주의와 개인화" 한국사회학회 47 (47): 101-141, 2013

      23 전희경, "마을공동체의 ‘공동체’성을 질문하다: 서울시 마포·은평 지역 비혼/퀴어 페미니스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4 (14): 75-112, 2014

      24 강이수, "남성부양자 가족의 균열과 지속: 변화 경로와 쟁점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학회 23 (23): 123-145, 2011

      25 신혜림, "고학력 결혼적령기 커플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의미 및 젠더 정체성"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77-98, 2016

      26 클라이넨버그, 에릭 (Eric Klinenberg), "고잉솔로 싱글턴이 온다" 더퀘스트 2013

      27 이민아, "계획적 무자녀 가족: 한국 사회에서 아이 갖기의 의미와 가족주의의 역설" 한국사회학회 47 (47): 143-176, 2013

      28 홍찬숙, "개인화"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29 이윤석, "가치관과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사회학회 2016

      30 윤홍식, "가족주의와 가족정책 재유형화를 위한 이론적 논의"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261-284, 2012

      31 박통희, "가족주의 개념의 분할과 경험적 검토 - 가족주의, 가족이기주의, 의사가족주의" 한국가족학회 16 (16): 93-125, 2004

      32 장경섭, "가족, 생애, 정치경제: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창비 2009

      33 벡게른스하임, 엘리자베트(Elizabeth Beck-Gernsheim), "가족 이후에 무엇이 오는가" 새물결 2005

      34 장경섭, "‘위험회피’ 시대의 사회재생산: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한국가족학회 23 (23): 1-23, 2011

      35 김혜경, "‘가족 이후’의 대안적 친밀성: 비혼 청년층의 공동주거 사례를 통해 본 돌봄과 우정의 공동체 실험" 한국사회학회 51 (51): 155-198, 2017

      36 Cherlin, A.J.,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American Marriage" 66 (66): 848-861, 2004

      37 Swidler, A., "Talk of love: How culture matte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38 Simpson, R., "Singleness and self-identity: The significance of partnership status in the narratives of never-married women" 33 (33): 385-400, 2016

      39 Bourdieu, P, "On the family as a realized category" 13 (13): 19-26, 1996

      40 Johnson, P., "Love, heterosexuality and society" Routledge 2007

      41 Beck, U.,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Sage 2002

      42 LaRossa, R., "Fatherhood and social change" 451-457, 1988

      43 Skolnick, A.S., "Family in transition: rethinking marriage sexuality child rearing and family organization" Pearson 2014

      44 Roseneil, S., "Cultures of intimacy and care beyond ‘the family’: Personal life and social change in the early 21st century" 52 (52): 135-159, 2004

      45 Swidler, A., "Culture in Action: Symbols and Strategies" 51 : 273-286, 1986

      46 Budgeon, S., "Coupleculture and the production of singleness" 11 : 301-325, 2008

      47 Gillis, J.R., "A world of their own making: Myth, ritual, and the quest for family valu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48 성미애, "40, 50대 비혼 여성의 결혼 및 가족 담론" 한국가정관리학회 32 (32): 131-141, 2014

      4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2015

      50 박기남, "20-30대 비혼 여성의 고용 불안 현실과 선택" 한국여성학회 27 (27): 1-3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