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쓰기〉통합 교육과 주체적 글쓰기 연구

        박규준(Park, Gyu-jun)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7 No.-

        본고는 교양교육으로서의 〈명저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주체적 글쓰기에 대한 연구이다. 교양교육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은 통합력, 분석력, 비판력, 창조력을 향상할 수 있는 사고 교육과 그렇게 형성된 주체의 사고를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언어 표현 교육이다. 이를 위해 대구대학교에서는 〈읽기와 쓰기〉 통합 교육인 〈명저(고전) 읽기와 쓰기〉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대구대학교 읽기-쓰기 관련 교과목인 〈명저와 창의적 글쓰기〉교과목의 수업 방법으로 주체적 글쓰기 측면에서 제시한다. 명저의 텍스트 특징과 사고 표현인 글쓰기 특징을 통합한 〈명저와 창의적 글쓰기〉교육은 주체의 사고 변화, 주체의 정체성 확립, 주체의 공동체성으로 연결되는 주체 형성 교육이다. 명저 읽기의 주체적 해석은 담화 요소인 저자(명저), 독자(학습자), 맥락(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주체의 반응과 변화 내용을 찾는 활동이라고할 수 있다. 그래서 학습자는 각각의 담화 요소와 관련지어서 명저와 연관된 텍스트성, 독자와 연관된 자아 정체성, 맥락과 연관된 타자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주체 반응과 변화 내용을 생성한다. 창의적 글쓰기의 주체적 표현은 명저 읽기의 주체 변화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창의적 글쓰기의 글의 목적과 글의 종류를 결정하고 글의 주제를 선정하여 완성글을 창작하는 것이다. 학습자는 명저 읽기에서 생성된 주체 변화 내용에 따라 글의 목적과 글의 종류를 선택하고 텍스트성 내용을 중심으로 해석적 글쓰기인 서평, 자아 정체성 내용을 중심으로 성찰적 글쓰기인 수필, 타자성 내용을 중심으로 비평적 글쓰기인 평론(시사, 문예) 등을 창작한다. 따라서 두 과정의 상호작용에 의한 통합 교육은 주체적 글쓰기 교육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ubjective writing in the course of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as liberal arts education. The two directions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s liberal education are thinking education that can improve integration, analytical power, criticism, creativity, and language expressive education that can logically express the thought of subject formed through it. Therefore, Daegu University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a curriculum related to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to provide integrated education on 〈reading and writing〉.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is a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subject and adopts the subjective writing as a key teaching method. The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ive Writing〉, which integrates the textual features of the masterpiece and the writing characteristics as the thinking expression, is the subject formation educ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thinking change, establishing identity and collectivity of subject.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reading masterpieces is the activity exploring the subject"s reaction and change to the author, the reader (learner) and the context(socio-cultural context). Thus, the learner distinguishes between the textuality associated with the masterpiece, the self - identity associated with the reader, and the otherness associated with the context in relation to each discourse element and recognizes the subject’s reaction and change. The subjective expression of creative writing is to determine the purpose and type of writing by considering the contents of subject change of the reading masterpieces, and to select the subject and create the finished article. The learner selects the purpose and type of writing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subject change generated in the reading masterpieces, and creates the book review as interpretive writing focusing on textuality, the essay as reflecting writing focusing on self identity and the comment(discussion on current topics and literary arts) as critical writing focusing on otherness. Consequently, the integrated education by interaction of two processes is subjective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인성·비교과 프로그램〉 사례를 통한 교양교육의 타자성 연구 - 한세대 비교과 프로그램 〈인문학한스푼〉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조혜진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4

        In this context, liberal arts and humanities in the post-human era caus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itically reflect on the problems of the subject's desire of modern humanism, and aim for creative humanity education for the other as a new liberal education based on social creativity. At this time, the OO University's Basic Education Center <Comparative Program, HAN Spoon>, is designed to reinforce the capacity of sharing and consideration through continuous lectures on the humanities on the subject of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is context, Liberal Arts and Humanities Comparative Program aims at transdisciplinary research that solves the framework of such proble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recovery of the otherness of the posthuman era beyond the academic horizon of the. Through this collaborative research, we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conducting collaborative research by rethinking the purpose of convergence and interdisciplinary fusion of liberal arts and humanities. It is recreated not only for the fusion of devalued physical technologies but also for the purpose of convergence, which means that it is meaningful as a liberal arts education aiming for cooperative creativity and otherness. 하이데거는 『기술과 전회』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테크놀로지의 본질을 존재의 총체적 부품화로 설명하면서 테크놀로지의 공간에서 사물은 가공자의 목적에 따라 조직적으로 끝없이 활용되고 소모되는 체계에 부속됨으로써만 존재하며, 존재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현실화되는 존재양태를 부속품이라 설명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테크놀로지의 공간에서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테크놀로지의 지배자로 군림하는 인간도 사실상 부속품으로 존재할 위기에 처하게 된다고 비판하면서, 인간조차 가공될 수 있는 ‘인간자원’에 불과한 존재로 전락할 위기가 인공두뇌학, 즉 사이버네틱스의 시대에 도래할 것임을 경고하였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철학은 근대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에서 새로운 포스트휴머니즘으로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불멸하는 트랜스휴먼을 제작하려는 기술적 창의성을 비판하는 사유로서 의의를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하이데거는 존재하면서 자신의 존재를 문제 삼고 존재를 벗어나고자 하는 인간의 존재 방식을 탈존(Ex-sistanz)으로 설명, 인간을 세계의 중심으로 이해한 데카르트를 비판하며 탈중심화의 관점에서 탈존을 이해함으로써 도구에서 더 나아가 테크놀로지의 기술적 진보에 대한 철학적 단초를 수립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포스트 휴먼 시대의 교양 인문학은 근대 휴머니즘의 주체 욕망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성찰, 사회적 창의성에 기반한 새로운 교양교육으로서 타자성을 향한 창의 인성적인 교육을 지향한다. 이때 OO대 기초교양교육원 (인성)비교과 프로그램 <인문학 HAN스푼>은 공동체 및 대인관계를 주제로 한 인문학 연속 특강을 통해 나눔·배려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취지로 평일 낮 12시 런치 타임을 활용하여 4주차 연속 특강으로 설계되었다. 1주차는「아싸와 인싸, 괴물과 A·I의 상상력을 통해 본 포스트휴머니즘의 타자성」에 대해 문학과 영화를 넘나들며 괴물의 탄생에서 A·I에 이르기까지 실존주의에서 휴머니즘, A·I에 이르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타자성에 대해 강연하였으며, 2주차「성애화된 사랑과 에로스의 종말을 통해 본 타자성의 위기」에서는 사랑과 연애마저 포기하는 신자유자본주의 속에서 N포 세대들의 절망을 이해, 에로스의 종말을 통해 본 타자성의 위기와 타자성의 의미에 대해 연애와 사랑, 결혼에 이르는 의견을 듣고 타자성 회복에 대한 해법을 토론하는 장을 마련하였다. 3주차에서는「세대특성에 따른 애착유형과 관계의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적 창의성」의 주제를 통해 일제 식민지 경험과 분단으로 인한 전쟁경험 세대, 민주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열망을 지닌 586세대, 문화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열망을 지닌 X세대, 자아실현이 최고의 인생목표가 된 밀레니엄 세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대 특성을 이해하고, 생물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적 창의성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4주차「주체의 공포와 포스트휴먼 시대 교양교육의 미래」에서는 근대 주체의 휴머니즘에서 야기된 문제점들에 이어 트랜스휴머니즘과 같이 기술적 창의성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주체 소멸의 공포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협력적 소통 가능성과 포스트휴먼 시대의 가장 큰 위기라 할 수 있는 타자성에 대한 회복을 위해 교양교육의 미래에 대해 논의 ...

      • KCI등재

        정의적 영역 성취기준을 반영한 문학 교과서학습 활동 연구 -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자아 성찰과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

        김두열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o reflect the content of learning related to 'self-reflection and other understanding' in the literary textbook amo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his way, we can understand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chieved by presenting the affective domain as creative learning activity in literature education. Creativity is shared between a cognitive and an affective personality, so learners can perform both knowledge and personality education while engaging in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affirmative domain, we must uti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creative learning activity', and 'education to understand me and forget others'. There are ten litera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The literary works selected for the achievement criteria of self - reflection and others' understanding change the attitude of the speaker and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hey have the subject consciousness that is appropriate to the achievement standard. When analyzing learning activities refle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ffective domain,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evaluate the criteria such as 'arrangement of learning',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learners', and 'schematized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learning, existing textbooks are likely to be the null curriculum at the end of the textbook, the achievement standard unit of the affective domai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affective domain in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so that continuous personality edu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learner level, we should use the medium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interest, and organize the activities so that voluntary reflection occurs. In criticizing schematized learning activities, there are schematized internalization, diary writing activities, and diagramming of activities for gen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ep-by-step and specific internalization activities",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counseling techniques", and "activities taking into account conflicts and round characters". 이 논문의 목적은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인 ‘자아성찰과 타자이해’와 관련한 학습 내용을 문학교과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육에서 창의적인 학습활동으로 인성교육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창의성은 인지적 성격과 정의적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인 활동은 학습자들에게 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학습자들은 창의적인 활동을 하면서 지식 교육과 인성 교육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정의적 영역의 교육을 위해서는 ‘과정 중심 평가’, ‘창의적 학습 활동’, ‘나를 알고 나를 잊어 타인을 이해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2015 교육과정에 근거한 문학 교과서는 10권이다. 자아성찰과 타자이해의 성취기준에 선정된 문학 작품은 대부분 작품 속 화자와 인물의 태도변화를 담고 있다. 또한 성취기준에 적합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을 반영한 학습 활동을 분석할 때에는 ‘학습의 배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내용’, ‘도식화된 학습활동’ 등의 기준을 가지고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학습의 배열을 고려했을 때, 기존의 교과서에선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 단원이 모두 교과서 마지막에 제시되어 영교육과정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을 교과서의 앞부분에 구성하여 지속적인 인성 교육을 도모해야 한다.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해서 매체를 활용하고, 자발적인 성찰이 일어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도식화된 학습 활동에는 도식적인 내면화, 일기쓰기 활동, 갈래별 활동의 도식화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내면화 활동’, ‘상담 기법을 활용한 감상 활동’, ‘갈등 처리 과정과 입체적 인물을 고려한 활동’ 등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스키리조트 종사원들의 감성지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나용근 ( Yong Geun Na ),최원호 ( Won Ho Choi ),노수정 ( Soo Jung N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4

        감성지능이 다양한 영역에 걸쳐 조직 및 종사원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몰입과 건강, 이직 성향, 창조성, 창의성, 효율성, 조직성과, 고객의 충성심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키 리조트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창의성의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적자원의 비중과 활용도가 큰 스키리조트에서 종사원의 노출된 서비스 환경에서 감성지능을 어떻게 발휘하며, 종사원의 감성지능이 창의성과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더불어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감성지능의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자기감성이해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창의성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감성지능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창의성의 매개효과 결과를 해석해 보면,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창의성은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및 자기감성이해 요인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나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사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직무 특성상 감정을 많이 필요로 하는 스키리조트의 직무에서 감성지능에 따라 종사원의 직무성과에 차이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performance and creativity of ski resort employe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09 employees in ski resort which were located in gangwon-do and then it was analyzed by using a SPSS WIN 12.0 version of software package and used for the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The emotional intelligence(use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other’s emotional appraisal, self-emotional appraisal) has been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demonstrated to be related to job performance in ski resort. Furthermo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Also, Creativity acted as a part mediator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his result showed the great importance of th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the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Creativity is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employees`` duties and serve to convince the community that called Ski Resort members. This is because it affects the job performance of the ski resorts in the ski resort operating strategies can be a major factor.

      • 교과서 작품을 활용한 창조적 독서 토론

        최미영(Choi Mi-young) 창조교육학회 2012 창조교육논총 Vol.14 No.-

        In recent times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theories put forward about reading discussions and there has been a wide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reading discussions for student's education. However these theories have often proven to be very unrealistic, which makes the task of applying these theories practically in a class situation very difficult. Therefore it is a matter of great concern that a solution be found to this problem so that students are given the best possibl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creative reading abilities and bring class and reading discussion activities together in better unison. A good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o carefully focus on parts of the text book in which creative reading discussion can be easily produced. Through creative reading discussion, students can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which will then aid them in their journey of self development throughout their lives, which is a core purpose of the education system. Also, through creative reading discussion students not only develop their reading and conversation ability but they experience creative self growth as well. Creative reading discussion will also enable students to gai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literature. Lastly, creative reading discussion will help facilitate students in becoming more socially mature. It is encouraging to see students improve in all these aspects mentioned above in a classroom environment through creative reading discussion based on literature found in text books. Creative reading discussion that is done in the familiar classroom environment enables students to be more comfortable in taking part in discussions. Through creative reading discussion,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share their opinions with the class about the different issues that come out of the topic and thus they can debate with each other and come up with their own conclusions to the matter which will in the end help the students to grow in confidence. In order for creative reading discussion that is based on text book literature to work effectively much effort and creative ideas are required and additional supplementary material needs to be regularly added and furthermore, this type of discussion needs to be applied in other subjects.

      • KCI등재

        자아, 타인 용서 성향과 창의적 성격의 관계: 상황 용서 성향의 매개효과

        정은진(Eun Jin Ju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7 창조와 혁신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용서하는 성향과 창의적 성격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자아 용서 성향, 타인 용서 성향, 상황 용서 성향이 각각 개인의 창의적 성격에 영향을 줄 것이고, 자아와 타인을 용서하는 성향이 각각 상황 용서 성향을 매개로 하여 창의적 성격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Mturk(Amazon Mechanical Turk)을 통해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였으며 총 155 명의 참여자들이 설문에 참여했다. 연구 모델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아를 용서하는 성향과 타인을 용서하는 성향이 상황을 용서하는 성향을 완전 매개로 하여 개인의 창의적 성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추후 연구 주제를 기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al forgive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To do this,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self,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others, and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situations would respectively influence creative personality. And,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self and others would respectively influence creative personality mediated by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situations.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Mturk(Amazon Mechanical Turk) and 155 people participated in it.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situation,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he result shows that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self and others influence creative personality mediated by dispositional forgiveness of situations.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ideas were discussed.

      • KCI등재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도덕지능의 함양 방안

        이인재 ( In Jae Lee ),정수연 ( Su Yeon Je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3

        본 논문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인성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해 도덕교육이 어떻게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도덕지능의 함양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인성교육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여, 창의·인성교육은 기존의 두 개념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것으로 창의성과 더불어 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함께 구비한 창의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어 현행 도덕교육이 창의·인성교육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최근 다양한 지능에 관한 이론 중 학업지능적인 측면이 아닌 도덕적 성숙과 관련된 도덕지능에서 찾아 그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삶과 인간관계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함으로써 더불어 살아가려는 윤리적 마음가짐과 실천적 지혜 및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능력인 도덕지능은 다양한 지능이 제대로 발휘되고 인생의 올바른 방향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바, 이를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 도덕지능의 기초에 해당하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능력을 높이기 위해 감성 능력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answers to two questions as follows: One is to find out what is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nd what are some relevant reasons which moral education can provide in order to build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the other i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oral Intelligence" and to seek effective ways to apply those theories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Moral intelligence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care for other people, to judge morally right or wrong and to do moral behavior. The importance of this moral intelligence are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moral intelligence is the standard for developing the other intelligences. Second, moral intelligence assists for a just life. The purposes of developing moral intelligence are to improve empathy, to expand the ability of judgement and to increase the power of moral execution. Emotional ability is utilized to improve moral intelligence. Among those abilities, it is needed to focus on the empathy factors. After improving the ability to recognize emotion and expanding the vocabulary to express emotion, various games and activities should be followed to reinforce sensitivity and to develop empathy to other people.

      • KCI등재

        시 창작 교육의 소재 확장 가능성 탐구 ― 타자와 사회를 소재로 한 시 창작 수업

        최지혜 ( Choi Ji-hye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4

        본고는 그동안의 문학 교육이 창작보다는 수용 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2015 교육과정 문학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 제시된 창작 활동은 기존 시의 재구성이나 생활 경험을 통한 시 쓰기 중심으로 한정되었다. 현재 구성된 활동으로는 학교에서의 시 창작이 단편적인 차원에 그치거나 단계적인 안내의 미비로 학생들에게 창작의 성취와 기쁨을 이끌어내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이에 시 창작 수업의 다양화를 위해 소재의 폭을 넓힌 수업 모형으로 ‘타자와 사회를 소재로 한 시 창작 수업’을 제시하고 수업의 차시별 활동과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수업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시 쓰기에서 글감 마련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소재의 다양성을 열어주며, 사회의 모습과 타자의 삶에 주의를 기울여 시를 창작한다는 점에서 문학을 통한 타자 이해라는 교육목표를 향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that literary education so far focuses on acceptance activities rather than crea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curriculum literature and the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the creative activities presented in most textbooks were limited to reconstruction of existing poetry or writing poetry through self-experience. As for the currently organized activities, poetry creation at school seems to be limited to a fragmentary dimension or insufficient step-by-step guidance to bring out the achievement and joy of creation to students. Accordingly, in order to diversify the poetry creation class, the ‘Writing poems about others and society’ was presented as a class model with a wider range of materials, and the activitie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class were established so that i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This class opens up a variety of subject matter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preparing text in writing poetry based on experience. In addition, in that poems are crea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society and the lives of others, we aim for the educational goal of understanding the other through literature.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발상유형연구

        김민지(Kim, Min Ji) 한국생활과학회 2017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 to realize creative fashion design by utilizing the heterotopia spacial concept of Michel Foucalt. Derived fashion design method type by applying heterotopia spacial concept into fashion design could seek sustainable idea and realize it to creative fashion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Heterotopia spacial concepts derived from formative analysis from painting of Rene Magritte, architecture of Rem Koolhaas are overturn, contradiction, isolation, deviation and complexity. Fashion design reflect heterotopia concept of five derived from above has been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fashion design method. And five types of methods are spreading, inverting, dropping, stacking and crossing. Study results advantageously would be utilized for creative ideas of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 KCI등재

        한국인의 문화적 성향 잠재집단 따른 창의성 평가의 차이 - 암묵적 이론을 이용한 자기평가 및 타인(한국인/외국인)평가 -

        표정민,최인수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ndency of creativity evaluation on self and others (Koreans/foreigners) based on latent classes by self-construal. Implicit theory was used as the criterion of self-evaluation and evaluation on others(Koreans/foreig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4 Koreans ranging from teens to 50s. First, in order to confirm if self-construal factors suggested by Singelis et al.(1995) appear in identical constructs among Korea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Vertical and horizontal-collectivism were turned out to be one factor of collectivism, vertical-individualism was interpreted as competitive individualism, and horizontal-individualism was divided into individualism emphasizing uniqueness and independent individualism.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n latent classes using four factors of adjusted self-construals provided 4 groups, which were low-competitive collectivism group(27.7%), low-uniqueness group(28.9%), low-competitive/high-uniqueness(29.9%) and self-conviction (high-competitive/high-uniqueness/high-independent) group(13.6%). Lastly, the self-conviction group tends to evaluate his/her creativity as higher than, or similar to, that of other people. 한국인들 스스로는 본인의 창의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가진 문화적 성향에 따라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하위집단 별로 창의성의 암묵적 이론에 대한 자기평가 및 타인(한국인/외국인)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성향을 집단주의/개인주의 차원에 수평/수직문화 차원을 보완한 Singelis외(1995)의 척도를 사용하여 확인해 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집단주의, 경쟁적 개인주의, 개성강조 개인주의, 독립적 개인주의의 네 요인으로 문화적 성향이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 네 개의 요인을 사용하여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은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즉 집단주의를 대표하는 저경쟁 집단주의 그룹, 개성을 그리 중요시하지 않는 저개성 그룹, 경쟁심은 낮으나 개성이 강한 저경쟁/고개성 그룹, 마지막으로 집단주의는 낮고 경쟁심, 개성, 독립적 개인주의가 다 높은 자기 확신 그룹이다. 실제 집단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가지고 있는 하위집단은 본 연구 대상의 1/4 정도로 그 수가 많지 않았다. 문화적 성향으로 구분한 네 집단 간 창의성에 대한 자기평가와 타인평가(한국인/외국인)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해 본 결과 집단주의가 높은 그룹에서 자신의 창의성을 타인보다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단주의를 가진 동양인들이 자기겸양편향이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도덕적 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집단주의가 높은 그룹에서 높았다. 이러한 경향의 의미와 한국인의 창의성에 대한 다면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