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포츠카의 개념과 패키지에 대한 연구

        장현탁(Hyun-Tak J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10

        This paper is discussed to construct a formula defining "sports car" and a classification. A different car model were used in the design of formula. It is based solely on the car"s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does not rely on the subjective opinion of experts. After discussing some basic packaging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in respect of legislation. performance potential of traction. Primary ride implications are reviewed. Thus sports car concepts and package is suitable for application of sports car development world-wide.

      • KCI등재

        중국시장지향 중소형자동차 디자인의 조형(造型)컨셉 연구

        이명기 (Lee Myungki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2015년에는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3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측되는 중국자동차 시장에 있어서 본 연구는 중국의 문화적 조형에 근거한 중소형자동차의 컨셉 디자인을 제안한다. 따라서 연구조사과정에 있어서 중국 소비자들의 특성 및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생활단위 변화의 배경과 특징을 조사하여 중국문화의 조형적요소(건축 패션 생활문화)를 분석하며 최근 중국 자동차 시장의 현황을 통하여 경쟁상황과 소형차시장의 추세를 파악한다. 디자인 전개과정에서는 중국적 요소들에 대한 검토와 문화적 가치의 조형가능성에 기초한 키워드를 추 출하여 스타일링 컨셉방향을 제시하고 각 컨셉 키워드 별 아이디어 및 렌더링 전개를 통하여 중국문화의 조형 요소와 현대적 트렌드를 조화시킬 수 있는 컨셉방향의 디자인안(案)으로 정리한다. 디지털프로그램을 통한 익스테리어 및 인테리어의 C.A.S(Computer Aided Styling) Modeling 1/4 스케일 목업(Mock-Up)제안을 연구의 주요내용으로 한다. 중국문화적 요소를 통한 조형적 특질의 디자인적용의 개념은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결 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미는 중국전통적 요 소의 섬세한 특성을 현대적 트렌드의 조형성과 조화시키는 디자인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였고 중국인에게 어필 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대국적 자존심의 중국민족성과 현대물질문명의 급격한 보급으로 나타나는 최근의 중국사회의 변화는 신세대개념의 맹목 적인 서구적 디자인트렌드 적용 보다는 중국적 가치관을 접목한 유니크한'중국식'디자인 개념을 요구하고 있다. The study suggests concept designs of small and mid-size autos based on the cultural formativeness of China as China is expected to rank the 3rd largest car market after USA and Japan in 2015. For this the study analyzes the formative elements of China(architecture fashion life culture) by the analysis of featur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Chinese consumers and understands the current trends of small and mid-size car sector and its competition situation of the Chinese car market. In the stage of design development key-words which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Chinese cultural values into formativeness along with exa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styling concept directions are proposed. And it is also suggested that designs that harmonize possibly modern trends with formative elements of China through ideas of each concept key-word and rendering development. The suggestions of C.A.S(Computer Aided Styling) Modeling of exterior and interior through digital programs and 1/4 scale Mock-Up are shown as main contents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the pursuit of design value which harmonizes fine characters of Chinese traditional elements with modern trends of formativeness and it also seeks some design directions appealing to Chinese people. From the recent situation of a rapid change in China due to Chinese ethnicity of broad views and dignity and material civilization it is required that a unique 'Chinese-style' design concept that combines Chinese values not a blind application of Western design trends of new-generation concept.

      • KCI등재

        기아자동차의 디자인 트렌드 조사 및 분석

        김형원 ( Hyung Won Kim ),정주현 ( Joo Hyu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기아자동차는 현대자동차 그룹 내의 완성차 업체로서 국내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높은 위치를 선점하고 있다. 최근 기아자동차는 전 세계적인 자동차 산업의 생산기술의 평준화 및 공급과잉 현상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서 새로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인 디자인 분야의 개발을 회사의 주 경영방침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전 세계적인 불황으로 생산규모가 축소되는 자동차 산업과는 반대로, 국내 및 해외 판매량에서 높은 성장을 보이며 글로벌 메이커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본 조사에서는 기아자동차의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승용차 디자인의 역사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고, 최근 경영 패러다임을 전환한 이후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디자인 및 이 밖의 여러 가지 디자인 경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근래에 출시한 컨셉트 카를 통하여 그들이 추구하는 디자인 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Kia Motors Corp. stands high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as a car maker involved in Hyudai Motor Company. Recently, Kia perceives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technology of worldwide automobile industry and oversupply, and accordingly they selected development of design, a high value industry as the main management policy to have new competitiveness. Such a change shows a high increase in domestic and overseas sales and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position as a global maker despite decreasing production due to a worldwide slump. This study looked into Kia automotive design history shortly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and analyzed interiors and exterior designs after recent management paradigm has changed as well as other various design trends.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design direction that they pursue through the recently released concept car.

      • 성형효과를 고려한 ULSAB-AVC 모델의 측면 충돌해석

        윤종헌(Jongheon Yoon),바오이동,허훈(Hoon Huh),김세호(Seho Kim),김홍기(Hongkee Kim),박성호(Seungho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Most of auto-body members are composed of stamping parts. These parts have the non-uniform thickness and plastic work hardening distribution during the forming proces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side impact analysis of ULSAB-AVC model according to the US-SINCAP in order to compare the crashworthiness between the model with and without considering the forming effect. The forming effect is calculated by one-step forming analysis for several members. The crashworthiness i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deformed shape of the cabin room,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intrusion velocity of a car. The result of the crash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crash mode, the load-carrying capacity and energy absorption can be affected by the forming effect. It is noted that the design of an auto-body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forming effect for accurate assessment of crashworthiness.

      • KCI등재

        민간에서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사고발생시 개선방안 연구

        박웅신,신주현 한국민간경비학회 202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2 No.5

        Under the current law, the legal system for self-driving cars of level 4 or higher still has some shortcomings, so i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both civil and criminal areas. Even if you don't necessarily think of Moore's Law, considering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ommercialization of level 4 or higher self-driving cars will come sooner than we think. Considering this, rapid preparation is needed for autonomous vehicles of level 4 or higher, and this will not discriminate between civil and criminal areas. Accordingly, in terms of criminal law, the scope for human drivers of self-driving cars to dominate th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is reduced, and the recognition of driver negligence is greatly reduced, lowering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of driving responsibility, which is the direction of criminal liability for vehicle manufacturers. It was confirmed that th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limitations on the possibility of exemption under the Product Liability Act as well as product liability in civil law were reviewed. However,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placing responsibility for accidents on the manufacturers,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self-driving car industry may inevitably shrink. However, this is not only a matter of fact, but also a distribution of risk between users and manufacturers. If this is not achieved,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that not only will the market for self-driving cars shrink, but the spread of self-driving cars themselves may be met with skepticism.

      • KCI등재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 연구 - EV컨셉카를 중심으로

        박찬웅 ( Park Chan Ung ),안성모 ( Ahn Seong M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플랫폼 변화 이후의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가능성 확대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플랫폼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을 유형화시킨다. 그리고 유형별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이 나타난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은 적용된 패러매트릭 디자인의 내용을 파악하고 알고리즘을 재연함으로써 디자인 유형별로 알고리즘 속성이 적용되었을 때 가지는 적용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한 알고리즘의 속성으로는 ‘면의 방향에 따른 비정형 분할’과 ‘매개변수 값에 따른 변화 값 설정’으로 모든 유형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유형별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그 의미가 변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알고리즘 속성과 유형별 적용의미를 분석하여 적용특성을 디자인 유형별로 도출할 수 있었다. 플랫폼 변화에 따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드웨어 플랫폼 변화에서 디자인을 통한 주행 효율성 향상 유형은 연속적인 분할을 통한 연쇄성, 디자인을 통한 세그먼트의 재구축 유형은 점진적 변화를 통한 확장성과 축소성, 요소의 흔적화에 따른 디자인 재해석 유형은 범위의 확대를 통한 연결성으로 나타났으며 소프트웨어 플랫폼 변화에 따른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에서 탈 운전자 중심화에 따른 디자인 접근 유형은 운동성을 통한 인지 범위의 확장, 디자인을 통한 정보전달방식의 다양화 유형은 흐름에 따른 시간성으로 플랫폼 변화 이후 자동차 디자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 연구 - EV컨셉카를 중심으로

        박찬웅 ( Park Chan Ung ),안성모 ( Ahn Seong M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플랫폼 변화 이후의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가능성 확대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플랫폼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을 유형화시킨다. 그리고 유형별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이 나타난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은 적용된 패러매트릭 디자인의 내용을 파악하고 알고리즘을 재연함으로써 디자인 유형별로 알고리즘 속성이 적용되었을 때 가지는 적용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한 알고리즘의 속성으로는 ‘면의 방향에 따른 비정형 분할’과 ‘매개변수 값에 따른 변화 값 설정’으로 모든 유형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유형별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그 의미가 변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알고리즘 속성과 유형별 적용의미를 분석하여 적용특성을 디자인 유형별로 도출할 수 있었다. 플랫폼 변화에 따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드웨어 플랫폼 변화에서 디자인을 통한 주행 효율성 향상 유형은 연속적인 분할을 통한 연쇄성, 디자인을 통한 세그먼트의 재구축 유형은 점진적 변화를 통한 확장성과 축소성, 요소의 흔적화에 따른 디자인 재해석 유형은 범위의 확대를 통한 연결성으로 나타났으며 소프트웨어 플랫폼 변화에 따른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에서 탈 운전자 중심화에 따른 디자인 접근 유형은 운동성을 통한 인지 범위의 확장, 디자인을 통한 정보전달방식의 다양화 유형은 흐름에 따른 시간성으로 플랫폼 변화 이후 자동차 디자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seek the expansion of a possible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in automotive design by deriving features that show up when a parametric design is applied to an automotive design by type. We organized and classified design changes according car platform changes in order to deriv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parametric design from automotive design. Then we selected and analyzed cases that displayed design typ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latforms. The case study was done by understanding the parametric design applied content used in each case, sorting out the type of design change, and sorting out the meaning of the design application quality applied from each type of design change by reenacting the algorithm of parametric design used in each case. The sorted quality was "atypical division by direction of surface" and "setup of change figure from parameter", and when these sorted qualities are applied to each type, it has a different application meaning. By this, we learnt it has a specific attribute when parametric design is applied in automotive design and saw a difference i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design change. The following are the applied functions abstracted by analyzing the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the design change. In a hardware platform change pattern, an efficiency improvement pattern is brought about in a chain of continuous segmentation. The restructure of a segment for design resulted in expandability and reduction through gradual changes. A type of reinterpretation of design resulting from the treatment of a factor was referred to in connection with range enlargement. We also sorted out the types of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change of software platform as: design by decentralization of the operator, approach type as an extension of cognition range by mobility, diversity of information transfer by design to temporality from time pa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