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유럽 공산체제붕괴에 비추어 본 북한붕괴론: ‘시민사회’개념을 중심으로

        박정원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3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critical evaluation on the arguments of North Korea’s collapse in light of the collapse of East European communist 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Communist regimes purport to eradicate civil society and atomize the whole society. Stalinism represented a specimen of such efforts. However,in Eastern Europe after the 1960s, Stalinism transformed into a ‘posttotalitarianism’and there was produced an atmosphere where rebirth or revitalization of civil society was made possible. Among East European countries, it was in Poland that revitalization of civil society was remarkable. Especially the birth of the free trade union of ‘Solidarity’ in 1980 was a real watershed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n Eastern Europe. By the end of 1980s, ‘dwirfish civil society’ could be found in Hungary, Czechoslovakia, and East Germany, though falling short of the Polish standard. Even in Balkan countries, including Romania, civil society was not eradicated and existed in moribund state. It has been widely argued in the literature on Eastern Europe that civil society played a key role in the overthrow of communist regimes in 1989. Compared to Eastern Europe, neither ‘dwirfish civil society’ nor ‘moribund civil society’ can be found in North Korea. There civil society is totally eradicated or rooted out. North Korea exactly corresponds to the Jacques Rupnik’s concept of the ‘totalitarian.’ With the Juche-ideology,restrictive mechanism, manipulation of ideas and information, and the watch system firmly operating in North Korea, the possibility of the rebirth of civil society is very limi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imilar pattern of the collapse of the East European communist system in North Korea. The arguments of North Korea’s collapse need to be reconsidered. In order to bring about a genuine change in North Korea, it seems to be a better strategy to encourage the creation of the condition in which the rebirth of civil society can be made rather than to stick to the hope of North Korea’s collapse based on wishful thinking.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붕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며, 특히 시민사회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동유럽 공산체제붕괴와의 비교관점에서 살펴본다. 공산주의체제는 시민사회의 근절과 원자화를 도모한다. 스탈린주의는그 전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동유럽은 스탈린주의가‘후기전체주의’로 변모하였고, 시민사회의 재생이나 활성화가 가능한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동유럽에서 시민사회의 활성화와 성장이 두드러진 곳은 폴란드였다. 특히 1980년 자유노조‘연대’의 출범은 동유럽 시민사회 발전에서 분수령이었다. 폴란드 수준은 아니지만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동독등에서도 1980년대에 이르면‘왜소한 시민사회’가 존재하고 작동하였다. 루마니아를 포함한 다른 곳에서도 비록‘빈사의 상태’였지만 시민사회가근절되지는 않았다. 동유럽에서 재생이나 재활성화된 시민사회가 1989년공산정권들을 타도하였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해석이다. 동유럽에 비해 북한에서는 왜소하거나 빈사의 시민사회도 발견하기 어렵다. 북한에서는 시민사회가 근절되거나 뿌리뽑힌 것이다. 자크 루프닉이말하는‘전체주의적’사회에 가장 부합되는 사회가 북한이다. 주체사상, 억압기제, 사상과 정보통제, 주민감시와 동원체제 등으로 인해 북한에서는동유럽에 비해 시민사회 활성화나 재생 가능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북한에서 동유럽과 유사한 형태의 공산체제 붕괴를 예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그동안 간헐적으로 제기되어온 북한붕괴론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북한의 변화를 기대한다면 북한붕괴론에 집착하기보다 북한에서 시민사회가 재생되고 활성화될 수 있는 조건을 장려하고 고무하는 것이 보다 나은 전략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시민사회의 특성과 시민성 교육의 방향

        허수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4

        Although the interest in civil society is increasing, the discussion about civil society reflecting the nature of contemporary civil society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ivil society is scarce. Also, intensive debate concerning the dire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needed for the members of civil society is not enough, either. In Social Studies textbook, there aren? enough considerations for the alternative option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Korean civil society. The civil society becomes the key dynamics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through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The civil society, however, is made up of various groups of people seeking their own profit freely, it creates lots of negative conflicts, too. Therefore we need the citizenship education that enables us to overcome duplicity of civil society. Korean civil society's problem should be solved through the civil education, too.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thesis suggests the direction of civil education as the following. First, we must cultivate the citizenship participating actively in ?ublic sphere?to overcome modern civil society's duplicity. This supports that the active, independent citizens have an interest in community's problem and they practice discussion, deliberation, and participation. Second, we must extend the concept of labor to the universal social rights by reinforcing the social civil right and extend the concept of democracy from political sphere to socioeconomical sphere. Social civil right education is not only helpfu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civil society and Korean civil society but also it makes an opportunity for practicing procedural democracy. 시민사회에 관한 관심에 비해 현대 시민사회의 성격과 한국 시민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한 시민사회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시민성 교육의 방향에 대한 구체적 논의도 부족하며 시민사회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교육내용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시민사회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동시에 자유롭게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집합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많은 갈등을 만들어낸다는 부정적인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시민사회가 가지고 있는 이중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시민성 교육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한국 시민사회가 갖고 있는 비합리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과민성, 경제논리에 의한 왜곡 가능성 등의 문제는 시민성 교육을 통해 극복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민성 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시민사회의 이중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공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성을 길러내야 한다. 이는 사적인 영역에서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시민들이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형성한 공적인 영역에서 심사숙고된 토의와 참여를 이루어나가는 것을 지향한다. 둘째, 노동의 개념을 보편화된 사회권으로 발전시키고 민주주의의 개념을 정치적 영역에서 사회·경제적인 영역에까지 확대시켜줄 수 있는 사회적 시민권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는 시장의 논리에 의해 시민사회의 특성이 왜곡되는 문제, 한국 시민사회가 갖고 있는 반국가적·반정치적 성향, 이데올로기의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절차적 민주주의의 실천 기회를 확대시켜 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설규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1

        In these days, the discourse on ‘civil society’ and ‘human rights’ is actively arising in Korea, while their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under way.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seems to always have to do with that of human rights.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growth of civil society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ocial extension of human rights. A lot of demands from civil society can be condensed into the expansion of human rights in the long run. And it is through the endeavors and struggles of civil society that the declarative and symbolic level of human rights has moved up to the institutional level of human rights. The role of education is expected to be important in the future, if we want to make civil society and human rights tied in a more positive manner. In this respect, participation-centered model of human rights education can be a way of reflecting the struggle experiences of civil society into human rights education. In that way, students can take part in a small-scale citizen's campaign. In other words, participation-centered model emphasizes the process of plunging oneself into the various and usual cases of violating human rights, and of making efforts to resolute the problems. It is educationally adequate to make good use of the major agents and examples of civil society as the subjects and contents, 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nto human rights education. Participation-centered model can be rather a human rights education movement and a citizen's campaign than a merely exceptional event. 최근 한국에서는 ‘시민사회’와 ‘인권’에 관한 담론 및 제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둘은 서로 관련이 깊다. 즉, 시민사회의 성장은 곧 인권의 신장과 그 역사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시민사회의 요구들 중 많은 부분이 결국 인권의 확대로 수렴되어 왔고, ‘선언적’, ‘상징적’ 수준의 인권이 ‘제도화’로까지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은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교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이러한 현상과 역사적 사실의 차원을 넘어 시민사회 성장과 인권 신장의 관계가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낳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의 인권교육은 시민사회의 발전을 ‘반영’한 것임과 동시에 시민사회의 발전도 ‘견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학교 인권교육은 시민사회의 참여 및 성장의 경험을 충분히 담아낼 필요가 있다. 즉, 실제로 우리 가까이에 있는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크고 작은 인권침해의 현장에 몸소 참여하여 그것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더욱 강조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단순한 이벤트성 사회참여의 경험을 넘어 하나의 인권교육운동이자 시민운동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 立憲主義視野下的市民社會

        류지강 ( Zhi Gang Liu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09 영산법률논총 Vol.6 No.2

        市民社會的涵義有古典主義和現代主義之分。就當今社會而言,市民社會的含義是由黑格爾和馬克思所確立的,馬克思認爲“市民社會乃是私人利益的體系或特殊私人利益關係的總和,타包括了處在政治國家之外的社會生活的一切領域”。市民社會與國家的關係有三種模式,卽洛克式的“市民社會先於國家模式”、黑格爾式的“國家高於社會模式”以及馬克思所提出的“市民社會與國家互動模式”。市民社會的分離和活動是由立憲主義由已存在的社會基礎。 In recent years, some Chinese scholars usually cite the theory of Civil Society to analyze and illustrate the problems in civil law and constitutional law. To this phenomenon, some scholars could not help but concern the correctness of their citation. In this paper, I intent to hackle the theory primarily, so that we can clear the basic problems on Civil Society. The category of Civil Society can be cast back to the ancient Greece times. People usually believe that it is Aristotle who brought forward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firstly. His understanding on Civil Society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ancient Civil Society, from then on until the end of 17th century, people understand and annotate Civil Society in the framework of his theory. The meanings of Civil Society have two kinds, namely, classical and modernistic. As far as Today``s society, the meanings of Civil Society are established by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and Karl Marx. Marx believed that Civil Society is the system of private interests or the sum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interests, and it includes all areas of social life outside the political state. The relations between Civil Society and Political State have three patterns: firstly, the mode of Civil Society ahead of Political State, which is put forward by Locke; secondly, the mode put forward by Hegel, in which Political state is higher than Civil Society; thirdly, the mode put forward by Marx, in which Civil Society and Political State are interactive. The separation and interaction of Civil Society is the social infrastructure of constitutionalism.

      • KCI등재

        Analyzing the Government-Civil Society Relationship in the Role Changes of Korea’s Development Civil Societ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홍지영,김성규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nges in the roles of Korean developmen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s) in the historical path of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the 1990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analyzing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relationship. Originality: This study has originality in tha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intrinsic dynamics of the government-developed civil society relationship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n a multifaceted way.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path of development CSOs growth by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role of the CSOs in each period. Methodology: By applying Nazam's Four-Cs model, we analyzed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development in Korea since 1995. Result: We found that the government-development civil society relationship showed a mixed nature of complementary/confrontation from 1995 to 2010 and complementary/confrontation/cooperation from 2011 to 2016. Then mutual cooperation strengthened after 2017.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chan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path of the civil society for development. The development civil society fully utilized the major international trends and consensus as a meaningful political opportunity for its own development. In the process, NGOs have expanded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from a limited role focused on service implementation to the status of policy partners. However, the achievements were largely dependent on the will and capabilities of a small number of experts and scholars, and thu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accumulating development as a common experience of civil society.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n terms of expansion and limitations, the research suggested changes in the role of Korean development civil society and growth paths by perio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analyzing the limitations of the framework and the challenges of partnership in the future development cooperation landscape of Korea.

      • KCI등재

        국가사회주의 시민사회론 재고

        한승완(Han, Seung Wa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글은 동유럽 국가사회의의 변혁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여 북한 시민사회의 형성 전망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때 국가로부터 자율적인 저항적 시민사회라는 좁은 의미의 전형적 시민사회와 함께 비록 당-국가의 지배도구로 이용되며 그것에 종속되어있지만 지배체제의 이완기에 자율성을 회복하는 넓은 의미의 ‘준시민사회’로 국가사회주의 체제 하의 시민사회 개념을 확장하자는 제안에 주목한다. ‘공산주의적 권위주의 당지배체제’였던 폴란드와 헝가리에서 좁은 의미의 저항적 시민사회는 폭넓은 대중조직으로 발전하거나 다양한 제2사회의 형태들로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이들이 체제변혁의 구심점을 형성하였다. 반면 ‘공산주의적 전체주의체제’였던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에서는 좁은 의미의 시민사회는 활성화되지 못한 대신 당의 지도와 명령에 종속되어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재분화’되었던 ‘준시민사회’가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었다. ‘공산주의적 전체주의 체제’인 북한에서도 체제변혁에서 시민사회의 힘이 작용한다면, 그것은 좁은 의미의 저항적 시민사회보다는 넓은 의미의 ‘준시민사회’ 부분에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북한 체제에 적극적으로 항거하는 일부 소수 행위자를 중심으로 한 저항적 시민사회의 형성에 대한 기대보다는 이러한 ‘준시민사회’의 ‘재분화’ 과정에 대한 연구와 주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In order to forecast the formation of civil society in North Korea, I review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state socialism in Eastern Europe. A noteworthy study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by adding an ‘semi-civil society’ to standard civil society definition. In Hungary and Poland were the resistant form of civil society in a wide range activated, while in Czechoslovakia and East Germany it is restricted to the small group of intellectuals. On the other hand, mass social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played a critical role here in the transition period, which were dictated by the party-state in the state socialism. If a force of civil society works in the system ransition of North Korea, the important role would be given to this part of ‘semi-civil society’ rather than the resistant form of civil society. In conclusion, I argue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romotion and the redifferentiation of this ‘semi-civil society’ in prospect of system transition in North Korea.

      • KCI등재

        유럽연합의 거버넌스와 시민사회의 발전동학

        임운택 한국유럽학회 2010 유럽연구 Vol.28 No.3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civil society at European level concerning building process of European governance. The EU led by economic integration has brought out till now many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us active role of civil society to the ruling governance of the EU has been addressed. Indeed, after demarcation of civil society limited in nation state has been dissolved in frame of the EU, its role challenged newly developmental dynamics of civil society. Nevertheless, dynamics of europa-wide civil society would be defined with reference to ruling governance frame of the EU. This article analyse possibility of such a dynamics. The EU dissolves increasingly established identities of civil society embedded in each nation states. This process means risk as well as opportunity for civil society. The former comes from commerci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with which replace the established values of civil society like solidarity, participation, voluntarism, etc. The latter may come from newly shaping participative room for civil society,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function of State or market. Although emergence of Europe-wide civil society does not mean dissolution of each civil society in nation state, forming of voluntary civil associations in the frame of the EU-governance would bring out room for common experience, understanding, and action of European civil society. 본 논문은 유럽연합의 거버넌스 형성과정에서 유럽차원에서의 시민사회 발전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제통합에 의해 주도된 유럽연합은 그동안 많은 사회경제적, 환경적 문제를 야기하면서 유럽연합의 지배적인 거버넌스 구조에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이 강조되었다. 국민경제라는 제한된 시민사회(혹은 복지국가)의 경계가 유럽연합의 틀 속에서 해체됨에 따라 이러한 역할은 시민사회의 발전에 새로운 도전이 되었다. 그러나 범유럽적 시민사회의 발전동학은 현재 유럽연합의 지배적인 거버넌스 틀과 긴밀한연관 속에서 규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발전동학의 가능성을 분석한다. 현재 유럽연합은 기존의 시민사회의 국가별 정체성을 점진적으로 해체하고있다. 이러한 해체과정은 시민사회에 기회인 동시에 위험이기도 하다. 위험은 EU의 시장중심성이 연대, 자발주의, 참여와 같은 시민사회의 고유한 가치를 상업화, 전문화라는 가치로 압박하는 것으로부터, 기회는 국가나 시장과는 차별화된 시민사회의 새로운 참여공간이 형성되고 있다는 데 근거한다. 비록 범유럽적 시민사회의 등장이 개별시민사회의 해체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유럽연합의 거버넌스에서 자발적 시민 결사체의 형성은 시민 공동의 경험,이해, 행동의 공간을 만들어낼 것이다.

      • KCI등재

        Analyzing the Government-Civil Society Relationship in the Role Changes of Korea’s Development Civil Societ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홍지영(Jiyoung Hong),김성규(Sung Gyu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12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개발시민사회의 성장과 역할, 그리고 이에 따른 정부-개발시민사회의 관계성 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즉, 역사적 관점에서 한국 개발시민사회의 역할 변화분석과 이를 통한 유형화, 그리고 한국 정부-시민사회 파트너십 프레임워크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정부-개발시민사회 관계성의 특징과 내재적 역동성을 역사적 관점에 입각, 다면적으 로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수행된 파트너십 정책문서에 대한 평가는 향후 한국 개발협력 지형에서의 정부-개발시민사회 파트너십 형성 준거틀의 한계성을 학문적으로 분석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방법론: 나잠의 Four-Cs 모델을 적용하여 1995년 이후 한국의 정부-개발시민사회의 관계변화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해 정부-개발시민사회 관계성은 1995년~2010년 보완/대립, 2011년-2016년 보완/대립/협력 이라는 이른바 혼재의 성격을 나타내다가, 2017년 이후에는 상호 협력이 강화되는 실질적 협력의 경향을 띠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러한 변화는 개발시민사회의 성장경로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아울러 포착했다. 즉, 개 발시민사회는 주요 국제사회 주요 추세와 동의를 내적 도약을 위한 유의미한 정치적 기회로 충분히 활용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서비스 이행에 초점을 맞추던 제한적인 역할에서 그 범주가 정책 파트너의 지위까지 확장하였음 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성과가 소수의 학자 및 전문가의 의지와 역량과 결합한 측면 또한 존재 했으며, 따라서 확장성이 개발시민사회의 공동의 경험으로서 축적되는 것에 일정 정도 한계성 또한 노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시사점: 연구를 통해 확장성과 한계성 측면에서 한국 개발시민사회의 역할의 변화와 성장경로의 시기별 유형화가 제시되었다. 아울러 한국에서 2019년 수립된 ‘국제개발협력 분야 정부-시민사회 파트너십 기본정책’이 향후 개발협력 파트너십 정책 및 전략 구상, 방향성 설정에 제도적 준거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동시에 연구자적인 관점에서 한국 개발협력 지형에서 개발시민사회의 역할 및 파트너십 준거틀의 한계성과 도전과제를 분석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nges in the roles of Korean developmen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s) in the historical path of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the 1990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analyzing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relationship. Originality: This study has originality in that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intrinsic dynamics of the government-developed civil society relationship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n a multifaceted way.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path of development CSOs growth by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role of the CSOs in each period. Methodology: By applying Nazam s Four-Cs model, we analyzed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development in Korea since 1995. Result: We found that the government-development civil society relationship showed a mixed nature of complementary/confrontation from 1995 to 2010 and complementary/confrontation/cooperation from 2011 to 2016. Then mutual cooperation strengthened after 2017.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chan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path of the civil society for development. The development civil society fully utilized the major international trends and consensus as a meaningful political opportunity for its own development. In the process, NGOs have expanded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from a limited role focused on service implementation to the status of policy partners. However, the achievements were largely dependent on the will and capabilities of a small number of experts and scholars, and thu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accumulating development as a common experience of civil society.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n terms of expansion and limitations, the research suggested changes in the role of Korean development civil society and growth paths by perio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analyzing the limitations of the framework and the challenges of partnership in the future development cooperation landscape of Korea.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 : 정부와 시민사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상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2 기억과 전망 Vol.0 No.27

        한국 시민사회는 1987년 6월항쟁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서구사회와 비교하여 한국의 민주주의와 경제가 압축성장을 해왔다면, 이것은 시민사회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민주주의의 발전과 삶의 질 증대에 시민사회가 가진 함의를 파악하기 위해, 1990년대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접근방법은 정권의 구분에 따라 김영삼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 연대기적으로 살펴보았고, 주로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 김영삼 정부에서는 시민권이 보장되고 시민사회의 요구가 수렴됨에 따라 시민사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국가에 의한 시민사회의 포섭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민사회의 정체성에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김대중 정부에서는 절차적 민주주의가 완성됨에 따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거버넌스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외환위기라는 경제문제 극복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진정한 거버넌스의 현실화를 통해 실질적 민주주의로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노무현 정부는 일종의 소수자 민주주의라는 점에서 시민사회의 정책참여가 활발했으나, 시민사회가 치열하게 보혁갈등을 겪게 됨에 따라 분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는 발전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됨에 따라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와 전략적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특히 집권 초기 촛불집회를 겪게 됨에 따라 정부와 시민사회 간에소통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시민사회는 정부의 성격에 따라 크게 변동되는 과정을 거쳤다. 시민사회가 민주주의의 발전과 삶의 질 증대에 중요하다면, 정권과는 관계없이 다양한 영역에서 시민운동이 일어나고 정책참여가 활성화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n Korea after 1990s to figure out its meanings for progress of democracy and increase of quality of life. I used the way of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from Youngsam Kim to Myungbak Lee and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Under the Kim government, the Korean civil society developed geometrically 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of identity confusion for the partial adoption of civil society to the state. The Daejung Kim government had a positive attitude to civil society which brought about active governance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We should, of course, remember that the governance under the Kim government was not a level of real governance which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share the public power and responsibility. The Moohyun Rho government gave civil society opportunities to take part in public policy process, but civil society split into two of the Left and the Right because of the progressive character of the Rho government. The Lee government had limited capabilities of understanding and strategic use of civil society, which had an effect of shrunk civic activism and communication distortion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The Korean civil society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s of governments. We need phys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civil society irregardless of government changes, if it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increase of quality of life.

      • KCI등재

        시민사회의 이중성과 해방의 조건 - 헤겔 시민사회론과 새로운 규범성 모색 -

        이상형 ( Lee Sang Hyung ) 한국헤겔학회 2021 헤겔연구 Vol.- No.49

        본 논문의 목적은 시민사회의 성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민사회에서 해방의 조건을 탐구하는 것이다. 시민사회 개념은 역사적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민사회에 대한 규정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시민사회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정립하기 보다는 시민사회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며 이에 기반해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시민의 규범성을 도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헤겔의 시민사회에 대한 분석에 기반해 시민사회의 성격을 자발성과 공동성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자의를 포함한 자유로운 의지를 의미하는 자발성은 시민사회가 성립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성격이다. 왜냐하면 시민사회는 자발적인 관심에 의해 성립되며, 따라서 주관적, 사적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사적관심과 욕구는 충족되기 위해 상호의존적 체계를 필연적으로 요구할 수밖에 없다. 즉 시민들의 욕구충족을 위해 시민사회의 공동성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이것이 공공성으로 발전할 계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의 공공성을 통한 시민사회의 문제해결은 시장의 과잉과 함께 관료지배체제와 중앙집권화된 권력체제에서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시민사회 자체의 내재적 가치를 살리기 위해 시민의 자율성을 증대하고 협력적 결사체를 형성하기 위한 규범성이 요구된다. 이 지점에서 필자는 자발성이 자의에 머물지 않고 결사체가 집단이기주의가 아니라 연대의 결사체가 되기 위해 한나 아렌트의 ‘행위’개념과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의 ‘실천’개념에 의존하고자 한다. 시민의 ‘행위’와 ‘실천’의 사회적 활동을 통해 시민사회에서 자발적이면서 다원적인 연대적 결사체를 구성하는 길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ociety and to present the conditions for emancipation of civil society.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and various definitions on civil society have also been made. In this change, rather than establishing a theoretical model for civi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civil societ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society and to derive the normativity of citizens constituting civil societ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o this end, I intend to define the nature of civil society as voluntary and communal based on Hegel's analysis of civil society. Voluntaryness, which means free will, including self-interest, is the most basic nature for civil society to establish. This is because civil society is founded by voluntary interest and therefore by a subjective and private interest. However, such personal interests and desires inevitably require an interdependent system to be met. In other words, the commonality of civil society is inevitably required to satisfy the needs of citizens, and this is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publicity. However, solving the problems of civil society through the publicity of the nation is not easy in a bureaucratic and centralized power system, along with the exaggeration of the market. Therefore, a normativity is required to increase citizens' autonomy and form cooperative associations in civil society. At this point, I intend to introduce Hannah Arendt's concept of “action” so that voluntaryness does not remain arbitrary, and restore Alasdair McIntyre's concept of “practice” to become a solidarity, rather than collective egoism. Through the social activities of these citizens' “act” and “practice”, I hope to form a voluntary and pluralistic solidarity associations in civi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