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충청도 중심 강학 활동에 대한 연구

        서종태(Seo Jong Yae),변주승(Byeon Ju Seoung)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1

        본 논문은 艮齋 田愚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펼친 실상과 그 특징, 그리고 그 배경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전우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23년 동안 거주하며 강학한 곳은 10개 고을 14곳이며, 순회하며 강학한 곳은 16개 고을 24곳이다. 이를 합쳐 살펴보면 모두 17개 고을 37곳이다. 이를 도별로 보면 충청도가 13개 고을 30곳, 경상도가 문경과 상주 2개 고을 5곳, 경기도 죽산과 전라도 고창이 각각 1곳으로,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우는 충청도 중에서도 湖論의 영향력이 적게 미치는 내포지역 이외의 고을에서 동문․처가․문인 등의 도움과 스승의 후광을 활용하여 강학 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충청도의 26개 고을에서 가장 많은 113명이, 전라도의 10개 고을에서 30명이, 경상도 5개 고을에서 5명이, 서울․개성․경기의 3개 고을에서 3명이, 함경도․북간도의 8개 지역에서 29명이, 평안도의 6개 고을에서 9명이, 강원도의 1개 고을에서 1명이 각각 입문하였다. 전우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활발히 전개한 것은 그가 任憲晦의 학통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동문들 중 이탈자가 생기고 華西學派와의 갈등이 갈수록 더욱 심화되어 그가 주도하는 임헌회 학통의 문인집단이 중대한 위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학파의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우는 임헌회의 문집 편찬을 주도하여 동문의 결속을 굳게 다지는 한편, 강학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강력한 문인집단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충청도에서 화서학파에 대항할 수 있는 문인집단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 지역적 기반을 전국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uth,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Ganjae Jeonwoo in Chungcheong Province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He did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15 places in 10 towns while living in those towns and 22 places in 14 towns while making the rounds for 23 years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a total of 37 places in 18 towns. By province,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31 places in 14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4 places in 2 towns of Mungyeong and Sangju in Gyeongsang Province, 1 town in Juksan in Gyeonggi Province and 1 town in Gochang in Jeolla province. This showed that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veloped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Jeongwoo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help from the same school, in-laws and scholars and in the glory of his master in towns other than Naepo area that was less influenced by the Horon (湖論)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his school was 113, the highest number, in 26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30 in 10 towns in Jeolla Province, 5 in 5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3 in 3 towns in Seoul, Gaeseong and Gyeonggi Province, 29 in 8 towns in Hamgyeong Province and North Gando(北間島), 9 in 6 towns in Pyeongan Province and 1 in 1 town in Gangwon Province. Jeonwoo proactively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because the scholar group of the Lim Heon-hoe(任憲晦) scholastic mantle that was led by him faced a crisis as some scholars of his school left during his succession to the scholastic mantle of Lim Heon-hoe and the conflicts with the Hwaseo School (華西學派) increased. To overcome such crisis faced by his school, Jeonwoo intend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school by taking the lead in the compilation of literary works of Lim Heon-hoe, and form a strong group of scholars by actively develop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he established a scholar group that can confront the Hwaseo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expanding the regional base to the whole nation.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동학재건과 영동지역의 포덕

        임형진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Choi Si-hyung (1827-1898) is a person who organizes and systematizes the doctrines of Donghak and propagates it to the people and forms Donghak as a huge power. Choi, who succeeded Donghak ‘s succession after the founder’ s martyrdom, spread the dictum throughout the country for 36 years by avoiding the trace of power. He spoke about the representative doctrines of Donghak Insicheon(인시천), Yangcheonju(양천주), Sainyeocheon(사인여천), Echeonsikcheon(이천식천), Naesudomun(내수도문), Naechik(내칙) in the land of Chungcheong province through Gangwon Province and Donghak organization was rebuilt. Chungcheongbuk-do, including Danyang and Boeun, was the center. Haewol stayed in Chungcheong province for the longest time. When he traveled to Gyeongsa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s, his base was always Chungcheong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was ideally suited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world to the world after Donghak had passed away in the mountains. The entrance of Donghak into Chungcheong province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Donghak’s entry into Chungcheong province was an attempt to enter the plains, which is the residence of most people, and to meet the Donghak ideology to make them new. Second, as he entered the Chungcheong province, Haewol summarized the religious rituals and doctrines of Donghak. Third, in the Chungcheong province, Haewol was able to establish a place for Donghak community by having a doso(도소) and daedoso(대도소). Fourth, Yeongdong area is the area where three provinces of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are in contact. It is a region mixed with mountainous areas and plains, and it is an area where Donghak can be used as a guide for the spread of Donghak. In particular, Moon Rock Goal in Cheongsan-myeon, Yeongdong-gun is an important area where the total dictatorship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held on September 18, 1894. 해월 최시형(1827-1898)은 동학의 교리를 정리하고 체계화시키어 민중들에게그것을 전파(포덕)해 동학을 거대한 세력으로 형성한 인물이다. 수운 최제우의순도이후 동학의 도통을 이어받은 해월은 36년 동안 관의 추적을 피해 전국에 동학을 퍼트렸다. 특히 강원도를 거쳐서 충청도 땅에 도착한 해월은 동학의 대표적 교리인 인시천, 양천주, 사인여천, 이천식천, 내수도문, 내칙 등을말하고 동학조직을 재건하였다. 단양을 비롯한 보은 등 충청북도 지역은 중심이었다. 해월은 가장 오랜 기간을 충청도 지역에 머물렀다. 그가 경상도, 전라도 등지로 순회포덕을 다닐때에도 근거지는 반드시 충청도였다. 충청도는 동학이 산간지대의 은둔시절을 지나 비로소 세상에 그 도를 전파하려는 목적에 최적지였다. 동학의 충청도 진출은 다음의 의의를 지닌다. 첫째, 동학의 충청도 진출은 대부분의 민중들의 주거주지인 평야지대로의 진입이자 그들을 신인간으로 만들고자 한 동학이념에 부합하는 시도였다. 둘째, 충청도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해월은 동학의 종교적 의례와 교리를 정리하였다. 셋째, 충청도 지역에서 해월은 도소, 대도소를 둠으로써 비로소 동학적 공동체의 장을 마련할 수 있었다. 넷째, 영동지역은 충청도, 경상도 그리고 전라도의 3개 도가 접하는 지역이다. 그리고산간지대와 평야지대로 섞여있는 지역으로 동학 전파의 교도보 역할이 가능한 지역이다. 특히 영동군 청산면의 문바위골은 1894년 9월18일 동학농민혁명의 총동원령이 내려진 중요한 지역이다.

      • KCI등재

        충청제 판소리 심화영 창 춘향가 연구 - “초입~백백홍홍” 대목을 중심으로

        신은주 한국국악학회 2005 한국음악연구 Vol.37 No.-

        This study treated the style of pansori in Chungcheong province which wer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Jeonla province, with focus on Chunhyangga of Shim hwayoung, second daughter of Shim jungsoon, a great singer from Chungcheong province. Shim hwayoung is the only channel alive through whom we can get close to the CHungcheong style music. She is not an active professional singer of pansori currently, but she has her own family background that had representative Yulbang (a place where musician or Yangban gathered and played romantically), and thorough her we can peep into the musical expression of Chungcheong province such as Yanggeum, Seungmu(monk dance), pansori she learned at that time, even though now it had disappeared. When we compare with pansori that has been developed and continued in Jeonla province with weight on Chunhyangga of Shim hwayoung, we can find some differences as follows. ① The beginning part, 〈when a woman of unsurpassed beauty carne up〉, is normally filled up by song here, but in other pansori. it is by verse. ②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song verse and melody from those of a Chunhyangga of other roots. ③ Similar melody is repeated in one song. ④ A simple melody form and Buchimsae are used. For Buchimsae, Daemadidaejangdan (a form that attached verse in first beat) is used most often. ⑤ A down Melody is used often in the song of Wujo, and it is most peculiar melody in the pansori of Chungcheong province. ⑥ A long-long, but raising three step, and short and strong stopping form in song sound is often used, offering impression of being not clear in archetypal distinction of gyemyenjo, wujo, pyeonrjo. The distinctions appeared in Chunhyangga of Shim hwayoung is somewhat similar with the conclusion of my preceding study that compared the sound of singer of dongpyeonjae, seopyeonjae with Kim changryong, Bang jingwan, Shim jeongsoon etc. That is to say, Chunhyangga of Shim hwayoung had distinctive features appeared in Junggojae pansori overall, and could confirm that those distinctive features were the general musical specialties of pansori of Chungcheong area, that is Junggojae. As was talked by other famous people except Shim hwayoung, Chungcheong province music has quite different style, and it can be generalized that the music of Chungcheong province has more gentle mood compared with Jeonla province music in overall. These particular features, as was shown above,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detail appearances of melody.

      • KCI등재후보

        충청 지역의 지명 연구 동향과 과제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10 지명학 Vol.16 No.-

        Place name is not only a kind of proper noun constituted as spoken or written language, but also a geographical thing that indicates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experienced and perceived by human being in their place. While these place names have endowed the shape of place with the concrete boundary, territory and meaning, they have continuously worked on daily lives. Particularly, linguistic,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s included in a place name are indeed the basic characteristics demanding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its. For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and trends of the study on place name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necessity for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place names is calling for both the certain results and the problems. The study on place names in Chungcheong Province has been actively performing, so that it has accomplished many significant results than the other region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on place names, and to inspect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study on place names perform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hungcheong Province. For taking concrete form of the aim, I investigated the periodical and regional conditions and features related to the study on place names in Chungcheong Province, furthermore, and identified the concrete trends and the future tasks in the field of geography and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지명이란 인간이 거주하는 장소에서 그들이 경험하고 인식한 자연 및 인문 환경을 지칭하는 음성과 문자 언어 형태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말한다. 특히 지명 자체가 품고 있는 언어적, 문화적, 지리적 특성들은 지명 연구의 다학문적인 접근을 요구하는 기본적인 성격이다. 지명 연구에 대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은 충청 지역 지명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분석하는데 일정한 성과와 함께 풀어야 할 과제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충청 지역의 지명 연구는 타 지역에 비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많은 학문적 성과를 이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시대 이래 진행되고 있는 충청 지역 지명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지명 연구의 방법론을 반성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점검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 지역 지명 연구의 동향을 시대별, 시군별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고, 지리학계와 국어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명 연구의 구체적인 동향과 앞으로의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19세기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의 존재와 그 권익 활동

        김종철 판소리학회 2013 판소리연구 Vol.36 No.-

        As a written agreement between Dongjak-jin Ferrymen and Chungcheong -do Kwangdae Dojung(association of mask performers) in 1866 concerning ferryboat charge for crossing Hangang river is newly found, and as a written confirmation issued by government office and chief magistrate of Gwacheon -hyeon, Gyeonggi-do after the agreement as well as renewed agreement document on ferryboat fare increase in 1894 are found, we can ascertain following particulars. 1.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one of the nationwide association of Kwangdaes(mask performers) reorganized by 「Gapsin Confirmati on(甲申完文)」, was retained and in action until the late 19th century. 2. Dongjak-jin used to be a ferry which had been used by Kwangdaes from Chungcheong-do when they go to Seoul for performance. Ferrymen of Dongjak–jin demanded too much boat fare to Kwangdaes to serious damage for a long time before 1866. 3. Resisting unreasonable boat fare demand, members of Chungcheong -do Kwangdae Dojung, including Jeon Man-gil(田萬吉), started to negotiate with Dongjak-jin ferrymen and reached to an agreement that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will pay 20 nyangs for Gyebang(契 房, cereal for ferryboat fare that people living near ferry paid to ferrymen). They made the agreement confirmed publicly by Gwacheon-hyeon. 4. The 1866 agreement between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and Dongjak-jin ferrymen had remained valid since then, and the contract got renewed in 1894. 5. Considering the facts mentioned above, we can tell that Chungcheon g-do Kwangdae Dojung played an active part in protecting interests of its members. And also, we can tell the association of Kwangdaes growed to be a considerable social organization in that they protected their own interests against unreasonable social treatment by means of negotiation and agreement between involved parties, drawing agreeme nt on a vantage ground instead of appealing to help of authoriti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o-excavated check(the receipt for the annual payment of 30 nyangs to Naryecheong in march 1866, which Jeon Man-gil(田 萬吉) received from the office as a representative for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we can ascertain the following particulars as well. 1. While the existence and activities of Naryecheong does not appear in record since 1784, the check shows that left and right wings of Naryecheong were still retained in 1866. 2. It is a new fac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aryecheong and local organization of Kwangdaes that Chungcheong-do Kwangdae Dojung payed 30 nyangs to Naryecheong annually. Even after large–scale central performance had been abolished, Naryecheong and local organization of Kwangdaes still ha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is also probable that the financing of Naryecheong partly depended on local organization of Kwangdaes. 3. Some of Naryecheong Daebangs(大房, chief manager) recorded in the check are identified as craftsmen. Considering precedent instances of some persons who served both as craftsman and performer, some Naryecheong Daebangs might be also craftsmen as well as performer. 4. The seal pressed on the check is regarded as a Seonin(蟬印, cicadafi gure seal) which was used at Naryecheong in spring. The Chinese characters inscribed in the seal are read as ‘Jwabyeondaebang’(左邊大 房, chief manager of left wing in Naryecheong). 이번에 새로이 발굴된 1866년에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과 동작진(銅雀 津)의 사공들과 맺은 한강 왕래 뱃삯 합의서와 이를 추인한 경기도 과천현의 작청과 과천현감이 발급한 완문 및 1894년에 갱신된 뱃삯 합의서는 다음 사항들을 알려준다. 1. 「갑신완문」으로 재조직된 전국의 광대조직의 하나로 충청도 광대 도중(都中)이 19세기 말엽까지 존재하고 활동을 했다. 2. 동작진은 충청도 광대들이 서울에서의 연행을 위해 상경할 때 이용하는 나루터인데, 1866년 이전에 상당한 기간 동안 이 동작진의 사공들이광대들에게 뱃삯을 과도하게 요구하여 광대들이 많은 피해를 입었다. 3. 동작진 사공들의 과도한 뱃삯 요구에 대응하여 전만길(田萬吉)을 비롯한 충청도 광대 도중 소속의 광대들이 동작진 사공들과 협상을 벌여 계방(契房)으로 20냥을 제공하기로 하여 뱃삯 문제를 해결하고, 이합의 사항을 과천현으로부터 공인을 받았다. 4. 충청도 광대 도중과 동작진 사공들의 1866년의 합의는 이후 계속 유효하였으며, 1894년에 계약이 갱신되었다. 5. 이상의 사실에서 충청도 광대도중은 소속 광대들의 권익을 위해 적극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들에 대한 사회적으로 부당한 대우에 대하여 관청에 호소하는 방법 대신 이해 당사자 사이의 협상과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합의 문안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작성한 것에서 광대 조직이 하나의 사회 조직으로서 상당한 정도로 성장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1866년 3월에 충청도 광대도중을 대표하여 전만길(田萬吉)이 좌‧ 우변 나례청에 예납(例納)으로 30냥을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은 다음 사항을 알려준다. 1. 1784년 이후 나례청의 존재와 활동이 기록에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수표는 1866년 현재 좌․ 우변 나례청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2. 좌․ 우변 나례청이 매년 지방의 광대 도중으로부터 예납(例納)으로 30 냥을 받아왔다는 사실은 좌․ 우변 나례청과 지방의 광대 조직 사이의관계에 대한 새로운 정보이다. 중앙에서의 대규모의 공연이 없어진뒤에도 나례청과 지방 광대 조직 사이의 관계는 지속되었으며, 재정적측면에서 중앙의 나례청은 지방의 광대 조직에 의존하는 측면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3. 수표에 기록된 좌․ 우변 나례청의 대방들 중 일부는 장인(匠人)이자동시에 연희자들일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장인이면서 연희자였던 인물들이 존재했던 전례에 비추어 볼 때 좌․ 우변 나례청의 대방들의일부는 장인이자 동시에 연희자들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4. 수표에 찍힌 도서(圖書)가 매미 모양으로 된 것으로 보아 구전(口傳) 을 통해 알려진 바, 나례청에서 봄에 사용하던 선인(蟬印)으로 간주된다. 이 도서에는 좌변대방(左邊大房)이라 새겨져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충청도 감영의 營房과 향리 사회의 문화적 연망

        이훈상(Lee, Hoon-Sang)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2 No.-

        이 연구는 17세기 전후 경상도와 전라도의 감영에서는 특정 읍들의 향리들이 영방을 주도하는 폐쇄적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충청도는 오히려 더 열린 형태로 나아간 변화에 주목하여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요인과 의미를 묻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도 감영 영방의 체제의 정비 작업을 분석하여 영방의 개방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획을 살피고 이어 영방과 영리들의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과 시기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리하여 충청좌도와 충청우도의 중심지에 해당하는 읍 출신들이 영방을 주도하지 못한 채 오히려 시기가 내려올수록 영방이 열린 체제로 운영된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54개 읍의 이방과 호장 등 公兄들을 적출하여 邑權의 지형도를 작성하고 이것과 충청도 향리 사회의 문화적 연망과의 상관관계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영방이 각 읍의 향리사회의 문화적 연망의 중심으로 발전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각별히 충청도 54개 읍의 향리 사회와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수합하여 정리하는 기초 작업에도 큰 노력을 할애하였는데, 덕분에 충청도의 향리사회가 경상도나 전라도의 그것과는 구분되는 새로운 유형일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화에 영리제도도 중요한 역할을 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조선전기에서 후기로 내려갈수록 문호가 열리는 충청도 영방의 운영 방향은 향리제도에 대한 새로운 시선의 중요성과 더불어 더 많은 정치한 기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일깨워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network between the chamber of clerks of the headquarter(Gamyoung) of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local functionaries’ society of the fifty four counties, focusing on the openness of recruit systems of clerks of the headquarter of Chungcheong Province in Late Joseon Dynasty. Since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as is well known, the clerks of Provincial Governor was supposed to be recruited from al1 of the counties principally. But the reality was that the recruit was severely concentrated to a few families of some local counties in Kyungsang and Jeolla Gamyoung since the 17th century except Chungcheong Gamyoung. To explain this difference, the study attempts to construct a database that can show the long persistency and changes of the fifty four counties’ power field presided by the head posts of local functionaries’s society of Chungcheong Province. Through the data base, this study contends that there was no active attempt of the chamber of clerk to play the centr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solidarity of all the 54 counties’ local functionary societies. As its result, the 54 counties’s local functionary societies did not show any strong cultural network, which can explain to an extent about the openness perceivable in Chungcheong Gamyoung’s recruit system.

      • KCI등재

        호서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적 성격

        이해준(Lee Hae-jun)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1 No.-

        본고는 호서(충청)지역의 서원과 사우건립 과정을 통해 성리학의 지역적 발전과정과 정체성을 규명하는 글이다. 호서지역은 임진-병자 양란에 많은 충절인물을 배출하고, 예학을 주도했던 김정생과 김집, 그리고 송시열ㆍ송준길 등 산림계 인물들이 활동한 서인-노론계의 주 활동무대였다. 호서지역은 중앙세력과의 연관도 깊어 정쟁이나 당파적 경향들이 옮겨져 첨예화한 곳이기도 했다. 학문ㆍ혈연적 바탕 위에서 맺어졌던 호서예학, 서인계 학맥은 17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정서에 대한 견해, 주자학의 해석에 관한 견해, 그리고 예론 등 현실 인식의 차이로 말미암아 노론과 소론으로 분화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잘 반영하는 것이 서원 시우의 건립과 활동이다. 호서지역의 서원건립 추이를 살펴보면 서인-노론계의 거점은 공주목과 청주목이며, 홍주목과 충주목이 비노론계인 점과 대비된다. 숙종대에는 노론계 서원의 집중 건립과 송시열 제향이 특징인데 이는 노론계의 지역거점 확대를 잘 보여준다. 한편 호서지역의 소론계(혹은 비노론계) 서원 분포는 공주목보다 홍주목에, 청주목보디 충주목 지역에 집중된다. 소론계 서원의 활발한 움직임은 노-소론이 경쟁하면서 공존했던 숙종 20년 전후와 소론이 집권했던 경종대에 활발하였다.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identity of Sung Confucianism in relation to the personal connection based on school and factional inclin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chools and shrines in Chungcheong-do provinces of Korea. Chungcheong-do provinces were the major stage of activities for classic scholars out of power Westerners Facti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such as Song Jun-Gil, Song Si-Yeol, Kim Jip, and Kim Jang-Saeng who produced a number of men of great loyalty during two major wars,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anchu War of 1636, and pursued the Institution of Courtesy. For this reason, Chungcheong-do province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national political powers and the political strife and factional inclinations became tense in these provinces. The school oriented personal network of the Institution of Courtesy circles of Chungcheong-do provinces (Hoseo Yehak) and Westerners Faction circles was divided into the Old Doctrine Faction and Young Doctrine Faction around the mid 17th centur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view of reality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Confusion classics, in the interpretation and view of the doctrine of Chu-tz, and the view of the Institution of Courtesy. This is well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and activities of schools and shrines. The trend in the construction of classical schools in Chungcheong-do provinces show that the base of Westerners Facti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were Gongjumok and Cheongjumok whereas Hongjumok and Chungjumok were dominated by n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shrines built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are the construction of schools that belong to the Old Doctrine Faction circles and the shrines for Song Si-Yeol, and this well represents the regional dominance of the Old Doctrine 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schools of Young Doctrine Faction circles (or n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in Chungcheong-do provinces were concentrated in Hongjumok and Chungjumok than Gongjumok and Hongjumok. The schools of Young Doctrine Faction circles showed great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20th year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Old and New Doctrine Factions co-existed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in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when the Young Doctrine Faction came to power.

      • KCI등재

        고려시대 지배세력의 지역적 기반과 훈요 제 8조

        김수태(KIM, Soo-tae)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1

        고려시대의 지배세력이 어떠한 지역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관심이 있었다. 신라의 서울이던 경주를 제외한다면 대체로 개경에서 가까운 지방의 호족 출신이었다는 것이다. 고려 태조가 자손들에게 후대의 국왕이 지켜야 할 내용으로 제시한 「10훈요」 가운데에서 제 8 조가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최근에 들어와서는 기존의 이해와 달리 새로운 접근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광주와 나주를 제외한 전주와 공주지역이라는 설이 새롭게 제기되었으며, 거기에서 전주지역까지를 제외시키고 공주를 중심으로 한 충청도 지역만이 그 제외대상이라는 또 다른 설명까지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광주나 전주 지역을 제외시켰다고 주장하는 새로운 견해들은 받아들이기 어려울 듯하다. 왜냐하면 공주와 마찬가지로 광주나 전주 지역은 모두 후백제 견훤정권의 주된 세력기반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종대에 이르러 고려의 지방제도에서 전라도가 설치되면서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 사람들에게 제 8 조에서 대상으로 하는 차별지역으로 전라도 지역 일부만이 아니라. 이제는 나주지역까지 포함되는 호남지역 전체로 관념을 확산시켜주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따라서 제 8조는 고려 전기에 원칙적으로 지켜졌다고 보아도 좋을 듯하다. 그러나 무신란을 거치면서 고려후기에 들어오면 충남지역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무신귀족으로, 혹은 성리학을 수용하는 인물들이 충남지역에서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충남지역이 고려사회의 지배세력에 편입되는 시기는 고려후기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Historian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regional base of the Koryǒ’s ruling class from very early o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e majority of the ruling class came from the powerful local families of Gaegyeong except Gyeongju, a capital of Shilla. This interpretation held that the Injunction 8 of the Ten Injunctions (Hunyo shipcho, 訓要十條) which T’aejo Wang Kǒn(太祖王建) left to his successors as a concise guide to govern the country exerte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regional base. Recently, historians have attempted to revis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n the regional base of the ruling class of Koryǒ. The revisionists argued that their regional bases were Jeonju and Gongju, excluding Gwangju and Naju. Also, they have provided another interpretation that the exclusion area included only Chungcheong Province around Gongjum, ruling out Jeonju area. Unfortunately, these new interpretations would not be able to sustain because both Gwangju and Jeonju, like Gongju, were the major regional bases of the Post-Baekje Gyeonhwon’s regime. But big changes were made in regime of Hyǒjong(顯宗) as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Koryǒ created Jeolla Province. In short, the change made a new perception that chiyǒk ch’abyǒl(discrimination) area mentioned in the injunctin 8 of the Ten Injunctions extended as far as the whole Jeolla Province including Naju.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en Injunctions were well observed principally. However, new change was made in South Chungcheong area during the Late Koryǒ that military nobles or new individuals who accepted Neo-Confucianism made an appearance in South Chungcheong area. In other words, it is during the Late Koryǒ for the once-discriminated South Chungcheong area to be incorporated in the ruling class of Koryǒ society.

      • KCI등재

        고려시대 지배세력의 지역적 기반과 훈요 제 8조-충청남도와 관련된 논의를 중심으로-

        김수태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1

        고려시대의 지배세력이 어떠한 지역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관심이있었다. 신라의 서울이던 경주를 제외한다면 대체로 개경에서 가까운 지방의 호족 출신이었다는 것이다. 고려 태조가 자손들에게 후대의 국왕이 지켜야 할 내용으로 제시한 「10훈요」 가운데에서 제 8 조가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최근에 들어와서는 기존의 이해와 달리 새로운 접근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광주와나주를 제외한 전주와 공주지역이라는 설이 새롭게 제기되었으며, 거기에서 전주지역까지를제외시키고 공주를 중심으로 한 충청도 지역만이 그 제외대상이라는 또 다른 설명까지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광주나 전주 지역을 제외시켰다고 주장하는 새로운 견해들은 받아들이기 어려울 듯하다. 왜냐하면 공주와 마찬가지로 광주나 전주 지역은 모두 후백제 견훤정권의 주된세력기반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종대에 이르러 고려의 지방제도에서 전라도가 설치되면서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 사람들에게 제 8 조에서 대상으로 하는차별지역으로 전라도 지역 일부만이 아니라. 이제는 나주지역까지 포함되는 호남지역 전체로관념을 확산시켜주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따라서 제 8조는 고려 전기에 원칙적으로 지켜졌다고 보아도 좋을 듯하다. 그러나 무신란을 거치면서 고려후기에 들어오면 충남지역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무신귀족으로, 혹은 성리학을 수용하는 인물들이 충남지역에서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충남지역이 고려사회의 지배세력에 편입되는 시기는 고려후기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Historian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regional base of the Koryǒ’s ruling class from very early o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e majority of the ruling class came from the powerful local families of Gaegyeong except Gyeongju, a capital of Shilla. This interpretation held that the Injunction 8 of the Ten Injunctions (Hunyo shipcho, 訓要十條) which T’aejo Wang Kǒn(太祖王建) left to his successors as a concise guide to govern the country exerte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regional base. Recently, historians have attempted to revis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n the regional base of the ruling class of Koryǒ. The revisionists argued that their regional bases were Jeonju and Gongju, excluding Gwangju and Naju. Also, they have provided another interpretation that the exclusion area included only Chungcheong Province around Gongjum, ruling out Jeonju area. Unfortunately, these new interpretations would not be able to sustain because both Gwangju and Jeonju, like Gongju, were the major regional bases of the Post-Baekje Gyeonhwon’s regime. But big changes were made in regime of Hyǒjong(顯宗) as the local government system of Koryǒ created Jeolla Province. In short, the change made a new perception that chiyǒk ch’abyǒl(discrimination) area mentioned in the injunctin 8 of the Ten Injunctions extended as far as the whole Jeolla Province including Naju.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en Injunctions were well observed principally. However, new change was made in South Chungcheong area during the Late Koryǒ that military nobles or new individuals who accepted Neo-Confucianism made an appearance in South Chungcheong area. In other words, it is during the Late Koryǒ for the once-discriminated South Chungcheong area to be incorporated in the ruling class of Koryǒ society.

      • KCI등재

        Financial Comparison of R&D Expenditures between the KOSDAQ-listed Small & Medium Enterprises (SM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Province

        김한준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3 창조와 혁신 Vol.16 No.2

        This study addresses one of the interesting subjects, to which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so far in modern finance. In other words, as for the objective of the study, financial attributes and differences to determine corporate R&D intensity are empirically examined for two sample groups of KOSDAQ-listed SMEs headquartered in Chungcheong province and Seoul Metropolitan area (as control group). The former region seems to be in transition to dynamic changes in socio-economic and business aspects, where more firms seem to be engaged in high-tech industries. Regarding empirical research setting, three hypotheses are tested by applying econometric methodologies such as panel data mode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during the period from 2011 to 2020 (for 10 years). Regarding the results obtaned from the study, financial variables such as size, a proportion of accounts payable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fitability and high-tech sector,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R&D intensity for the SMEs in both provinces. Moreover, the SM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d lower dividend payout and higher market-valued debt ratio than those of the LEs, while the SMEs in Chungcheong province possessed higher growth rate than that of the large enterprises (the LEs). As for financial implication,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arching for an optimal R&D intensity, which in turn, increases firm value from the shareholders’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