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서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적 성격

        이해준(Lee Hae-jun)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1 No.-

        본고는 호서(충청)지역의 서원과 사우건립 과정을 통해 성리학의 지역적 발전과정과 정체성을 규명하는 글이다. 호서지역은 임진-병자 양란에 많은 충절인물을 배출하고, 예학을 주도했던 김정생과 김집, 그리고 송시열ㆍ송준길 등 산림계 인물들이 활동한 서인-노론계의 주 활동무대였다. 호서지역은 중앙세력과의 연관도 깊어 정쟁이나 당파적 경향들이 옮겨져 첨예화한 곳이기도 했다. 학문ㆍ혈연적 바탕 위에서 맺어졌던 호서예학, 서인계 학맥은 17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정서에 대한 견해, 주자학의 해석에 관한 견해, 그리고 예론 등 현실 인식의 차이로 말미암아 노론과 소론으로 분화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잘 반영하는 것이 서원 시우의 건립과 활동이다. 호서지역의 서원건립 추이를 살펴보면 서인-노론계의 거점은 공주목과 청주목이며, 홍주목과 충주목이 비노론계인 점과 대비된다. 숙종대에는 노론계 서원의 집중 건립과 송시열 제향이 특징인데 이는 노론계의 지역거점 확대를 잘 보여준다. 한편 호서지역의 소론계(혹은 비노론계) 서원 분포는 공주목보다 홍주목에, 청주목보디 충주목 지역에 집중된다. 소론계 서원의 활발한 움직임은 노-소론이 경쟁하면서 공존했던 숙종 20년 전후와 소론이 집권했던 경종대에 활발하였다.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identity of Sung Confucianism in relation to the personal connection based on school and factional inclina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chools and shrines in Chungcheong-do provinces of Korea. Chungcheong-do provinces were the major stage of activities for classic scholars out of power Westerners Facti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such as Song Jun-Gil, Song Si-Yeol, Kim Jip, and Kim Jang-Saeng who produced a number of men of great loyalty during two major wars,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anchu War of 1636, and pursued the Institution of Courtesy. For this reason, Chungcheong-do province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national political powers and the political strife and factional inclinations became tense in these provinces. The school oriented personal network of the Institution of Courtesy circles of Chungcheong-do provinces (Hoseo Yehak) and Westerners Faction circles was divided into the Old Doctrine Faction and Young Doctrine Faction around the mid 17th centur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view of reality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f Confusion classics, in the interpretation and view of the doctrine of Chu-tz, and the view of the Institution of Courtesy. This is well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and activities of schools and shrines. The trend in the construction of classical schools in Chungcheong-do provinces show that the base of Westerners Facti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were Gongjumok and Cheongjumok whereas Hongjumok and Chungjumok were dominated by n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shrines built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are the construction of schools that belong to the Old Doctrine Faction circles and the shrines for Song Si-Yeol, and this well represents the regional dominance of the Old Doctrine 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schools of Young Doctrine Faction circles (or non-Old Doctrine Faction circles) in Chungcheong-do provinces were concentrated in Hongjumok and Chungjumok than Gongjumok and Hongjumok. The schools of Young Doctrine Faction circles showed great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20th year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Old and New Doctrine Factions co-existed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in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when the Young Doctrine Faction came to power.

      • KCI등재

        동적신경망 NARX 기반의 SAR 전력모듈 안전성 연구

        이해준,Lee, Hae-J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6

        소형위성 전력분배 및 전송모듈의 설계와 개발과정에서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동적 전력자원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안정성 평가에 따른 요구사항은 소형위성 탑재체인 SAR 레이더의 전력분배모듈과 수요모듈의 전력전송기능을 구성하였다. 전력모듈인 PDM을 구성하는 스위칭 전력부품의 성능확인을 위해 동적신경망을 활용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한 딥러닝 적용대상은 소형위성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탑재체의 전력분배기능이다. 이 기능에 대한 성능확인을 위한 모델링 대상은 출력전압변화추이(Slew Rate Control), 전압오류(Voltage Error), 부하특성(Load Power)이다. 이를 위해 첫째, 모델링으로 Coefficient Structure 영역을 정의하고 PCB모듈을 제작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둘째,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Levenberg-Marquare기반의 Two-Way NARX신경망 Sigmoid Transfer를 사용하였다.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mall-Sat power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module, the stability of dynamic resources was evaluated by a deep learning algorithm. The requirements for the stability evaluation consisted of the power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demand module to the SAR radar in Small-Sa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witching pow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wer module PDM,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using a dynamic neural network. The adoption material of deep learning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is the power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payload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mall satellite main body. Modeling targets for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this function are output voltage (slew rate control), voltage error, and load power characteristics. First, to this end, the Coefficient Structure area was defined by modeling, and PCB modules were fabricated to compare stability and reliability. Second, Levenberg-Marquare based Two-Way NARX neural network Sigmoid Transfer was used as a deep learning algorithm.

      • KCI등재

        유니버설미들웨어기반 소형위성 탑재체 전력모듈설계

        이해준,Lee, Hae-J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5

        소형인공위성 전력시스템체계 설계 및 개발방법은 태양풍 자계인 우주환경의 영향에 따라 기술적 제약이 큰 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전력모듈을 융합화와 유닛화 단계별 개발 방식으로 변화 하고 있다. 모듈화 단계에서는 탑재체 전력공급 모듈 요구조건과 함께 유니버설미들웨어를 사용하여 융합하였다. 융합모듈화대상은 탑재체에서 전력분배, 부하관리, 서브유닛의 전원공급체계와 지속성을 고려한 최종모듈 설계 및 개발 단계를 범위로 한다. 본 연구는 위성본체에서 공급되는 전력모듈을 유니버설미들웨어 기반으로 전력모듈의 정밀성과 수요처모듈데이터를 컨텐츠화 하였다. 이 동적시스템과 전력서비스 모듈화는 전력분배모듈과 전원공급모듈간 상호작용으로 Range Control 알고리즘으로 제어된다. 그리하여 전력모듈 설계단계에서 탑재체 전력수요 변수의 변동성에 따른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설계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A Small-Sat Power System Design and Development should be depend on space environment such as solar wind with Electromagnetic field by hurdle of techniques. It is surmount solution of trend that will unitize and converge with power module in these days. The level of modularize means that applying Universal Middleware for payload power module requirements. The scope of target system is a main power provider module and operational subunit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the final power module distribution loads to consume for continuous process. A Universal Middleware strengthen to build power module from satellite power system should be accuracy and consuming data. A Power Service Module and dynamic system drive interactive management between power distribution and consumer module by Range Control. Consequently, suggesting evaluation, unexpecting payload system power consumer that makes fine variable resources in the development design process and efficiency.

      • KCI등재

        유니버설미들웨어기반 생명주기 보안에너지 서비스플랫폼 연구

        이해준,황치곤,윤창표,Lee, Hae-Jun,Hwang, Chi-Gon,Yoon, Chang-Py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6

        전력서비스를 지원하는 융합보안시스템 단말장치는 상대적으로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특히, 에너지서비스의 복합적인 통신과 데이터 인터페이스장치간의 보안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동되어야 한다. 기존의 서비스와 연관성을 두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독립성과 확장성을 지원하는 생명주기 방식의 보안 서비스플랫폼이 요구된다. 생명주기를 지원하는 유니버설미들웨어방식의 Security Layer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 융합보안 플랫폼은 첫째, 실시간으로 운영되는 통신과 데이터 및 응용서비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서비스 단위로 모듈화 하였다. 둘째, 보안 레이어 개념을 적용하여 외부 보안 서비스에 대하여 보안모듈의 설치, 삭제, 시작, 중지 및 갱신을 통해 생명주기 모듈로 배포하는 플랫폼 모델을 구성하고 평가하였다. 그리하여, 실시간으로 운용되는 프로토콜의 실행상태에서 프로토콜 전송 서비스의 안정성과 하드웨어시스템에 독립적인 모듈단위의 보안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였다. Security services that support electric energy service gateway require relatively high reliability.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services that accompany communications and data are run organically. Each of the security services should support a secure service platform that supports a secure, scalable life cycle for existing services which should be extends security layer of Universal Middleware. In this convergence platform, it is the study of security transfer modular services that allow independent life cycle management of systems through Universal middleware. First, It is modular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service and data, enabling real-time operation, communications, remote management and applications. Second, the life cycle of the secure module to support start, stop and updating of the security module by applying the security policy module layer concept. It is modular system enabling to design of dyanmic models in the smart grid, the service was intended to be standardized and applied to the security service platform.

      • 신선한 내용으로 지역사랑 일구는 '향토지'들

        이해준,Lee, Hae-Jun 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출판저널 Vol.228 No.-

        과거의 향토지들은 대개 방대한 분량에 특색 없는 편찬 체제로 지역문화의 특성이 제대로 부각되기 어려웠다. 최근들어 이같은 문제점을 극복한 새로운 형태의 향토 관련서들이 나오 주목된다. 이들은 부담없는 분량과 평이한 문체, 과감한 편집과 생생한 사진으로 젊은 독자층을 끌고 있다.

      • 유니버설미들웨어기반의 IoT 적재폐기물 화재예방 동적 상황인지 플랫폼 구축

        이해준,황치곤,윤창표,Lee, Hae-Jun,Hwang, Chi-Gon,Yoon, Chang-Py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8

        It is necessary to dynamic recognition system with real time loading height and pressure of the loading waste, the drying of wood, batteries, and plastic wastes, which are representative compositional wastes, and the carbonization changes on the surface. The dynamic context awareness service constituted a platform based on Universal Middleware system using BCN convergence communication service as a Ambient SDK model. A context awareness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fire based on the analysis data of fermentation heat point with natural ignition from the load waste. Furthermore, a real-time dynamic service platform that could be apply to the configuration of scenarios for each type from early warning fire should be built using Universal Middleware. Thus, this issue for Internet of Things realize recognition platform for analyzing low temperature fired fire possibility data should be dynamically configured and presented. 적재 폐기물의 적재 높이와 압력, 대표적 구성폐기물인 목재, 건전지, 플라스틱 폐기물의 건조, 표면의 탄화변화를 동적으로 인지해야 한다. 동적 상황인지 서비스는 유니버설미들웨어 기반 BCN 융합 통신 서비스인 Ambient SDK 모델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구성하였다. 또한, 적재 폐기물에서 자연발화의 발효열 발화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상황인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유니버설미들웨어를 활용하여 화재 조기경보 유형별 시나리오 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간 동적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그리하여, 저온발화 화재 가능성 데이터 분석을 위한 IoT 상황인지 플랫폼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