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한ㆍ중 협력의 가능성

        유희문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09 동북아경제연구 Vol.21 No.3

        Through renewable energy policy, China is expanding consumption of renewable energy and striving for durable economic development. Since China has abundant energy resource and its government’s determination for the policy is strong, it is possible for China to become a leading nation of Asia in renewable energy. The policy to support renewable energy businesses, especially, is a policy that simultaneously tackles problems such as reforming energy structure, reducing CO2, lacking energy resourc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olicy’s main aim is to increase the consuming rate of renewable energy, obligatory purchase of power production, prime rate taxation, and support in research development etc. Through such support, China aims to increase its renewable energy rate by 15% in 2020. Because law regulation, revision, and taxa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s support policy are not as polished as other leading countries, there are other methods for market expansion. The government’s accurate incentive with renewable energy that can motivate the business’ commercialization is especially important. Also, because China’s technology in renewable energy is not as developed and it depends on importation for machine parts, it is speculated that China will have a support policy for financial reform and equipment internalization that leads to ultimate technology innovation. Thus, the possibility that China’s renewable energy market will grow is very high if the Chinese government achieves accurate supportpolicies, technology innovation, and equipment investment; improvement in sun power productivity and expans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re especially expected. In the case of wind power development, a low-budget major wind power plant has been constructed due to the government’s increase in support and localization of major plant equipments. If the plant cost reduces and the wind power sales increas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wind power plant, China, the country that has the highest potential in the field of renewable energy, can become the number three energy source in the world. There is much room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due to heavy demand for China’s renewable energy. Using the growth of green business as motor power, Korea is striving for a new business that includes renewable energy, such as fuel cell, wind power, photovoltaic, and clean energy etc. Korea needs to strengthen its cooperation with China in producing and consuming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y innovation, government support policy, and standardization etc to secure its place as the market hegemony and expand the market itself. Considering China’s potential for further improvement, there is a need for Korea and China’s cooperation to strategically progress with collaborative research, commercialization, and market expansion in creation of renewable energy and market participation.

      • KCI등재

        상품 및 서비스 혁신 : 중국의 해외투자 정책과 중국자본 유치의 전제조건

        박문서 ( Moon Suh Park ),김미정 ( Mea Jung Kim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통상정보연구 Vol.14 No.1

        논문은 한중 양국의 FDI 관련 현황과 정책적 강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중국자본 유치전략에서 요구되는 기본적 전제조건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중국자본 유치에 도움이 되는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둔다. 연구결과 도출된 주요 전제조건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간 경제관계는 상호보완적이고도 협력적인 수준에 크게 미흡한 상태이므로 무조건적 경쟁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위협요인들을 미리 제거하고, 양국간 신뢰관계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둘째, 적어도 중국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은 매력적인 투자처가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발효된 한미FTA 등 한국의 FTA 확대기회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을 대신하는 중국의 대체투자처는 항상 존재하고 있으므로, 투자종목이나 투자규모, 투자방식 등 중국자본 유치에 관련된 투자 협상력은 상당 부분 중국측이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넷째, 한국의 FDI 정책이 기존의 정책적 프레임 속에 갇혀 규칙 파괴자(rule breaker)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중국자본 유치는 노력에 비해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다섯째, 중국을 과대평가하거나 중국자본의 힘을 맹신하는 상황에서 중국자본 유치 노력을 경주하다가는 외형적 투자 또는 부실투자로 이어져 예기하지 못한 국가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This paper is aimed to prepare some policy-measures which is helpful for China Money FDI in Korea by analysing FDI-related data and political strength and weaknes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studying fundamental preconditions required for Korea`s China Money FDI strategies. As the result of research, key preconditions found ou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cause China-Korea economic relationship is largely insufficient in a complementary view as well as in a cooperative state level, Korea should remove the threats in advance that could lead two countries to unlimited competition, and then expand to a relationship of trust between China and Korea. Second, Korea, at least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 may not be an attractive investment dest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dvantage of Korea`s FTA-expansion-strategy opportunities such as Korea-US FTA which has entered into force recently. Third, because China always has a lot of alterna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among world instead of Korea, so Korea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China has the bargaining power in large part related on the investment conditions in Korea, such as investment field, investment size, how to invest China Money to Korea, etc. Fourth, if Korea`s FDI policy is trapped in the existing rules of the political frame, and moreover Korea can not have the role of rule breaker, it will be difficult to expect Korea`s China Money FDI results compared to those efforts. Fifth, if Korea will execute China Money FDI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overestimating the China Power or China Money, it should be noted that Korea may have unexpected losses lead to a national by reason of outward and quantitative investment or bad investment.

      • KCI등재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미중·한미관계 및 한중·북중관계를 중심으로-

        김진호 한국동북아학회 2018 한국동북아논총 Vol.23 No.2

        In the process of China's changing toward a great power, China has been emphasizing the "New relations between big powers" and said, "The Pacific is wide enough to be managed by the major Great Powers. US has also being replaced by India and Pacific Strategy from the "rebalancing" and "pivot to Asia" strategies in Asia. At present, East Asia is a region where US’s global strategy and China's East Asian strategy are confronted. It seems to be competition between Western chess and Chinese chess. It means the challenging between the power nation and the nation that willing to become powerful nation. Nowadays Some scholars have argued that China's economic and military upsurge may lead to a power shift in East Asia. But scholars who believe in the stability of the US-led world system see the possibility is low.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are currently facing conflicts such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Japan, South Korea's alliance system and China, Russia, North Korea’s partnership. Also, There are opposing forces such a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bilateral relations conflicts between Taiwan straight.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power shift by China 's rising in Northeast Asia, and examine what China' s strategy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ndividual strategy against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environment of recent international issu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osition of China, the Northeast Asia reg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gateway for China to expand its influence into the Pacific Ocean. Korea is also faced with North Korea's provocations now. Besides, China is currently seeking to strengthen its influence by exploiting the dynamics and geopolitical advantag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rtheast Asia, which will be a new challenge to the security environment in Korea. This paper focuses on the prediction of what the changes of China 's Northeast Asian strategy might be in Korea' s security environment. 중국이 강대국을 목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신형 대국관계(新型大國關係, 후에 신형국제관계로 변함)’를 강조하며 “태평양은 미중 양 대국이 같이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넓다(寬廣的太平洋有足够空間容納中美兩個大國).”라고 한 주장과 전략은미국의 ‘재균형(Rebalancing)’과 ‘아시아로의 회귀(Pivot to Asia)’전략에서 발전된 인도·태평양전략으로 대치되고 있다. 동아시아 국제관계는 미국의 세계전략과 중국의 전략이 서로 충돌하는 형상으로, 강대국과 강대국이 되려는 국가 사이에서양 체스와 중국 장기(象棋) 양식의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현재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경제·군사 능력 상승과 대외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일부 학자는 해당 지역에서 세력전이가 일어날 수도 있다고 주장도 하지만, 미국 주도 세계체제의 안정성을 신뢰하는 학자들은 이러한 세력전이 가능성을 낮게 본다. 그러나 외형상 동북아 국제관계는 미국·일본·한국의 동맹체제와 중국·러시아·북한의 협력체제의 대립 및 북핵문제와 양안(兩岸) 갈등과 같은 진영 간 대립이 지역 안보,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동북아에서 중장기적으로 중국에 의한 세력전이가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며, 북핵문제로 복잡해진 한반도 주변 국제환경에서 중국의 대(對)한반도 전략 및 한국과 북한에 대한 개별 전략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중점을두었다. 동북아지역은 중국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중국이 외부로 진출하기(走出去)’ 위한 관문이자, 중국은 현재 동북아국제관계의 역학관계 및 지정학적 장점을 활용하며 자국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상황이다. 동북아에서 새로운 대국의 출현과그 영향력 강화는 북한 핵 도발과 더불어 한국의 안보환경에 새로운 도전이 되기도 하는데, 본 논문은 중국의 동북아 전략이 한국의 안보환경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와 그에 대한 대응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중국인의 대한국 인식 변화와 사드

        김상규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1 No.4

        The THAAD issue has deteriorated the 25-year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So, now we can see Negative percep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risen and skepticism about their relationship with China has been raised in Korea. But China is still strategically important to us. Therefore, we need to be analyzed the change mechanism of China’s recognition of Korea. so I analyzed 25 years from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of this study, China’s perception of Korea’s change of perception has formed a friendly perception draws on cultural factors after diplomatic relations, and then I find that China has a double cognitive attitude between Japan and Korea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Finally, also find out that because of the factor of the United States, they had anxiety and threat in terms of security. Because of this, Korea has a problem with the THAAD problem was forced to cause strong opposition from China. China’s national security interests represented by core interests have a strong influence on China’s cognitive behavior in terms of percep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thodology to respond flexibly and promptly in case of similar conflicts in the future through a tho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mechanism of change in perception attitude of China 사드 문제로 인해 수교 25년의 세월이 무색할 만큼 한중 양국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동안 다양한 갈등 상황이 있었지만 현재의 상황은 최악이라는 평가이다. 특히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은 역대 최저이다. 인식은 상대에 대한 부정적, 적대적 인식을 형성하고 재생산하기 때문에 국가 관계에서 아주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이에 한중 양국의 발전적인 관계 형성을 위해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인이 한국을 어떻게 인식해왔고, 그 인식의 변화 기제는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연구 결과, 중국인의 대한국 인식 변화 기제는 수교 초기 문화와 체육 등 소프트파워 요인에 의해 우호적 인식을 형성하였다. 이후 중국 내부의 변화와 맞물린역사문화 요인에 의해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나지만 다분히 모순적 행태를보였다. 마지막으로 외부 요인에 의한 안보적 불안감과 위기감의 표출이 한국과의갈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분석해내었다. 인식 변화 기제에 근거해 분석한 사드 문제는 중국의 국가안보 이익이 중국인의 인식 행태에 가장 강력한영향을 끼친 사례로 확인되었다. 향후 중국인의 인식 변화 기제에 대한 철저한분석과 대비를 통해 차제에 유사 갈등 발생 시 대응 방법론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The Role of China’s Public Diplomacy in Sino-Africa Economic Relations

        김윤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0 국제정치연구 Vol.23 No.1

        This article analyzes China's public diplomacy in the field of Sino-Africa relations, arguing that China has adopted public diplomacy with soft power as a vital component of its foreign policy on the continent from the early 2000s onward. The necessity of public diplomacy in China's foreign policy was driven by the objective of developing close economic ties with African countries, even as Beijing faced manifold issues in its relations. To comprehend the link between China's public diplomacy and Sino-Africa economic ties, the research scoped on the diverse factors which cause disharmony between China and African countries and why China holds the upper hand in the relations. Then it examines the use of public diplomacy to manage the imbalanced relations between China and Africa, in which China wields economic dominance over Africa. With the rising importance of public diplomacy globally in the twenty-first century, China has employed its public diplomacy to explain and justify its rising global influence, and to dispel negative publicity in international society. While China has a government-centered public diplomacy system, unlike that of the West, various actors (governmental, semi-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actors) systematically engage in China's public diplomacy through diverse instruments such as foreign aid, media, institutes for exchanging culture, and language training to the populations of African countries.

      • KCI등재

        미․중 패권경쟁과 남중국해 분쟁: 실태와 전망

        변창구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alities of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in South China Sea, and then to prospect its future. In the strategic and economic perspective, the South China Sea is very important to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is is the background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great powers.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has been manifested in two ways. The one is a direct strategic competition such as military demonstration or military action, and the other is an indirect approach by supporting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in the future will be depended on their maritime strategies like the status quo or destruction of the status quo. In short-term perspective, China will pursue a moderate policy on account of the lack of sea power. However, the sovereignty over islands in South China Sea is very difficult to compromise, and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is closely linked to their core interest and world strategies. Therefore, in long-term perspective, the US-China collision in South China Sea will be unavoidable. 본 연구의 목적은 미․중 패권경쟁의 차원에서 남중국해 분쟁을 분석하고 향후 남중국해에 있어서 미․중 전략적 경쟁의 향방을 전망하는데 있다. 전략적․경제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중 패권경쟁은 ‘중국이 요구하는 이 해역에 대한 핵심이익(core interest)의 인정’과 ‘미국이 주장하는 항행자유의 원칙’이 가장 큰 쟁점이 되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미국의 남중국해에 대한 제해권 고수 전략과 이에 도전하는 중국의 공세적 해양전략이 자리하고 있다. 남중국해 문제를 둘러싼 미․중 패권경쟁은 두 가지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그 하나는 상대방에 대해 노골적으로 무력시위나 군사작전을 통하여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직접적인 형태의 전략적 경쟁이고, 다른 하나는 동남아국가들에 대한 압력이나 영향력 행사 또는 지원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간접적인 성격의 패권경쟁이다. 이 가운데 최근에는 양 강대국 모두 자신의 전략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직접적 무력시위와 군사적 행동을 경쟁적으로 증대시키고 있어서 남중국해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향후 미․중 패권경쟁은 양측의 핵심이익이 충돌하면서 대결적 해양 전략이 추구되고 있기 때문에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나, 경쟁의 확대로 인한 상호 손실극복의 필요성도 함께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화를 통한 타협의 여지도 있다. 결국 양측이 ‘현상유지’와 ‘현상타파’ 중에서 어떠한 전략을 선택하는가에 따라서 패권경쟁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단기적 관점에서 볼 때 현재 중국은 해양력의 열세에 있기 때문에 국익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현상을 적절히 관리하고 대양해군전략을 추진하면서 미래에 대비해 나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는 미․중의 전략적 패권경쟁은 본질적으로 각자의 핵심이익 및 세계전략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타협이 어렵다는 점에서 충돌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그 충돌의 양상은 전면적 대결로 인하여 상호파멸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제한적인 형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강대국화 전략과 한·일 관계

        문흥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0 중소연구 Vol.34 No.3

        In a world in which the United States holds a preponderance of power, how does China design a grand strategy to advance its security interests? How does China’s grand strategy affect Korea-Japan relations?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erimeters of China's grand strategy and its impact on Korea-Japan relations. China is pursuing a grand strategy that combines elements of internal and external ones. The internal strategy aims to increase China’s relative power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but one with its emphasis on the eradication of income gap between regions (urban vs. rural) and social classes and on sustainability, stability, and distribution. The case in point was the fifth plenary session of the 17th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which the Chinese leadership put a special emphasis on the stability and solidarity of the economic system and de- monstrated its strong will to convert the wealth of a nation into the wealth of people. The external strategy is designed to limit or frustrate U.S. policy initia- tives deemed detrimental to Chinese interests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US-led unipolar system and the promotion of the ‘Beijing Consensus.’ For Beijing, China’s external strategy can be best ensured by pushing for the issues on Taiwan and Tibet and the dispute over the Diaoyudao island chain claimed by both Japan and China. China’s grand strategy has a resounding impact on the politico-economic order in the East Asian region. Both Korea and Japan are urged to carefully study China’s grand strategy. First, Korea and Japan are advised to weaken their nationalism and patriotism, to tame hegemonic intentions, and to draw up measures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East Asian community.’ Second, it behooves both Korea and Japan to promote the bilateral∕multilateral talks for a peaceful resolution of territory∕sovereignty issues and to refrain from politicization of these issues. A sincere discussion on the peaceful development and use of EEZ around the Diaoyudao area is particularly in need. Third, both Korea and Japan need to keep an eye on the recent trend of China’s unstable internal politics- democratization, religion, human rights, secession movement of minorities- and prepare for the possibility of these factors' negative impact on East Asia. Of course, the various types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regarding China’s rapid rise should center around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of East Asia and not deterrence of China’s rise. In other words, futur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re to maintain spirit of stimulation of peace and stability in East Asia and to reject political, self-fulfilling approach.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should thus focus on neighborly friendship, stability, and co-prosperity of East Asia. If not,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ill only reconfirm ‘同床異夢’ of Korea, Japan, China. In the same bed but with different dreams, as the Chinese saying would have it. 중국이 추진하는 국가대전략의 목표는 30여년의 개혁개방 성과를 국가의 부강과 민족의 진흥으로 연계시켜 명실상부한 강대국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우선 대내적으로 기존의 성장 위주 발전전략을 안정과 분배에 중점을 두는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으로 전환함으로써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초래된 계층·지역·도농간의 빈부 격차와 갈등을 완화하고자 한다. 중국공산당 제17기 5중전회에서 강조된 ‘민생 보장’, ‘사회 정의’의 실현은 그동안 축적된 ‘국부’(國富)를 ‘민부’(民富)로 전환시켜 체제의 안정과 결속을 강화하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중심의 일방적, 단극적 유일 패권체제의 재편과 국제적 영향력 확대, 중국적 발전방식과 가치의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대외전략은 특히 대만·티베트문제, 동중국해·남중국해 영유권 분규 등 주권·영토와 관련된 사안에서 보다 공세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중국의 강대국화 의지와 전략은 동아시아 역내 질서변화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따라서 한국과 일본은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응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일 양국은 첫째, 중국의 강대국화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배타적 민족주의, 애국주의, 패권주의적 움직임을 순화하고 중장기적으로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영토·주권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양자, 다자간 협의를 추진하고 이들 사안의 ‘국내 정치화’를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 특히 한·중·일 3국간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평화적 이용과 공동 자원개발 범위를 확대하고 중·일의 댜오위다오 영유권 및 부근 해역의 자원개발과 관련된 대립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 논의를 추진해야 한다. 셋째, 민주화, 종교, 인권, 소수민족 분리 독립 움직임 등 중국이 직면한 대내적 체제불안 요인의 향배를 주시하고 이들 문제가 동아시아의 심각한 불안정 요인으로 확산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다만 중국의 강대국화에 대응한 다양한 범위의 한․일 협력은 중국의 부상을 일방적으로 견제하는 데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상생·공영의 긍정적 요인으로 활용한다는 점을 대전제로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한다. 이는 곧 한·일협력의 내용과 목표가 역내 평화·안정의 촉진이라는 기본정신을 유지하고 협력의 ‘실효성’과 ‘실천 가능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각국의 정치적 요인을 고려한 선언적, 자기 희망적 접근을 자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한․일협력은 중국이 주변국에 대한 외교정책 기조로 설정하고 있는 선린(睦隣), 안정(安隣), 공영(富隣)을 궁극적 목표로 추진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오히려 한․중․일 삼국의 ‘동상이몽’(同床異夢)을 재확인하고 갈등을 유발하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Unequal Economic Exchange and National Identity in Taiwan

        Eunju Chi(지은주)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3

        이 논문은 연성권력(soft power)의 관점에서 중국의 대대만 정책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의 경제가 성장해가는 가운데 중국은 방대한 시장과 경제적 기회를 대만주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자원을 연성권력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중국은 대만에 제공하는 경제적 기회에 매료된 대만주민들이 궁극적으로는 중국과의 통일을 추구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즉 중국은 대만주민들이 누리는 경제적 이익이 중국에 대한 호감도를 상승시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논문은 2008년 총통선거 직후 실시된 여론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중국의 대만에 대한 경제적인 접근이 성공적이었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2008년 총통선거에서 민진당이 패배하고, 친중국적이며 중국과의 경제교역의 확대를 주장한 국민당이 집권하였다. 총통선거에서 국민당이 승리했다는 것은 대만인들이 중국과의 경제교역을 확대하는 것을 원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국의 대대만 연성전략이 성공한 것인가? 본 논문의 분석의 결과는 기대한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중국과의 경제교역은 중국이 기대하는 연성권력의 효과를 가져오지 못함을 물론이고, 대만주민들의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여전히 국가정체성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ina’s Taiwan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soft power. As Chinese economy developed, China used the appeal of its huge market and economic opportunities to attract the Taiwanese into seeking unification. China expected that the economic benefits might increase Taiwanese favorable attitude toward China. By using 2008 survey data, we attempt to figure out whether and to what extent China’s economic approach to Taiwan was successful. In the 2008 presidential election, the DPP was defeated by the pro-China KMT, which suggested extended economic exchange with China. As such the KMT’s success can be interpreted as the Taiwanese wanting extended economic exchange with China, does this result show that China’s soft power approach was successful? The findings in this paper do not provide this expected result. Instead, we suggest that China’s soft power strategy has not been as successful and that national identity proves to be the determinant in deciding Taiwanese attitudes toward China.

      • KCI등재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동아시아공동체 구상

        변창구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China's strategy toward the East Asia and its views on the East Asian Community(EAC) building. China considers East Asia as a core area for its national security and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In these considerations China strives after an absolute leading position in East Asia. as a strategic goal. In order to achieve this strategic goal, China has an emphasis on the concept of "peaceful development" and "harmonious world". In addition, China strives to strengthen friendship and partnership relation with neighboring states and appeasing "China threat theory". Especially China seeks after a differentiated strategy, which criticize US unilateralism and support East Asian multilateralism. And at the same time China uses a "soft power" such as economy, culture and diplomacy as a means of achieving its strategic goal. On the basis of its strategic goal, China has an idea on EAC building as followers:In the first, China wants to compose EAC member states by East Asian countries like ASEAN Plus Three(APT). Secondly, China supports "ASEAN way" of regional integration, and so hopes a gradual institutionalization of EAC. Thirdly, China approves ASEAN's "primary driving force" for APT and EAS(East Asia Summit) processes. Finally, in the agenda for discussion, China wants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such as economy, environment, energy, terror and so on. 오늘날 세계정치경제를 움직이는 G2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중국은 장차 세계대국(global power)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동아시아지역에 있어서 확고한 위상 정립이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전략을 모색하고 동아시아공동체 담론(discourse)의 제도화 논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이 구상하고 있는 동아시아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위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인식과 동아시아 전략의 실체에 대한 규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은 이 지역이 ‘국가안보’와 ‘경제발전’에 직결되어 있는 핵심지역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그 목표는 강대국으로서의 확고한 위상 정립에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은 경제적․정치적․외교적 부상과 함께 제기되어 온 ‘중국위협론’(China threat theory)을 해소하는 한편, ‘평화로운 발전’(和平發展)과 ‘조화로운 세계’(和諧世界)를 강조하면서 ‘책임 있는 대국’(責任大國)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데 정책의 역점을 두고 있다. 즉 개별적 차원에서는 정치경제적으로 어려운 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집단적 차원에서는 다자주의(multilateralism)와 지역주의에 근거한 다양한 협력체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이러한 전략을 추진함에 있어서 힘에 기초하여 일방주의(unilateralism)를 추구해 왔던 미국과의 차별화를 위하여 ‘하드 파워’(hard power) 보다는 ‘소프트 파워’(soft power)를 활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동아시아 전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모색되고 있는 중국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은 지금까지 이 지역에서 이루어져 온 APT(ASEAN Plus Three)와 EAS(East Asia Summit)과정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그것은 첫째, 공동체의 회원국은 ‘개방적 지역주의’(open regionalism)를 원칙으로 하되, 여기에 참여하는 회원국은 일단 APT 국가들로 제한하고 제외된 EAS 국가들은 공동체와 특별한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을 희망하고 있다. 둘째, 공동체의 제도화 수준은 ‘아세안 방식’(ASEAN way)에 따른 낮은 수준의 점진적 제도화를 생각하고 있으며 셋째, 공동체의 리더십은 일본과의 경쟁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는 아세안의 ‘일차적 추진력’(primary driving force)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동체에서 논의할 의제(agenda)는 전통적인 안보 이슈보다는 비교적 협력이 용이한 경제·환경·에너지·테러·마약 등 비전통적인 안보 이슈들에 관심을 두고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의 제2포병 현대화 전략

        오규열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中國硏究所 2004 中國硏究 Vol.34 No.-

        Since the post cold war, China, geared by its recent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ushered into the center of international politics for its influence in the regional security. Recently, how to understand China's military strength, its influence and future role in the region became hottest issue. To understand those issues and prepare for the counter measure as well as to recognize the substantial facts about China's increased armament is essential for its neighbors, especially for Korea, China's closest neighbor. This paper is to help understand the essence of China's military armament by the showing the history of its nuclear development and the brief evaluation of the 2nd Artillery Corps, China's core nuclear force. Based on the analysis, China seems to step into 'Limited deterrence strategy' phase from the Min deterrence strategy', while claiming that it is just to protect its national security against US and Russia. However, apart from this argument, China has increased its nuclear capability by extending influential range to target other Asian regions, including Korean Peninsula, while the direct threat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was reduced to the significant level recent years. Reasoning that China has prepared for regional conflict rather than counter measure against US Army, China's increased armament might be more significant to Korea in terms of national security, than any other nation since it still totally depends upon US Army in nuclear deterrence and international supportis not so easy to obtain after the cold war. In conclusion, it is the requisite for Korea to coordinate China's involvement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However, in order to obtain China's cooperation, it is prerequisite to evaluate China' strength in objective manner and prepare for counter measure, adopting substanti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