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 카메라(Pole Camera) 촬영 수사의 적법성에 대한 미국 판결의 최신 동향

        전치홍 ( Jeon Chi Ho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3

        폴 카메라(Pole Camera)는 전신주나 가로등 위에 설치되는 카메라로서, 미국에서는 수사 대상자에 대한 감시(촬영)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 카메라는 범죄혐의자의 주거지를 장기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비밀리에 촬영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수사기관은 손쉽고 효율적으로 수사 대상자의 거주지역을 감시할 수 있다. 그런데 폴 카메라는 특정인에 대한 주거지역을 장기간에 걸쳐서 촬영한다는 점에서, 감시 대상자의 프라이버시권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장기간에 걸친 폴 카메라 촬영은 감시 대상자뿐만 아니라 해당 감시 지역에 드나드는 사람들의 출입 정보까지 방대하게 수집한다는 점에서 시민의 프라이버시권을 침해할 위험이 크다. 이러한 폴 카메라 이용 수사와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폴 카메라 촬영에 영장이 필요한지의 여부(수정헌법 제4조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를 쟁점으로 하여 많은 수의 판결들이 축적되어왔다. 이와 관련한 미국의 주류적인 하급심 판결들은 ‘폴 카메라 촬영은 (감시 대상자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라는 이유에서‘수사기관의 폴 카메라 감시에 영장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영장 없이 비밀리에 폴 카메라를 이용하여 (범죄 혐의자의) 주거지를 장기간 촬영하는 것은 수정헌법 제4조 위반이다’라는 취지의 판결들이 점차 선고되고 있다. 이는 미국 연방대법원의 ‘United States v. Jones, 565 U.S. 400 (2012) 판결과 Carpenter v. United States 138 S. Ct. 2206 (2018) 판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비록 위 판결들이 아직까지는 소수의 사례이긴 하지만, 시민의 프라이버시권 보장 방안을 살펴보는 차원에서 해당 판결들의 논지를 상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사기관의 폴 카메라 감시에 영장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취지의 미국 판결 사례들을 간단히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영장 없는 폴 카메라 감시가 수정헌법 제4조에 위배된다’라는 취지의 최신 미국 판결들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영장 없는 영상 촬영의 적법성에 대한 대한민국의 논의’를 대법원 판결과 헌법재판소 결정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영상 촬영의 적법 요건을 설시한 대한민국 판결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후 본 논문은 폴 카메라 촬영 수사에 대한 미국 최신 판결의 취지는 향후 우리도 참고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강제처분에 해당하는 영상 촬영에 대한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라는 점을 지적한 후, ‘강제처분에 해당하는 영상 촬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구체적인 기준을 고려하여, 궁극적으로는 영상 촬영 수사의 법적 근거가 법률에 명확히 규정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A pole camera is a camera installed on a telephone pole or a street lamp and is wid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as a means of monitoring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Since the pole camera continuously and secretly captures the residence of a suspect over a long period, it enables investigative agencies to easily and efficiently monitor the residence of the suspect. However, as the pole camera records the residence of a specific person over a long time,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on the privacy right of the subject of surveillance. Long-term pole camera shooting can infringe not only the subject of surveillance but also the privacy rights of those who enter the surveillance area. A number of judgments have been issued in the United States to determine whether pole camera shooting constitutes a Fourth Amendment search. Most of the lower court rulings in this regard held that the subject of filming did not have a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outside his or her residence. Therefore, most US courts have ruled that investigative agencies' surveillance of pole cameras did not violate the Fourth Amendment. However, a small number of US courts have recently ruled that it is a Fourth Amendment violation to use a pole camera to film a suspect's residence for an extended period without a warrant. In terms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privac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above judgments in detail.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judgments of the US courts that ruled that it was not a Fourth Amendment violation for an investigative agency to shoot using a pole camera without a warrant.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recent US judgments that ruled that it was a violation of the Fourth Amendment for an investigative agency to film using a pole camera without a warrant. In addition, this paper specifically reviews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of South Korea on the legality of investigations using camera shooting. Finally, this paper asserts that investigative agencies can only take long-term camera shots after obtaining a warrant.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e criteria for judging camera shots that require a warrant.

      • KCI등재후보

        감시 예방 카메라와 실종예방에 관한 법적 고찰 - 일본·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종자 찾기에 활용 가능성 검토-

        이건수(Lee Keon-Su)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4

        본고에서는 현대사회가 잠재적 요인(범죄자)으로부터 방범이라고 하는 이름의 감시카메라로 상호감시에 의해서 안전하고 안심인 사회를 확인하려고 하는 현상을 지적한다. 누구든 대략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 리스크 요인을 전부 밝혀내고, 위험인자를 미리 제거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감시카메라나 건강검진은 그 전형이지만, 감시카메라라고 부르기보다는 실종예방 등 방범 카메라라고 부르고, 모니터라고 부른다. 오늘날, 범죄현상은 현실의 범죄발생 건수, 올바르게는 인지 건수에 관계없이, 특이한 사건을 계기로서 치안이 악화되고 있다는 인상이 퍼져, 범죄불안이 급속히 높아지는 모럴 패닉이라고 하는 상황 하에 있으며, 이것이 길거리, 점포, 주택, 주차장에서의 감시·실종예방 등 방범카메라 설치를 촉진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CCTV는 누적된 공통의 준칙을 따르게 되는 법이 있었다. 이들은 1998년 데이터 보호법(Data Protection Act 1998), 인권법(Human Rights Act 1998), 2000년 조사권한규정법(Regulation of Investigatory Powers Act), 정보보호법(Freedom of Information Act 2000)에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 2012년 자유보호법이 새로 추가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도로교통에 관해서는 여기에 도로교통 관계의 규제 입법이 추가되게 되었다. 영국에서는 공공 및 민간기관의 감시카메라(시스템)에 대해 포괄적인 규제가 없었다. 1984년에 내무성 가이드라인의 도입으로 경찰이 이용하는 감시카메라 등의 감시활동용 장치의 가시화가 일정하게 도모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영국에서의 감시·실종예방 등 방범카메라의 시스템 및 운용에 관한 법적 규제로 강하게 기울기 이전의 선행연구가 있지만, 오늘날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감시카메라의 홍수라고도 할 수 있는 가운데 감시카메라의 적정한 운용을 위해서, 더욱이 2012년에는 자유보호법(Protection of Freedom Act)에 의해서 실무규범(Code of Practice 실무 준칙)이 제시되어, 새로이 감시카메라 커미셔너(Surveillance Camera Commissioner: SCC)가 배치되었다. 영국에서 본 것처럼 유비쿼터스 사회에 있어서의 정보수집과 관리사회의 추이를 배경으로 하여 과학기술의 진보에 의해 감시카메라 시스템이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초래하는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영국에서는 모델 감시카메라 준칙(실무규범)이라고 해야 할 것이 감시카메라의 범람, 증식 속에서 제기되어 주변 시민의 인권 관련법의 정비 추이 속에서 성립되어 왔다.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민주주의를 옹호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이 명시되어 둘 필요가 있을까의 물음에 대해, 컨트롤(통제)이 사회적 규제에 필요 불가결하다고 하는 견해가 있지만 같은 취지이며 지당하다. This paper points out the phenomenon that modern society is trying to confirm a safe and secure society by mutual monitoring with a surveillance camera named a crime prevention from potential factors (criminals). Anyone must identify all the potential risk factors that can be roughly thought of and remove them in advance. Surveillance cameras or health check-ups are typical, but rather than surveillance cameras, they are called crime prevention cameras such as disappearance prevention, and they are called monitors. Today,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rimes in reality or the number of perceptions, the impression that security is deteriorating due to unusual events is spreading, which promotes the installation of crime cameras such as monitoring and disappearance in streets, stores, houses, and parking lots. Specifically, in the UK, CCTVs generally followed the accumulated common rules. They are stipulated in the Data Protection Act 1998, the Human Rights Act 1998, the Regulation of Investigation Rights Act 2000, and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2000. And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the 2012 Freedom Protection Act was newly add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road traffic, regulatory legislation on road traffic relations has been added. In the UK, there were no comprehensive regulations on surveillance cameras (systems) b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t is said tha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n 1984, the visualization of surveillance devices such as surveillance cameras used by the police was uniformly promoted. As such,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have been strongly inclined due to legal regulations on the system and operation of crime prevention cameras, such as monitoring and prevention of disappearance in the UK, but they are facing a new phase today. In 2012, Code of Practice was proposed under the Protection of Freedom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ee Protection Act) for proper operation of surveillance cameras, and the new Surveillance Camera Commissioner (SCC).) was placed. As seen in the UK, it was found that the surveillance camera system caused privacy infringement by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gainst the backdrop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society in ubiquitous society. In the UK, what should be called the model surveillance camera rules (working norms) has been raised amid the flooding and proliferation of surveillance cameras, and has been established amid the trend of reorganization of laws related to human rights of nearby citizens. When asked what needs to be specified to defend democracy in surveillance (camera system), there is an opinion that control (control) is indispensable for social regulation, but it has the same purpose and is correct.

      • KCI등재

        조선 후기 회화와 카메라 옵스큐라 - 西洋異物에 대한 문화적 호기심의 양상

        장진성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5

        조선 후기에 일어난 다양한 문화적 변화 중 하나는 見聞과 지식의 확대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에극도로 번성한 청나라의 수도인 北京에 건너 간 조선의 지식인들은 상이한 세계관, 종교, 기술, 정치 및 경제체제, 풍습, 지리, 생물, 생활방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화적 호기심은 견문 및 지식의 확대로이어졌다. 조선 후기 회화의 특징 중 하나인 서양화법의 수용 또한 당시 서양화에 대한 문화적 호기심 속에서발생한 새로운 시각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서양화법에 대한 관심 및 수용과 관련하여 보다 흥미로운 사실은 서양의 광학 기구인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의 원리가 18세기 후반 조선에 알려졌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 초상화 양식의 변화에 끼친 카메라 옵스큐라의 영향에 대한 최근 연구는 서양의 광학 기구에대한 당시의 문화적 충격과 호기심의 양상을 알려주고 있어 주목된다. 丁若鏞(1762~1836년)은 카메라 옵스큐라를 직접 만들어 기이한 광학 현상을 목도하게 되었는데 그의 .漆室觀畵說.은 카메라 옵스큐라에 대한그의 관심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칠실관화설.은 어두운 방인 漆室에 구멍을 뚫고 그 곳에 안경알 하나를 설치한 후 그 구멍을 통해 들어온 빛이 만들어낸 벽에 거꾸로 투사된 신비로운 풍경에 대한 시각적 체험을 기술한 것이다. 李基讓(1744~1802년) 또한 카메라 옵스큐라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기양은 정약용의 형인 丁若銓(1758~1816년)의 집에 漆室..眼이라고 불린 카메라 옵스큐라를 설치하고 어떤 화가로 하여금 자신의 초상화 초본을 그리게 하였다. 이것은 조선 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해 초상화 초본을 제작한 사실을 알려주고 있어 흥미롭다. 중국에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가 알려진 것은 아무리 늦어도 1690년대라고 생각된다. 徐乾學(1631~1694년)의 .西洋鏡箱.은 상자형 카메라 옵스큐라에 대한 글이다. 중국의 경우 기하학적 원리, 투시원근법,오목 . 볼록렌즈의 사용 원리, 광학적 지식, 카메라 옵스큐라의 수용 등이 확인되고 있지만 현재 남아있는 중국 그림 중에 카메라 옵스큐라를 활용해서 그린 작품은 단 한 점도 확인되고 있지 않다. 이런 현상을 어떻게설명할 수 있을까? 이것은 다름 아닌 당시 중국에서 정밀한 렌즈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전근대 유럽에서도 고품질의 렌즈는 생산되지 못했다. 질이 나쁜 렌즈로는 정확한 빛의 투사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없다. 따라서 중국의 경우 비록 카메라 옵스큐라가 소개되었다고 해도 우수한 질의 렌즈가 없었기 때문에 카메라옵스큐라의 성능은 매우 낮았다. 서양의 예수회선교사 중 궁정화가로 활동한 어떤 화가들도 카메라 옵스큐라를 활용해 그림을 그린 정황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는다. 한편 일본의 경우도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는소개되었지만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해 그림을 그렸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우타가와 토요히로(歌川.廣, 1773~1828년)가 그린 한 삽화에는 암실형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가 잘 설명되어 있다. 이 판화에서살펴 볼 수 있듯이 에도시대에 카메라 옵스큐라의 작동 원리는 상당히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그러나 서양의 광학 지식 및 카메라 옵스큐라에 대한 소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카메라 옵스큐라를 이용해 제작된 에도시대 그림은 알려진 것이 없다. 서양의 일점투시도법을 활용한 판화인 ‘우키에(浮繪)’가 다수 제작된 것은 에도시대에 서양의 원근법이 적용된 판화와 그림들이 큰 인기를 얻었음을 알려준다. ‘아키타 란가(秋田蘭畵)’의 경우 서양의 명암법, 원근법, 유화 기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된 에도시대의 대표적인 ‘洋風畵’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키에와 아키타 란가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에도시대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제작된그림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결국 중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카메라 옵스큐라의 작동 원리는 소개되었지만 실제로 이 광학 기구가 그림 제작에는 활용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아마도 카메라 옵스큐라를 제대로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정교한 렌즈가 부재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약용이 비록 암실형 카메라 옵스큐라를 만들고 실험했지만 당시 조선에서 양질의 렌즈가 전혀 만들어지지 않았던 상황을 고려해 보면 과연 그가 어두운 방에서 본 형상이 얼마나 사실적이었는지 상당한 의문이든다. 姜世晃(1713~1791년)의 .眼鏡說.은 18세기 후반 조선의 광학 기술 수준을 정확히 알려주는 글로써주목된다. 강세황에 따르면 당시 조선에서는 유리로 된 안경알조차 제작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정교한 렌즈의 부재는 18세기 후반에 조선에서 카메라 옵스큐라가 그림 제작에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거의 없음을 알려준다. 한편 1787년에 李命基(1756~1802년 이후)가 그린 <兪彦鎬肖像>이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해 제작된 작품일 가능성이 최근 제기되었다. 그런데 이 그림에 보이는 화문석 위에 나타난 그림자의 모습은<유언호초상>이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해 그린 작품이 아니라는 것을 절대적으로 증명해주는 시각적 증거이다. 그림자 표현은 자연 광선 하에서 형성된 그림자를 그린 것으로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할 경우 그림자가 벽이나 종이에 나타나지 않는다.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 형성된 이미지는 모두 희미하고 불투명한 상태였으며 양질의 렌즈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불투명성은 현저히 증가한다. 결국 카메라 옵스큐라에 대한 이해는 결코 과학적 또는 근대적 사실주의의 발전을 의미하지 않는다. 암실형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 형성된 환상적인 이미지를 보고 정약용과 같은 인물들이 경탄한 것은 광학 기구를 통해 이루어진 신비롭고 기이한 시각체험과 관련된다. 즉 평생 처음 보는 서양의 기이한 물건인 ‘西洋異物’에 대한 그들의 경탄과 호기심은 대단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이로운 시각체험이 곧 근대적 사실주의로 나아가는 첩경은 아니었다. 카메라 옵스큐라에 대한 과장된 해석은 결국 ‘虛像’의 미술사를 만들어낼 뿐 아니라 역사적 실상을 왜곡할 수도 있다. 역사적 실상은 오직 객관적인 사실을 통해서만 파악될 수 있다. The historical precursor to the modern camera, the camera obscura (from the Latin, 멶ark room? relies on the principle that light travels in straight lines. If a pinhole is placed in the door of a darkened chamber, the light from the outside will pass through the hole and project an upside-down image of the scene outside onto the wall opposite the hole. The use of a lens in place of the small hole or pinhole made the camera obscura a better device. As an optical and scientific device for capturing and projecting visual images, the camera obscura gained popularity among artists and scientists. David Hockney has argued in his controversial book Secret Knowledge: Rediscovering the Lost Techniques of the Old Masters that the camera obscura and other visual devic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alism in European painting and many painters including Johannes Vermeer (1632~1675) used the camera obscura actively in the making of their works. Knowledge of the camera obscura and the device itself had been introduced in Qing China, Edo Japan, and Joseon Korea by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 source of novelty and amusement.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amera obscura was introduced and used and how the public knowledge of the optical device laid the foundation for new visual culture in eighteenth-century East Asia. After the Manchu conquest of China in 1644, the Jesuits continued to serve the new rulers. They brought to the court scientific instruments that were used in calendar reforms,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geographical explorations. The account of a 밯estern mirror box (Xiyang jingxiang)?by the high official and imperial advisor Xu Qianxue (1631~1694) is the most specific evidence proving that the camera obscura had been introduced to the Kangxi (r. 1662~1722) court before Xu's death in 1694. Despite the introduction of the camera obscura, none of the Qing court paintings that were made with the help of the instrument has been known. This means that the camera obscura was perhaps partially used as a visual aid in the creation of a painting. Although the public knowledge of the camera obscura was widely circulated, the practical use of the instrument was extremely limited. By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Japanese were better acquainted with European culture and civilization than the people of any non-Western country. The rise of Dutch Learning (Rangaku), and by extension Western learn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ransformation of Japanese culture and society and in the change of 266Japanese attitudes towards foreign countries. Nagasaki served as entry port for artistic inspiration. Vanishing point perspective came to characterize prints and maps, and experiments with copper plates gained popularity. Shiba Kokan (1747~1818) was one of the pioneers of Western-style painting, who saw Western empiricism as an agent of modernization. The interesting characteristic of Kokan's art is that he developed a landscape theme for megane-e (optical paintings viewed through a special device). The camera obscura had been widely known to Japanese scholars and painters by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It was called an 밶uthenticity-copying lens.?Shiba Kokan described the box as 밶 contrivance to depict scenery so as to make it look to viewers as if they were actually walking through the place.?That Kokan had some great interest in the camera obscura in relation to his art is undeniable. But, there is no proof that Kokan either traced or copied his compositions directly from the projected image of the camera obscura. None of the Japanese paintings showing the use of the camera obscura has survived. Eighteenth-century Korea witnessed the great enthusiasm for practical learning (silhak) which influenced all branches of literature and the arts. Practical learning was inseparable from empirical scholarship that sanctioned new, precise methods by which to understand the past and conceptualize the present. Two of the textual records of the camera obscura have survived to date. The records are filled with the author's amazement at the optical principle of the camera obscura. Knowledge of the camera obscura was introduced to Korea by envoys to China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Some scholars attempted to construct dark rooms to experiment with the optical principle of the camera obscura. One notable example is found in Jeong Yagyong's (1762~1836) record of his and Yi Giyang's (1744~1802) experiments with the camera obscura. Sometime in the mid-1780s, Jeong set up a room-type camera obscura to see how the projected upside-down image forms in a dark room. Yi also constructed a room-type camera obscura at the home of Jeong's brother and asked a painter to draw a portrait of him by tracing an inverted image of him projected on the wall. This record is of great interest in that the camera obscura was actively employed in the making of a portrait. Nonetheless, it is still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eighteenth-century Korean painters actually employed the camera obscura in the creation of landscapes and portraits. One of the reasons to argue against the painter's possible use of the camera obscura is that good mirrors and lenses were not available in eighteenth-century Korea. The effective function of a camera obscura depends on the combination of a concave mirror and a convex lens that produced a clear image. The late eighteenth-century scholar-official Gang Sehwang (1713~1791) wrote of the low quality of lenses for spectacles. He mentioned that good lenses are required for the making of telescopes and spectacles and that while the Chinese learned from Westerners how to make glasses and lenses, the Koreans did not know how to make them. According to Gang, none of the Koreans of his time knew the method of making glasses and lenses. Given that the effective function of a camera obscura relies heavily on the quality of a concave mirror and a convex lens, it is hard to imagine that the eighteenth-century Korean camera obscura was good enough to be used in the making of paintings. The wonders and marvels found in Jeong's records .. .. ... ... .... / ... show late eighteenth-century Koreans' amazement at and curiosities about the 뱒trange things from the West (Seoyang yimul)."

      • KCI등재

        필름카메라의 귀환 -자기표현과 여가활동으로서의 사진문화-

        라연재(Ra, Yeon-jae)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2010년대 후반 무렵부터 레트로라는 단어는 주류 문화로 편입했다. 복고(復古)는 시대를 불문하고 나타나지만, 레트로라는 말로 과거에의 회귀를 표현한 것은 최근에 해당한다. 연령대에 따라 다소의 인식 차이를 보이지만 1990년대~2000년 이전에 소비되었던 문화의 속성을 ‘레트로’로 통칭하는 편이다. 연식이 오래된 장소를 방문하고, 레코드판으로 지나간 음악을 듣고 필름카메라로 일상의 모습을 남기는 모습은 더는 과거에만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당면한 현재이다. 따라서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 · 스마트폰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고 기능이 고도화된 현 지점에서도 여전히 필름카메라를 소유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어릴 적부터 관성적으로 필름카메라를 사용해온 사람들과 더불어 필름카메라를 한 번도 만져본 적이 없던 연령대가 새로 진입하면서 필름카메라 문화의 지형도를 그리고 있다. 사진은 자아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카메라를 작동해 원하는 사진 이미지를 실물로 재현하는 행위는 놀이이자 취미의 일환이기도 하다. 특히 필름카메라는 물려받거나 중고로 구매하는 과정에서부터 일련의 자기 서사를 구축한다. 필름카메라는 고유의 조작감을 실제로 느끼는 한편 그 자체로 미학 오브제(objet)의 기능을 맡고 있으며 필름카메라로 찍힌 이미지는 디지털카메라나 휴대폰(특히 스마트폰) 카메라와의 차별성을 가져다준다. 또한, 사진은 사람들에게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예술의 영역으로 여겨진다. 흔한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 카메라를 두고, 예스러운 느낌을 생산하는 필름카메라를 선택하는 이유에는 취미의 영역인 한편 개인 주체가 실천하는 예술 행위와 맞닿아 있다. 또한, 과거의 이미지를 해석해 현재의 사진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주체들의 감성은 사진에 시각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필름카메라 사진문화를 즐기는 층위는 디지털카메라 대중화 시기 이전부터 지속해서 필름카메라를 소유하고 취미로 즐기는 유형, 2010년대 후반 들어 필름카메라 제반 상황이 갖춰지면서 다시 혹은 새롭게 필름카메라를 취미로 갖게 된 유형, 필름카메라를 소유하고 있지 않으나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처럼 효과를 내고 싶은 유형 등으로 나뉜다. 이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수가 제한된 필름카메라로 사진 한 장마다 공을 들일 수 있는 수고로움과 진정성을 어떻게 재현할지에 대한 시도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필름카메라를 직접 소유하고 있는지는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미지 안에 예스러움과 친숙함을 의도하며 디지털적 무개성에서 탈피하려 하는 과정에서는 사진문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계층의 시각성이 담기게 된다. 필름카메라는 디지털과 대비되는 지점에서 예스러움을 기반으로 소유로 촉발되는 물성과 함께 능동적인 실천을 유도하면서 고유의 시각성을 재현하는 장을 열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근대에 유입되어 대중문화로 자리 잡은 현대 생활문화라는 측면에서 정체성의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취미 · 여가문화를 파악하기 위해 대중들이 어떻게 사진문화의 장에 개입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한때 주류였던 필름카메라 기술문화가 디지털의 등장으로 인해 사양으로 접어들었음에도 ‘지금 여기’에 재현되고 있는 이유는 1) 자기표현의 도구로 이용되는 레트로 감성의 표출 2) 미디어의 영향 3) 필름카메라가 지닌 특성의 재발견과 예술성의 재현 4) 시장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상품 가치 등의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Since ‘Retro(spective)’ culture have been prevailed in Korea around the late 2010s, it utterly became mainstream. Almost in every period, paying homage to past epoch is taken for granted, however, Korean media labeled the term ‘retro’ as the one part of daily consumption culture for going through any period only before 1990–2000s. Recent ‘retro’ culture also contains the film camera which is considered as the tool of constructing visuality. In contrast to digital photography, so called as ‘analog photography’ or ‘film photography’ brings the new perspectives on imaging and visual culture embracing film camera manias from early days and people who have never touched the film camera before. Even young generations holding film camera consider themselves hipster. Camera users represent themselves via the images as self narrative. Also they performed the sort of play building concrete image from the abstract concept. Even from the way to hold the film camera(hand-me-down or second hand), people have their own narratives. In the matter of material itself, film camera users desire the sense of control from pulling over lever or clicking the shutter. It has also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various appearances functioning aesthetic object or film grains. People who enjoy the film camera position themselves between artist and amateur. Digital photography realized the motto ‘everyone who hold camera is all photographers’ since 2000s. Film camera users(also performers/photographers) are the leading figures who interprets the nostalgia from the past, consume the retrospective images, and produces the real images. It is also related to the phrase that “Why film photographers insist to use film cameras besides all the efforts?” Film camera users feel authenticity and craving for controlling (analog) techniques in the limited shoots. Based on active performs and the sense of antique-ness, recent film photography forms retro-visuality. This article examined that how public have engaged with photography as modern lifestyle and they formed self through camera. There are several reasons such as 1) revealing retro sense from using camera as self-expression 2) the influence of media 3) re-discovering the characters of film camera and making ‘aura’ and ‘authenticity concept 4) reforming the value of commodities in socio-economical base.

      • KCI등재

        영화의 비물리적 카메라 무브먼트에 의한 공간 연출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thods of filmmaking particularly with the spaces in films that non-physical camera creates and to catego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spaces and camera movements. The term, non-physical camera means the virtual camera which only exists in computer software. This study also reconsiders the position of non-physical camera movements in modern films while analysing the new paradigm that the methods brought to film production such as narratives, some particular shots and the ways of editing. Therefore, the research preferentially discusses the notion of hyperrealism of computer generated images that express practically the similarity of our ordinary world. The virtual camera movements in this paper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imation ride, floating camera, and immaterial point of view. For animation ride, the study focuses on science fiction or fantasy movies in order to discuss about realistic computer graphics. For floating(or wandering) camera and immaterial point of view, <Fight Club(1999)> and <Panic Room(2002)> directed by David Fincher are presented as a case study because of their omniscient point of camera view using computer generated images with practical background and suspense story content. The paper has reached to its conclusion that first, non-physical camera movements have presented the new aesthetics of film production by actively adopting computer graphics. Those camera movements are clearly mediated from the ones in traditional films. Second, this method not only offered the virtual camera notion as innovative convenience to filmmakers, but also opened the whole new possibility to create spaces in film productions. Lastly, in the aspect of storytelling, non-physical camera movements tend to reveal the multiple meanings of realism in visual embodiment and implications in narrative struc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영화의 비물질적 카메라가 만들어내는 움직임과 공간의 관계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이러한 카메라 무브먼트가 만들어내는 영화 공간연출의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이 공간표현의 방법이 내러티브, 특정 카메라 쇼트, 편집 등 전체 영화연출에 가져온 새로운 패러다임을 분석하여 카메라 무브먼트의 현대 영화에서의 위치를 재고하였다. 이론적 논의에서는우리의 일상세계에 대한 사실주의성 또는 유사성을 가장 근접하게 표현한 시뮬레이션 이미지의 극사실주의 개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러한 시뮬레이션 공간을 마음껏 유영하면서 이동하는 카메라 무브먼트를 ‘애니메이션 라이드’, ‘부유하는 카메라’, 그리고 ‘비실체적 시점’의 세 가지유형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라이드는 영화에서의 사실주의적 컴퓨터 그래픽에 관한 논의에서 주로 언급되는 SF, 판타지 영화를 대상으로 하였고, 부유하는 카메라와 비실체적 시점은 데이비드 핀처(Fincher) 감독의 <파이트 클럽(1999)>, <패닉룸(2002)>과 같이 현실적 배경에서의 서스펜스 장르에 CG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지적 시점의 카메라 움직임을 연출한 작품을 분석의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비물리적 카메라 무브먼트는 전통적 카메라 움직임에 디지털을 매개로하여 새로운 미학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심미적 관점에서의 영화 창작에 대한 새로운 사실주의를 토대로 영화의 진정성과 예술성을 그대로 이어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둘째, 가상의 카메라 개념은 영화창작의 편의를 제공할 뿐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공간 연출의 가능성을 열었으며 제작자가 자신만의 창작 방법을 개발하여 이를 실현시켜주는데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셋째, 비물리적 카메라 무브먼트는 영화제작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의면에서 볼 때 시각적 구현과 의미표현 측면에서 리얼리즘의 다중적 함의를 잘 나타날 수 있게 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검색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김지현 ( Kim Ji-hyun ),윤재영 ( Yun Jae-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9 No.-

        모바일 시장의 빠른 발전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일이 일상이 되었다.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이미지 검색이 가능해졌으며 저장했던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뿐만 아니라 카메라로 촬영하여 실시간 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모바일 검색 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모바일 카메라 검색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의 입장에서 모바일 카메라 검색 목적 및 이용 행태, 불편사항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카메라 검색의 목적을 재정의하였고, 사용자 인터뷰와 참여 관찰을 통해, 검색 목적과 행태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카메라 검색에 대한 사용자 니즈 파악 후,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모바일 카메라 검색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카메라 검색 사용 목적은 주로 4가지로 Information 검색, URL 검색, Download 검색, Entertainment 검색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모바일 카메라 검색을 사용하여 주로 검색하는 대상은 인물, 언어, 의류, 동식물, 비슷한 이미지, 와인, 전자기기, 음식 등으로 정리되었다. 참여관찰을 통해 불편사항은 1) 검색 결과가 정해진 기준 없이 제공된다는 점, 2) 검색 결과 중 몇 가지 정보를 쉽고 빠르게 비교할 수 없다는 점, 3) 내가 검색해 본 결과만 확인할 수 있고 연관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 점, 4) 이미지가 흐릿하게 찍힌 경우 다시 찍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점 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a) 필터링과 비교 기능, b) 연관 정보 기능, c) 이미지 간편 보정 기능을 각 검색 대상별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를 하였고, 대면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사용편의성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카메라 검색 서비스 사용자의 이용 목적과 행태를 이해하고 모바일 카메라 검색 서비스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obile market has made it possible to search using mobil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mages can be searched through the mobile camera lens anytime, anywhere, and not only search for saved images, but also real-time search by camera. However, currently, researches on mobile search servic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while studies on mobile camera search are inadequate. This study grasps the purpose of mobile camera retrieval, usage behavior and inconveni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actual users. For this purpose, the purpose of mobile camera search was redefined and the search objectives and behaviors were identified through user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Also, after grasping the user's needs for camera search, a solution is presented. After that, we tried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on mobile camera search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hrough usability test. As a result of research, the purpose of mobile camera search is mainly divided into information search, URL search, download search, and entertainment search. The main search targets using mobile camera search are people, language, clothing, flora and fauna, similar images, wine, electronics, and food. Participation observations are uncomfortable because: 1) the search results are provided without a set of criteria; 2) some of the results cannot be compared quickly and easily; 4) If the image is blurred,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shooting process. To solve this problem, we present a) filtering and comparison function, b) related information function, and c) simple image correction function. The usability test of the proposed service was conducted, and face-to-face interviews showed that the serviceability was positive. In this study, we understand the purpose and behavior of mobile camera retrieval service user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mobile camera retrieval services.

      • KCI등재

        애니메이션 카메라 무브먼트의 비물질적 특성과 공간 연출

        박민주 ( Min Ju Park ),이주훈 ( Joo H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연출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역할과 카메라 무브먼트의 개념적 특성을 정의하고, 그 표현의 방법과 의미를 연구 분석하는 데 있다. 디지털 영상 시대에 접어들면서 카메라는 더욱 설득력 있는 극적인 도구가 됨과 동시에 ‘카메라이기’를 거부하기 시작하였다. 많은 실사영화에서 카메라 무브먼트는 물리적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 아닌 애니메이팅된 카메라 무브먼트이다. 애니메이션은 처음부터 실제로 존재하는 카메라가 아닌 그려진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연출되는 매체였다. 애니메이션에서의 카메라 앵글과 무브먼트는 가상의, 즉 상상의 산물이며, 실재의 카메라가 연출할 수 없는 불가능한 공간을 넘나들며 영화의 극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상상의 카메라가 단순히 관객의 눈을 즐겁게 하는 시각적 효과만을 위해 쓰여 지는 것은 아니다. 애니메이션에서 카메라 무브먼트는 가상의 공간이 가지고 있는 다의성을 보여주고 나타내며, 이러한 공간은 그 자체가 코드화된 의미작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물질적 카메라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이 가져온 새로운 미학적 영역은 어떠한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2D와 3D 애니메이션에서 카메라 무브먼트의 의미를 각각 정의하고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최근의 카메라 무브먼트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였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의 비물질적 카메라 무브먼트는 관객들의 생각과 의식을 확장시키며 카메라에 대한 관습적 개념에 새로운 지각적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카메라가 재현하지 못하는 공간을 넘나들며 캐릭터의 극적 심리상태와 같은 내러티브의 요소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 of camera movement and its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its ways and meanings. Since the digital film era began camera has become a much more powerful tool, but at the same time it has started denying itself as ‘being camera’. Lately camera movements in a number of live action films were ‘animated camera movements’, rather than the ones shot with actual cameras. The animators have used animated camera movemen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animation history because it i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differ it from live action films in production process. The camera movements that are able to go through the impossible places are animated and imaginary in animation, and they maximize the dramatic effect of the film. However, they are not just for the visual fun that entertains audiences. They tell the multiple meanings that the imaginary spaces have, and the spaces themselves could be the coded interactions.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the role and meaning of the imaginary camera movements and the esthetics that they have brought. Also, it defined the meaning of camera movement in both 2D and 3D animation, and clarified its concept through specific examples. As a result, the imaginary camera movements give a new perceptual experiences to audiences and enlarge their thoughts and visions. In addition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e camera movements involves to the narrative structure like character development as the camera goes back and forth to the impossible places where a physical camera can’t go into.

      • KCI등재

        수단-목적 사슬이론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의 소비자 가치단계도(HVM): APT 래더링을 중심으로

        송기인 ( Gee In So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주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단계도를 구성해 보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구조를 이해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 제품 각각에 대한 소비자 가치단계도의 단계별 중요 항목 및 항목 간 연결 관계 규명과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 제품 각각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단계도(HVM)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조사 방법은 새로운 래더링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는 APT 래더링이었고, 총 18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가장 중요한 디지털 카메라의 각 단계별 연결 관계는 속성과 기능적 혜택단계에서 <카메라 휴대성-휴대의 편리>관계, 기능적 혜택-심리적 혜택단계에서 <고화질 사진인화-촬영의 만족감>관계, 그리고 심리적 혜택-가치 단계에서 <촬영의 만족감-성취감>관계였다. 필름 카메라의 결과는 속성과 기능적 혜택단계에서 <카메라 크기 및 무게-휴대의 편리>관계, 기능적 혜택-심리적 혜택단계에서, <노출 조정의 손맛-촬영의 만족감>관계, 그리고 심리적 혜택-가치 단계에서 <촬영의 만족감-성취감>관계였다. 더불어,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가치단계도에서 가장 중요한 래더는 <카메라 휴대성-휴대의 편리-촬영의 즐거움-삶의 즐거움>의 래더였고, 필름 카메라에 대한 가장 중요한 래더는 <카메라 크기 및 무게-휴대의 편리-촬영의 즐거움-삶의 즐거움>의 래더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에 대한 소비자의 개인적 가치단계도를 구성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consumer`s HVM(Hierarchical Value Map) about digital camera and film camera, and to understand the consum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to tes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of Means-end chain theory, and to construct each HVM about Digital camera and Film camera. The method of research is APT laddering which is evaluated with a new laddering technique, and data was collected from 189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a) the most importan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about digital camera is <carrying camera-convenience> association in attribute-functional consequence level, <having better picture-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 association in functional consequence-psychological consequence level, and <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accomplishment> association in psychological consequence-value level. And the most importan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about film camera is <size and weight of camera-convenience> association in attribute-functional consequence level, <hand feeling of exposure-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 association in functional consequence-psychological consequence level, and <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accomplishment> association in psychological consequence-value level. b) In HVM about digital camera, the most important ladder is <carrying camera-convenience-enjoyment of taking photograph- enjoyment of life>, and in HVM about film camera, the most important ladder is <size and weight of camera-convenience-enjoyment of taking photograph-enjoyment of life>.

      • KCI등재

        큰 베이스라인을 가진 전방향 스테레오 카메라의 교정 방법

        이강산(Kang-San Lee),강현수(Hyun-Soo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6

        본 논문은 전방향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거리 측정을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전방향 카메라의 교정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전방향 스테레오 카메라의 교정에 있어서,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를 각각 독립적으로 교정하거나 두 대의 카메라의 베이스라인이 크지 않은 경우의 교정은 기존의 연구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그러나 전방향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라인이 충분히 커야 하며, 충분히 큰 베이스라인은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를 동시에 교정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 이는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에서 촬영된 교정을 위한 테스트패턴의 크기가 최소한 한 대의 전방향 카메라에서 매우 작은 크기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베이스라인이 큰 두 대의 전방향 카메라의 교정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This paper presents a calibration method of an omnidirectional stereo camera which may be essentially performed for distance measurement to a certain point. In the calibration of the omnidirectional stereo camera, the independent calibrations of two cameras or the calibration of a stereo camera having the small baseline is feasible applying many methods studied in the past. However, the baseline should be large enough for long distance measurement by the omnidirectional stereo camera, since it is not easy to calibrate two cameras with a large baseline at the same time. It is because a test pattern for the calibration, which is simultaneously captured by two omnidirectional cameras, appears too small in at least one of the omnidirectional cameras. It causes inaccurate calibration.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a calibration method of the omnidirectional stereo camera with a large baseline and empirically verify its feasibility.

      • KCI등재

        사실주의 영화에 나타난 카메라 움직임연구 -영화 <자유의 언덕>을 중심으로-

        손보욱 ( Bo Wook S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1

        영화 안에는 감독이 자신의 의도를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요소들이 있다. 영화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메커니즘(Mechanism)의 산물이기 때문에 카메라 움직임은 감독이 활용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시각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에서 감독이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각적 요소가운데 카메라 움직임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우선 카메라 움직임의 생성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감독의 표현 의도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카메라 움직임이 사실주의 영화 안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한 편의 영화를 통해 분석해 볼 것이다. 많은 영화감독이 자신의 의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카메라 움직임을 활용한다. 특히 오늘날에는 디지털의 발전과 더불어 카메라가 소형화되고, 다양한 부가 장비가 개발되면서 더욱 폭넓게 카메라 움직임이 활용되고 있다. 다양한 카메라 움직임은 화면에 시각적 풍부함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서를 창출해낼 수도 있다. 그리하여 감독의 의도를 훨씬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관객이 장면 안으로 쉽게 몰입할 수 있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주의 영화에서 카메라 움직임이 과도하게 사용되거나 부적절하게 사용하면 감독의 주관이 너무 깊이 드러나게 되고 영화가 지닌 사실주의적 정서도 감소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카메라 메커니즘의 산물인 영화에서 카메라 움직임을 전혀 활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 관건은 어떻게 영화의 사실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카메라를 움직임을 활용할 것인가이다. 홍상수 감독의 <자유의 언덕>은 일반적인 사실주의 영화와는 다른 카메라움직임을 활용하여 감독의 의도를 적절하게 표현하면서도 사실주의적 정서를 잘 담아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을 통하여 사실주의 영화에서 카메라움직임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으며,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re are various visual elements in films through which the director can show his own intention. Since a film is the product of the mechanism that is shot using a camera, the movement of the camera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most visual elements that the director can utilize. This study will survey the movement of the camera among various visual elements that the director can utilize in his production of films.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reation and function of the camera and analyze through a film, how the movement of a camera which can actively reflect the expressive intentions of the director can be utilized in realism films. Many film directors utilize the movement of cameras to express his intention visually. Especially, as the cameras become small sized and various additional equipment are developed along with the digital development today, the movement of the camera is being utilized more widely. The various movements of the camera not only provides visual abundance to the screen, but also creates new emotions. Thus, these camera movements more effectively convey the director`s intentions and help the audience to be immersed easily into the scenes. However, excessive or inappropriate use of the camera movements in realism films shows subjectivity of the director, which reduces the natural emotions within the movie. This does not mean, however, camera movements should not be used in films, as they are the products of the camera mechanism. How directors deliver their intentions through the effective movement of the camera without harming the realistic emotions is crucial. Hill of Freedom directed by Hong Sang-Su uses a different style of camera movements from typical realism films to effectively express the director`s intentions and capture the realism emo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amera movements are used in the realism film and their roles withi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