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정정숙 ( Chung Sook Chu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3 성경과 상담 Vol.12 No.-

        칼빈주의는 기독교의 단순한 교리가 아니라 하나의 독특한 사상체계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칼빈주의는 역사적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는데 하나는 주관적 행동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영국의 청교도와 독일의 경건주의 같은 신학이다. 다른 하나는 객관적 신학체계로서 기독교 스콜라주의 신학으로 발전하였다. 산국에 소개된 칼빈주의는 이 두가지 형태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칼빈주의 신학의 특성은 하나님 중심의 신학, 성경중심의 신학 그리고 교회중시의 신학이다. 이런 특성 속에서 실천적 칼빈주의가 논의되는데 이것은 아브라함 카이퍼(braham Kuyper)의 주장에서 구체화된다. 카이퍼는 칼빈주의를 삶의 체계라고 규정하였고, 일반은총론과 영역의 주권이론을 통해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였다.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는 하나님의 절대주권, 성경의 절대권위, 변혁주의적 문화사명이다. 이것은 칼빈주의의 핵심을 제시하고 믿음과 행함의 일치를 통하여 하나님의 주권을 확립하는 것이다. 성경적 상담과 실천적 칼빈주의라는 말은 성경적상담은 반드시 성경적이여야 하고 실천적이어야 하며 칼빈주의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칼빈주의의 근본원리가 하나님의 주권에 있는 것처럼 성경적 상담 역시 하나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일반상담과 기독교상담 가운데서도 성경을 인간행동의 절대원리로 받아들이지 않는 입장에서는 옳은 것과 잘못된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심리학 중심주의, 자아중심주의, 반기독교적 사고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성경을 바탕으로 한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를 강조하는 성경적 상담은 실천적 칼빈주의의 한 형태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목적은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는 방안으로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 근거를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의 근본원리와 목적의 동일성을 제시함으로 성경적 상담의 정체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실천적 칼빈주의를 논의하기 위해서 칼빈주의의 역사와 특성, 실천적 칼빈주의의 가능성과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를 살펴보고, 실천적 칼빈주의로서의 성경적 상담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 Calvinism is not simply a Christian doctrine but it has uniqu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Calvinism developed into two distinct forms throughout history. One, as in English Puritanism and German pietism, emphasizes subjective behaviors, whereas the other, in scholastic theology, emphasizes objective theological doctrines. The form of Calvinism introduced in Korea has influences from both branches of such theological development.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Calvinism centers around the concept of total and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e Church. Abram Kuyper (1837-1920), a Dutch theologian, defined the concept of practical Calvinism (also known as neo-Calvinism) as the fundamental way of life where God continually influences the life of believers. By elaborating on the concepts of common grace (also called efficacious grace) and the theories of sovereign grace, Kuyper advanced and gave content to Calvinism.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is a cultural mandate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ransformation. This is to define and establish God`s sovereignty through the unity of faith and action. The term “Practical Calvinism and counseling” implies that biblical counseling must be rooted firmly in the Bible and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Jus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alvinism lies i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biblical counseling also must be God-centered. Among secular and Christian counseling practitioners, there are those who do not accept the Bible as the absolute principle of human behavior and rather base their practice on psychological egocentrism and anti-Christian beliefs. It is imperative, therefore, for biblical counseling to emphasize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rough its biblical foundation. This monograph seeks to provide ways in which biblical counseling can further advance practical Calvinism.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have a common goal of emphasizing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us a discussion of Calvinism`s history and characteristics must take place. This volume will examine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and contemplates the future prospects of practical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 KCI등재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 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 An Introspective Calvinism

        Park, Gon Taik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2012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 Vol.16 No.1

        On the occasion of the 500th anniversary of Calvin’s birth, Korean Church leaders demonstrated a great desire to imitate the Genevan Reformer by holding a big event where a lot of Calvinists participated. My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introspection of some aspects of the imitatio Calvini in Korea. Firstly, I tried to examine in the name of dogmatic Calvinism what the key idea of system of Calvin’s thought was. Piety was the key idea that had penetrated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and of the Calvinistic debates of next generations. Secondly, my concern continues in the research on historical progress of Calvinism: European Calvinism, North-American Calvinism and South-African Calvinism. There was the covenant theology in the basis of the worldwide expansion of Calvinistic religion and state. But the irony was that this theology gave rise to the collective activities of the Calvinists against other tyrants, and that the colonials fought, even against Reformed colonists, for the independence, freedom, democratization of their own country. Thirdly, the Calvinism in Korea is neither American type, nor South-African type. This is one of theologies that some Korean scholars have imported. If the religious radicalism of the salvation doctrine of the Reformation remains in the conservative Calvinists, the resistant theology against tyrants is insisted by progressive Calvinists. The covenant theology could not work in this multi-religious society. “Neo-Calvinism” in Korea, if this tendency is possible, should be groped in the new orientation which would be ours.

      • KCI등재

        사회적 칼빈주의와 한국교회의 사회적 공공성

        김동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2 No.-

        This paper examines critically the theological character of Calvinism which is influential in Korean conservative Protestant theology as it concentrates on the publicity of Calvinism,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heological aspect, called as social Calvinism. Although Calvinism was not only a legacy of the 'world-formative Christianity,' but also the product of the transformative Christianity that contributes to social progress, the development of politics, and economy in all sphere of life, Calvinism has been understood as an apologetic tool based on the five fundamental points such as total depravity, unconditional election, limited redemption, irresistable grace, perserence of saints in Korean Church. Therefore, in order to fulfill Korea church its public responsibility in society,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the heritage of cultural transformation of neo-Calvinism in the Netherlands Kuyperian tradition and the perspective of liberation theology that have been found in the Reformed Church and theology of South Africa, that is, newly rediscovered in today's church and social situation, and social Calvinism sought. 본 논문은 한국 보수 개신교에서 영향력있는 위치에 있는 칼빈주의의 신학적특징을 공공성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그 대안으로서 사회적 칼빈주의를 제시한 것이다. 본래 칼빈주의는 ‘세계형성적 기독교’의 한 유산이었으며, 삶의 전영역에서 사회적 진보와 정치, 경제,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 변혁적 기독교의 산물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에서 칼빈주의는 주로 칼빈주의 5대 교리(전적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 속죄, 불가항력적 은총, 성도의 견인)로 대표되는 교리변증적 칼빈주의로 이해되었다. 그러므로 한국교회가 사회속에서 공적 책임을수행하기 위해서는 화란 카이퍼리안 전통에서 나타난 문화변혁적 신칼빈주의 신학의 유산과 남아공 개혁교회와 신학에서 발견되는 해방신학적 칼빈주의를 오늘의 교회와 사회적 상황에서 새롭게 재발견하여 사회적 칼빈주의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칼빈주의 개념 고찰: 벤자민 B. 워필드의 칼빈주의 이해를 중심으로

        류길선 ( Ryu Gil Sun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9 No.-

        워필드에게 칼빈주의는 넓은 의미에서 세 가지 용례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칼빈주의는 칼빈이 직접 가르친 내용들, 즉 다양한 신학적, 교회론적, 정치적 문제들에 관한 관점들을 가리킨다. 둘째, 칼빈주의는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칼빈과 아우구스티누스주의로부터 물려받아 발전시킨 교리 체계이며, 따라서 루터파와 구분된다. 칼빈주의의 세 번째 용법은 가장 넓은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칼빈주의는 신학, 윤리학, 철학, 사회학, 정치학, 그리고 교육학적인 관점들에 연관된다. 워필드는 두 번째 용법, 즉 개혁파 교회의 교리 체계로서의 칼빈주의를 선호하는 한편, 첫 번째와 세 번째 용법들을 간과하거나 외면하지 않는다. 이는 워필드가 취하는 칼빈주의의 용례들이 한결 같이 모두 개혁파 내에서의 칼빈주의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칼빈주의에 대한 워필드의 관점은 네 가지 주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첫째, 그가 언급한 교리 체계는 예정론과 같은 특정교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칼빈의 신학적 사상의 영향 가운데 경건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발전한 교리 체계, 더 쉽게 말하면 경건의 체계를 의미한다. 둘째, 그동안 잘못 이해되어 왔던 칼빈주의에 대한 오해들, 예를 들어 칼빈주의를 메마르고 구세대적이라는 비판들을 일축한다. 셋째, 칼빈주의가 협소한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개신교 교파들과 연관성을 가지는 포괄적인 개념임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워필드는 보다 직접적으로 칼빈의 사상에 한 걸음 밀착하여 칼빈의 신학 가운데 나타난 기독교 유신론의 형식적 원리를 제공하고, 신학과 실천의 관계에 있어서 개혁주의 유산이 남긴 탁월성을 돋보이게 함으로써, 현대의 만연한 무신론과 기독교 윤리 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안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다. Warfield believes that Calvinism could be used in the three usages. First, it means Calvin’s own theological position, indicating various theological, ecclesial, political issues. The second option is the system of doctrine taught by Calvin and the Augustinianism associated with the whole body of the Reformers, in distinction from the Lutheran Churches. The third use of the term Calvinism designates the most broad way in which Calvinism is involved to Christian Worldview in terms of the entire body of conceptions including theological, ethical, philosophical, social, polit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While Warfield prefers the second usage of the term, he does not neglect the first and third ones. Warfield chooses the second usage of calvinism, and provides the focal point of the calvinistic view, by exploring the life and works of Calvin, considering the Christian theism, and differentiating it from Lutheranism and Arminianism. Warfield’s perspective of calvinism as the Reformed heritage implies four significant points of view. First, calvinism as the system of doctrine taught by the Reformed churches does not indicates the certain doctrine such as predestination, but rather signifies religion which encourages the Christian life in relation to God. Second, it terminates a misconception that calvinism is the dry and outmoded philosophy. Third, calvinsim for Worfield is not narrow but includes comprehensive perspective which show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other Protestant groups. Finally, he provides a fundamental framework the Christian theism in Calvin’s theology, helping today’s Reformed theologions who need an alternative to the modern context which is pervaded with atheism.

      • KCI등재

        칼뱅 신학에 나타난 신학의 사회포용에 관한 연구

        손수호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2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3

        This present study explores theology of John Calvin’s social engagement in terms of its social inclusivism. Historically, Calvinism has been known as developed strict reformed tradition which led its relation to the society in dualistic conflict. However, John Calvin’s Geneva Reform clearly showed that his reformation has developed in the idea of mutual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ociety. Calvin underscored the Christian consecration of the Church, and socially practiced the embrace of gospel in order to prevent any form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Calvin’s inclusive dualism served as an outstanding theological reflection that shows what kind of attitude Calvinism should take toward society. The distinctive of Calvin’s theology has been developed as more contemporary Reformed theology through the works of Abraham Kuyper. In his book “Lectures on Calvinism”(1898), he provided the new value of Calvinism which can be identified as a system of holistic human life. It offered the social inclusion of theology that helps to reorganize historical Calvinism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future era. 본 논문은 사회포용 관점에서 칼뱅 신학이 본래 함의하고 있는 사회참여에 대한 신학의 원리와 실천성에 대하여 조명하였다. 칼뱅주의는 교리주의 원칙으로 교회와 사회에 대립을 초래하였으나, 제네바 개혁 정신은 교회에 대하여 ‘성결’을 강조하여 하나님 순수 신앙을 견고히 하였고, 사회적으로는 복음의 포용성을 발휘하여 개혁의 차별과 편견을 극복하였다. ‘포용적 이원론’은 앞으로의 칼뱅주의가 사회를 대하는 태도에 있어 신학의 지표가 된다. 칼뱅의 개혁원리는 에이브러햄 카이퍼(Abraham Kuyper)에게서 현대적 개혁주의 신학으로 발전하였다. 그는 칼빈주의 강연 (Lectures on Calvinism,, 1898)에서 ‘포괄적 삶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스도의 통치영역이자 인간사회의 모든 분야를 총괄하는 ‘포괄적 삶의 체계’는 역사적 칼뱅주의를 재정비하고 다가올 미래 시대의 요구에 대한 사회포용의 신학적 · 신앙적 대안이라는 것에 있다.

      • KCI등재

        칼빈의 개혁사상과 교회

        김재성(박사) ( Jae Sung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3 No.-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칼빈 사상의 역사적 문맥을 개괄적으로 살펴서 그의 정체성을 규정짓고, 그동안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해 핵심적인 교리, 방법,구조분석을 간추려 그의 개혁사상의 독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나아가서, 그의 사상 속에 담겨진 “변혁적인 역동성”(transformative dynamics)을 논증하여 한국교회에 변화와 갱신의 에너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는 어두움을 비추는 빛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세상을 변혁시키는 역동성이 바로 칼빈이 남긴 사상과 업적이다. 칼빈은 르네상스의 수사학과 논리학의 패턴을 사용하면서도 ‘말씀의 신학자’로서 성경적인 개혁을 시도하였다. 혼란한 상황에서 성경적인 해답을 모색하였기에 놀라운 확신과 감동을 주고 있으며, ‘변혁적인 에너지’를 제공하였고, 고난과 시련을 돌파하는 ‘새로운 역동성’으로 칼빈주의자들에게 힘을 불어넣었다. 칼빈은 청년기 초반 에라스무스로 대표되는 기독교 휴머니즘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이 운동은 성경과 초대 교부들을 연구하도록 이끌었고, 어거스틴을 비롯한 수많은 교부들의 글을 통해 성경 해석의 근간을 얻어냈다. 칼빈의 개혁사상은 성경과 교회가 핵심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개혁은 성경을 근간으로 교회를 개혁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뿐만 아니라 사회와 정치, 생활의 전반에 깊숙이 영향을 미쳤다. 칼빈은 성경에서 신학을 정립했고, 그방식대로 신학을 전개함으로써 권위 있는 힘과 역동성이 있었다. 그는 성경의 가르침을 모두 다 중요시했고, 계시된 하나님의 뜻으로 총체적으로 가르치는데 역점을 두었다. 칼빈은 교리에 대해서 이론적인 사색보다는 성경에 철저히 의존함으로써 순수한 신앙을 유지한다. 이것이 칼빈이 제공하는 역동적인 힘의 논리가 된다. 칼빈에게 있어서 믿음의 지식은 성령에 의해서 그리스도와의 교통을 즐거워하는 것이다. 이는 삶과 괴리되지 않는 바탕이었고 삶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렇듯 칼빈에게는 성경과 더불어 성령의 강력한 역사가 개혁의 역동적인 힘이었다. 칼빈의 신학사상이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그의 저술 속에 흐르는 경건의 자세에 기인한다. 칼빈이 세속화와 세상 중심의 이론들과 맞서서 긍정적이며, 창조적으로 대응하는 경건과 거룩함을 추구할 수 있었던 바탕 역시 성경이었다. 이처럼 성경에 입각한 칼빈의 교회 개혁은 교회뿐 아니라 교육과 사회 복지, 시민 윤리, 정치,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의 기초를 놓았으며 개개인의 삶과생활 전체의 개혁을 가져왔다. 칼빈의 참된 신앙의 가르침과 경건은 당시 뿐아니라 오늘날에도 “변화와 감화”를 주고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타성을 깨뜨리고 변화의 소망을 낳을 것이다.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한다”(Ecclesia reformata, quia semper reformanda) This study aims to define Calvin’s theoretical identity through look over the cultural context of 16th century, and to examine the uniqueness of Calvin’s reformation ideas till contemporary studies focusing on central dogma, methodology and structural analysis of Calvin’s writings and sermons. For the more Transformative dynamics in Calvin’s thought give the energy of change and reformation to the Korean church.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Calvin’s dynamic ideas and works based on Jesus Christ in the light of the world. In early youth, Calvin impressed by christian humanism represented by Erasmus. Humanistic studies were directed toward ministry opportunities and the study of Word of god and Early Fathers writings. From that experience he acquired the basis of Bible hermeneutics. Bible and Church are at the very core of Calvin’s Reformation. In addition, He had a powerful influence over the world. Calvin has touched every sphere of life and penetrated every century since its formulation under Calvin’s pen, preaching, public debate and personal counseling. He had formed theology from Bible. through this manner he had an authority and a dynamic power. He set much store by all over the biblical teaching and spoon-fed his successors with Bible as revealed God’s Will. He was a speculative genius of first order, and in the cogency of his logical analysis. But it was nat on these gifts that he defended in forming and developing his theological ideas. His instrument of research was not logical amplification, but exegetical investigation. In one word, he was distinctly a Biblical theologian. This is Calvin gives us the keystone of dynamic power.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faith shall enjoy eternal and immediate communion with Christ by Holy Spirit. This is the basement without alienate from life and the motive power. therefore the Holy Scripture and the dynamic works of Holy Spirit are the power in Reformation. Calvin struggled against secularization and an worldly theory. and His positive and creative affect on the world was from the Word of God. Calvin’s works from biblical principle made the church reformed as well as set out to order education, social affairs, civil law, economic system and personal life. His teaching of a real faith and piety gives “transformation and satisfaction” then and now. Still it breaks an inertia and births the hope of transformation. “Ecclesia reformata, quia semper reformanda.”

      • KCI등재후보

        칼빈의 경건개념과 교회개혁

        박응규(Pak, Ung- Kyu) 한국개혁신학회 2009 개혁논총 Vol.12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scertain the 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Calvin's view of piety(pietas) and its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in church reform. As Calvin's theology could be said is “his piety described in length,” piety is a major theme in his work. And he is determined to confine theology within the limits of piety. Calvin says, the whole life of Christians ought to be a sort of practice of godliness. According to Calvin, the goal of life as well as of the entire Christian life, is the glory of God. That God may be glorified in us, the goal of piety, is even extended to encompass the entire purpose of our creation. Thus, it is be fitting that Calvin's Institutes was regarded as summa pietatis rather than summa theologiae by the author himself. As such, his works strove to provide a theological guide to believers, in order to promote their piety by reading his book. However, it is to note that the influence that Calvin would have regarded as most important was as a purifier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a reformer of the church for his day. In this sense, it is natural and inevitable to examine the interrelation between Calvin's view of piety and its impact upon his church reforming efforts. The applications of piety and church reform were not only of important in Calvin's contemporary times, but also are relevant in our times. Additionally, throughout church history, piety has often been in close connection to church reform, as Augustinian piety gave an impulse to humanistic Catholicism, Catholic Reform, and Calvin's church reform movement. First of all, we need to understand Calvin's view of piety in the context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Calvin regards justification as a central doctrine of the Christian faith, calling it “the principal hinge of by which religion is supported,” the soil out of which the Christian life develops, and the substance of piety. Christian life is not only possible because of Christ's redemptive work but also because of our bond with Him. Christ is of no use until the Holy Spirit binds us to Him. It is only as a result of the union with Christ, the close bond and relationship with the living Christ, that a Christian life becomes possible. According to Calvin, we grasp by faith Christ's righteousness, by which alone we are reconciled to God. Yet we cannot grasp this without at the same time grasping sanctification also.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inseparable, Calvin says. In the union with Christ, we principally receive a double grace, namely, the benefit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hus, the basis of our justification and ordo salutis is in Christ. Through this union with Christ, the righteousness for us is conveyed in us, and the objective aspect of his redemptive work goes with the subjective aspect of our application. Through the union with Christ, the unilateral dimension of “redemption accomplished” by Christ can be combined with the bilateral dimension of “redemption applied” in our life. Benjamin B. Warfield, who called Calvin as “the theologian of the Holy Spirit,” understood that the essential work of the Holy Spirit is to apply the benefits of Christ's redemptive work in the lives of believers through the union with Christ. For Calvin, renewal through the Holy Spirit, together with redemption through Christ, constitutes the foundations of the Christian life, which have impacts on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as well. Through union with Christ, we can have a historical basis of our redemption and a spiritual vitality for our Christian life.

      • KCI등재

        칼빈주의와 네덜란드의 기업가정신 :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최용준 기독교학문연구회 2014 신앙과 학문 Vol.19 No.1

        본 논문은 칼빈주의와 네덜란드의 기업가정신의 상관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고찰이다. 네덜란드는 칼빈주의가 신학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의 모든 면에 적용되었던 나라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중에도 네덜란드의 가장 전형적인 국민성인 무역 정신(Handelsgeest)은 부존자원이 없고 강대국에 둘러싸였으며 국토가 해수면보다 낮고 기후도 열악한 상황에서도 칼빈주의적 세계관으로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후 세계 최대의 무역국으로 17세기에는 황금시대를 구가했고 그 이후에도 유럽, 북미주 및 글로벌 차원의 기업가정신을 낳은 것으로 유명하다. 본 논문은 양자 간의 관계를 좀 더 깊이 다루기 위해 먼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후 황금시대에 칼빈주의의 역할을 고찰하고 유럽과 북미주에서 볼 수 있는 칼빈주의적 기업가 현황을 개괄하면서 다시금 양자 간의 깊은 관련성을 제시한 후 이에 관해 언급한 막스 베버의 명제를 재검토하겠다. 그 후에 맺을 결론은 칼빈주의가 제시한 직업윤리와 검소, 절약하는 청지기 의식이 네덜란드 기업가정신의 근본 동인이 되었다는 점에서 양자는 불가분리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alvinism and the Dutch entrepreneurship. The Netherlands can be called as the country where Calvinism has been developed not merely as a theological theory but as a life-system in which Calvin’s thought has been applied to various spheres of life. Among them, the so-called ‘trading spirit(Handelsgeest)’ of the Dutch protestant, especially Calvinistic, Christians played the crucial role in achieving the independence from the oppression of Spain and in introducing the Golden Age of the 17th century. Even until now, the Dutch entrepreneurship based on Calvinism is so competitive in Europe, America and the rest parts of the world. This article, after discussing the basic relationship between Calvinism and the Dutch entrepreneurship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investigates the role of Calvinism at the Golden Age. It furth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vinism and the Dutch entrepreneurship in Europe and America, especially West-Michigan. After that, the famous thesis of Max Weber will be critically examined and evaluated. The conclusion drawn from all the preceding discussions is that Calvinism has been one basic ground motive in Dutch entrepreneurship so both are insepar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