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SG의 적용배제(Opt-Out)에 관한 판단기준

        오석웅(O, Seog-Ung) 한국국제사법학회 2017 國際私法硏究 Vol.23 No.2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은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법제통일의 중요한 성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10대 교역국 중 영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가 가입함으로서 국제물품매 매계약에 있어서 CISG의 중요성은 매우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제6조는 계약의 당사자가 CISG규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제하고 다른 법을 적용하도록 합의할 수 있으며, 일부규정에 관해서는 그 효력을 감퇴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제6조). 이러한 CISG 제6조의 규정은 국제사법상 널리 인정되고 있는 당사자자치의 원칙과 계약자유의 원칙이 강력한 구속력을 갖도록 구체화한 것이다. 따라서 CISG 제1조에 따라 CISG가 적용될 수 있는 국제물품매매계약의 경우에도, 먼저 당사자들이 CISG의 전부 또는 일부조항의 적용을 배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 경우 무엇보다도 CISG 규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배제합의에 관한 당사자의 의사를 정확히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ISG의 기본적 적용구조에 관해 살펴보고, 제6조에 따른 적용배제합의에 있어서 당사자 의사의 해석기준을 CISG-AC의견서 제16호를 참고하여 기존의 학설 및 판례를 통해 정리하였다. 그 결과 우선 당사자가 명시적으로 CISG의 적용배제를 합의하는 경우 당사자가 지정한 준거법 내지는 법정지 국제사법의 규칙에 따라 적용되는 객관적 준거법이 적용됨에는 의문이 없다. 그러나 그러한 합의를 명시하지 않았다면 배제합의에 관한 당사자의 묵시적 의사를 해석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당사자가 비체약국의 법을 준거법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묵시적 배제의 합의가 있다고 해석되며, 당사자가 체약국법이나 체약국 일영역의 법을 선택하더라도, 그 자체만으로는 묵시적 배제의사를 유추할 수 없고, 명시적으로 체약국이나 체약국일영역의 실질법을 지정하여야만 CISG의 적용이 배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체약국을 법정지로 합의한 경우 CISG-AC 의견 제16호는 비체약국으로의 관할합의가 CISG에 대한 묵시적 적용배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이에 관해 학설상으로는 견해가 나누어 져있어 실무에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양당사자가 소송에서 CISG가 아닌 국내법에 따른 주장을 하는 경우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법에 의한다는 의사가 명확히 밝혀진 경우에만 CISG의 묵시적 배제가 인정되며, 권리포기에 대한 국내준칙은 CISG를 배제하려는 당사자의 의도를 판단하는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CISG-AC 의견 제16호는 앞으로 당사자의사의 해석에 주요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ISG는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통일법으로서 제정된 것이다. CISG가 통일법으로 제대로 활용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체약국에서의 통일된 해석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적용상의 통일을 기할 수 있다. CISG 제6조는 객관적인 적용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도 당사자가 합의에 의해 그 적용을 배제할 수 있는 유일한 근거조항이다. 따라서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있어서의 법적 확실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유효하게 CISG를 배제할 수 있는지에 관한 명확한 기준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is first and foremost treaty intended to harmonize the private law governing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The CISG is meant to promote international commerce by removing uncertainty thereby increasing the predictability of outcomes. According to Article 1(1)(a) the CISG applies to contracts of the sale of goods between parties whose places of business are in different States, when the States are Contracting States (direct applicability). Also according to Article 1(1)(b) the CISG applies if the parties are situated in different countries (which need not be Contracting States) and the conflict of law rules lead to the application of the law of a Contracting State(indirect applicability). However it still seems to be more convenient and safer to opt out from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and let some neutral national law govern the mutual contractual relationship. CISG Article 6 allows parties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CISG or derogate from any of its provisions(Opt-Out). This provision allows parties to opt-out of the CISG or vary the effect of any of its provisions freely, with a few exceptions. According to article 6 of the CISG, the parties may exclude the Convention’s application(totally or partially)or derogate from its provisions. Thus even if the CISG would otherwise be applicable, in order to decide whether it applies in a particular case one must determine whether the parties have excluded the CISG or derogated from its provisions. According to article 6 of the CISG, Opt-Out requires a clear expression of intent by the parties. Therefore while opting out, it"s necessary to expressly state that parties are excluding the Convention from application. The parties can clearly or implicitly exclude CISG. The problem is how can the parties agree to exclude or derogate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ISG if it is not yet clear whether they have agreed to anything at a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y parties should opt out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and how to effectively exclude its application.

      • KCI등재

        中国香港地区CISG适用问题研究

        주령커,Guo, Haiyan,Huang, Na,Shao, Tianqin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1 No.1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is considered as a core international trade law that may apply to a contract for international sales of goods by most countries in the world. CISG was legislated by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in 1980 and China was one of the earliest nations that adopted CISG. Although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tates that Chinese territory covers the Chinese mainland, Hong Kong, Macao and Taiwan, there is still a controversy as to whether CISG could be regarded as of applicable law in the Chinese mainland and other territorial units including Hong Kong. This is due to the different legal systems that each region is currently adopting.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pros and cons of application of CISG to Hong Kong region. Even after Hong Kong’s return to Chinese rule, the central government of China still have not made any declaration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CISG to Hong Kong for the reason that Hong Kong was once a British colony and United Kingdom was not of a contracting state of CISG. Until now Hong Kong’s application of CISG is instigating many arguments among states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cases of each country, civil law countries such as France claims that CISG should not be adopted by Hong Kong. In contrast, in the cases in common law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of America states that CISG must be applied to Hong Kong. As such, there is no universal consensus with regard to this issue. This study will first summarize the positions of each state toward this issue and then analyze how the Chinese government must conduct for the greatest effect. This study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likely to declare that CISG is applicable to Hong Kong.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is research will completely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Chinese government will continuously keep silence. As a participant in international trade, we are obligated to pronounce our opinions for this issue of the application of CISG to Hong Kong before the Chinese government finally makes a statement to this problem.

      • KCI등재

        CISG의 해석원칙과 흠결보충에 대한 주요 쟁점 분석

        김상만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26 No.3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적용되는 준거법은 통일적이지 않아 당사자들은 자신에게 유리한(또는 편리한) 준거법의 선택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는 국제물품매매계약의 협상에 최대난제 중 하나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준거법 협상의 문제에 대하여 통일매매법은가장 좋은 해결책 중의 하나가 된다.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CISG)은대표적인 통일매매법으로 자리 잡고 있어 당사자들 간의 준거법 협상의 부담을 상당 부분 경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CISG 규정에 대하여 법정지마다 서로 다르게 해석하고 적용한다면,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이 침해되고, 진정한 통일매매법으로 기능할 수 없게 된다. CISG가 진정한 통일매매법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CISG 해석이 법정지의 국내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CISG는 국제조약이지만, 통일적 해석을 담보하는 최고법원이 없어 해석의 통일성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CISG 제7조에서는 CISG의 해석원칙과 흠결보충을 규정하고 있다. 제1항에서는 협약의 해석에서 ⅰ) CISG의 국제적 성격, ⅱ) CISG의 적용상의 통일, ⅲ) 국제거래상의 신의준수 증진 필요성을 규정하고, 제2항에서는 흠결보충에 대하여 ⅰ) 1차적으로 CISG가 기초하고 있는 일반원칙, ⅱ) 2차적으로 법정지의 국제사법에 의하여 정해지는 준거법에따른 해결을 규정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7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CISG 해석원칙과흠결보충 규정을 살펴보고, 관련 쟁점들을 분석한다. The governing laws applicable to contracts for international sale of goods are not uniform, and the parties argue for a governing law in their favor, which hinders amicable conclusion of contracts. Uniform sales law will be one of the best solutions for such problems, and the CISG has played important roles and functions as a uniform sales law. However, in case the CISG provisions are interpreted and applied differently by courts, which will undermin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the CISG cannot function as a true uniform sales law. In particular, the CISG is an international treaty, but there is no Supreme Court that guarantees a uniform interpretation, so the uniform interpre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rticle 7 (1) of the CISG provides several consideration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interpreting the CISG, and article 7 (2) describes the methodology for gap-filling with the CISG. Under article 7 (1),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ISG, regard is to be made to its international character and to the need to promote uniformity in its application. Under article 7 (2), the matters the CISG governs but for which it does not expressly provide are filled, in conformity with the CISG’s general principles or, in the absence of such principles, in conformity with the applicable law. This article reviews the provision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and gap-filling under article 7 of the CISG, and analyzes some major issues thereon.

      • KCI등재

        주요 국가의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CISG)에 대한 실질적 접근과 최근 판례 동향

        정재우 한국무역경영학회 2023 한국무역경영연구 Vol.- No.31

        Recently over 90 states worldwide from all over the world have adopted the CISG. In addition, eighty percent of the 20 largest export and import nations are contracting states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CISG). Its rules can also apply to contracts involving parties from non-Contracting States. an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nfirm and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CISG. Bacially the CISG was influenced by both Common Law and Civil Law. The basic structure of common law is that it can exercise the right to claim damages for breach of contract. and CISG was basically heavily influenced by Common Law. and CISG, like the common law, is also recognized for the right to claim damages. Also The CISG was also heavily influenced by Civil Law in terms of specific performance and price reduction. Nowadays CISG is currently actively used in Europe. 본 연구는 우선 UNCITRAL에 의해 1980년에 제정된 CISG의 개요 및 특징에 대해서 간략히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ISG 제정에 영향을 끼친 Ernst Rabel(1874-1955)와 John Honnold(1915-2011)의 행적에 대해서도 일부 기술하였다. 그 이유는 이들의 저서, 국제회의 참가와 같은 여러 활동이 실제 CISG 제정과 확산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그 이후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을 엄정하게 분석하여 주요 CISG 관련 문헌과 연구자를 추출했다. 본 연구를 위해 인용된 연구자는 McQuillen(2007), Schmidt-Ahrendts(2011), Coyle(2016), Janssen et al (2018) 등이 있으며 이들이 작성한 문헌을 통해 CISG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ISG는 커먼로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이유는 커먼로와 함께 CISG는 모든 계약위반(breach of contract)에 대해 가장 보편적이고 실용적인 구제수단은 손해배상청구권(damages)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CISG에 있어 손해배상청구권은 매도인의 계약위반에 대해서도 적용되지만 매수인의 계약위반에 대해서도 적용되기 때문이다. 둘째, CISG가 커먼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주장하는 근거 중 또 다른 하나는 CISG는 계약을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계약위반이 상당히 본질적(fundamental)이어야 함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은 커먼로에서 유래된 것으로 SGA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커먼로에서는 계약 위반이 계약을 종료시킬 만큼 본질적인 것이어야 계약 종료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셋째, SGA과 미국 UCC는 크게 보면 커먼로의 범주에 해당된다. 그런데 SGA 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 대륙법 재판관할권에서도 매도인에게 매도인의 구제 혹은 보상할 권리를 분명하게 보장해 주는 법령은 없다. 그런데 CISG와 UCC는 물품의 부적합에 대해 매도인의 치유 권리를 존중해 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규정이 있기 때문에 CISG는 커먼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넷째, 대륙법에서는 널리 인정되나 커먼로에서는 예외적으로만 인정되는 특정이행청구권이 CISG에서는 일반적인 구제수단임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CISG는 대륙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특정이행청구권은 매도인과 매수인 모두가 행사할 수 있는 권리 중 하나이다. 또한 특정이행청구권은 프랑스나 독일 등 대륙계 법체계에서는 인정받는 무역구제 수단 중 하나이다. CISG에서도 특정이행청구권이 일반적인 구제수단임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커먼로에서는 손해배상청구권 이용이 원칙이고 특정이행청구권은 예외적이고 제한적으로만 인정되는 것으로 본다. 다섯째, CISG에서는 매도인에 의한 계약위반이 있을 경우 매수인에게 특정이행청구권, 대체품인도청구권, 손해배상청구권, 계약해제권, 대금감액권 등 여러 구제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중 대금감액권은 CISG 제50조에 명시된 것으로 법리적 근원은 로마법의 ‘대금감액청구소권(actio quanti minoris)’에서 유래되었고 여러 대륙법 국가에 의해 발전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CISG-Online은 현재 6,161건의 판결(5,268건의 법원 판결과 893건의 중재판정)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CISG는 커먼로와 대륙법의 혼합물이지만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럽에서 CISG 활용이 더욱 활발하다. 특히 대륙법을 계수한 유럽의 경제대국인 독일(독일 법원이 CISG 관련 판결의 수 : 834건)과 프랑스(프랑스 법원 ...

      • KCI등재

        CISG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2014-15년)의 동향-1

        김선국(Kim, Son Guk)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28 No.2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이하 ‘협약’ 또는 ‘CISG’라 약한다)은 이미 80여 개국이상이 가입하여 국제적인 물품매매를 규율하는 통일법으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동안 국제거래사회에서는 협약에 대한 기대와 함께 통일법으로서의 협약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음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제 국제거래사회는 협약이 매매와 관련한 국제적인 통일법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경주하여야 하는가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중 두드러진 경향은 각국 법원들이 협약을 해석 · 적용함에 있어 내국법에 의존하는 경향을 탈피하고 가능한 다른 나라 법원들의 판결 등을 고려하여 협약의 통일된 해석 · 적용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많은 나라의 법원들이 협약과 관련하여 이러한 ‘내국법지향’(homeward trend)의 경향을 보여 왔고, 미국도 그 대표적인 국가의 하나이다. 우리의 입장에서도 그러한 경향은 지양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제외국의 법원 판결 등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는 그러한 맥락에서 협약에 관한 미국 법원들의 최근 판결동향을 소개 · 검토함으로써 ‘내국법지향’ 경향을 지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데 일조하기 위한 것이다.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hereinafter ‘CISG’) was drafted in an effort to harmonize the law applicable to international sales transactions in order to facilitate international trade. The CISG has been ratified by more than 80 countries.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weak points in the CISG as a uniform sales law in the world, world international trade society still is trying to make an effort for its success as a world uniform sales law. However,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there are so many obstacles against it. Since the CISG has been in force, one of the most important obstacle is the so-called ‘homeward trend’. Courts have interpreted the CISG to mean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provisions in their domestic law. Prof. Ferrari has mentioned that most of the courts in the contracting states of the CISG have shown the ‘homeward trend’ in his Article in 2008.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ntroduces and reviews the U.S. courts" attitude in interpretation and applying the CISG. Now is the time to review the decisions of foreign courts applying the CISG to promote the uniformity of interpretation of the CISG. This article deals with the U.S. courts" decisions held in 2014 and 2015. U.S. courts still show the ‘homeward trend’ even in stating the proper way to interpret the CISG. It appears that the courts still depend on the court decisions under the relevant provision of the Uniform Commercial Code Article 2(Sale). The attitude of the U.S. courts keeping the ‘homeward trend’ should be reconsidered and removed for achieving the goal of the CISG.

      • KCI등재

        미국법원의 판례를 통한 CISG 적용상의 함의

        한나희 ( Na-hee Han ),하충룡 ( Choong-lyong Ha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통상정보연구 Vol.18 No.4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CISG)은 국제매매의 통일적인 법창출을 통하여 국제무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국제조약이다. CISG는 상이한 체약국에 영업소를 둔 당사자간 물품매매계약에 적용된다. 일방당사자가 하나 이상의 영업소가 있는 경우, 영업소는 계약과 이행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다. 그러나 영업소가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CISG는 아무런 정의를 내리고 있지 않다. 영업소에 대한 정의의 부재는 당사자들의 계약에 CISG를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여러 문제들을 야기시킨다. 또한 양 당사자는 CISG 적용을 배제할 수 있다. 그러나 CISG는 당사자들이 명시적으로 배제해야하는지 혹은 묵시적으로도 가능한지를 규정하지 않고 있다. 어떻게 유효하게 CISG를 배제할 수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법에 의거하여 CISG는 자기집행조약이다. 따라서 CISG의 규정들은 국제물품매매계약에 실체법으로써 직접 적용된다. 하지만 CISG의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국법원을 이를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 기업들의 CISG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미국법원에서 CISG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 및 적용하는지를 판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The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endeavors to increase international trade through the creation of a uniform law of international sales. The CISG applies to contracts of sale of goods between parties whose places of business are in different States. If a party has more than one place of business, the place of business if that which has the closest relationship to the contract and its performance. Despite the importance of a definition for `place of business,` the CISG does not provide one. Lack of a definition of `place of business` may cause problems for parties trying to determine whether the CISG applies to their contract. Also Contracting parties can opt out of the CISG. But the CISG does not state whether the parties must expressly exclude the CISG`s application to a transaction or whether they might do so by implication. we need to consider how effectively opt out of the CISG. Under U.S. law, the CISG is considered to be a self-executing treaty. So the CISG`s provisions apply directly as substantive sales law to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Despite the CISG`s political and economic significance to U.S., U.S. Courts have overlooked the terms of the CISG. This article considered how to the CISG was recognized, interpreted and applied by the U.S. Courts in related cases.

      • KCI등재

        CISG의 일반원칙

        이재현 ( Jae Hyun Le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2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이하 ``CISG’ 라 함) 제7조 제2항은 ‘이 협약에 의하여 규율되는 사항으로서 협약에서 명시적으로 해결되지 아니하는 문제는, 이 협약이 기초 하고 있는 일반원칙, 그 원칙이 없는 경우에는 국제사법 규칙에 의하여 적용되는 법에 따 라 해결되어야 한다.’ 고 규정한다. 이에 따라 CISG의 규정범위에 속하는 사항으로서 명시 적으로 규율하지 않는 소위 ‘내적 흠결’ 의 경우에는 CISG가 기초하고 있는 일반원칙에 따라 흠결을 보충한다. 다만 처음부터 CISG의 규정범위에 속하지 않는 소위 ``외적 흠결’ 의 경우에는 국제사법에 따론 국가법의 규정에 따라 흠결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CISG의 규정 범위에 속하는 사항이지만 CISG가 기초하고 있는 일반원칙이 없는 경우에도 국제사법에 따른 국가법의 규정에 따라 해결한다. 사법에 있어서 흠결보충을 위한 일반원칙은 대략 3가지 방법으로 도출된다고 보는데, 우선 전체유추 등에서처럼 해당 법률의 규정을 일반화하는 내적 귀납적 추리에 의하여 도 출하며, 다음은 공간을 초월하여 초국가적으로 외국법으로부터 비교법적으로 도출하는 것 이며. 마지막으로 시간을 초월하여 초역사적으로 로마법 둥으로부터 일반원칙을 도출하는 것이라고 한다. 제7조 제2항에서 말하는 일반원칙은 ‘협약이 기초하고 있는 일반원칙’ 이어 야 하므로 소위 내적 귀납추리에 의하여 도출되는 ‘내적 일반원칙 (internal Principles) `` 만 올 말하여, 이러한 일반원칙은 명시적 혹은 묵시적 형태로 CISG 내에 존재한다. 일부 일반원칙은 CISG에 명시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일반원칙은 CISG 규정 의 일반화를 봉하여 도출된다. 일반원칙의 발견에는 반드시 복수의 규정들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규정에서라도 그 입법취지가 일반화를 용인하는 경우 그 규정이 규율하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원칙으로의 일반화가 가능하다. 이때의 일반화는 방법적으로 특수한 것으로부터 일반적인 것에로의 귀납추리이다. 이렇게 도출되는 내적 일반원칙은 그 도출의 근거규정에 비하여 일반적이며 추상적이다. 따라서 CISG 규정 에서 도출된 일반원칙으로부터 다시 구체적 사안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역적으로 구체적 규정을 도출하여야 한다. 이 때 특히 제7조 제l항의 해석원칙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원칙은 보통 복수의 규정들로부터 도출된다. 예를 들어 합리성기준의 원칙, 계약유지의 원칙. 협력의무와 정보제공의무 원칙, 신뢰보호원칙, 입증책임의 원칙 등 대부분의 원칙에서 다수의 조항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 어떤 일반원칙은 개개의 단일규정의 일반화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정거래원칙, 발신주의 원칙, 기간연장의 원칙. 예상 가능한 범위에서의 손해배상 등의 일반원칙이 이에 해당한다. 학설상 실무상 어떤 일반원칙에 대해서는 근거조항이 하나만 제시되기도 하고, 복수의 근거조항이 제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손해경감원칙. 이자지급의 원칙, 동시이행의 원칙 등에서 그러하다. Article 7(2) states: ``Questions concerning matters governed by this Convention which are not expressly settled in it are to be settled in conformity with the general principles on which it is based or, in the absence of such principles, in conformity with the law applicable by virtue of the rul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Article 7(2) has recognized that there are gaps within the CISG which need filling. Article 7(2) can only be applied with respect to matters which are governed by the CISG but which are not expressly settled in it (“internal gap”). Conversely which are not governed by the CISG (“external gap”) can only be settled by resort to domestic rules of law. Some general principles can be easily identified since they are more or less clearly stated in the provisions of the CISG, for example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the principle of freedom of form (informality), the principle of taking into account of usages (binding usages), etc. Some other principles, e.g.: the prohibition of misuse of rights and venire contra faclum proprium, can be derived from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ile some general principles are expressly stated in the CISG, most of them have not been expressly provided by the CISG. The general principle is derived not only from several provisions but also from a single provision. Most general principles can usually be derived from several provisions dealing with specific issues. Such principles are the principle of reliance protection, the principle of standard of reasonableness, the principle of favor contractus, the principle of burden of proof, the principle of co-operation, etc. Single provisions can also be subject to generalization and the general principles are derived from single provisions, e.g.: the principle of limitation to foreseeable damages, the dispatch principle, the principle of calculation of time limits, etc. Some general principles are derived from one or more provisions, e.g.: the principle of mitigation of damages, the principle of concurrent performance, the principle of interest payment, etc. The general principles need further spec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of Article 7(1) in order to be applied in a particular and/or concrete case.

      • KCI등재

        CISG 제7조의 일반원칙 및 제9조의 관행과 UNIDROIT 원칙의 적용 가능성

        김상만 법무부 201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85

        The CISG and the UNIDROIT Principles are the most applicable uniform laws for international sale of goods. The former forms a type of hard law, while the latter forms a type soft law. The CISG Article 7(2) provides that questions concerning matters governed by the CISG which are not expressly settled in it are to be settled by the general principles on which it is based. “Internal gaps” are filled in conformity with the CISG’s general principles without resorting to domestic law, while “external gaps” are to be solved by domestic law or other uniform law. Some CLOUT cases considered the UNIDROIT Principles to be the general principles for gap-filling in the sense of Article 7. The CISG Article 9(1) provides that the parties to an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governed by CISG are bound by usages, as well as by practices established between themselves. Article 9(2) provides for usages that the parties have impliedly made applicable to their contract. Under article 9(1), the parties are bound by any usage to which they have agreed. Article 9(1) required intent of the parties, but unlike article 9(2), does not require that a usage be internationally accepted in order to be binding. The practices could be extended to the UNIDROIT Principles. Some CLOUT cases held that the UNIDROIT Principles reflect international usages. CISG와 UNIDROIT 원칙은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가장 대표적인 통일법으로 볼 수 있다. CISG는 경성법(hard law)의 형식이고, UNIDROIT 원칙은 연성법(soft law)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양자는 상호 보완적 기능을 할 수 있다. CISG 제7조에서는 협약에서 명시적으로 해결되지 아니하는 문제는 협약이 기초하고 있는 일반원칙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UNIDROIT 원칙은 이러한 일반원칙으로서 CISG의 흠결을 보충할 수 있다. CISG 제9조에서는 ①당사자가 합의한 관행 ②당사자 간에 확립된 관례 ③국제거래에서 널리 인정된 관행에 대한 구속력을 인정하고 있고, UNIDROIT 원칙 제1.9조에서도 이와 유사한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CISG 제9조에서는 UNIDROIT 원칙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없는바, CISG 제9조에 의한 UNIDROIT 원칙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UNIDROIT 원칙의 법적 성격에 대한 법정지의 해석이 중요하다. 따라서 CISG 제9조에서 UNIDROIT 원칙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CLOUT Case를 살펴봄으로써 각국의 입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CISG 제79조와 Hardship : 최신 CISG 자문위원회 의견 제20호를 중심으로

        김규진 국제거래법학회 2021 國際去來法硏究 Vol.30 No.1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latest official opinion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Opinion No. 20,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79”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CISG”) and “hardship”. For this purpose, I first looked into the hardship doctrines found in domestic laws and international uniform laws. Then I looked into Article 79 of the CISG, focusing on its legislative history and also the academic discussions on its applicability to the hardship situation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Official Opinion No. 7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was examined. Lastly, I reviewed and critically analyzed the Official Opinion No. 20 of the CISG Advisory Council. The Opinion No. 20 offers a fairly straightforward answers to the two problems often discussed: (1) whether Article 79 can be applied to hardship situation, or, put it in another way, whether the term “impediment” in Article 79 includes the concept of “(economic) hardship” and (2) if the term impediment includes the concept of hardship, then what remedies can be allowed to a party suffering from a hardship under Article 79. In summary, Opinion No. 20’s position is that Article 79 clearly applies to hardship situations and that the only remedy available for hardship under the CISG is that allowed under the article, that is, the exemption from the liability of damages. Opinion No. 20 is especially clear about its position that contract renegotiation or adaptation is not available remedy of hardship for the CISG contracts. Acknowledging the fact that Opinion No. 20 provided us with clear answers to the so far much debated issues, I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Opinion. First, while the Opinion bases its conclusion that no gap exists regarding the remedies for the hardship in the CISG on the proposition that Article 79 applies to hardship, the very issue of the applicability of Article 79 to the hardship situation is still debatable. Secondly, Opinion No. 20 seems to overlook the evident fact that the concept of “hardship” developed under various hardship doctrines is inherent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force majeure, which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impediment” of Article 79. In my opinion, what CISG Advisory Council actually wanted to claim in Opinion No. 20 was that they do not wish to allow hardship doctrine to be applied to the CISG contracts. Although the decision might be warranted in terms of policy, it must go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ISG, not through its interpretation. Until the revision of the CISG clearly reflecting such policy, I believe the gaps can be seen in the CISG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hardship, and that those can be cured according to Article 7(2) of the CISG or other relevant provisions. 이 논문에서 필자는 CISG의 대표적인 면책 조항인 제79조와 hardship의 관계에 대한CISG 자문위원회의 최근 의견인 제20호 의견을 자세히 검토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작업을 위해 먼저 각국 국내법제와 국제통일규범상 발견되는 hardship 법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후 CISG 제79조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CISG 제79조의 ‘이행장애’라는 개념에 hardship이 포함되는 것인지의 여부는 입법 당시부터 문제가 되던 쟁점이었으나이에 대한 명확한 결론 없이 제79조가 제정되었다는 점과 그로 인해 현재까지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에 더하여 해당 쟁점에 대한 CISG 자문위원회 의견 제7호와제20호의 내용을 알아보았고, 특히 제20호 의견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0호 의견은 문제가 되는 쟁점에 대해 상당히 명확한 결론을 제시한다. 즉, CISG 제79 조 상의 ‘이행장애’에는 hardship이 포함되며, hardship에 관련한 쟁점에 관해서 CISG 상의흠결은 없으므로 그 적용요건과 효과는 모두 전적으로 CISG, 특히 CISG 제79조 만을 적용하여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에 기초하여 제20호 의견은 CISG가 적용되는계약의 경우 hardship을 이유로 하여 계약 수정이나 재협상이라는 구제수단은 결코 허용 받을 수 없다는 결론을 피력한다. 제20호 의견은 CISG 제79조와 hardship의 관계에 대한 자문위원회의 공식 입장을 제7호의견에서보다 더욱 명확하게 발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술로 보이나 필자는 해당의견의 결론에 동의하기 어렵다. 특히 제20호 의견에서 언급하는 hardship은 해당 의견을미루어 보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hardship 개념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개념으로 보이므로, 이 의견은 오히려 hardship에 관한 한 CISG에는 내부적으로 치유하기는 힘든 흠결이있다는 결론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CISG에는 hardship에 관한 한 흠결이 존재하고, 그러한 흠결은 CISG 제7조 제2항 등에 근거하여 PICC hardship 조항 등을적용하여 해결하거나, 혹은 아예 CISG 개정을 통해 별도의 hardship 조항을 두어 해결하는것이 옳다고 결론지었고, 앞으로 CISG의 개정 논의가 있는 경우 이 점이 활발하게 논의되기를 희망하며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 KCI등재

        한국법원에서의 CISG

        송양호 국제거래법학회 2018 國際去來法硏究 Vol.27 No.2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a multi-national treaty signed in Vienna in 1980 was ratified in Korea in 2004, and came into force as from March 1, 2005. Since the entry into force, the CISG has se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discussed and deliberated by the Korean courts including the Supreme Court. The first court decision applying the CISG came from the Seoul East District Court on November 16, 2006. The first Supreme Court decision involving a CISG case was made on November 28, 2013. As of September 2018, there have been a total of 131 court decisions for 67 cases applying the CISG. Analysis of the court decisions shows that the number of court decisions applying the CISG continues to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first few years after ratification of the CISG, and that the CISG has become more broadly applied to the contracting parties from non-contracting states as well as those from contracting states. It is also not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majority of the court decisions involve contracting parties from the major trading partners of Korea and the absolute majority of the CISG cases have been brought to resolve disputes over the breach of contract of Sellers (or Buyers) and remedies of Buyers (or Sellers) for such breach, which is the intended purpose of the CISG. We have learned from the analysis of the Korean court decisions applying the CISG in Korea that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the CISG on all parties involved including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sales contracts, the court and their legal representatives as a whole.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iform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ISG in Korea, it would be absolutely necessary to introduce and establish a court specialized in international sales contracts and to educate the lawyers specialized in the CISG. It is also important to systematically compile and analyze the CISG case laws as the number of precedents accumulate in Korea regarding the CISG. 1980년 제정된 CISG는 대한민국에서 2005년 3월 1일부터 발효되고 있다. 법원에서CISG를 적용한 첫 판례는 2007.11.16. 서울동부지방법원에서 있었다. CISG를 다룬 최초의대법원판결은 2013.11.28.에 선고되었다. 우리나라에서 CISG가 발효된 이후 2018년 9월 현재까지 67사건에 131개의 판례가 생성되었다. CISG를 적용한 판례를 분석해 보면 CISG를 비준한 초창기보다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ISG의 체약국 계약당사자 뿐만 아니고 비체약국의 계약당사자에게도 적용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계약당사자와 무역거래가 많은 국가별로 CISG를 적용한 판례가 많이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법원의 심급별로 다양하게종결되었음을 알 수 있고, CISG의 제정목적에 부합되게 매도인의 의무위반과 매수인의 권리구제와 매수인의 의무위반과 매도인의 권리구제에 관한 분야에 압도적으로 많음을 알 수있다. 한국법원에서의 CISG를 적용한 판례를 종합해 보면, CISG를 비준한 이후에도 국제물품계약당사자와 법원 및 법정대리인이 전체적으로 CISG에 대한 이해력 부족을 노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CISG의 국제적인 통일적 해석과 적용의 조화를 위하여 국제계약 전문법원 운용 및 전문법조인의 양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또한 체계적인 CISG 적용 판례의 정리 및 분석 작업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