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에서 난지형마늘 주아 파종에 의한 종구 생산

        김천환(Chun Hwan Kim),성기철(Ki Cheol Seong),이진수(Jin Soo Lee),강경희(Kyung Hee Kang),엄영철(Yeong Cheol Um),서효덕(Hyo Duk Suh)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주아재배를 통한 우량종구 생산을 위뼈 주아크기, 파종시기, 재식거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남도마늘 주아는 클수록 출현이 빠르며 엽수, 엽폭, 초장의 신장이 좋은 편이며 단구크기도 커졌으나 단구형성율은 떨어졌다. 특히 단구형성율은 남도 마늘 주아 0.1g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주아 크기가 클수록 낮아졌다. 대서마늘 주아는 남도마늘 주아에 비해 발아와 생육이 빠른 편이나 단구형성율이 낮고 단구크기가 작았다. 대주아 파종간격에 따른 생육은 파종간격이 넓을수록 엽수가 많고 엽폭도 넓었으며 구크기와 인편크기도 커졌으나 처리에 관계없이 단구형성율은 현저히 떨어졌으며 분구된 인편중 10×15㎝ 처리구에서 3g 이상 인편이 많고 경제성도 있어서 대주아를 이용한 인편 생산가능성이 있었다. 남도마늘 주아의 경우 9월 11일 파종구에서 수확주율, 단구형성율, 수량이 가장 많았다. 대서마늘의 경우 주아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확주율이 많았지만 단구크기는 작아졌으며 단구 형성율은 처리에 관계없이 낮아서 제주지역에서 재배는 적합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ultivation to save the production method cost of warm type garlic. The optimum system for producing excellent seed bulbs by using bulbils of garlic has been required. The bigger size bulbils induced fast growth and lower rate of non-cloved bulbs. The ratio of non-cloved bulbs was the highest in the 0.1 g bulbils sowing of 'Namdo' and was low in the big size bulbils sowing. The bulbil growth rate of 'Deaseo' was much faster than that of 'Namdo", but most of 'Deaseo' bulbils showed low rate of non-cloved bulbs and small size scales in bulbs. The higher productivities of "Namdo" bulbils appeared at the September 11th sowing time, but 'Deaseo' bulbils produced small size non-cloved bulbs and got the very low ratio of non-cloved bulb production in all of the treatment, sowing that Jeju Island could not produce the non-cloved bulbs with 'Deaseo' garlic bulbuls. The growth rate such as leave number, leave length, bulb and clove size in the sowing distance of big size bulbils increased as the sowing distance was wider, but the rate of non-cloved bulbils decreased regardless of treatment. More than 3 g clove in the 10×15 ㎝ distance of bulbs was produced resulted in sowing clove production potentials by using big size bulbil.

      • KCI등재

        잎마늘 생산을 위한 마늘 주아의 무게 및 형태가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전윤아(Youn A Jeon),차미경(Mi-Kyung Cha),조영열(Young-Yeol Ch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6 No.3

        본 연구는 잎마늘 생산을 위한 마늘 주아의 최적 주아 크기와 재식밀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첫번째 실험에서 0.2g 이상의 주아를 대주아로, 이하를 소주아로 나눈 후 대주아는 13,680bulbils/㎡와 18,240bulbils/㎡, 소주아는 18,240bulbils/㎡와 22,800bulbils/㎡의 재식밀도로 치상하였다. 발아율, 초장과 총 수확량을 측정하였다. 두번채 실험에서, 200립의 박피된 주아의 길이, 폭, 생체중과 건물중는 발아시, 발아기와 발아율의 상관를 분석하기 위해 측정되었다. 첫번째 실험에서, 발아율은 대주아에서 가장 높았다. 잎마늘 재배를 위해 재식밀도18,240bulbils/㎡가 가장 높은 발아율 때문에 가장 적당한 재식밀도였다. 수확량의 경우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대주아가 소주아에 비해 2.8배 가량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아의 형태적 특성과 생체중과 건물중 및 폭 간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발아율은 생체중과 폭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발아시와 발아기는 생체중과 폭 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그럼으로, 결론적으로, 적정 재식밀도는 18,240bulbils/㎡의 재식 밀도와 0.2g 이상의 주아 크기였다. 그러나, 더 두껍고 두 무거운 주아가 더 높은 더 빠른 발아율을 이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ost optimal bulbil size and planting densities of garlic bulbils to germination for production of leaf garlic. In the first this experiment, the bulbils classified by the size of bulbil to Big (>0.2) and Small (≤0.2), were planted at 13,680 bulbils/㎡ and 18,240 bulbils/㎡ (Big), 18,240 bulbils/㎡ and 22,800 bulbils/㎡ (Small), respectively. The germination rate, plant height and total yield were measured. In the second experiment, length, wid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200 garlic bulbils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days to first germination, T50 and germination rat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germination rate showed the highest at Big bulbils. The density of 18,240 bulbils/㎡ was the most suitable for cultivation because of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In the case of yield,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 fresh weight and the dry weight of Big bulbil was 2.8 times heavier than Small bulbil. Therefore, Big bulbil with the density of 18,240 bulbils/㎡ was the most suitable for cultivation because of the highest yiel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resh weight, dry weight and width. Also, the germination rat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resh weight and width. And, days to first germination and T50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resh weight and width. In conclusion, the optimal planting density is 18,240 bulbils/㎡ and the optimal size of bulbil was 0.2g or more. However, thicker and heavier bulbils could lead to higher and faster germination.

      • KCI등재

        단일 및 온도조절이 마늘 화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안율균(Yul Kyun Ahn),윤무경(Moon Kyoung Yo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2

        본 연구는 단일 및 온도조절 처리가 마늘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추대시기는 계통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10시간 일장과 온도를 주간 20℃ 및 야간 12℃ 조절한 처리구에서 가장 빠른 계통은 ‘8611’로 165일이 소요되었다. 가장 늦은 계통은 ‘9210’ 및 ‘9211’로 205일이 소요되었다. 추대시기는 10시간 일장과 온도를 주간 20℃ 및 야간 12℃ 조절한 처리구에서 자연상태에 재배한 마늘보다 빨랐다. 추대형태는 계통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자연상태에서 꽃 수는 총포 당 30개에서 396개였고, 주아 수는 37개에서 186개였으며, 꽃 수/주아 수의 비율은 0.8에서 3.1개였다. 반면에 환경을 조절한 10시간 일장과 온도를 주간 20℃ 및 야간 12℃ 조절한 처리구에서 꽃 수는 19개에서 154개, 주아 수는 3.5에서 87.7개였으며, 꽃 수/주아 수의 비율이 높은 계통은 ‘99-6-13’, ‘9-9-6’ 및 ‘94-12-2’였다. 총포당 주아 수를 줄이는 일은 마늘 교배 때에 주아를 제거하는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마늘 꽃의 상처를 줄일 수 있어서 교잡육종에 효율적일 것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rt daylength and temperature control on garlic florogenesis. The number of days to varies among the clones. The earliest plant was ‘8611’ at 165 days and the latest plants were in ‘9210’, ‘9211’ at 205 days in the short daylength and temperature control. In the time to bolting, the plants grown in the short daylength and temperature control were early than those in plastic house. The shape of bolt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genotype. The number of flowers and bulbils in an umbel varies from less than 30 to 396 and from 37 to 186 in the natural condition, respectively. The ratio of flower to bulbils were 0.8 to 3.1. The number of flowers and bulbils in an umbel varies from less than 19 to 154 and from 3.5 to 87.7 in the short daylength and temperature control, respectively. The high ratio of flower to bulbils were observed in ‘99-6-13’, ‘9-9-6’, ‘94-12-2’; however, the number of flowers decreased in the short daylength and temperature control. Reduced number of small and easy to remove bulbils remarkably reduces labor in cross breeding; hence, this method is a more efficient breeding process for garlic cross breeding.

      • KCI등재

        마늘 구비대기의 화경 제거가 탄수화물 생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남상식(Sang Sik Nam),최인후(In Hu Choi),배상경(Sang Kyung Bae),방진기(Jin Ki Bang) 한국원예학회 2008 원예과학기술지 Vol.26 No.3

        마늘 주아를 생산하기 위해 구 비대기에 화경을 절단하지 않고 재배할 때 잎마름 정도, 엽면적, 광합성량, 탄수화물 함량, 수량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늘 잎마름 비율은 5월 4일 기준 일에 비해 5월 30일 수확 시 방임구는 63.9%, 절단구는 75.5% 정도였으며 엽면적은 방임구 228.1㎠/주와 화경 절단구 141.2㎠/주 정도였다. 화경 절단 10일후인 5월 14일의 광합성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15일 후인 5월 19일에는 방임구 13.4 μmol m⁻² s⁻¹에 비해 절단은 12.7 μmol m⁻² s⁻¹로 낮은 경향이었다. 방임구 마늘잎에서 glucose와 sucrose 는 경시적으로 감소하였고 fructose는 초기에 35.1mgㆍg⁻¹에서 후기에 80.6mgㆍg⁻¹ 정도로 증가하였다. 절단구의 glucose는 방임구와 비슷한 경향이나 sucrose와 fructose는 높은 경향이었다. 엽초의 glucose 함량은 5월 9일에 화경 절단구가 방임구에 비해 약간 높았으나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하였다. Sucrose 함량은 5월 9일 절단한 엽초가 52.1mgㆍg⁻¹으로 방임구에 비해 2배정도 높았으나 감소 경향은 비슷하였다. Fructose 함량은 방임구 엽초에서 5월 9일 62.9mgㆍg⁻¹ 수준에서 5월 24일 103.3mgㆍg⁻¹ 수준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화경과 총포 내의 sucrose와 glucose 함량은 경시적으로 감소하였으며 fructose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화경을 절단한 마늘 인편의 sucrose 함량은 구 비대 후기에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경 절단구의 마늘 구경은 51.0㎜, 구중 34.2g으로 마늘 수량은 1,310㎏/10a수준이었다. 그러나 방임구에서는 구경 49.6㎜, 구중 31.2g으로 절단한 마늘에 비해 다소 낮아 수량은 1,197㎏/10a으로 8.6% 감소하여 마늘 주아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 포장 전체에서 주아를 생산하는 것보다는 종구로 사용할 면적에서만 주아를 생산하면 마늘 수량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ape cut during bulb development stage on leaf dryness, carbohydrate and yield of garlic (Allium sativum L.) in the field. The cloves were planted on polyethylene film-mulching plots at 18 × 11 ㎝ on September 25, 2006 and harvested on May 30, 2007. Time of scape cut was on May 4, 2007. Percentage of leaf dryness of no scape cut was slowly increased from 24.3% on May 14 to 63.9% on May 30, while that of scape cut was rapidly increased from 27.1% to 75.5%, respectively. Leaf area of scape cut and no scape cut were 141.2 and 228.1 cm2 per plant on May 30. Photosynthetic rate was similar to 11.0-10.9 μmol m⁻² s⁻¹ on May 14, but photosynthetic rate of no scape cut increased to 13.4 μmol m⁻² s⁻¹ on May 19 compared to 12.7 μmol m⁻² s⁻¹ for scape cut. The glucose and sucrose content in leaves and leaf sheath of non scape cut were gradually decreased and the fructose was increased during bulb development stage. The fructose content in leaves of scape cut was high as 137.3 mgㆍg⁻¹ compared to 80.6 mgㆍg⁻¹ of no scape cut on May 30. However, the fructose content in leaf sheath of scape cut was greatly decreased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he sucrose content of scape include bulbil was decreased to 89.1 mgㆍg⁻¹ on May 30 compared to 145.0 mgㆍg⁻¹ on May 9 and the fructose was increased during bulb development stage. The sucrose content of bulb in no scape cut was gradual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sucrose content of bulb in scape cut off was greatly increased from 499.2 mgㆍg⁻¹ on May 9 to 803.2 mgㆍg⁻¹ on May 30. The ratio of large bulb diameter (above 45 ㎜), bulb weight and yield of scape cut were 61.1%, 34.2 g, and 1,310 ㎏/10a, respectively. The yield of no scape cut was decreased to 8.6% compared to 1,197 ㎏/10a for scape cut.

      • KCI등재

        ‘남도’와 ‘제주재래’ 마늘로부터 원형질체 나출, 융합 및 콜로니 형성

        송승엽(Seung-Yeob Song),김천환(Chun Hwan Kim),성기철(Ki Cheol Seong),강경희(Kyung-Hee Kang),김인중(In-Jung Kim)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3

        ‘남도’와 ‘제주재래’ 마늘 주아에서 유래된 캘러스를 이용하여 원형질체를 나출했고 PEG용액으로 융합했다. ‘제주재래’ 마늘 주아에서 유래된 캘러스는 1% Macerozyme R-10와 2% Cellulase Onozuka R-10의 효소 조합에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고(1.8×10⁴ protoplasts/mL), 남도 마늘 또한 1% Macerozyme R-10와 2% Cellulase Onozuka R-10의 효소조합에서 1.1×10⁴ protoplasts/ml로 높게 나타났다. 나출 시간은 ‘남도’마늘의 경우 5시간, ‘제주재래’마늘의 경우 4시간이 적당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PEG법을 사용하였고, PEG 6000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하고 그 사이에 원형질체를 떨어뜨리고, 다시 5분 후에 섞어서 2시간 동안 암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시간이 지난 후에 기본 MS배지에 0.1-1.0㎎ㆍL?¹ BA, 0.1-1.0㎎ㆍL?¹ NAA를 첨가하고 25℃에서 16시간 광, 8시간 암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주간 배양한 후, 콜로니를 얻었고 캘러스 형성을 통한 재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순원기배양 중에 있다. Protoplasts were isolated from callus derived from the bulbils of garlic cultivars ‘Namdo’ and ‘Jejujaerae’, and were fused by polyethylene glycol (PEG) solution. When treated with the enzyme solution of 1% Macerozyme R-10 and 2% Cellulase Onozuka R-10, callus induced from ‘Jejujaerae’ yielded the highest number of protoplasts (1.8×10⁴ protoplasts/mL). The number of protoplasts from ‘Namdo’ was the highest (1.1×10⁴ protoplasts/mL) when the callus was treated with an enzyme solution of 1-2% Macerozyme R-10, 1-2% Hemicellulase and 1-2% Cellulase Onozuka-RS adjusted to pH 5.3. The optimal durations required for enzyme treatment to produce the stable protoplasts were 5 hours for ‘Namdo’ and 4 hours for ‘jejujaerae’. The frequency of protoplast fusion was the highest when treated with PEG solutio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6,000 daltons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and then cultivated for two hours in the dark. The fused protoplasts were cultured at 25℃ with 16 hours photoperiod in MS medium containing 0.1-1.0 ㎎ㆍL?¹ 6-benzylaminopurine (BA), 0.1-1.0 ㎎ㆍL?¹ 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or their combinations. Colony was induced from fused protoplasts in 2 weeks and then cultivated in 1/2 MS containing 1.0 ㎎ㆍL?¹ BA and 1.0 ㎎ㆍL?¹ NAA. Colony formation is an important step leading to the regeneration of the plants.

      • KCI등재

        기내 배양 조건 및 상토 혼합조건에 따른 반하 소괴경의 생육 비교

        이가연,문병철,강영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5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eit)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조직배양을 이용하 여 대량번식 방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대량생산된 괴경들의 토양 순화 및 적응을 위 한 환경 조건의 확립의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내에서 증식된 반하의 괴경을 이용하 여 우수한 품질의 약재와 건전묘의 대량생산을 위해 생육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액체배지에서 현탁배양 한 괴경(Type 1)과 고체배지에 치상하여 배양된 괴경(Type 2)두 종류를 비 교하였다. 토양은 3개의 조성으로 조합하여 생육을 비교하였으며, 코코피트,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및 제오라이트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기내 배양 조건이 다른 처리구들의 토양 조성별 순화 율 측정하였으며, 생육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8주동안 생육 후 초장, 잎 수, 마른잎 수, 괴경 수, 괴 경 크기, 생체중 및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또한 주아의 생성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4주와 8주에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Type 2가 펄라이트를 20%증량한 상토 B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괴경의 비대에 영향을 주고 묘로서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잎의 수는 상토 B에서 가장 많은 1.7개로 나타났고 가장 잎의 출현이 없었던 Type 1의 상토 C가 0.9개로 나타나 1.8배의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같은 처 리구에서 건물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하의 주아 생성율의 차이는 상토 B에서 1.1개로 우수하였으며, 가장 저조한 처리구의 수치보다 1.2배 높은 생성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기내에서 배양된 반하의 토양 순화 및 적응기에 괴경의 비대를 유도하여 우 수한 한약재 생산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며 차후 토양에서 재배 시 반하의 대량번식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Pinellia ternata(Thunb.) Breit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Araceae and several scientific studies have been done on its mass propagation based on tissue culture techniques. However, studies on P. ternata establishment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based on different soil composition for the acclimatization and adaptation of mass produced tuber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oi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high quality medicinal materials and healthy seedling by using Tubers of In vitro P. ternata(Thunb.) Breit. We compared two types of tuber, cultured in liquid medium(Type 1) and cultured in solid medium(Type 2). Three soil compositions were made using coir, peat moss, vermiculite, perlite and zeolite to compare growth. We investigated acclimatization rate through in vitro culture conditions and plant height, number of fresh leaves and dead leaves, tuber size, and fresh or dry weight were obtained to compare the difference growth in the different soils compositions. The number of bulbils and survival rates at 4 and 8 weeks were also obtained. The results obtained showed best growth of type 2 in soil B with 20% increase in perlite compared to growth in soil A and C. The number of leaves affecting tuber enlargement but necessary for use by the seedlings were 1.7 in soil B and 0.9 in soil C; giving a difference of 0.8. In addition, best dry weigh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me treatment. The difference in the bulbil production rate was 1.1 in soil B and 1.2 times higher than in the lowest treatment. Thus, this study ha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 quality medicinal herbs cultured in vitro with increased tissue enlargement by germinating them in a suitable soil composition during acclimatization process.

      • KCI등재

        우리나라 자생 참나리에서 선발된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의 特性

        하유미,김동엽,한인송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참나리중 본 연구에서는 경남 진주시에서 선발한 참나리 변이체의 생장과 형태적 특성, 그리고 배수체 검사와 virus 검정 등을 실시하여, 기존 참나리 품종과는 다른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으로 선발하여 조경지피용 소재 및 나리속 식물의 육종시 유전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 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발된 자가결실 참나리 2배체 품종의 생육형은 고 성형으로 자생 3배체 품종과 동일하였고 주아도 공히 형성하였다. 꽃의 형태적 특성 및 잎의 형태적 특성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주아의 크기 및 구근의 크 기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가결실율에서는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의 경우 착과 율이 72.6%로 높은 결실율을 보인 반면 자생 3배체 품종 은 0%로 자가 불화합성을 보였다. 또한 염색체 조사결과 자가결실 품종의 경우 염색체수가 26개로서 x = 13의 2배체 품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생 참나리의 경우 염 색체 수가 39개로서 3배체 품종임이 증명되었다. 선발된 자가 결실성 품종의 경우 후대검정을 실시한 결과 생육 특성 및 형태적 특성, 그리고 결실 습성까지 모본과 동 일하여 모본의 특성이 후대에도 유전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고 염색체 조사결과 2n = 26으로 2배체임이 증 명되었다. 자가 결실성 참나리 2배체 품종의 화분발아 력을 조사한 결과 모본의 화분발아력이 58%로 양호하 였으며 종자 및 주아로 번식된 3년생 식물체와 2년생 식물체 공히 화분발아력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자생 참나리의 화분발아력은 0%로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breed a self-compatible variety of Tiger Lily from the seedlings originated from Chinju city, Gyeongsangnam-d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loidy, and the resistance of seedlings to virus infection were investigated. A progeny test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propagated progenies had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mother plant.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tall type like native triploid lily, Lilium tigrinum, and bulbils were formed on both lily variet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s and leaves we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the varieties, while the size of the bulbils and bulb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ercentage of seed generation by self-pollination was 72.6% for the self-compatible variety, while there was no seed generated for native triploid lily. The number of chromosome was 2n = 26 (x = 13, diploid) for the self-compatible variety, while 2n = 39 (x = 13, triploid) in native lily variety. The progenies of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showed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its mother plant in morphology, seed germination, and polyploidy. The mother plant of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showed 58% pollen germination and the 2-year-old and 3-year-old progenies showed similar germination percentages. The pollen grains of Korean native triploid lily, however, never germinated.

      • KCI등재후보

        난지형 마늘 신품종 ‘생올’의 특성

        남상식(Sang Sik Nam),최인후(In Hu Choi),최학순(Hag Soon Choi),김천환(Cheon Whan Kim),배상경(Sang Kyung Bae),방진기(Jin Ki Bang) 한국원예학회 2005 원예과학기술지 Vol.23 No.4

        ‘생올’은 1998년 중국 산동지방에서 통구마늘을 도입하여 특성검정, 선발 및 종구를 증식하여 ‘목포 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무안, 남해, 제주 등 3개 지역에서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지역적응 재배시험을 거쳐 육성하였다. ‘생올’은 초형이 직립형, 엽색은 진한 녹색으로 ‘남도’ 마늘과 같다. 주아크기는 극소립으로 균일하며 총포 당 주아수가 73개 이상으로 많다. 화경출현기 및 수확기가 ‘남도’ 마늘에 비해 각각 14일, 7일 정도 빠른 조숙성 품종이다. ‘생올’ 마늘의 피르브산 함량은 19.4μ㏖/g 수준으로 ‘남도’ 마늘에 비해 낮아 생마늘 맛이 순하여 생식용으로 적합하다. 수량은 ‘남도’ 마늘 대비 92% 수준이나 조숙성이기 때문에 조기출하가 가능하고 수확 후 벼 이앙, 콩, 땅콩, 참깨 등의 재배가 가능하므로 작부체계상 유리하여 난지형 마늘 재배지에서 재배가 용이하다고 판단된다. A new garlic ‘Saengol’ (Allium sativum L.) was developed at Mokpo Experiment Station in 2004. The variety was introduced as a genetic resource from China in 1998. The leaves of this variety are erect and dark green. Size and number of bulbils were small (0.05 g) and numerous (73 ± 16). Clove differentiation, scape emergence, and harvesting dates were 11, 14, and 7 days respectively, earlier than those of ‘Namdo’ garlic. The yield of ‘Saengol’ was 8% lower than ‘Namdo’ garlic with 1,282 ㎏/10a, but the pyruvic acid content of this variety was low with 19.4 μ㏖ g⁻¹ compared to 35.4 μ㏖ g⁻¹ of ‘Namdo’ garlic. This variety can be adapted all over the southern type garlic cultivation area in Korea.

      • 마늘 주아채집장치 개발

        권순홍(Soon Hong Kwon),정성원(Sung Won Jeong),권순구(Soon Gu Kwon),박종민(Jong Min Park),최원식(Won Sik Choi),서정덕(Jung Duk So) 대한기계학회 200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6 No.6

        This research analyz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garlic stalks and bulbils through research articles and field survey as a preliminary, and designed and manufactured prototype garlic stalks collecting system. The overall size of the prototype garlic stalks collecting system was 1825 (L) × 570 (W) × 1362 (H) ㎜, and consisted of reaping, conveying, collection, power source, traveling, and control unit.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garlic stalks collecting system was evaluated at field of crop reception and distribution complex located at Seosan City, Chungnam, Korea. Results of evaluation of reaping, conveying, and collection units were generally satisfying. Following discussions, however, is found to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prototype garlic stalks collecting system for better performance or some modifications to improve the system during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