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lain Badiou의 존재론을 통하여 본 보편성논제

        김연미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research mainly depends on Alain Badiou’s ontology. Universality Thesis relying on Badiou’s Ontology is different from the ancient Greek, Plato’s or Kant’s. This paper is the first introduction of Badiou’s ontology into the field of legal philosophy. At that point, this paper is a first test to apply Badiou’s ontology to legal universality in the field of jurisprudence in Korea. Being based upon his philosophy, Universality Thesis can be cast new attention on us. In order to understand Alain Badiou’s philosophy, we need to understand his main terms such as ‘suture’, ‘event’, and ‘void’ etc. In particular, this paper considers whether these terms can be analysed into ‘rights-based principle’ or ‘constructive interpretation’, and ‘institutional rights’ etc. in Dworkin’s legal philosophy, or not. First, H. L. A. Hart’s legal positivism as philosophy of language is a typical example of suture. Dworkin coped into a principle as a legal standard what Hart accepted legal discretion in part of legal void, or gap. Second, Dworkin argues that Nazi’s unjust law can not be justificated at the second interpretational stage. Dworkin’s institutional rights have the room to bring up the critic about the Meditations that Badiou regards ontology as the void. Of course, this paper does not make progress about these points enough. The part that this research is regarded as most importantly, is to set up and understand a new Universality these. And it is primacy to follow up Badiou’s book, Saint Paul: The Foundation of Universalism. To found a new Universality these, the last part in this paper is also followed up Heidegger’s “Elucidation of Hölderin’s Poetry” and Badiou’s thought as fusing poetry among four conditions. Heidegger made a detour, elaborating the “metaphysical interpretation of art.” But the Universality in Badiou’s ontology is expressed as the subjectivity in fidelity. The Universality is only found upon the individual subject in the void. 보편성문제는 법철학의 핵심적 주제이다. 보편성논제는 오늘날까지 적극적으로 해명되지 않은 채 여전히 법규범의 속성이나 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이 글은 드워킨의 법철학이 존재론적으로 어떤 지형에서 논의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試論적 선행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보편성논제가 법학 이외에 종교와 문학, 그리고 정치와 수학과의 융합적인 차원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현대 프랑스철학에서 신플라톤주의자로 알려진 알랭 바디우(Alain Badiou)의 철학에 의거하여 새로운 보편성 정립을 시도한다. 바디우는 현대의 해체철학에서 보인 철학의 종언이 아니라 철학을 위한 새로운 플라토니즘, 데카르트적 근대이성의 혈통을 복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바디우의 존재론을 통해 발견되는 보편성논제의 핵심적인 주제는 ‘봉합’(suture)과 ‘사건’(event)이다. 논자는 첫 번째 드워킨의 법철학을 이해하는 試論적 작업을 바디우 철학의 핵심논제인 ‘봉합’을 통해 설명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전통적인 플라톤철학에 의거한 보편성논제와 달리 바디우의 ‘사건’개념에 의거하여 보편성의 새로운 의미들을 찾고자 하였다. 법적 관점에서 바디우의 존재론의 중요한 개념은 ‘사건’이다. 보편성논제로서 ‘사건’은 공백, 빠져나옴, 선과 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준다. 이 글은 바디우의 철학을 국내 법철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한다는 점에서 개괄적인 선행적 이해를 돕는 수준에서 논의를 개진하였다. 그런 점에서 바디우가 저술한 『사도 바울』의 저서를 쫓아가면서 보편성의 의미를 주체적 개별성의 차원에서 독해하였다. 또한 수학적 공리나 정언명령과 같은 보편성을 여러 문학적 詩論 작업에서 밝히는 것과는 달리 詩의 특징으로 규명하는 바디우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바디우는 하이데거가 훨덜린의 시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철학적 봉합이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그 봉합을 시적 보편성이라는 존재론으로 다시 정립하려고 하였다. 이 글에서 논자는 법적 보편성의 의미를 드워킨이 제공한 제도적 권리의 공백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구성적 해석의 2단계인 해석적 단계에서 바디우의 ‘사건’과 탈봉합이 발생할 수 있다는 試論적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라캉과 바디우

        박영진(Youngjin Park)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3

        본 연구는 철학과 반철학의 관점에서 자크 라캉과 알랭 바디우의 관계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디우에 따르면 서구 사유의 역사는 철학과 반철학의 끊임없는 대화다. 주지하듯이 바디우 자신이 라캉 정신분석과의 비판적 논쟁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정립했다. 최근 출간된 『알랭 바디우 세미나: 자크 라캉』에서 바디우는 라캉을 반철학의 관점에서 다룬다. 바디우에 따르면, 라캉 반철학은 철학적 진리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철학적 작용의 실체를 폭로하며, 철학적 작용에 맞서 분석 행위라는 자기 고유의 행위를 제기한다. 그러나 라캉 본인은 반철학이라는 용어를 단 두 차례만 사용했을 뿐, 반철학에 대해 어떤 정돈된 논의도 남기지 않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철학과 반철학에 대한 라캉의 입장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제기에 입각해 본 연구에서 필자는 바디우가 제시한 라캉 반철학론의 주요 논점에 대해 비평하고, 라캉 본인이 철학에 대해 내어놓은 발언들을 분류하고, 이를 통해 라캉과 바디우의 관계가 “철학 vs 반철학”이라는 단순한 진영논리로 환원될 수 없는 뒤얽힌 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이를 통해 『세미나: 라캉』에 대해 읽기를 제시하는 한편, 라캉과 바디우 및 철학과 반철학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hed ligh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cques Lacan and Alain Badiou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According to Badiou,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 is constituted by the ceaseless dialogue between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It is well-known that Badiou elaborated on his philosophy through the critical dialogue with Lacanian psychoanalysis. In Lacan: Anti-Philosophy 3, Badiou addresses Lacan through the lens of antiphilosophy. According to Badiou, Lacanian antiphilosophy deposes the authority of philosophical truth, discloses the philosophical operation, and presents his analytic act against the philosophical operation. However, Lacan himself used the term “antiphilosophy” only twice in his entire intellectual itinerary. Moreover, he did not leave any systematic discussion about his antiphilosophy. How can one address Lacan’s position regarding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then? This article engages with this question. The author first reviews the main points of Lacanian antiphilosophy as presented by Badiou, classifies Lacan’s extensive and inconsistent comments on philosophy, and shows how Lacan and Badiou have an interlaced relationship,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simple antagonism “philosophy vs. antiphilosophy.” This will not only serve as a critical reading of the Badiouian version of Lacanian antiphilosophy but also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can and Badiou, philosophy and antiphilosophy.

      • KCI등재

        보편성과 개체성의 통합으로서의 Badiou 진리론이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함의

        허영주(Hur Young 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2

        이 연구는 Badiou의 진리론이 현재의 교육과정이론 및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기존의 지식체가 결여하고 있는 다수의 진리가 존재한다는 Badiou의 진리론은 보편성을 강조하는 객관적 진리론과 개체성을 강조하는 구성적 진리론을 보완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안정하지만 공백의 일자화된 지식이 교육내용이 되어야 할뿐 아니라 주체가 확신을 가지고 해석적 개입과 충실한 탐색을 통해 진리가 면모를 갖추게 해야 한다는 Badiou의 관점은 내용지향적 교육과정이론과 과정지향적 교육과정 이론을 통합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교육목적은 충실한 진리생성의 주체를 양성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이 기존의 지식체계인 백과사전적 지식을 풍부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그러나 예술, 과학, 정치, 사랑 등 사유 대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재편성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나아가 학습자들이 새로운 진리를 생성할 수 있는 충실한 탐색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식을 비교ㆍ분석ㆍ평가ㆍ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야 하는데, 이는 학습자의 존재 자체의 변용에까지 이르러야 하고 이해관계에 휘둘리지 않는 무심한 태도를 지니도록 도와야 한다. 그러나 Badiou 진리론의 교육과정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진리생성과정을 지지하고 돕는 또 다른 주체인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완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at Badiou’s true theory suggest to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urriculum studies, the theory of knowledge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Badiou’s truth theory as well as complementary connected up one is a viewpoint focusing on the universal and general aspects of knowledge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d particular aspects of knowledge, also link up content-oriented approach and process-oriented approach of curriculum theory. Second, his true theory proposed changes to curriculum design as follows. Education’ purpose is to cultivate people that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Contents is composed that knowledge of curriculum subject have a lot of existing pantology, and subject courses includes a five objects of thinking called art, science, politics, love. Also, aspect of method must be assisted that students possess explore abilities and disinterested attitude. But so as Badiou’s truth theory to applies curriculum design, is needed in-depth discussion about teacher’s role support that students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 KCI등재

        유한한 작품과 무한의 이념: 알랭 바디우의 미술론

        장태순 한국미학예술학회 2024 美學·藝術學硏究 Vol.71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lain Badiou’s theory of fine art. Although Badiou has written several articles on fine art, he has not developed a comprehensive theory on the subject. This endeavor unfolds in three stages. The first involve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in general. For Badiou, art is one of the procedures for producing truth alongside science, politics, and love. Badiou terms the unique truth procedure of art as “artistic configuration,” with the work of art holding a significant position. Second, the study confirms Badiou’s position on the fine art. According to Badiou, art is about creating “Ideas.” Each artistic genre demonstrates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he universe in its distinct way, and fine art unfolds possibilities for a new world through the creation of forms. The third stage explores the reasons behind his endorsement of Pierre Soulages. According to Badiou, Soulages’s work creates an idea of infinity, thereby uttering the command of Badiou’s Ethics of Truth, “Continue.”

      • KCI등재

        스피노자와 바디우 -진리와 주체를 사유하는 두 가지 길

        박기순 ( Ki Soon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4

        스피노자와 바디우는 아주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두 철학 체계, 필연성의 철학과 사건의 철학을 각각 대표하는 철학자들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둘 사이에는 어떤 대화의 가능성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근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혹은 바로 그러한 차이로 인하여 둘 사이에는 어떤 공통의 문제의식과 사유가 존재한다. 이 논문의 목표는, 두 철학자 사이의 대립의 배후에 놓여 있는 이 공통성을 진리와 주체의 문제라는 공통의 지반 위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공백의 존재론의 주창자 바디우는 스피노자를 총체성의 철학으로 규정짓는다. 그러나 그는, 스피노자의 이 기획이 실패하고 있음을 논증함으로써, 그가 배제하려고 한 공백의 흔적이 그의 철학체계 속에 내재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스피노자를 `공백`의 철학자로 구원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스피노자에게서 주체 개념과 진리 개념 사유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은, 공백을 부정하는 스피노자를 충실히 따르면서 그의 철학을 절대적 합리주의로 읽는 것 속에서도 주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스피노자의 절대적 합리주의는 데카르트의 제한적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 바로 바디우가 진리-지식의 대립 쌍을 통해 비판하고자 하는 지식의 절대화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사성은 주체 개념에서도 나타난다. 바디우가 주체를 사건으로부터 구성되는 진리의 한 계기로서 제시하는 반면, 스피노자에게 주체는 이성의 인도에 따라 살아가는 자유로운 인간이라는 점에서 둘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의 배후에는, 둘 모두 진리의 구성과 관련하여 전투적 주체를 사유한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바디우에서처럼 존재하는 지식체계에 근거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에서 전투적이든, 아니면 스피노자에서처럼 진리가 또 다른 진리들을 구성할 수 있는 실제적 힘으로 현실화되기 위해 자신에 대한 위협들에 대항해 싸워야 한다는 의미에서 전투적이든, 진리 구성은 전투적 주체를 요청한다는 점에서 둘은 다시 만나고 있다. Il n`y a aucun doute que Spinoza et Badiou sont deux philosphes qui representent respectivement les deux systemes philosophiques diametralement opposes, c`est-a-dire celui de necessite et celui d`evenement. Il parait donc qu`il ne soit pas possible de les faire communiquer. Nous pensons cependant qu`il y a entre eux une problematique commune malgre leur difference radicale, ou plus precisement de par cette incommensurabilite apparente. Notre objectif est de montrer, autour des problemes de la verite et du sujet, leur pensee commune existant derriere leur opposition. Badiou, representant de l`ontologie de l`evenement, qualifie la philosophie spinoziste de totalitaire. Mais, il ne s`arrete pas la. Il veut sauver Spinoza en tant que philosophe du vide, en demontrant le dysfonctionnement du systeme spinoziste, c`est-a-dire en y decouvrant la trace du vide. Et il veut arriver par la a chercher la possibilite de penser les concepts de sujet et de verite, concepts qui, selon Badiou, sont fondes sur celui d`evenement. Cependat, on peut arriver a ce que le philosophe francais a voulu montrer, par un autre chemin, peut-etre plus fidele a Spinoza que celui de Badiou. En effet, le rationalisme absolu de Spinoza s`etablit contre le rationalisme limite de Descartes, lequel signifie l`absolutisation du savoir scientifique que Badiou critique par son opposition conceptuelle savoir-verite. On peut retrouver cette affinite entre deux penseurs dans leurs concepts de sujet. On sait bien que Badiou considere le sujet comme un moment de la constitution de la verite generique, alors que l`homo liber sous la conduite de la raison est, pour le philosophe hollandais, le subjet par excellence. Cependant, ils convergent en ce que le sujet, s`agissant de constitution de la verite, est militant. Qu`il soit militant comme chez Badiou au sens ou son travail ne se fonde pas sur le savoir-systeme, ou comme chez Spinoza au sens ou il doit resister aux idees imaginaires qui menacent les verites decouvertes pour actualiser leur puissance qui consiste a produire d`autres verites, la formation de la verite en appelle au sujet militant pour tous deux.

      • 알랭 바디우의 진리, 사건 그리고 주체

        홍기숙 ( Ki Sook Hong ) 한국해석학회 2015 해석학연구 Vol.36 No.-

        “바디우의 주체개념은 근대의 사유를 잇는가?” 본 논문은 알랭 바디우의 진리와 사건, 주체 개념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가 주장하고 있는 진리에 대한 사유의 정당성이 요청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바디우의 철학은 존재론으로 그리고 진리와 주체이론으로 대표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진리와 주체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논의의 내용과 의의를 살핀다. 과연 그의 전체 철학 내에서 진리 문제가 갖는 함의와 이 시대 속에서 그가 강력하게 주장하고자 하는 진리와 주체에 관한 이야기는 무엇인가? 바디우의 철학을 근거 짓고 있는 주된 개념들, 즉 진리와 주체 혹은 윤리라는 개념의 내용은 근대적 개념과는 사뭇 다르다 하더라도 근대사유의 연장선상에서의 요청과 당위성을 외치고 있는 만큼 시대적 분별력과 설득력을 지녀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바디우의 진리, 사건, 주체 개념이 그의 철학 내에서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으며, 특별히 『성 바울』이라는 저술과 그의 “사랑”이라는 개념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고찰하고 있다. 형이상학적 초월성이나 영원불변함 혹은 규범적인 성문화된 “진리”가 아니라, 일반적 상식과 지식으로 분별불가능한, 그의 표현대로 말하자면 “백과사전적 지식에 구멍을 뚫는” 진리는 사건이라는 우연적 도래를 그 특징으로 갖고 “모두에게 전달된다”는 보편성을 담지한다. 이러한 진리는 주체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이 주체는 실존적이지도 실체적이지도 않은, 말하자면 고전적 주체 개념과는 단절된 개념이다. 예측불가능한 “사건”에 의해 짜여지게 되는 이 주체는 공백의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며 진리를 향한 충실성을 강제성에 의해 부여받게 된다. 그리고 도래할 “진리”를 향해 나아간다. 진리와 사건, 주체는 바디우의 현 시대를 향한 처절한 개입이며 그 결과이고 또한 집요한 사유의 승리이다. Le concept du sujet chez A. Badiou, poursuit-il la pensee moderne ? A. Badiou soutient que ce qui nous est prescrit est un pas de plus dans la mderne, et non le passage a sa limite, soit le post-moderne, soit l``autre. Le propos de ce memoire est a examiner le probleme de la verite, de l``evenement et du sujet chez A. Badiou et a demander sa legitimite dans cette epoque. La pensee phiosophique chez A. Badiou est concernee par les duex domaines, c``est-a-dire d``un cote celui de l``ontologie comme presentation, d``autre cote celui de la verite, de l``evenement et du sujet. Cette fois-ci, nous considerons en limitant le recherche au probleme de la verite, de l``evenement et du sujet chez A. Badiou. Le premier chapitre s``accorde alors a consideration du probleme de la verite, de l``evenment et du sujet chez Badiou. Il insiste qu``≪une verite fait trou dans le savoir≫. C``est-a-dire que la verite ne peut pas saisir par la connaissance ou le savoir dans une situation consedere. Elle est toujours surnumeraire et indiscernable. Toute verite se tisse par le hasard de l``evenement qui est la matiere du sujet, alors elle vient toujours post-evenementielle. La deuxieme partie dans laquelle nous traitons ces concepts plus concretement est constituee par sa pensee de son oeuvre Saint Paul ou le surgissement du sujet chretien se commence par l``evenement, ou par le foudroiement comme Paul. Alors St. Paul pour Badiou est un penseur-poete de l``evenement ou plutot un militant. Et la troisieme partie consiste a situer le probleme du sujet dans une procedure generique de la verite. Son titre est l``amour comme une procedure generique de la verite. Nous traitons ses concepts ci-dessus dans le cas de l``amour. Et nous concluons ce memoire par cette question: “Pouvons-nous penser un sujet sans objet?”

      • KCI등재

        The Absence of the Uncanny in Fanon’s the Other and Badiou’s Event

        ( Hyun-joo Yoo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영문학21 Vol.31 No.1

        Fanon’s black slave is the uncanny and phobic object (a problematized double) belonging to Lacan’s the real. However, in Fanon’s Black Skin, White Masks, subversive political aspects of the uncanny are absent. Fanon constantly describes the black slave as merely a victim/fetish, who always suffers an inferiority complex and a sense of alienation. Yet the black skin, unable to be completely covered with white masks, can be reappropriated as a strategy of political subversion to contaminate purity and authenticity in colonial discourses and white authority. Fanon does not seem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black skin in white masks, remaining outside the signifying chain, has the revolutionary potentials to destabilize the master’s authority and colonialist discourses, and bringing about political transformation in society. In the politics of identification based on psychoanalysis, the impact that a return of the gaze of the uncanny/ambivalent Other has on the colonizer cannot be ignored, which might not be Fanon’s concern. Assuming the colonized as entirely knowable and visible, Fanon does not seem to calculate the traumatic impact of the return of the repressed. Badiou’s event, which refers to the incalculable, irreducible, surplus element (i.e., void), reveals a gap or a rupture with the symbolic order, or more specifically, exposes undemocratic political systems within a democracy. In this respect, Badiou’s void or event recalls Lacan’s “the real.” Badiou claims that a true event can bring about a dramatic and unforeseeable political change in the situation. Yet, like Fanon, in spite of the indebtedness to Lacan’s the real, the visible presence of subversive power embedded in the uncanny is also absent in Badiou’s philosophy. The uncanniness, whose political meanings are significantly dealt with in psychoanalysis, evaporates in Badiou’s political project of theorizing political revolutions and transformations. This paper raises the question about whether it is truly appropriate to refer to either the radical in Badiou’s radical reconceptualization of politics, or Fanon’s radical concept of psychological decolonization, as radical at all.

      • KCI등재

        바디우의 사건 개념에 대한 신학적 해석

        허석헌(Suk-Hun Huh) 한국기독교학회 2021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9 No.-

        이 논문은 유한한 인간이 무한한 하나님을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에 관한 신학적 물음에서 출발한다. 이 논문이 추구하는 목적은 알랭 바디우의 사건의 개념으로부터 신학적 물음에 대한 대답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바디우의 집합론으로부터 파생되는 상황, 비일관적 다수성, 공백, 개입, 진리, 주체, 사건과 같은 주요 개념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개념들을 신학적으로 재해석할 가능성을 검토한다. 바디우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글은 세 가지의 신학적 해석의 지점들을 제시한다. 첫째, 바디우의 무신론적인 존재론이 근본적으로 형이상학적 존재 신학의 한계를 극복하려 시도해 온 부정신학의 전통과 공명한다는 점에서 기독교 신학적 해석의 가능성은 열려 있다. 둘째, 공백으로 존재하는 진리는 사건을 통해 현시될 수 있다는 바디우의 주장은 하나님의 실재를 내재적 초월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셋째, 은총의 사건에 충실하려는 결단을 통해서 출현하는 되어가는 주체에 대한 바디우의 긍정은 신을 인간적 경험과 이성으로부터 이해할 가능성을 차단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초월에 위배되지 않는 인간적 자율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결론에서, 바디우의 사건 개념으로부터 우리는 사건이 하나님과 주체를 매개하는 접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starts with a theological question about how a finite human being can meet the infinite G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n answer to the theological question from Alain Badiou’s concept of the event. First, I analyze the main concepts such as situation, inconsistent multiplicity, void, intervention, truth, subject, and event derived from Badiou’s set theory,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se concepts theologically. Through an analysis of Badiou’s main ideas, this article presents three points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First, the option of Christian theological interpretation is open in that Badiou’s atheistic ontology fundamentally resonates with the tradition of negative theology, which has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etaphysical onto-theology. Second, Badiou’s argument that truth that exists as a void can be revealed through events suggests a way to understand God’s reality as an immanent transcendence. Third, Badiou’s affirmation of the subject that emerges through his/her determination to be faithful to the event of grace not only avoid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God from human experience and reason, but also helps the understanding of human autonomy that does not violate God’s transcendence. In conclusion, from Badiou’s concept of the event, I argue that the event can function as a contact point between God and the human subject.

      • KCI등재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 바디우와 베케트

        박일형(Park Ilhyung)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1 현대영미드라마 Vol.24 No.2

        This thesis analyzes the framework of Alain Badiou’s criticism on Samuel Beckett and unravels its ethico-political implications. The objective is to go beyond summary and introduction of Badiou’s criticism and to point out its limitations. Furthermore, an attempt is made to expand the discussion of Badiou’s criticism, often heavily concentrated on Beckett’s novels, to theatre.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Catastrophe, a short piece that contains the most direct political homage among Beckett’s entire oeuvre, shall be undertaken. Badiou, known as the last patron of modernity in direct confrontation with postmodernism and a radical leftist, published four critical essays on Beckett in the 90’s. Interest in Badiou stems from the fact that his analysis provides a new potential in ethico-political interpretation of Beckett which was in a deadlock for quite a long time. Badiou reads the project of ethical thinking toward the image of subject and the other as opposed to absurdity and namelessness, and difference and repetition that existentialism or deconstruction focused on. Badiou opposes the critical tradition that links Beckett’s work with the annulment of the subject or a solipsistic world view, and thereby stipulates Beckett as a nonpolitical and apolitical writer. However, his argument reveals its limitation when Beckett’s work such as Catastrophe is read and analyzed more carefully. Because this particular piece shows how human life is manipulated by aesthetic representation and how the public’s ethical presumption and social consciousness are formulated by this process. Beckett appears to reveal the theatricality of politics that sustains and promulgates a political possibility rather than illustrate subjectivation based on a radically new event. What this piece discloses is not the possibility of subjectivation but the bare life that is excluded and silenced by political subjectivation.

      • KCI등재

        알랭 바디우의 진리와 주체

        홍기숙(Hong, Kisook) 한국현상학회 201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0 No.-

        바디우의 첫 번째 철학적 관심은 단연코 이 시대에 “철학이 가능한가?”이다. 바디우는 철학의 가능성을 선언하고 그 조건으로서 정치, 과학, 예술, 사랑이라는 4가지 진리의 유적 절차를 제시한다. 그러나 바디우에게서 철학은 진리를 창조할 수 없다. 철학은 진리의 네 가지 유적 절차와의 공가능성(compossibilité)을 사유하고 진리들의 장소를 배치할 뿐이다. 이 네 가지 유적 절차만이 진리를 생산하며, 그런 한에서 그 네 가지 절차는 철학의 조건들이다. 바디우의 진리와 주체를 다루는 이 논문에서는 첫 장으로 전미래적 진리의 도래를 소망하며 충실성의 담지자로서 상황 내의 식별 불가능한 유적 다수를 붙드는 주체를 살펴볼 것이다. 주체를 논의함에 있어 바디우는 데카르트와 라깡의 논의를 넘어선다. 또한 두 번째 장에서는 초일자적 사건을 통해 우연을 전제로 지식에 구멍을 뚫는 진리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 논의는 바디우의 진리 유적 절차 중 하나인 “사랑”을 통해 전개된다. 바디우의 진리와 주체는 서로 관련지어져 있음을, 따라서 편의상 두 장으로 나누어 다루지만 구분되지 않는 연속성을 발견할 것이다. Is philosophy possible in this epoch? is Alain Badious first philosophical interest. Badiou declares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and presents four generic procedures of the truth as its condition: politics, science, art and love. But, in Badiou, philosophy cannot create truths themselves. Philosophy only deals with the compossibilité with the four generic procedures of truth and locates the places of the truths. Only these four generic procedures produce truth, and to that extent, the four procedures are the conditions for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This paper will examine Badiou’s theory of truth and subject. We will first look at Badiou’s notion of Subject that holds the generic and indiscernible multiples in a situation as a faithful bearer of the hope of the advent of the future-antérieur truth. Establishing subject in this manner, Badiou goes beyond Descartes and Lacan. After that, we will analyze Badiou’s conception of truth as something that drills a hole in knowledge. This argument is developed through love, one of the generic procedures of truth in Badio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