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의항생제 내성률에 관한 시계열 분석

        윤영경,김민자,손장욱,박대원,김정연,천병철 대한감염학회 2008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0 No.2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consump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 predict for the level of antimicrobial resistance by a time series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In a 750-bed medical center, antimicrobial consumption data of 12 classes of antimicrobials and surveillance of resistant profiles from all microbial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1/2004 through 3/2007 by database from the hospital's computerized order syste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definition of defined daily doses per 1,000 patient days were used to express the antimicrobial use density (AUD). The monthly proportion of resistant isolates (PR) of selected pathogens and monthly AUD were analyzed by time series analysis with transfer function model by using the SAS/ETS software. Results : The microbial surveillance data covered 15,522 isolates. PR of ciprofloxacin-resistant E.coli (EC-CFX), imipenem-resistant P. aureginosa, an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were 32.5%±14.0, 11.4%±8.1, and 78.6%±6.9. The two highest monthly AUD of 12 class antimicrobials were 156.2±6.5 AUD for aminoglycosides and 145.7±6.0 AUD for 3rd-generation cephalosporins. By using time series analysis, we verifi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onthly CFX use and the PR of EC-CFX, and between the monthly penicillin use and the PR of MRSA. Conclusion : Antibiotic consumption and PR of antimicrobial resistant pathogens remained stable over the period of study. Furthermore, we could confirm the usefulness of a time series analysis to demonstrate a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use and resistance, to predict the effect of antibiotics use on antimicrobial resistance. 배 경 : 항생제 사용이 내성 균주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들의 항생제 내성률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일정 기간 동안의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의 추이를 확인하고, 시계열 분석을 통해 사용된 항생제 양에 따른 내성률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전산화 항생제 처방 시스템이 갖춰진 750 병상의 대학 병원에서 2004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분리된 전체 임상 분리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률을 조사하였다. 항생제 사용량은 12가지 계열별로 분류하여 월별 항생제 사용 밀도(antimicrobial use density; AUD={총량/(DDD×연환자수)}×1,000)를 구하였다. 선택된 항생제들의 월별 사용량과 특정 분리 균주들의 항생제 내성률의 변동과의 연관성을 SAS/ETS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39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총 15,522개의 균주가 분리되었고, 항생제 사용량은 총 1,926.07 DDD/1,000명/일이었다. 계열별 항생제의 월별 총 사용량은 연구 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다. 항생제 내성률은 ciprofloxacin 내성 Escherichia coli는 32.46%±14.0, imipenem 내성 Pseudomonas aureginosa는 11.44%±8.1,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aus aureus (MRSA)는 78.60%±6.9였으며, vancomycin 내성 Enterococcus faecium은 7.43%±4.5 이었다. 12개의 항생제 계열 중 월별 AUD의 평균은 aminoglycosides는 156.16±6.49, 3세대 cephalosporins은 145.67±5.95, 2세대 cephalosporins은 90.95±7.47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시계열 분석에서, E. coli의 ciprofloxacin 내성률은 2개월 전의 E. coli의 CFX 내성률과 2개월 전의 ciprofloxacin 사용량(52.98±2.12)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RSA 비율은 2개월과 4개월 전의 MRSA 비율과 3개월 전의 oxacillin 사용량(4.69±0.67)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연구 기간 동안의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의 안정적 추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항생제 사용과 항생제 내성 사이의 일시적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 시계열 분석의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특정 항생제의 사용량과 관련된 항생제 내성률을 예측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에 관한 시계열 분석

        윤영경,김민자,손장욱,박대원,김정연,천병철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2

        배경 :항생제 사용이 내성 균주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들의 항생제 내성률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일정 기간 동안의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의 추이를 확인하고, 시계열 분석을 통해 사용된 항생제 양에 따른 내성률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전산화 항생제 처방 시스템이 갖춰진 750 병상의 대학 병원에서 2004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분리된 전체 임상 분리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률을 조사하였다. 항생제 사용량은 12가지 계열별로 분류하여 월별 항생제 사용 밀도(antimicrobial use density; AUD={총량 /(DDDX연환자수)}x1,000)를 구하였다. 선택된 항생제들의 월별 사용량과 특정 분리 균주들의 항생제 내성률의 변동과의 연관성을 SAS/ETS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39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총 15,522개의 균주가 분리되었고, 항생제 사용량은 총 1,926.07 DDD/1,000명/일 이었다. 계열별 항생제의 월별 총 사용량은 연구 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다. 항생제 내성률은 ciprofloxacin 내성 Escherichia coli는 32.46%±14.0, imipenem 내성 Pseudomonas aureginosa는 11.44%±8.1,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aus aureus (MRSA)는 78.60%±6.9였으며, van-comycin 내성 Enterococcus faecium은 7.43%±4.5 이었다. 12개의 항생제 계열 중 월별 AUD의 평균은 aminoglycosides는 156.16±6.49, 3세대 cephalosporins은 145.67±5.95, 2세대 cephasporins은 90.95±7.47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시계열 분석에서, E. coli ciprofloxacin 내성률은 2개월 전의 E. coli CFX 내성률과 2개월 전의 ciprofloxacin 사용량(52.98±2.12)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RSA 비율은 2개월과 4개월 전의 MRSA 비율과 3개월 전의 oxacillin 사용량(4.69±0.67)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연구 기간 동안의 항생제 사용량과 분리 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의 안정적 추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항생제 사용과 항생제 내성 사이의 일시적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 시계열 분석의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특정 항생제의 사용량과 관련된 항생제 내성률을 예측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consump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 predict for the level of antimicrobial resistance by a time series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In a 750-bed medical center, antimicrobial consumption data of 12 classes of antimicrobials and surveillance of resistant profiles from all microbial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1/2004 through 3/2007 by database from the hospital's computerized order syste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definition of defined daily doses per 1,000 patient days were used to express the antimicrobial use density (AUD). The monthly proportion of resistant isolates (PR) of selected pathogens and monthly AUD were analyzed by time series analysis with transfer function model by using the SAS/ETS software. Results : The microbial surveillance data covered 15,522 isolates. PR of ciprofloxacin-resistant E.coli (EC-CFX), imipenem-resistant P. aureginosa, an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were 32.5%±14.0 11.4%±8.1, and 78.6%±6.9. The two highest monthly AUD of 12 class antimicrobials were 156.2±6.5 AUD for aminoglycosides and 145.7±6.0 AUD for 3rd-generation cephalosporins. By using time series analysis, we verifi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onthly CFX use and the PR of EC-CFX, and between the monthly penicillin use and the PR of MRSA. Conclusion : Antibiotic consumption and PR of antimicrobial resistant pathogens remained stable over the period of study. Furthermore, we could confirm the usefulness of a time series analysis to demonstrate a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use and resistance, to predict the effect of antibiotics use on antimicrobial resistance.

      • KCI등재후보

        국내 의료기관의 항생제 사용 실태와 규제 시스템 조사

        방지환,송경호,박완범,김성한,조재현,김홍빈,김남중,오명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목적 : 이전 연구들에 따르면 아직까지 국내에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며, 특히, 수술환자들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 투여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많은 병원에서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을 제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현황에 대한 자료는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 등은 국내 의료기관의 항생제 규제 시스템의 현황과 수술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 적정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전임 감염내과 전문의가 근무하는 의료기관 55곳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적정한 항생제 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 및 규제 프로그램, 실제 각 의료기관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현황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 : 55개의 의료기관에 보낸 설문 중 44개가 회수되었다. 회신한 의료기관에서 항생제 처방 관리는 제한항생제 시스템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95.5%), 항생제에 대한 교육(79.5%), 전산시스템에서 관리(59.1%), 감염내과에 의뢰(54.5%), 항생제 사용 실적 검토(52.3%) 등의 순이었다. 대개의 병원에서 glycopeptides (100.0%), carbapenems (93.0%), quinupristin/dalfopristin 또는 linezolid(93.0%), 4세대 cephalosporin (74.4%), caspofungin 또는 voriconazole (62.8%), liposomal amphotericin B (60.5%) 등을 제한항생제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었다. 모든 의료기관에서 위절제술 및 유방절제술시에 불필요하게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슬관절치환술의 경우 2세대 cephalosporin을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30.2%), 관상동맥우회술의 경우 3세대 cephalosporin을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47.2%).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 기간을 살펴보면 위절제술시 70.5%에서 4일을 초과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유방절제술시에는 63.6%에서, 슬관절치환술시에는 81.8%에서, 관동맥우회술시에는 81.1%에서 4일을 초과하여 장기간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었다. 한편, 예방적 항생제 투여시 aminoglycoside계 항생제를 병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결론 : 아직까지 국내 의료기관에서 항생제 오남용을 막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수술시 예방적 항생제의 올바른 투여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Background : Previous studies in Korea showed that unnecessary antibiotic use could not be neglected, especially in prophylactic use. Currently many hospitals employ diverse antibiotic stewardship program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surveillance of such programs. So, we planned this study to evaluate current status of antimicrobial stewardship and adequacy of antimicrobial prophylaxis in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We sent questionnaires about policy on antibiotic usage, control program for adequate antibiotic prescription, and actual status of prophylactic antibiotic usage to 55 infectious disease physicians in each hospital. Results : Of 55 contacted infectious diseases clinicians, 44 answered the questionnaire. Majority of hospitals employed restricted antimicrobial system (95.5%), education (79.5%), control by order communicating system (59.1%), consult to infectious disease physicians (59.1%), and review of cumulative antimicrobial usage (52.3%) to prevent inadequate antibiotic use. Glycopeptides were designated as a restricted antimicrobial agent in 100.0% of hospitals; carbapenems, 93.0%; quinupristin/ dalfopristin or linezolid, 93.0%; the 4th generation cephalosporins, 74.4%; caspofungin or voriconazole, 62.8%; liposomal amphotericin B, 60.5%, and so on. Unnecessary perioperative prophylactic antimicrobial agents were prescribed in gastrectomy and mastectomy in all the hospitals. The second generation cephalosporins and the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s were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prophylactic antimicrobial agents in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an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ABG) respectively. In 70.5% of institutes they use prophylactic antimicrobial agents more than four days in gastrectomy; 63.6% in mastectomy; 81.8% in TKRA; 81.1% in CABG. Unnecessary combination of aminoglycosides with other antimicrobial agents for prophylactic use was another common problem.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more effort is required to diminish antimicrobial misuse or overuse, especially in prophylactic use for surgical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