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 Ad-hoc 노드용 사전 키 분배 기법 및 경량 키 분배 프로토콜을 위한 보안관리 서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양종원 ( Jong-won Yang ),서창호 ( Chang-ho Seo ),이태훈 ( Tae-hoon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8 No.6

        이동 Ad-hoc 네트워크는 USN 기술의 핵심으로서 많은 노드들이 각자 수집한 환경정보들의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중요 데이터를 multi-hop 에 걸쳐 원하는 목적지에 전달하는 최신 네트워크 기술이다. 최근 Ad-hoc 네트워크 관련 기술 개발 및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으나, Ad-hoc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패킷들에 대한 인증 및 암호화 등의 보안 기능 구현은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동 Ad-hoc 네트워크 상에서 키 교환, 키 관리, 개체 인증, 데이터 암호화 등의 시큐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 Ad-hoc 네트워크에 특화된 보안 프로토콜을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Ad-hoc 네트워크 보안 관리 서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The Mobile Ad-hoc network does environmental information which an individual collects in nodes which are many as the kernel of the USN technology based on the radio communication. And it is the latest network description delivering critical data to the destination location desiring through a multi-hop. Recently, the Ad-hoc network relative technique development and service are activated. But the security function implementation including an authentication and encoding about the transmitted packets, and etc. is wirelessly the insufficient situation on the Ad-hoc network .This paper provides the security service of key exchange, key management, entity authentication, data enciphering, and etc on the Mobile Ad-hoc network. It implements with the Ad-hoc network security management server system design which processes the security protocol specialized in the Ad-hoc network and which it manages.

      • KCI등재

        항공 우주 해상 : 항공 교통 상황 종합 현시 기능을 갖는 ADS-B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송인성 ( In Seong Song ),장은미 ( Eun Mee Jang ),윤완오 ( Wan Oh Yoon ),최상방 ( Sang Bang Choi ) 한국항행학회 201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8 No.4

        ADS-B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항공 감시 기술로 레이더에 비해 높은 정확도와 빠른 갱신 주기를 제공하여 레이더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지상 시스템과 항공기 간의 정보 교환에 무선 데이터링크를 사용하며 지상 시스템 내부의 정보 교환에 무결성이 보장되지 않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ADS-B 시스템의 운용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DS-B 시스템의 운용 상태 감시 기능과 더불어 ADS-B 감시 자료, 레이더 감시 자료, 비행 정보를 활용하여 항공 교통 상황을 종합적으로 현시할 수 있는 항공 교통 상황 종합 현시 기능을 갖는 ADS-B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직접 구성한 ADS-B 지상 시스템과 연결하여 비행중인 항공기의 ADS-B 감시 자료와 레이더 감시 자료, 가상의 비행 정보를 수신한 뒤 현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ADS-B is a newly developed air surveillance technology to address the consistently increasing air traffic needs. ADS-B attracts attention for replacing or complementing a conventional radar since ADS-B can provide mor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with a shorter interval when compared to the radar. However, as ADS-B uses wireless data links on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n aircraft and a ground ADS-B system, and uses protocols without integrity support on exchanging information within the ground ADS-B system, a system which can monitor the operational status of an ADS-B system is essential. In this work, we design and implement an ADS-B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ir traffic situation that can show the comprehensive air traffic situation while monitor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DS-B system. The implemented ADS-B monitoring system has been verified with a configured ADS-B ground system by displaying ADS-B surveillance data, radar surveillance data, and flight information after receiving live surveillance data of in flight aircrafts, and virtual flight information data.

      • KCI등재

        항공 교통 상황 방송 서비스를 위한 중앙 집중형 TIS-B 서버 설계 및 구현

        송인성(Inseong Song),장은미(Eunmee Jang),최상방(Sangbang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2

        항공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레이더를 이용한 항공 감시가 한계에 다다르면서, 새로운 항공 감시 기술인 ADS-B가 등장하였다. ADS-B는 레이더에 비해 높은 위치 정확도와 빠른 갱신 주기를 제공하며, ADS-B 송수신기를 장착한 항공기간에는 서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모든 항공기가 ADS-B 송수신기를 탑재하지는 않으며, 서로 다른 ADS-B 데이터 링크를 사용하는 항공기 간에는 위치 정보의 송수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ADS-B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이더가 감시 중인 항공기의 정보를 방송하는 TIS-B 서비스와 ADS-B 데이터 링크를 교차하여 ADS-B 신호를 방송하는 ADS-R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ADS-B 감시 자료와 레이더 감시 자료를 통합하여 TIS-B 서비스와 ADS-R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항공 교통 상황 방송 서비스용 중앙 집중형 TIS-B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직접 구성한 ADS-B 지상 시스템과 연결하여, 비행 중인 항공기의 ADS-B 감시 자료와 레이더 감시 자료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시 자료를 이용하여 TIS-B 서비스와 ADS-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감시 자료를 생성하여 모의 방송을 하는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As a radar based air surveillance hits the limit along with the growing air traffic needs, a new air surveillance technology called ADS-B has emerged. ADS-B provides mor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with a shorter interval, and aircraft equipped with ADS-B transponders can check each other’s location. However not all aircraft are equipped with ADS-B transponders, and aircraft with different ADS-B data links cannot check each other’s location. To address these problems a TIS-B service, which broadcasts information that a radar is tracking, and an ADS-R service, which cross-broadcasts information of different ADS-B data links, have been emerg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centralized TIS-B server for broadcasting air traffic situation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a TIS-B service and an ADS-R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implemented TIS-B server has been verified with a configured ADS-B ground system, by receiving ADS-B surveillance data and radar surveillance data followed by generating surveillance data for providing a TIS-B service and an ADS-R service and simulating broadcast of those generated surveillance data.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지식 정확도와 예측변인

        안은숙(Ahn Eun Sook),김연하(Kim Yeon H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AD/HD는 유아들의 사회성, 인지발달 등 다양한 발달영역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행동장애이다. AD/HD 유아들은 특수학급이 아닌 일반 유아교육기관에서 일반 유아교사들에 의해 지도되고 있기 때문에 유아교사들은 반드시 AD/HD의 원인, 증상, 중재에 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현장에 투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종사자로 AD/HD 아동을 지도하게 될 유아교육/ 아동학 전공자들의 AD/HD 관련 지식의 정확도를 탐색하고 정확도와 관련 있는 변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과연 우리나라 유아교사 양성과정이 AD/HD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설명하고 중재방법을 가르치고 있는지를 진단해 보고, 향후 유아기 정서행동장애에 관한 교사교육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초선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과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또는 아동학을 전공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271명의 AD/HD 지식정확도과 연구대상자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AD/HD에 관한 부정확한 지식의 내용은 주로 AD/HD 원인에 관한 것이었다. 즉, AD/HD의 원인이 생물학적이라기보다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정환경, 식단 등의 환경적 요소에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향후 교사교육 내용의 초점이 AD/HD 발병원인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바로잡는 데 맞추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비 유아교사들의 AD/HD 지석정확도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는 학년, AD/HD 관련 과목수강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계적인 훈련과 교육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정확한 AD/HD 지식이 길러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AD/HD is a common behavioral disorder among preschool population. It is estimated that over 10% of preschool children are affected. Examining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n AD/HD is critical because it reflects how exactly Korea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systems address AD/HD and its treatment. This study was to explore knowledge of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Child Studies on AD/H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knowledge on AD/HD and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 total of 271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Child Stud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common miscon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AD/HD was about its causes. Over 50% of participants agreed that diets or parental upbringing can cause AD/HD but disagreed that AD/HD has a biological basis. Participants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s and more course work on AD/HD had more knowledge of AD/HD. This implies that a systematic training and education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findings about AD/HD can develop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AD/HD.

      • KCI등재

        항공 통신 기술 : ADS-B 시스템 상태 감시 및 원격 제어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장은미 ( Eun Mee Jang ),송인성 ( In Seong Song ),윤완오 ( Wan Oh Yoon ),최상방 ( Sang Bang Choi ),최상방 ( Sang Bang Choi ) 한국항행학회 201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8 No.4

        CNS/ATM을 구성하는 감시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ADS-B는 항공기와 항공기 간의 정보 교환을 통해 기존의 레이더 감시 시스템을 보완 및 대체할 수 있다. ADS-B를 지상 항공 교통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지상 ADS-B 시스템은 항공기와 ADS-B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지상장비, ADS-B/TIS-B/FIS-B 서버 등 다양한 장비가 필요하며 이들 장비는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시스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상 ADS-B 시스템의 분산된 장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원격에서 지상 ADS-B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 할 수 있는 상태 감시 및 원격 제어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상태 관리 프로토콜인 SNMP를 이용하여 지상 ADS-B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장비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ADS-B 시스템 상태 감시 및 원격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An ADS-B system, which is a critical technology in surveillance area of the CNS/ATM, can replace or compensate a conventional radar based surveillance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s among aircrafts. An ADS-B ground system which is to use the ADS-B on the ground air traffic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various subsystem devices such as ground stations that communicate with the aircrafts, and ADS-B/TIS-B/FIS-B servers. The ADS-B ground system has a form of distributed system and is inter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Therefore, a system which can monitor and control the status of the multiple subsystem devices of the ADS-B ground system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remote status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the ADS-B system that can monitor and control the subsystem devices of the ADS-B system in remote place via SNMP protocol.

      • KCI등재

        Ad hoc 네트워크에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영상 전송 시스템 구현

        이성훈,이형근 한국ITS학회 2008 한국ITS학회논문지 Vol.7 No.6

        Ad-hoc 네트워크는 중앙의 특별한 관리 체계 없이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 호스트들만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최근 Ad-hoc 멀티홉 통신시스템과 같은 확장된 개념의 Ad-hoc 망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있어 QoS에 대한 요구 수준이 증대되고 있다. Ad-hoc 네트워크는 잦은 망 구성의 변화, 라우터의 수, 제한된 사용 자원 등 기존 유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갖게 된다.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무선 ad-hoc 네트워크에 그대로 적용시킨다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Ad-hoc 네트워크 이동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Ad-hoc 네트워크에서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서 항상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기반의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전송이 성능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확인하였다. Ad-hoc network is a collection of wireless mobile hosts forming a temporary network without the aid of any centralized administration or reliable support services such as wired network and base stations. Recently, Ad-hoc networks are evolving to support multimedia contents according to expansion of ad hoc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ad-hoc network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wired network by frequent changes in network topology, number of routers and resources,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applying conventional routing protocol to ad-hoc network. The AODV routing protocol is proposed for mobile node in ad-hoc networks. AODV protocol that provides to guarantee QoS for data transmission in ad hoc networks that link break frequently occurs. In this paper, AODV routing protocol based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is implemented. We design high performance image transmission that can operate with software(AODV) for ad-hoc networks without degradation. and verify operation of AODV routing protocol on the test bed.

      • KCI등재

        자율주행차 사고와 운전자책임 : 운전자․ADS Entity 간 책임의 분화

        황창근,이중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2

        In an AV (automated vehicle), there are two drivers : not only a human driver butan ADS (automated driving system) may undertake driving tasks. When an acidenthapens during a human control, it is clear the driver shal be liable for the acidentbecause he was in charge of the driving task. But, when an acident hapens duringADS driving, a tricky question arises as to who is liable: It is dificult to blame the driverbecause he was not in charge of any driving task and thus did not breach any duty ofdriving. It is also dificult to blame the robot driver ADS because it is not granted a legalcapacity and thus not eligible to bear the driver liabilty. While the German Road and Trafic Act continues to impose driver liabilty upon ahuman even during ADS driving of an AV, the Anglo-American countries take adiferent aproach of imposing driver liabilty upon a new entiy caled ADS Entiy whois liable for the ADS driving on its behalf. This article reviews firstly what is driver liabilty and who is liable under the driverliabilty regime. It is argued that since driving tasks are alocated betwen a humandriver and a robot driver ADS, the driver liabilty should also be alocated betwen thedriver and the ADSE who sponsors its ADS. Secondly, this article argues that ADSE‘sliabilty for ADS driving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driver liabilty based upon ADS’sundertaking of driving tasks. Finaly, it is reviewed that as diferent alocation of drivingtasks betwen a driver and an ADS can be made acording to the diferent SAE levels,so can a alocation of driver liabilty betwen the two be made acording the diferingSAE levels. 자율주행차에서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시스템(ADS: automated drivingsystem)도 운전작업을 담당한다. 자율주행차의 운전자는 스스로 운전을 하거나 때로는ADS를 작동시켜 ADS로 하여금 운전하게 할 수도 있는데, ADS를 작동시켜 운전하던 중사고가 발생한 경우, 누가 사고에 대해 운전자책임을 지는지에 대해서는 복잡한 문제가 발생한다. 운전자는 운전을 담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의의무의 위반이 없고 따라서 책임추궁이 곤란한 반면, 운전을 담당한 ADS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집합체”로서 권리주체성이 없어 책임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율차 사고로 피해자는 발생했기 때문에 피해의 원상회복은 필요해 진다. 이 때 누구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추궁해야 하는가?독일에서 운전자는 자율주행 중 교통상황을 주시할 주의의무 혹은 제어의무로 부터는해방되지만 ADS의 제어권회복 요구에 대비한 주의의무는 부담한다. 따라서, 자율차 사고가 이러한 제어권회복의무 위반과 관련이 있는 경우, 운전자는 운전자책임을 진다. 반면에 영미에서는 자율주행 중의 사고에 대해서 ADS의 운전에 대해 대신 책임을 지는책임주체 ADS Entiy 개념을 고안하여 자율주행 중의 사고에 대해 일차적으로 ADSE가 운전자책임을 지도록 한다. (물론 3단계 자율차의 경우 운전자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ADS의제어권회복 요청에 대비한 주의의무를 지기 때문에 이를 위반한 경우 운전자책임과 ADSE의 운전자책임은 경합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전통적인 운전자책임의 의의와 책임주체에 대해 살펴보고, 자율주행차에서 운전행위가 운전자와 ADS 사이에 어떻게 분배되고 있는가를 살펴본 다음, 새로운운전작업 담당자인 ADS의 운전행위와 그에 대한 책임주체로서 ADSE의 운전자책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ADSE의 운전자책임의 근거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SAE 자동화 단계별로 운전자와 ADS가 어떻게 운전작업을 분배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다음, 운전자와 ADS의 운전작업 분배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자책임과 ADSE의 운전자책임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SAE 3단계부터 SAE 5단계에 걸쳐 살펴보았다.

      • KCI등재

        Ad-hoc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 구현에 관한 연구

        이흥재,가순모,최진규,Lee, Heung-Jae,Ga, Soon-Mo,Choe, Jin-Kyun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11A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은 Ad-hoc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Ad-hoc 네트워크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노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항상 최적 경로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경로 단절과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서 항상 최적의 경로를 확보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통하여 경로의 단절과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AODV를 기반으로 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였으며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안 프로토콜을 평가하였다. Ad-hoc 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가지 기반 기술의 검증을 위하여 실제의 Ad-hoc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 NAT, Netfilter등의 Ad-hoc을 위한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한 많은 이벤트 메시지를 성능 저하 없이 동작시킬 수 있는 고성능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하드웨어를 이용한 Ad-hoc 네트워크 테스트 베드에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의 정상 동작과 기존 인터넷 망과의 연동을 확인하였다.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was devised for use of mobile nodes in Ad-hoc network. When we use the AODV routing protocol in Ad-hoc networks with high mobility, disturbance of optimized route path and link break occur. In order to solve the shortcomings, this paper proposes a new routing protocol in which new routing control messages are added to the existing AODV. The proposed protocol minimizes link break and transmission delay while is able to secure the optimized route path constantly in changes of network topolog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routing protocol was evaluated by using us2 network simulator. The actual Ad-hoc network test bed provides us the most reliable experimental data for Ad-hoc networks. In order to support this experimental environment, the dissertation also developed an efficient embedded system on which AODV routing protocol, NAT, Netfilter can run and other event message can be verified without declining efficiency. The correct operation of AODV routing protocol has been verified in both the Ad-hoc network test bed in which the embedded system was used, and Ad-hoc networks linked with Ethernet backbone network.

      • KCI등재후보

        A2/AD와 Counter A2/AD: 일본과 대만의 Counter A2/AD와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

        이병구(Lee, Byeong-gu)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9 한국군사 Vol.5 No.-

        본 연구는 A2/AD 위협의 핵심적 요소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본과 대만의 Counter A2/AD 전략과 전력 운용 개념에 주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A2/AD 위협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유의미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지 · 해 · 공 · 사이버 · 우주 · 전자전 공간과 능력을 상호 긴밀히 통합하는 ‘다영역작전’ 개념을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생존성을 구비한 미사일 전력의 장사정화와 다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항공모함을 포함한 중국의 대형수상함 공격 수단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통합방공망의 발전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이버 · 우주 · 전자전 공간으로부터의 취약성을 감소시키고,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 탐색되어야 한다. 여섯째, 지휘통제 시설과 핵심 전략 자산의 생존성과 복원력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AI, 드론, 레일건, 지향성 에너지 등 소위 4차 산업혁명시대가 가능케 하는 무기체계를 한국의 다영역작전에 통합하기 위한 혁신적 구상과 계속된 실험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ey elements of A2/AD threats and suggest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Specifically, it focuses on China"s A2/AD strategies and capabiliti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and analyses both Japan"s and Taiwan"s strategies to counter them.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U.S. responses to Chinese A2/AD threat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ases of Japan and Taiwan. The Republic of Korea, Japan and Taiwan all are under the threats of China"s A2/AD, which are important common challenges in the regi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both Japan"s and Taiwan"s counter A2/AD strategies and operational concepts to deduc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ROK"s counter A2/AD strategies and capabilitie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Counter A2/AD strategies of Japan and Taiwan,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the ROK needs to develop a concept of multi-domain operations which closely integrates ground, sea, air, cybers, space, and electromagnetic domains. Second, the ROK needs to equip itself with longer-range missile capabilities and diversify them. Third, the ROK needs to acquire its own A2/AD capabilities to deny access of large surface ships including China"s aircraft carriers and reduce their operational utility in the region. Fourth, the ROK needs to further enhance integrated air defense capabilities. Fifth,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ROK develop strategies to reduce the vulnerabilities, and utilize the opportunities, which the cyber, space, and electromagnetic domains provide. Sixth, the ROK should enhance the survivability and resiliency of the command and control systems and key strategic assets. Lastly, it is necessary for the ROK to continue the experiment with innovative concepts to successfully integrate the smart weapons system, such as AI, drones, railguns, and directed energy weapon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esents, into the ROK"s multi-domain operations.

      • KCI등재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수준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유창조(Chang Jo Yoo),김광식(Kwang Sik Kim),안광호(Kwang Ho Ahn) 한국마케팅학회 2006 마케팅연구 Vol.21 No.4

        광고효과는 마케팅 분야에서 가장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된 연구주제의 하나이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광고메시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광고 크리에이티브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수준을 조작하거나 측정함에 따른 어려움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완성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광고표현방식과 브랜드명성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실험설계를 통해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완성도, 광고표현방식, 그리고 브랜드명성을 조작하였고, 주실험에서 크리에이티브 완성도에 따른 광고 창의성 요인의 차이를 확인한 다음, 이들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광고 및 브랜드에 대한 평가가 더 호의적으로 형성되었다.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수준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광고표현방식과 브랜드 명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지만,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수준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공헌,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dvertising effects have been major research themes in marketing field and several studies on these effects have been conducted. Many researchers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ad key message so far. However, very few studies analyzed the effects of ad creative level, because researcher seemed to have difficulties in manipulating or measuring ad creative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 effects of ad creativity on the ad and brand attitud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d execution style and brand reputation in these direct effects. We manipulated ad creative level, ad execution style and brand reputation through experimental design,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ose factors on ad and brand attitudes. We found that when consumers were perceived the ad`s creative level as higher, they formed more favorable the ad and brand attitudes. Although we did not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d execution style and brand reputation on ad attitudes, but we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ose variables on brand attitudes. We summarized these results, discussed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