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정수연,장정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by based on their types, units, and publishers. Moreover, we examined the changes in inquiry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textbook distribution in the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each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contained 23% decreased page-number and approximately 8% decreased inquiry activities. It is due to make a relaxation of learning burden of students, whereas to increase the ability of creative scientific inquiry. The inquiry activities of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have increased the types of SA, IP and EX compared to those of the 2009 revised. The result indicated the consistency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hich pursues a variety of student-centered inquiry. There are 22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Life ScienceⅡ in all textbooks. However, in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LS2㉡~LS2㉤ provide not all the 17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try to restructure their textbooks for enhancing students’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유형별, 단원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고,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와 비교하여 탐구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활동 예시의 교과서 분포 정도와 탐구활동 유형을 조사했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비해 지면 수는 약 23 % 감소되었고, 탐구활동 수는 약 8 % 감소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줄이되 창의적 과학 탐구 능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2009 개정과 마찬가지로 ID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9 개정에 비해 SA, IP, EX 유형이 많아졌다. 이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 것이다. 그러나 ID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이 이전 교육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고 구조화된 탐구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Ⅱ에서 제시하고 있는 탐구활동 예시 22개가 교과서별 탐구활동 유형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2009 개정 생명과학Ⅱ에서는 탐구활동 예시 17개를 모두 제시하지 못한 교과서가 있으며, 이는 LS2㉡~LS2㉤이다.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출판사별로 탐구활동의 빈도,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교사는 탐구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들이 탐구활동 유형을 제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오윤정(Oh Yoon jeong),장지영(Jang Ji young),유효숙(Ryu Hyo suk),김성원(Kim Sung won),이현주(Lee hyun ju),최경희(Choi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건강, 기후 변화, 대기, 물, 생물 다양성, 생태계, 숲, 에너지, 재해 예방 및 축소, 토양의 총 10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2007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10개 준거 가운데 6개의 준거가,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7개의 준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주제가 통합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2~3개 단원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과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과학과에서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정의와 관점을 진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영역과 내용 체계, 학습 목표, 주제, 교수-학습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교육에 관련된 지식과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단원에서 다양한 주제와 접근 방식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2007-revised and 2009- revised. Analyse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developed 10 criteria such as health, climate change, atmosphere, water, biodiversity, ecosystem, forest, energy, disaster reduction and management and soil. The results showed that 2007-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6 criteria, and 2009-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7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ing systemized teaching material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can be integr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by pursuing the following tasks: First, the go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need should be st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class content, themes, objectives,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produced. Third, within science curriculum, the content should deal with perspectives and topics beyond environmental perspective, to issues such as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so as to earn better understanding of knowledge and concept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지권) 영역에 대한 종적 연계성 분석과 미국 차세대과학기준과의 비교

        이윤아 ( Yun A Lee ),이효녕 ( Hyo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지권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 종적 연계성을 분석하고 미국 차세대 과학기준(NGSS) 과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종적 연계성 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육과정 내 지권 영역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권 영역의 연계성 결여 내용을 중복, 격차, 지도시기 역전의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NGSS의 주요한 핵심개념에 대한 종적 연계성을 분석하였고 우리나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권영역 내 연계성이 결여된 부분은 총 16곳으로 중복 12 건, 격차 3 건, 지도시기가 역전된 부분은 1 건이다. NGSS는 연계성이 결여된 부분을 찾아보기 힘들고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내용이 심화되어 있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초등학교 2학년까지는 교육과정 상에 과학이 명시된 바가 없고 연계성 결여 부분이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은 NGSS와 비교하여 종적 연계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체계성이 부족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articulation i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the unit of ‘geosphere’ and to compare its findings of articulation with NGSS. The articulation, such as repetition and disparity, was analyzed by using terms extracted from the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ck of articulation includes 12 repetitions, 3 disparities and 1 reversal of content introduction order.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the NGSS is deepened and extended systematically from pre-school through to high school level.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clear science curriculum in place for students in pre-school through to second grade elementary in Korea. There are cases where the scientific notions go beyond the level of the targeted students. In comparison with NGSS, there is a lack of systemization and articulation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 분석

        정명현(Jeong, Myeonghyeon),유인성(You, Insung),민소원(Min, Sowon),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지난 수십 년간 과학의 본성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과학의 본성 반영정도와 그 수준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Abd-El-Khalick et al. (2008)의 과학의 본성 정의를 반영하여 구성된 이정원 외(2016)의 NOSAT(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융합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의 영역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융합과학과 통합과학 모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과학의 본성 영역은 이론, 관찰추론, 사회문화로 나타났다. 두 교과서 모두에서 암시적인 관점의 서술의 비율이 명시적인 관점의 서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두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을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출판사의 과학의 본성 서술 방향에 따라 과학의 본성의 빈도 및 명시성의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교과서 집필방향에서 명시적인 서술이 더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일부 과학의 본성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 현상을 줄이고 각 과학의 본성 영역이 균형 있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importance of the nature of science has been emphasize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egree of reflection and the level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s advancing as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rom ‘2009-revised-curriculum’ to ‘2015-revised-curriculum’. The area and level of the NOS in ‘Convergence-science’ of ‘2009-revised-curriculum’ and ‘Integrated-science’ of ‘2015-revised-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e 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NOSAT) which Lee Jeong-won et al. (2016) had made reflecting the definition of the NOS by Abd-El-Khalick et al. (2008). As a result of our analysis, the area of the NOS that appeared most in both ‘Convergence-science’ and ‘Integrated-science’ was ‘Theory’, ‘Inference’, and ‘Social and Cultural embeddedness’. In both textbooks of the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implicit point of view was higher than that of explicit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OS in the textbooks, the frequency and the extent of the explicit descriptions of NOS diffe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toward the nature of science of which each publisher writ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licit descriptions in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and to reduce the phenomena that are biased toward the certain area of NOS and balance each area of NOS.

      • KCI등재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 I, II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활동 비교 분석

        심규철,이혜진,한화정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paratively the utilization factors and STS-related factors in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of life science I & II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according to 2009 and 2015 revisions of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science writing. The total number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life science textbooks increased by 1.8 tim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utilization factors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was the most common in the lif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both 2009 and 2015 revisions of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daily life of the STS-related factors of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was the most common in the lif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09 and 2015 revision of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implie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 science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containing various utilization factors and STS-related factors for science writing education. 본 연구는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활동의 활용 요소와 STS 관련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생명과학 I, II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활동의 수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양적으로 1.8배 증가하였다. 또한, 생명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활동의 활용 요소 분석 결과,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모두에서 적용 및 확장 요소가 가장 많았다. 생명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 활동의 STS 관련 요소 분석 결과, 생활 속 과학 요소가 가장 많았다. 이로부터 생명과학 교육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활용 요소와 STS 관련 요소가 포함된 과학 글쓰기 교육프로그램이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김현경(Kim Hyunkyung),임희준(Lim He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제비교인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의 평가목표가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항목이 가장 많았던 영역은 생명과학 영역이었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목표 중에서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의 구분’, ‘살아남는 자손의 수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전략’, ‘환경 상태에 대한 동물의 반응’,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특징과 그렇지 않은 특징의 구별’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내용들도 있었다. 물상 영역의 경우 TIMSS 2019 평가틀의 4학년 평가 목표 중에서 ‘힘과 운동’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지구과학 영역의 경우는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물상과학 영역의 ‘힘과 운동’, 지구과학영역의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다루지않고 중학교에서부터 다루고 있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 단원의 신설, 새로운 성취기준이 추가됨으로 인하여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TIMSS 4학년 과학 평가틀의 일부 평가 목표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포함되는 변화를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for 4th grade and Korea 2009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It was biological science area that inconsistency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and Korea science curriculum was the most. The topics were not included in Korea science curriculum not only elementary level but also middle school level were ‘distinguish groups of animals with backbones from groups of animals without backbones’, ‘identify and describe different strategies that increase the number of offspring that survive’, how different animals respond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physical science, none of the 4th grade objectives of the TIMSS 2019 assessment framework is address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or force and exercise . In the case of the earth science, there is nothing that is not cover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for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al location . The subjects of strength and movement in the physical science field and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 location in the earth science field were not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but from middle school level.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TIMSS science objectives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as increased as integrated chapters and some new objectiv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ere added in recent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TIMSS 2019의 8학년 화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김현경 대한화학회 2020 대한화학회지 Vol.6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ight topics in TIMSS 2019 8th grade chemistry domains and the Korea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our elementary and four 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majors, and two science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analyzing in which grades the content elements of the TIMSS 2019 science framework are covered in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he study also analyz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matches the 246 items of 8th grade in the TIMSS 2019 assessment and reflects in which grades the eight topics are 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IMSS 2019 evaluation topics, topics not covered at all in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were periodic table, matter and energy in chemical reactions, the role of electrons in chemical bonds. Second, the topic of "the periodic table as an organizing principle for the known elements" needs to be introduce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opics such as “familiar exothermic and endothermic reaction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action rates" need to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international curricula. Third, the next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the sequence of chemistry contents and scope, especially core concepts to be included in the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curriculum is linked to continuity.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9 중학교 화학 영역의 8개 주제를 우리나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지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4명과 중학교 교사 4명은 각각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전공별로 참여하여 총 8명의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2명이 참여해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중 TIMSS 2019 과학 평가틀의 화학 내용이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TIMSS 2019 평가에서 8학년 대상의 246 개 문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이 일치하는지 분석하여 8개 주제가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도 분석에 반영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MSS 2019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는 주기율표, 화학 반응에서 물질과 에너지, 화학결합에서 전자의 역할이었다. 따라서, ‘원소를 규칙에 따라 배열하는 주 기율표’에 대한 주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변의 발열 반응이나 흡열 반응’, 그리고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관한 주제도 국제적인 흐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하거나, 수 준을 고려하면서 내용 등을 재구성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화학 내용과 범위, 특히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될 개념의 범위와 순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종적 연계성 분석 및 미국 차세대 과학 기준(NGSS)과의 비교 연구: 지구과학 기권과 수권을 중심으로

        김국현 ( Kuk Hyeon Kim ),이효녕 ( Hyo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각론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지구과학의 기권과 수권에 해당되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연계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분석된 내용을 미국 차세대 과학기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현황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각론에 제시된 성취기준 및 교과서의 용어를 추출하여 연계성 결여 요소(중복, 격차)를 1차 분석하고 미국의 NGSS와 2차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한 종적 연계성 결여 요소는 중복 12건, 격차 2건이 있었다. 또한, 교과서의 연계성 결여 요소는 중복 43건, 격차 4건이 나타났다. NGSS에서도 중복 6건, 격차 1건의 연계성 결여 요소가 있었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NGSS에 비해 성취 기준을 세부적으로 안내하고 있는 반면, 연계성에서 부족함을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연계성을 강조한 교과서 개발과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articulation i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units ‘hydrosphere and atmosphere’ and to compare the findings of articulation with NGSS. The articulation, such as repetition and disparity, was analyzed by using terms extracted from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ck of articulation includes 12 repetitions, 2 disparities. In addition, the lack of articulation about textbook includes 43 repetitions, 4 disparities. The NGSS had 6 repetitions and 1 disparity. Finally,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refers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more specifically than NGSS, but still shows the problem of lacking of articulation. In conclusion,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needs to strengthen the strong point and accept NGSS’s articulation system for making next curriculum.

      • KCI등재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조광희(Jo Kwa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통합형 과학 및 사회 교과목의 성취기준 문장을 분석하여 특징을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고등학교 과 학에서는 총 169 사례 중에서 특정 개념어를 ‘이해한다’는 진술 방식이 가장 많았다. 고등학교 사회에 해당하는 총 292 사례 중 에서도 목적어는 개념어가, 서술어는 ‘이 해한다’가 가장 빈번하였다. 전체적으로 사회 교과목에서 목적어나 서술어의 종류가 과학보다 다양하였다. 그리고 두 교과목에서 모두 최근 교육과정일수록 소수 조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였고 목적어와 서술어의 빈도 분포도 유사하였다. 또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라 인지적 영역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과학과 사회 성취기준은 지식 차원 중 개념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 중 ‘이해하다’ 범주에 집중적 으로 해당되었다. 반면에 두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탐구는 성취기준 진술에 서 명확히 드러나지는 않았다. 이를 토대로 새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덧붙였다. In this study, we analysed and compared sentenc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integrated science and social studies in the 7th,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high school.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high school science courses, ‘to understand some concepts’ were the most common type among totally 169 cases. Similarly, concepts or concepts explanation was the most frequent object and ‘to understood’ was the most frequent predicate out of 292 cases in social studies of high school courses. There were more types of objects and predicate in cases of social studies than those in cases of science. In both subjects, a few combinations were used more often in more recent curriculum and they had similar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of objects and predicates. We did further analysis focusing on the cognitive domain by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found some common things. The majority of target sentences were classified into conceptual knowledge in the knowledge dimensions and ‘understanding’ category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n science and social studies, together. However, inquiry did not reveal clearly in the result even though two subjects were inquiry-oriented. Based on these, a few suggestions were added for the new curriculum revision.

      • KCI등재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김은주 ( Eun Ju Kim ),이진숙 ( Jin Suk Lee ),이훤 ( Xuan Lee ),김대현 ( Dae Hyu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현재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현장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2명의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활용은 `과학 수업과 평가의 통제적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으로의 이해와 `평가중심 활용에 무게`를 두고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 수업의 이정표의 의미로 성취기준을 이해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과학 수업과 평가 상황에서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과 핵심으로 층위가 나뉜다고 이해하고, 핵심 성취기준에 대한 양과 수준의 정선 문제를 제기하였다. 한편 과학과 성취기준의 활용 측면에서는 학기 초 교육과정 업무 해결을 위하여 끼워 맞추기식 양상과 평가 활동을 위한 활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관심과 교육과정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고 과학 성취기준을 정선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행정적·재정적 지원 및 장학과 관련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quality of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for teachers implementing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achieve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participants, and the qualitative contents method was used to analyze interview contents. According to the interview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scribed as a phenomenon that teachers implementing achievement standards regarded achievement standards as usual, while focusing on evaluation in school. To make clear of this phenomenon, we classified it into two main dimensions. One is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by implementing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other is its application. Teachers regarded achievement standards as a criterion, but did not have much attention to it during class time. Furthermore, teachers point out the problems caused by lacking available support materials and the material about core achievement standards. When teachers implemented achievement standards, they prefer to give class to students based on textbooks rather than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y usually use it as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three suggestions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curriculum and it is a must for teachers to have more concerns about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to develop accessible support materials for teachers; Third, to improve curriculum implementation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