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세기 초 규훈서 연구

        황수연 ( Su Yeon Hwa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규훈서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시기 규훈서의 특징과 의의를 살피기 위해 작성되었다. 19세기~20세기 초는 여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었고 여성 교육 담론이 활성화되었으며 교육 텍스트가 양산되는 등 특기할만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에 비해 이 시기 여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15세기부터 18세기에 제작된규훈서를 살핀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이전 시기에 비교해 19~20세기 규훈서의 지속적 측면과 변화된 면모를 살펴 규훈서를 사적으로 조망하였다. 본 연구에서 19~20세기 초 개인이 작성한 규훈서 총 23편의 목록을 제시하였고 규훈서의 작자, 구성과 서술 방식, 내용을 살핌으로써 규훈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작자는 사대부 유학자가 여전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전 시기에 비해 신분이 다양해졌다. 15~18세기의 작자가 유교 이념을 보급하고 내재화하기 위해 규훈서를 작성한 반면, 19~20세기 초 작자는 유교 이념을 회복하여 무너지는 국가와 윤리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자 규훈서를 작성하였다. 戒/誡, 訓, 鑑, 範, 須知등의 제명에 따라 규훈서의 구성과 서술 방식이 달라지며 서간과 유서의 형식도 존재한다. 항목화 되고 간략화 되는 특성과 하강의 구조를 갖고 있는규훈서도 보인다. 규훈서에서 효와 열, 남녀의 분별 등의 가치가 여전히 중요시되며 강조되고 있으나 보수적인 유교 이념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내용이 보이기도 한다. 부부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편과 아내모두 자신의 책임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이는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순종을 요구하던 모습과는 다른 지점을 보이는 것이다. 교육주체자로서의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고, 금기 조항이 새롭게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은 당시의 세태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규훈서를 통해 여성의 일상생활과 문화를 엿볼 수 있고 여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양상을 추적할 수 있어 규훈서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 규훈서 자료의 적극적인 발굴과 가훈서, 수신서, 전통 윤리교육서, 계녀서, 여성 작가 규훈서 등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up the list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and to clarit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em. There were the heighten of the interest and the activated discourse about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were mass-produced in that time. However, there are few study about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As the follow-up study, this research surveyed the continuous and changed aspects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I suggested total 23 lists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which was written by the individual. I studied the writer, composition, the narrative style and the contents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There were the many nobleman who were a Confucian scholar as a the writer still, but there were the various status pers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While the writer in the 15th thru 18th wrote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to extend and internalize the Confucianism, the writer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made them to revive and to make declining discipline stand up. The composition and the narrative style depends on the title like 戒/誡, 訓, 鑑, 範, 須知. There were the letter form and the last will and the testament style. Some tex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ation and simplicity. Some text had the structure of descent. The value like the filial duty, integrity and the distinction between sexes were emphasized still in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but there were deviational contents from the Confucianism. Some writer mentioned that if a couple keep the conjugal relations well, the husband and the wife had to accomplish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each other. This mention shows different point from the one-side demand on the wife in the 15th thru 18th. The stress on the role of the mother as an educator and new forbidden behavior appeared. These situations reflected social conditions of that time. Because we can know the daily life and the culture of the women`s through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and chase the change of the realization of the women`s, the study on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has the important meaning. We have to find the mor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and need to compare with the text on the family education, the traditional moral texts, female writer`s text on the women`s education.

      • KCI등재

        명대 백화단편소설의 번역과 전유 ― 18C-20C 전반기 영역본(英譯本)을 중심으로

        김소정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2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in which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began to be translated at the beginning time of missionary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and European imperialist expansionism. Since the first translation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it has been continuously translated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s a result,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was appropriated by the times that encountered unexpected Western readers.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context of translation, translation strategy and appropriation aspects of the English translation version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first translations were published through indirect translations based on French translations. Since the 19th century, a direct translation based on the Chinese original text appeared, the principle of faithful translation was emerg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ll translators were Westerners, and most of the translations were enclosed in popular newspaper or magazine, and the publishing areas spanned global cities such as London in England, Sail in Australia, Yokohama in Japan, Edinburgh in Scotland, Hong Kong, Guangdong and Shanghai in China. By the 19th century, Chinese Vernacular short stories has been widely spread to global cities. Compared to Western translators, Chinese translators did not appear until the 20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the translators preferred direct translation rather than indirect translation, and many anthology-type books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aim of the translator, domestication or foreignization strategy in translation was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target language culture, the extent of appropriation has often increased. 본고는 명대 백화단편소설이 18세기에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이후 20세기 전반기까지 약 200년 동안 영어권 독자들에게 수용되어간 상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서양인 선교사의 선교활동과 유럽의 제국주의적 확장정책이 시작될 무렵에 번역되기 시작하여,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번역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번역본이 나온 시간적 순서에 따라 번역의 맥락과 특징 그리고 전유 양상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18세기에 나온 최초의 번역은 불역본을 통한 간접번역이었으며, 19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중국원전에서 직접 번역하기 시작했고 원문에 충실한 번역태도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 번역의 주체는 모두 서양인이었으며, 발표지면은 대부분 대중적인 신문잡지였고, 출판지역은 영국 런던, 오스트레일리아 세일, 일본 요코하마,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중국의 홍콩, 광동, 상해 등 글로벌 국제도시에 두루 걸쳐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인 번역가가 비로소 출현하였고 앤솔로지 형식의 단행본이 많이 출간되었으며 번역가의 번역의도에 따라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충실하게 또는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 KCI등재

        명대 백화단편소설의 번역과 전유

        김소정(Kim, So-Jung)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2 No.-

        본고는 명대 백화단편소설이 18세기에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이후 20세기 전반기까지 약 200년 동안 영어권 독자들에게 수용되어간 상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서양인 선교사의 선교활동과 유럽의 제국주의적 확장정책이 시작될 무렵에 번역되기 시작하여,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번역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번역본이 나온 시간적 순서에 따라 번역의 맥락과 특징 그리고 전유 양상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18세기에 나온 최초의 번역은 불역본을 통한 간접번역이었으며, 19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중국원전에서 직접 번역하기 시작했고 원문에 충실한 번역태도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 번역의 주체는 모두 서양인이었으며, 발표지면은 대부분 대중적인 신문잡지였고, 출판지역은 영국 런던, 오스트레일리아 세일, 일본 요코하마,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중국의 홍콩, 광동, 상해 등 글로벌 국제도시에 두루 걸쳐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인 번역가가 비로소 출현하였고 앤솔로지 형식의 단행본이 많이 출간되었으며 번역가의 번역의도에 따라 명대 백화 단편소설은 충실하게 또는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in which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began to be translated at the beginning time of missionary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and European imperialist expansionism. Since the first translation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it has been continuously translated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s a result,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was appropriated by the times that encountered unexpected Western readers.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context of translation, translation strategy and appropriation aspects of the English translation version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first translations were published through indirect translations based on French translations. Since the 19th century, a direct translation based on the Chinese original text appeared, the principle of faithful translation was emerg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ll translators were Westerners, and most of the translations were enclosed in popular newspaper or magazine, and the publishing areas spanned global cities such as London in England, Sail in Australia, Yokohama in Japan, Edinburgh in Scotland, Hong Kong, Guangdong and Shanghai in China. By the 19th century, Chinese Vernacular short stories has been widely spread to global cities. Compared to Western translators, Chinese translators did not appear until the 20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the translators preferred direct translation rather than indirect translation, and many anthology-type books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aim of the translator, domestication or foreignization strategy in translation was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target language culture, the extent of appropriation has often increased.

      • KCI등재

        19세기․20세기 초 문인들의 제 망녀문(祭亡女文) 속에 드러난 애도(哀悼): 『19세기․20세기 초 여성생활사 자료집1-9 』수록 제 망녀문을 대상으로

        김현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5 No.-

        This paper is for summarizing 19th Century & early in the 20th century’s Mang-nyo-Jeamun [亡女祭文; message of condolence for daughter], and analyzing their expressions of mourning. Sorrow and Woman, two rare elements on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can be found in these Mang-nyo-Jeamun at a time, so I set these proses as text for analysis. All these 15 Mang-nyo-Jeamun, a speaker’s crack of listener’s identity seem to provoke the expression of sorrow. The beginning part of Mang-nyo-Jeamun, father-speaker of these texts- calls the daughter-listener of these texts- who is not here, and blame himself on his daughter’s absence. At this point, adversities of daughters emphasize instead of customary compliment of the Dead, and it cause father’s expression of sorrow and self-reproach. Foregoing father’s sorrow and self-reproach make an interruption to develop typical Mang-nyo-Jeamun. In traditional Jeamun, the identity change of listener must be accomplished. But in these proses, the identity of these prose’s listener are still remain as “poor little daughter of mine”, not a spirit. And speaker of these proses also remain as “basket-case father”. So all he can speak is his grief. This tendency of description can be a proof that 19th Century & early in the 20th century’s Mang-nyo-Jeamun has much lyricism than that of earlier periods. 이 글은 『한국 문집총간』을 중심으로 19세기․ 20세기 초에 존재했던 한국 한문학 작품의 작자들이 지었던 딸을 제사지내는 글인 ‘제망녀문’의 전체적 양상을 살피고, 그들이 글 속에서 드러낸 슬픔의 표현 양상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쓰여졌다. 슬픔이라는 감정과 여인이라는 대상이 주되게 표현되지 못했던 한국 한문학의 서술 전통 속에서, 딸에 대한 ‘애도’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대상으로서 ‘묘도문자’라는 전통 속에서의 ‘제망녀문’이 적합할 것이기에 주 분석 대상을 제망녀문으로 삼았다. 『한국 문집총간』 19세기, 20세기 초 15여 편의 망녀제문은 말하는 자가 느끼는, 말 걸기 대상(듣는 자)에 대한 인식이 균열되는 데에서 ‘슬픔’의 형상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제문의 전개에 따른 ‘말걸기 대상’의 인식 추이와 제문의 화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문에서 표현되는 슬픔의 형상화를 살펴서 망녀제문의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했다. 일단, 제문의 시작 부분에서 듣는 대상인 ‘지금 없는 딸’을 부르며 바로 그렇게 된 것은 못난 나 때문이라는 관계설정을 함으로써 이전시기 제문에서 보이던 딸들의 훌륭한 점들이 서술 되는 부분이 축소되거나 딸의 고난상이 동시에 부상되면서, 상대적으로 그렇게 책임이 있는 아버지의 슬픔이 ‘자책과 자기비하’의 내용으로 전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앞서 표출된 ‘부재하는 딸’이 촉발하는 ‘딸을 보내고 만 못난 아버지’의 슬픔 토로는, 이제 제문이 마무리되면서 일어나야 하는 현상, 즉 ‘딸’을 음지의 존재, 살아있는 자들을 보우하는 ‘(鬼)/神’으로 재인식하는 현상도 원활하게 전개되지 못하도록 한다. 자신의 아픈 마음을 비추어 보아 딸의 영(霊)역시 편하지 못할 것이라는 감정의 투사체로써 딸을 생각할 때, 딸의 ‘혼령’ 으로서의 정체 변환은 완성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혼령으로서의 딸의 정체를 정착시키면서도 나의 그리움과 아쉬움을 어떻게 풀 수 있는가는 제문을 쓰는 아버지들에게 또 하나의 과제가 되어 여러 가지 해법을 생각하게도 하지만, 결국은 딸의 정체를 ‘지금 없는 딸’ ‘너무나 그리운 대상’ 으로 다시 돌려놓고 그에 대해서 돌아오라고 절규하거나 꿈에서 만나자고 회유하는 서술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딸의 정체 변환을 목적으로 하는 제문의 본래적 서술이 균열되면서 드러나는 슬픔의 형상화는,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망녀 ‘제문’에 대한 정통적 작법에서 벗어나는 ‘서정성의 심화’가 본격적이고 적극적으로 전개되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 19-20세기 전환기 폴란드 농민 계층에서 나타난 음식 문화의 변화상 연구

        김용덕(Kim, Yong-Deo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2 동유럽발칸학 Vol.14 No.1

        대외적 역학 관계 속에서 격동기를 보낸 폴란드에 있어, 19-20세기 전환기는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시기였다. 전 부문에 걸쳐 현재 폴란드의 기본 골격이 바로 이 시기에 형성됐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폴란드 농민 계층의 식생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음식 문화의 전통이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지속되고 변천되었는지를 살피는데 있다. 19세기말까지 폴란드 농민 계층의 음식 문화는 당시 사회를 지배하던 가릭과 고유한 슬라브 전통에서 유래하는 관습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들이 처해있던 경제 상황으로 인해 다른 사회 계급과 비교하면 열악한 상태에 놓여있었다. 이것은 당시 폴란드 농촌의 음식 문화가 자급자족의 원칙 아래 소비를 최소화하고, 그 결과 채식과 조식을 중심으로 하는 식단이 계절성을 띠며 매우 단조로웠던 것에서 기인 한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오면서 폴란드 농민의 음식 문화는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무엇보다 시장 경제의 지배 아래 구매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음식이 제한을 받던 현상이 사라져버리며 중식 중심이라는 도시 스타일이 정착하게 된 것이다. 이런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농민 계층의 소득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생활수준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가능해진 결과였다. 이제 폴란드의 농민 계층은 문화적, 사회적인 고립 상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요리를 받아들이는 등 음식에 많은 관심을 쏟으며 미처 깨닫고 있지 못하던 욕구를 충족시키려했다. 19세기까지 귀족, 시민 그리고 농민 계층 간에 존재하던 계급 차별성으로 인해 토속적 특성을 유지하던 폴란드 농민 계층의 음식 문화가, 20세기로 넘어오면서 전국적인 성격을 띠던 도시 모델을 추구하게 된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one aspect of Polish culture at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modern time to the current time. By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food culture among Polish peasants, it will show how the tradition of food customs continu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historical event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food culture of Polish peasants was influenced by the Catholics, who were ruling the society at that time and the tradition of Slav. Most of all, due to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y were in, peasants were in inferior conditions compared to other social classes. Under the principle of self-sufficiency, they minimized their consumption. As a result, their menu was centered around vegetables and breakfast, and it was seasonal and quite simple. There were also strict rules and tabooed regulations that were imposed on traditional peasants’ food customs. However, in the 20th century, peasants food culture went thorough drastic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market economy, the consumption of products was increased and the restrictions on food started to disappear and city style of food culture centered around midday meal started to establish. These changes were possible as the income of peasants and the living conditions were increased. Now Polish peasants have gotten out of cultural and social isolation and started to accept new dishes. They try to satisfy their newly found interest in food. Until the 19th century, class discrimination among the nobility and the populace-peasants affected the tradition of peasant food culture. However, in the 20th century, peasants started to pursue a city model that has a nationwide characteristic of Poland.

      • KCI등재

        19세기∼20세기 전반 한문학 자료의 원천콘텐츠로서 가치

        김보성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39 No.-

        ‘Cultural contents’ refers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media and contents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exts, pictures, films, and cultural assets through multimedia technology. 'Contents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refers to cultural heritage created by mankind, so it must be reviewed by establishing specific criteria such as period or genre.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was limited to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is is because it has not been reviewed relatively in connection with cultural contents. The cultural contents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studied focusing on historical facts including literary narratives, bureaucrats' experiences of work or travel, poems about the living space or surrounding objects of royalty and scholars, diaries of scholars, and records of various stories.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se classic writings have elements of ‘killer content’ or to continue research to find another cultural contents.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contains many materials that arouse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early 20th century put forward emotionally sympathetic content.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two periods, in general, arouses readers' interest with new materials and passionate content without citing the works of representative writers of East Asia or widely known historical events. Therefore, classical literature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s considered to be qualified as a source of cultural content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of this period,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the method of translation. ‘문화콘텐츠’는 매체를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문화 정보나 그 내용물 또는 글·그림·영화·문화재 등 문화적 성격을 가진 내용물을 멀티미디어 기술을 통하여 산업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통틀어 이른다. ‘문화적 성격을 가진 내용물’은 인류가 축적한 문화유산을 총칭하므로 그 내용물의 창작 시기나 장르 등 세분화된 기준을 세워서 살필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시기상 ‘19세기∼20세기 전반’, 장르상 ‘한문학’에 국한해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이 범주는 비교적 문화콘텐츠와 연계해서 설명되지 못한 면이 있다. 그간 한문학 자료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살핀 연구는 문학적 서사를 내포한 역사적 사실, 관리의 부임지나 여행에 관한 경험, 왕족이나 사대부의 생활 공간 혹은 주변 사물을 읊은 시문, 사대부의 일상 기록,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잡록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 소개된 자료가 스토리텔링의 영역에서 이른바 ‘킬러 콘텐츠’가 되기 위한 요소를 갖추고 있는지 검증하는 작업과 또 다른 문화콘텐츠를 찾아내는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유의미한 결과가 축적될 것이다. 19세기 한문학 자료는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소재를 광범위하게 내포하고 있고, 20세기 전반 한문학 자료는 정서적 공감을 일으키는 내용이 한 차례 콘텐츠화 되어 있다. 두 자료는 대체로 동아시아 전통에서 바이블이 된 문장 대가와 그의 작품, 혹은 널리 알려진 전고와 고사를 재차 인용하지 않으면서도 참신한 소재와 내용으로 향유자의 흥미을 끌어낸다.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키고 정서적 울림을 제공하는 내용을 갖춘 19세기∼20세기 전반 한문학 자료는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서 자격이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다만, 이 시기 한문학 자료의 원천콘텐츠로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번역의 가공 정도를 치열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투고논문 : 19세기 말∼20세기 초 전통 지식인 한시의 문학사적 성격 검토 -척암(拓菴) 금도화(金道和)의 경우-

        김윤규 ( Yun Kyu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3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친 한시는 한국문학사에서 충분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시기에 실제로 한시가 문학 창작의 한 중요한 대세였는데도 문학사적으로 쇠퇴기의 한 조류로 받아들여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특히 영남 사림의 전통적인 지식인에 의해 창작된 한시들은 양적으로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민족적 의지와 독립정신 및 철학적 자기인식에 있어서 문학사적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었다. 척암 김도화의 작품들도 그런 주목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는 당대 영남 지식인의 중심인물이었으며, 초기 의병활동의 가장 중요한 지도자로 국난을 극복하는 데 앞장을 섰다. 이런 외부적 활동이 그의 업적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척암의 한시는 문학적 조명을 받지 못하고 의로운 자기선언의 도구로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척암의 시는 그의 公的 자아만이 아니라 私的 자아 역시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그의 시들은 외면적으로 강고한 독립의 의지와 불굴의 지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성격은 그의 전기적 사실과도 부합하여 그의 시에 강한 외면적 성격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사적 내면을 노해한 시들은 그의 부드럽고 세심하며 자연을 사랑하는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민족의 위기에 분연히 일어선 민족지사이면서 동시에 작은 사물에도 다정한 눈길을 주는 시인이며 가족적 고난에 눈물 흘리는 따뜻한 가장임을 드러내고 있다. 그의 만년이 되면 척암은 이런 모든 공적인 활동과 사적인 감회가 하나로 통섭되어 자연 속에 흐르는 일체가 되는 것을 시로 보여준다. 척암을 통해, 전통적 지식인으로서 시인은 자신의 역사적 사회적 장면에서 공적인 선언으로 시를 짓고 있음을 알게 하였으며, 동시에 개인적 감동을 가진 인간으로서 문학적 창작을 남긴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문학사적 전환기에 창작된 작품이라고 해도 그것이 쇠퇴기의 작품이라고 문학적 조명이 주어지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척암의 한시들은 문학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며, 이런 작업을 통해 20세기 초의 한시들이 정당한 문학사적 평가를 받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ino-Korean poem of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did not get enough attention in the literary aspect. Sino-Korean poems were practically the main stream of creative works of the era, though it is considered to be the vanishing tre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However, poems written by the sino-Korean intellectuals of the time, especially those from Yong-Nam, were the core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the intense conscience of reality and the indomitable independent conscience consist one of the important topics of the time. The poems of Cheok-am Kim, Do-hwa(拓菴 金道和, 1825∼1912) also have the literary values. Cheok-am was the core leader of Yong-Nam intellectuals, and was also a patriot who took the lead as civil forces protecting national sovereignty. Because of his deeds, his poems were understood based on his historic moves, and all his literary works were considered as the replacement of his societal remarks. However, every individuals have both public-self and private-self, and Cheok-am`s poems also share his public statements and private statements. The poems showing strong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deal with topics of conservative patriotism, independence, or enragement. On the contrary, poems of private characteristics show tender, careful and nature-loving features. At the last days of his life, he shows the insight to let every, public or private, activities colligate and flow as one natural stream. I would like to correctly perceive two subjects. One is, works of any figures who are considered to have historic characteristic have to also have emphasis on the features of private-self in the literature field. The other is, in case that a work is from the time of literary transforming era, the work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for having literary features of past era. In this point of view, Cheok-am`s poems deserves attention. He is an outstanding patriot, and at the same time, tender poet, as well as has created valuable works well enough to be mentioned in history of literature of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여성 교훈서의 ‘복수 일화’와 그 의미

        김기림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교훈서는 사회적 요구 및 규범이나, ‘정의’라고 생각하는 내용을 제시하여 사회의 질서와 안정을 도모한다. 반면, 복수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 물질적 피해를 입었을 때, 피해자가 되돌려 갚는 행위이다. 복수에는 폭력이 반드시 수반한다. 그러므로 복수는 사회 질서와 안정을 무너뜨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말, 20세기 초 여성을 대상으로 한 교훈서에는 복수 일화들을 싣고 있다. 부인언행록,여학(사편)에서는 복수 항목을 신설하여 여성 덕목으로 전면화했고, 기타 여성 교훈서들은 정렬 및 효행 범주에 복수 일화를 새로 넣어, 21편 정도의 복수 일화가 있다. 여성들은 아버지, 남편 등 가장을 위해 복수하고, 그것은 가(家)를 위한 것이며, 혼자 실행하고, 오랜 고통을 견뎌내며, 불의한 가해자를 응징한다. 이 시기 여성교훈서는 복수를 여성 덕목으로 내세우는가 하면, 아버지와 남편을 위한 효열로 규정했고, 정의를 이루는 것이라는 인식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여성 교훈서 속 복수 일화 편입은 당시의 사회적 요구 내지 정의와 밀접하다. 당시 조선은 외세의 침탈과 일본의 내정 간섭으로 국력이 약화되고, 결국 나라를 잃었다. 이 과정에서 ‘국(國)’ 중요성이 부각되고, 국(國)의 부강과 망국의 원수에 대한 응징이 사회적으로 요구되었다. 또 가(家)와 국(國)의 연계성이 강조되고, 나라의 구성원으로서 규정되었다. 여성들이 ‘국민 구성원’으로 포섭되면서 여성의 덕목도 변했다. 즉 여성 교훈서는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아버지와 남편은 여성의 하늘로 규정되었고, 이런 관계는 임금과 신하의 관계에 비견되었다. 여성의 효행과 정렬은 나라와 임금을 위한 충으로 확장하여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또 당시 가와 국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는데, 여성의 복수는 가(家)의 존속을 위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가(家)를 위한 복수는 나라를 위한 복수로 확장하여 사유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처럼 19세기 말,20세기초 여성 교훈서는 복수 일화를 첨가함으로써, 여성으로 하여금 가(家)를 넘어 나라를 위한 책무를 수행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The lesson book presents social demands and norms, or what we think is 'justice', to promote order and stability of society. Revenge, on the other hand, is the act of returning and paying back when the victim is physically, mentally, or physically damaged.,Revenge therefore breaks down social order and stability. Nevertheless, the book for women's disciplin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carry revenge anecdotes. bu-in-eonhaenglog(부인언행록) yeohagsapyeon여학(사편)create a new revenge item. Another book for women's discipline has multiple stories that are in the category of alignment or filial piety. They are about 21 episodes. Women get revenge for their fathers and husbands, this revenge is for the family. This revenge is for the family and accomplished by women alone, enduring pain for a long time, and punishing an vicious offender. The book for women's discipline during this period defined revenge as a virtue of women or as a filial piety for fathers and alignment to husbands, and implied the perception that justice was achieved. The inclusion of multiple stories in books that teach women is related to social needs and definitions of the times. At the time, Joseon was invaded by foreign countries, and Japan became involved in Joseon's reign and eventually Joseon lost its country. In the process, the importance of the country was highlighted and society called for punishment of the country's wealth and the enemy who ruined the country. In addition, the idea of family being connected to the country and being a member of the country arose. Women were defined as members of the state and women's virtues changed. In other words, books that teach women reflect the social situation and social needs of the time. Traditionally, women have had to obey their fathers and husbands, and these interrelationships resemble those of kings and subjects. The book for women's discipline is intended to elicit the heart or thoughts of loyalty to the country and the king based on the filial piety and alignment of women. At that time, there was also an idea that the family and the country were connected. Therefore, revenge for the family can be equated with revenge for the country. So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revenge stories were added to the book for women's discipline, thus encouraging women to perform their duties for the country, an area that is more extended than family scope.

      • KCI등재

        19~20세기 강우(江右) 문인(文人)의 김강산(金剛山) 유람(遊覽)과 한시(漢詩)

        문정우 ( Jung Woo Moon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8

        본 연구에서는 19~20세기 강우 문인의 금강산 유람의 목적과 금강산 한시의 情景 표출양상을 살펴보았다. 19~20세기 강우 지역 문인에게 금강산 유람은 흥취와 풍류의 목적이 아니라 계획을 세우고 결단하여 찾아가는 소중한 경험의 국토 순례였다. 금강산 유람의 또 다른 의미는 遊山과 함께 서남쪽 바다가 아닌 망망대해의 동해 바다를 함께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觀海의 결과 정신 경계를 드넓혀 우주적 이치를 탐험하고자 하는 지적자극까지 받았다. 금강산을 유람하고 지은 한시의 정경 표출 양상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금강산의 아름다움과 웅대한 규모 앞에 인간의 왜소함, 슬픔과 상실, 선계에 대한 동경, 탈속지향적 정신세계보다는 바탕과 문식의 조화를 떠 올리며 자연의 이치에 몰입하여 순수하게 감탄하는 감상법을 취하고 있었다. 둘째 금강산 한시가 동적 심상이 주조를 이루는 반면 19~20세기 강우 문인의 금강산 한시에는 靜寂의 요소가 근저에 자리 잡고 있었다. 靜的인 기반 위에 動的 심상을 사용하여 비애의 감정으로 흐르거나 격한 표현에 그치지 않았다. 셋째 19~20세기 강우 문인의 금강산 한시에는 자아성찰과 反求諸己의 정신이 담겨 있었다. 그 이유는 강우 문인이 금강산을 찾아 나선 것은 결국 금강산이 아니라 자신을 탐험하고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떠난 여행이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취한 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19~20세기 강우 문인의 한시의 정경 표출은 금강산이라는 객체에 치우친 것이 아니라 창작 주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표출되어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금강산 한시의 표출 양상에서 일정한 전형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그러한 특색은 강우 문인 사이에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었다. 이 점은 19~20세기 강우 문인의 금강산 한시가 가지는 중요한 국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Gangwoo scholar`s Mt. Geumgang sightseeing tour in 19~20th centuries is not for enjoying the scenery but for having the important expeditionary experiences of majestic feature of East-sea. They are encouraged finally great reality of universe and grand psychical world. The main descriptions of their poetry from Mt. Geumgang sightseeing are summarized as following 3 contents; The first is the genuine self-effacement from the scanty human being, disappointment and despair of living, yearning utopia, feeling natural harmony and reality as meeting with the holly and wonderful Mt. Geumgang scenery. The second is in general the image of Gangwoo scholar`s poetry standing upon the silent, emotional passion but not falling into mournful and violent expressions. The third is the self-reflection spirit in their poetry of the Gangwoo scholar`s Mt. Geumgang sightseeing planning for the purpose of intensive self exploring project.

      • KCI등재

        여성 이야기를 통해 본 20세기 초 소설 시장의 변모 -이해조 <원앙도>,<모란병>을 중심으로-

        주형예 ( Hyung Ye Jo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2

        이 논문은 소설 시장이 19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어떤 방식으로 연계되며 성장했는지 여성 이야기를 대상으로 하여 논의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9세기를 이어 20세기 소설 시장에서도 여전히 여성이야기가 중요한 소재였으나, 이야기를 포착하는 서술 시선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여성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새로운 서술자/소설가의 등장과 관련된다. 새로이 한글 소설시장에 진입한 서술자/소설가는 전대의 독자를 승계했지만 자신이 자라온 시정의 통속적 유흥과 상식의 시선을 견지하였다. 이는 여성 이야기를 여성 독자들의 욕망에 동일시하여 전개하였던 전대와 비교하여 좀 더 당대의 일반적 시선을 여성 이야기에 투영시킨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여성 이야기의 보편적 성향은 여성을 수동적 반응과 윤리적 영역에 가둬 놓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at novel market was how to grow. Major interest is what methods relate to the 20th centuries novel market and the 19th centuries market. For this, I analyzed women- arratives that are read in that time. As a results, women-narratives were still popular in the 20th centuries novel market, but a narrater was not identical. This phenomena is related new novelist appeared. They newly entered the Hangeul-novel market and succeeded a previous market readers, but held on civic common sense. Compared to the women narratives of the previous market, that of the 20th centuries are more general. But new women narratives caused women character become passive and impounded in the moral bound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