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쟁점과 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 -제3국 출생 탈북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돋움한국어』의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홍혜란 ( Hong Hye-ran ),유소영 ( Yoo So-young ),최수정 ( Choi Su-jeong ),김령 ( Jin Li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본고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관한 연구로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그간 이루어진 한국어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 중 요구분석 연구의 성과를 집중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실제 지도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아동, 재외동포 아동, KSL 초, 중, 고등학생 등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한 지도서의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지도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 원리를 첫째, 수업 준비와 운영의 흐름을 고려한 구성 체제, 둘째, 아동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활동 구성, 셋째, 효율적인 수업 준비를 돕기 위한 내용의 이원화, 넷째, 대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 오류 클리닉 제공, 다섯째, 수업 운영의 편의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업 보조 자료 개발의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실제 지도서에서의 적용 예시를 보였다. 이 연구는 교사의 요구분석 내용을 지도서에 반영하고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지도서 체계와 내용을 마련한 교사용 지도서의 실제를 보여줬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s guidebook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Korean textbooks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guidebook is also intend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fore developing an actual teacher’s guidebook,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relevant studies to collect result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In addition, the various factors that a teacher’s guidebook must address were analyzed, including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children;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KS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sition, and the contents and principles necessary for teachers’ guidebooks were established. The following are five principles for developing a teacher’s guidebook fo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o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is study: 1) a system of composition considering the flow of class preparation and management; 2) class activit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 learners; 3) dualization of contents to help efficient class preparation; 4) providing learner error clinics based on contrast analysis; and 5) development of class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convenience and utilization in classroom operation.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examples of applications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show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 teacher’s guidebook based on a system and contents that consider both teachers and learners’ variab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nd the guidebook that it created will enhance Korean textbooks and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 KCI등재

        2011 개정 실과 교사용 지도서의 ‘가정생활’ 영역 단원체제 및 내용 분석

        김형균(Kim Hyung G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사용 지도서‘가정생활’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의 단원체제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1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모든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가정생활’영역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교사용 지도서 단원의 체제, 교수·학습지도안, 보충자료 내용요소, 수행평가 내용과 지필평가 문항 수 이었다. 이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의 유형은 강의법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앞으로 개발될 지도서에서는 강의법 보다는 실과 교수·학습 방법과 밀접한 문제해결 교수·학습법, 프로젝트법, 실습법등이 많이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된 보충자료의 양과 내용의 수준은 교사가 교수·학습 중에 활용할 수 있기에 충분할 정도는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분석 결과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개발될 지도서는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풍부한 보충자료들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된 수행평가 문항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는 다양한 수행평가의 유형이 더 많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넷째, 현행 실과지도서를 분석한 결과 지필평가문항 대부분이 이원목적분류에 의한 내용영역, 행동영역, 난이도에 관한 분류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점은 평가의 기준과 근거 방법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앞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units on the ‘Family Life’ domains of practical arts teachers’ guide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previous 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Six teacher’s guidebooks published in 2011 were analyzed. Analysis criteria include contents, time allocation, lesson plan, supplementary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1. All six teacher‘s guidebooks were rather well designed and composed of former and detailed exposition. 2. Each guide-book contain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3. The contents in 6 teacher’s guidebooks was mostly similar. But there wa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teacher’s guidebooks The teachers’ guidebooks provide teachers with sufficient complementary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teach practical arts. Guidebooks under this study need to be reformed. More studies on the teacher’s guidebooks and developmental study for the model guidebooks is needed along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실과 교사용 지도서의 ‘기술의 세계’ 영역 단원체제 및 내용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사용 지도서 ‘기술의 세계’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의 단원체제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1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모든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 ‘기술의 세계’영역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교사용 지도서 단원의 체제, 교수·학습지도안, 보충자료 내용요소, 수행평가 내용과 지필평가 문항 수 이었다. 이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성은 출판서간 대·중단원의 시수의 차이가 너무 지나치게 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앞으로 개발될 지도서에서는 실과 교수·학습 방법과 밀접한 문제해결 교수·학습법, 프로젝트법, 실습법등이 많이 개발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에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는 전단원에 꼭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된 보충자료의 양과 내용의 수준이 단원과 지도서 별로 어느 일정 수준의 양과 질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는 최근 일선 학교에서 지필평가를 지양하고 다양한 수행평가의 유형이 더 많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앞으로 지필평가는 지도서에서 가급적 제시되지 않는 편이 평가의 실용성 측면과 수행평가를 강조하는 현장의 현실적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units on the ‘World of Technology’ domains of practical arts teachers’ guide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research materials, Six teacher’s guidebooks published in 2011 were analyzed. It was divided into ‘contents’, ‘time allocation’, ‘lesson plan’, ‘supplementary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to analysis of content organization. All six teachers guidebooks were rather well designed and composed of former and detailed exposition. Each guide-book contain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The contents in 6 teacher’s guidebooks was mostly similar. But there wa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teacher’s guidebooks The teachers’ guidebooks provide teachers with sufficient complementary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teach practical arts. Guidebooks under this study need to be reformed. More studies on the teacher’s guidebooks and developmental study for the model guidebooks is needed along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It will provide an analytical perspective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comparing various types of teachers’ guidebooks.

      • KCI등재

        학습자 말뭉치에 기반한 문법 오류 수정 방식 분석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문법 영역에 대하여-

        조인옥 ( Joe¸ In-ok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교사용 지도서란 교수자의 원활한 수업 진행을 돕고 교재의 활용 효과를 높여 주는 교육 자료이다. 한국어 교재 개발과 함께 교사용 지도서도 개발되어야 하지만 아직 지도서 간행과 연구에 대한 관심과 속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을 살펴보고, 현재 개발되어 있는 교사용 지도서의 일반적인 구성과 내용을 점검해 보았다. 특히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문법 수업의 어려움과 실제 학습자가 발화하는 오류에 대한 처치 방법을 교사용 지도서가 담고 있는지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중에는 학습자가 발화한 문법적인 오류 문장들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수정 방안을 기술한 지도서는 거의 없으며 있다 해도 예문의 개수와 설명이 부족하여 보완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학습자들이 어려워하고 자주 틀리는 오류를 경험적으로 기억하고 주관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학습자가 발화한 말뭉치 자료를 바탕으로 전형적이고 다양한 오류 문장을 추출하고 그에 대한 원인 분석과 수정 방향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가 한국어 교재 및 교사용 지도서에서 학습자 문법 오류와 수정방향을 탐색하는 연구의 단초가 되기를 희망하며 추후 실용적인 문법서 개발과 한국어 학습자 문법 오류 사전 개선에도 유용하게 쓰이게 되기를 희망한다. The teacher's guidebook is an educational material that is supposed to help instructors smoothly conduct classes and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using textbook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teacher guidance should also be developed, but interest and speed in the publication and research of the guidebook are not yet high. This paper examines the analysis of teachers' needs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 and examines the general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urrently developed teacher's guide.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whether the teacher's guide contains the difficulties of grammar class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nd how to deal with errors uttered by actual learn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re are few guidebooks presenting grammatical error sentences uttered by learners and describing corrective measures, the number and explanation of example sentences are insufficient, so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Rather than empirically remembering and subjectively explaining errors that learners find difficult and often make mistakes, teachers need to extract typical and diverse error sentences based on the corpus data uttered by learners, analyze their causes, and suggest correction direc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research on learner grammar errors and correction directions in Korean textbooks and teacher guides, and that it will be useful in developing practical grammar books and improving Korean learner's grammar error dictionary.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초등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발문 유형 분석

        김경아 ( Gyeong Ah Kim ),이형철 ( Hyeong Cheol Lee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6 초등과학교육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estion`s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books of 5, 6th grade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 modified analysis framework based on Blosser`s classified system was used to analyze 1,982 questions extracted from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books by grade, by domain, and by teaching and learning s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1,982 questions, the most prominent type of question was the propositional question and the following was the reproductive question. And, in comparing the question`s patterns between 5, 6th grade, it was found that 6th grade had higher rate of close typed question, while 5th grade had higher rate of open typed question in its curriculum. Secondly, a comparative study about two domains, material and energy science domain and earth and life science domain, showed that the number of questions of each domain was not much differ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propositional questions and applicable questions showed a higher rate in material and energy science domain, and anticipated questions and open typed questions including divergent and evaluative question showed higher rate in earth and life science domain. Moreover,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from integration and my fun research domain`s contents was small, the rate of open typed questions was higher than any other domains.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question`s pattern in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the rate of reproductive question and anticipated questions was high at the stage of introduction. At the stage of development, the rate of propositional and reproductive questions was high. At the stage of conclusion, the rate of synthetic and applicable questions was high.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유치원지도서』에 수록된 동요 분석

        김상림(Kim, Sang-Lim),이희경(Lee, He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 유치원지도서에 수록된 동요를 장르, 주제, 노랫말의 형식, 음악적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동요 선정의 적합성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5세 누리과정 유치원지 도서에 수록된 동요 43곡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르는 대부분 창작동요였다. 둘째, 주제별로 분석하면 ‘동식물과 자연’에 많은 동요가 수록되었으며, ‘우리나라’와 ‘나와 가족’에 적은수가 수록되었다. 셋째, 노랫말의 형식은 문답형과 반복형이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음악적 요소를 살펴보면 4/4박자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장조와 바장조가 대다수였으며, 대부분 한도막 또는 두도막형식이었다. 또한, 음역은 전체적으로 ‘a(낮은 라)’부터 ‘d"(높은 레)’ 사이였으며, 대부분의 동요가 8도 또는 9도의 음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정에서는 반음계정 음정이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최고 음정의 도약은 4도와 6도였고, 전래가락은 일부에서만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5세 누리과정 유치원지도서에 수록된 동요는 유아가 부르기에 적합한 노랫말의 형식, 박자, 조성, 음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대체로 적합하게 선정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장르와 주제가 다소 편중되었으며, 일부 곡에서 높은 음역과 큰 음정의 도약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국가 수준에서 제작하고 보급한 본 유치원지도서가 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향후 동요 선정에 보다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songs in Teacher"s Guidebooks of『Nuri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5』. A total of 43 children"s songs from 11 Teacher"s Guidebooks were analyzed by genres, themes, forms of words, and musical elements. The analysis by genres showed that a majority of children"s songs were modern with a few of traditional ones. Themes that were most frequently used included animals, plants, and the nature. A majority of children"s songs were in ‘question and answer’ and ‘repetition’ in forms of words. The analysis on musical elements showed that the common features included 4/4 in meters, C Major or F Major in keys, 8 or 16 measures in length, and western musical scales. This study also discussed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the light of the results.

      • KCI등재

        3-5세 누리과정 과학교육의 내용 분석: ‘과학적 탐구하기’를 중심으로

        정유정(Jung Yoojung),오주은(Oh Joo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누리과정) 5개영역 중 자연탐구영역에 제시된 과학 활동의 내용구성 및 접근방식을 연령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총 674개의 ‘과학적 탐구하기’ 활동이며, 각 활동의 생활 주제, 과학 내용요소 및 활동유형과 접근방법을 누리과정과 과학교육 문헌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연령별 분포 경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특정 생활주제와 내용요소에 상당수의 활동이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활동유형별 분포는 전 연령에서 대소집단-자유선택-바깥활동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조형활동과 교구를 통한 과학교육 접근법이 줄고 언어와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접근법이 주가 되어 제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누리과정의 과학적 탐구 활동이 구체적 경험과 탐색을 통한 학습이라는 유아교육 원리와는 다소 다른 방향으로 치우쳐 분포되어 있음이 지적되었다. 끝으로 유치원 현장의 균형적 과학교육을 위한 시사점 및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ience education in Nuri curriculum for Age 3 to 5 children, focusing on contents and methods of scientific exploration activities in teacher guidebook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7 activities specified as scientific exploration among 2099 activities in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These activities were analyzed through two criteria for classifications - contents and methods . The results showed that lots of the activities more likely contain certain themes(four seasons, animals&plants, tools) and content areas(learning living things & nature environment, using tool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activities for 5 year olds are presented in forms of circle time, using more verbal form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cientific exploration activities presented in teacher guidebooks contain proper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for science education and whether these activities evenly keep the balance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is study may promote understanding about the scientific activities in teacher guidebooks, and can be helpful to people who want to develop new guide books or revise them.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분포 및 연결망 분석

        서현정(Seo, Hyunjung),조부경(Cho, Boo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측면에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 교육내용의 분포 및 연결망을 분석하여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 중 지속가능발전 교육내용의 분포를 파악하고 생활주제와 교육내용에 대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영역의 교육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 ‘지역문화’를 다룬 활동이 가장 많았다. 생활주제로는 ‘우리 동네’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생활주제와 지속가능발전교육내용과의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지역문화’와 ‘건강과 안전’은 ‘건강’과 높은 연결정도를 나타냈다. 셋째,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지역문화’, ‘민주시민’, ‘건강’이 공동 참여 연결망에서 강한 연결성을 나타내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통합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ntents and network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re reflected and connected in teacher"s manual for 5-year-old"s Nuri curriculum and to propose how to implement ES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the research team analyzed contents and networks of teacher"s manual (eleven themes) for 5-year-old"s Nuri curriculum based on ESD. It was found that social sustainability, especially activities that deal with ‘local culture" was the most emphasized contents in teacher"s manual for 5-year-old"s Nuri curriculum. Second,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 demonstrated strong connection between ‘our country’ and ‘local culture,’ as well as ‘health and safety’ and ‘health.’ Third, strong connection among ‘sustainable product and consumption,’ ‘local culture,’ ‘democratic citizen,’ and ‘health’ proved their significance within ESD networks. By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mplementing ESD in Nuri curriculum and proposed ESD should be integra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오택환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Korean textbook of 7th curriculum. It is to improve new curriculum and textbook for high school. The present Korean textbook has much improved that of the past. So 'Learning Together Activity' take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textbook. Nonetheless, It is revealed insufficiency and inadequacy of the descriptive of teaching-learning method. Textbook is the most direct resource for the actual Korean institution and the media as actualization of curriculum. The critical Analysis of High school textbooks for learning activity in writing necessary for the design of new curriculum and textbook. I hope the problems that paper pointed out could help good Korean textbook about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this discussion must be a foundation stone to recover and reinforce essential on Korean education. we expect more practically developed design of Korean textbook in High school. 이 연구는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될 국어 교과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는 ‘학습활동’이 이전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 활동’이 교수-학습이 미비하고 부족하게 서술되어 있다.국어 교과서는 실제 국어 수업이 이루어지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이자, 교육과정을 구체화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 개발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학습 활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논의는 국어 교육의 기초와 본질적인 강화가 될 것이다. 보다 실제적인 진보를 이루는 교과서의 개발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