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Analysis on Suspense Setting as a Narrative Technique in Blind

        He De-Min(하덕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드라마와 영화 등 과학기술 발전에서 파생된 시각예술이 탄생하기 전에, 소설, 오페라, 연극의 서스펜스 설정은 이러한 예술작품의 발전의 축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문학예술 탐구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드라마와 영화는 문학예술의 재창조, 서스펜스 설정 역시 문학예술의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예술적인 탐구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영상예술로 서의 가장 중요한 미학은 서사적이고, 영화의 매력은 이야기의 매력이다. 서스펜스 설정은 서사를 다루는 기법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의 간절한 소망과 뜨거운 관심을 자극하는 심리상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스릴러 영화는 언제나 정교하게 깎아내는 정교한 구성의 스릴러를 통해 그들의 모험적인 심리를 구현하고자 한다. 〈블라인드〉는 스토리는 단순하지만, 서스펜스 설정을 통해 영화 관람에 대한 시청자들의 욕망을 불러일으키고 있어 영화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영화 〈블라인드〉는 인물과 갈등, 우연성, 줄거리, 시청언어, 색채, 편집 등을 분석해 영화 서스펜스를 설정하는 기법을 연구한다. Before the rise of TV shows and movies such as derived from the technology developed in the visual arts, fiction, opera and drama of suspense,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line of development of such works of art, which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literature and art to explore. TV shows and movies are re-creation of art and literature, suspense because its important position in literature and art, and video ar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to explore. Narrative is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mechanism for film art, and it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harm of storytelling. As one of the devices of narrative, suspense can arouse the expectation and concerns from the audience. Suspense movie often by suspense build audiences for a plot, delicate and complex maze of the ornament to meet their psychological needs of the “adventure”. Despite the relatively simple storyline and the old-fashioned content, Korean movie Blind still successfully aroused the audience’s curiosity and brought itself reputation by skillfully implanting suspense. By analyzing the plot, narrative time and space, as well as narrative perspective of Blind, The use of narrative to learn the relevant theories of suspense in the film to create mechanism analysis and the versatile application of suspense in films and TV.

      • KCI등재

        The Analysis on Suspense Setting as a Narrative Technique in Blind

        하덕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Before the rise of TV shows and movies such as derived from the technology developed in the visual arts, fiction, opera and drama of suspense,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line of development of such works of art, which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literature and art to explore. TV shows and movies are re-creation of art and literature, suspense because its important position in literature and art, and video ar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to explore. Narrative is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mechanism for film art, and it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harm of storytelling. As one of the devices of narrative, suspense can arouse the expectation and concerns from the audience. Suspense movie often by suspense build audiences for a plot, delicate and complex maze of the ornament to meet their psychological needs of the “adventure”. Despite the relatively simple storyline and the old-fashioned content, Korean movie Blind still successfully aroused the audience’s curiosity and brought itself reputation by skillfully implanting suspense. By analyzing the plot, narrative time and space, as well as narrative perspective of Blind, The use of narrative to learn the relevant theories of suspense in the film to create mechanism analysis and the versatile application of suspense in films and TV.

      • KCI등재

        하이더의 균형이론을 적용한 관객의 정서적 변화 연구: 카타르시스와 서스펜스를 중심으로

        윤홍규 ( Hong Gue Yu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하이더의 균형이론을 적용하여 영화의 긴장도에 따른 관객의 정서변화와 이를 통한 시청 재미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등장인물의 호감도는 조절 변인으로서, 관람자의 감정적 동일시는 매개 변인으로서, 관객의 정서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종합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긴장도 높은 영상을 본 집단이 긴장도 낮은 영상을 보았던 집단보다 더 강한 서스펜스를 느꼈다. 두번째, 관객이 좋아하는 등장인물일수록 관객은 서스펜스를 더 강하게 일으켜 호감도의 조절 효과가 증명되었다. 세 번째, 영화의 긴장도가 서스펜스에 미치는 과정에서 관객의 감정적 동일시가 매개로 서스펜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네 번째, 영화의 긴장도가 관람자의 정서변화인 카타르시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서스펜스 또한 매개로 카타르시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영화 관람자가 서스펜스를 크게 느낄수록 영화의 재미와 만족도가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 본 관객의 정서 변화인 카타르시스와 서스펜스는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 속에서 사람들의 공감을 극대화함으로써 강렬한 감동을 주는데 핵심적인 심리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관객은 이를 통해 등장인물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즐길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기 전공자를 대상으로 실험 연구함으로서 배우가 관객과 교감하는데 있어 자연스럽고 공감하기 적절한 감정의 연기가 필요하다는 데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사회 심리학의 이론을 적용하여 영화에서 관객이 느끼는 정서 변화를 연구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pplied Haider’s balance theory to examine changes in the audience’s emotion according to the tension of the movie and its impact on the enjoyment and satisfaction of watching. In addition, how character’s likeability, a controlling variable, and viewer’s emotional identification, a mediating variable, was verified through a comprehensive experim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watched the high-tension video felt stronger suspense than the group that watched the low-tension video. Second, the more the audience likes the character, the more suspense it arouses, prov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ikeability. Third, in the process of the film’s tension affecting suspense, the audience’s emotional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spense. Fourth, in the process where the tension of a movie affects catharsis, which is a change in the viewer’s emotion, suspens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catharsis. Lastly, the more suspense the movie viewer felt, the more fun and satisfaction the movie was. Therefore, catharsis and suspense, which are emotional changes in the audience examined in this study, can be key psychological phenomena that provide strong emotion by maximizing people’s empathy with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movie. Therefore, catharsis and suspense, which are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audience examin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key psychological phenomena in impressing people by maximizing empathy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film, and through this, the audience can constantly communicate and enjoy the character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acting with natural and empathic emotion for actors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experimental research on acting majors,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study the emotional changes felt by the audience in the film by applying the theory of social psychology.

      • KCI등재

        Investigating the Psychological Impact on Suspense Film Viewers - Focusing on the Effect of Outcome Uncertainty and Information Disparity

        전창의 한국영상학회 202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1 No.6

        This empirical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impact of suspenseful experiences on film viewers. Suspense is an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 characterized as an anxious state of mind. Although it can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outcome uncertainty and the information disparity between the protagonist and the viewer. Despite suspense being a complex and continuous response that is challenging to observe,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measured it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is study attempts to observe and analyze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of suspense film viewers by measuring their skin conductance level (SCL) and heart rate (HR), in addition to collecting self-report data as a complementary metho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outcome uncertainty and the information disparity in a given situation contribute to the degree of suspense. To test this hypothesis, two suspenseful films were manipulated, and psychophysiological and self-re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viewers (N=40) and analyzed. The psychophysiological data analysis reveals that SCL, associated with emotional arousal, exhibited intriguing trends, whereas the hypotheses were not supported by the psychophysiological data and the self-report items. These findings suggest a connection between SCL and the level of suspense experienced by viewers. The paper concludes by addressing the study’s limitations and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a psychophysiological approach.

      • KCI등재

        감각과정을 통한 갈등경험과 서스펜스: 서스펜스패러독스의 해결

        안의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5

        It is thought that suspense requires uncertainty, but we often experience suspense in response to film stories when we know their outcomes. The socalled “paradox of suspense” is an argument for the conclusion that our emotional response to film stories is irrational. Although many solutions to the paradox have been suggested, the issue has not been properly settled.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this paper proposes a perceptual process of experiencing suspense instead of a cognitive process of suspense. Then, it goes on to explain how the perceptual process induces suspense of re-watching films. Conclusions and further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서스펜스는 관객이 영화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는 불확실성에서 발생한다고 정의된다. 따라서 관객이 영화를 재시청하는 경우에는 이미 보았던 영화이기 때문에 그 내용과 결과를 아는 상황에서 서스펜스를 경험할 수 없어야 한다. 하지만 재시청의 경우에도 관객은 서스펜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위 “서스펜스패러독스”라고 언급되는 이러한 이슈는 인간의 영화에 대한 감성반응이 모순적이라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서스펜스패러독스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설명이 시도 되었지만 아직도 이 이슈는 논쟁의 중심에 있다. 이 논문은 서스펜스패러독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감각적 정보처리 과정에 초점을 맞춰 서스펜스의 발생과정을 고찰하였다. 영화의 재 시청 상황에서 어떻게 감각적 과정이 서스펜스를 유도하는지 본문에서 설명하였고 기존의 서스펜스 이론과 비교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마지막으로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스토리 수용자가 경험하는 서스펜스 이론: 클라이맥스에 근접할 때 겪는 감정반응

        안의진(Euijin Ah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5 No.4

        서스펜스는 스토리 수용자의 관심과 주목을 유도하는 핵심 반응으로 간주 되고 있다. 그러나 서스펜스를 설명하는 기존 이론들은 서스펜스의 개념과 서스펜스를 발생시키는 요인들에 대하여 서로 간에 많은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 논문은 기존 서스펜스 이론들의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이론들이 부정적인 결과 회피를 중심으로 하는 심리 반응으로서 서스펜스를 이해한 것과 달리, 이 논문은 서스펜스를 부정적 결과를 회피하려는 동기뿐만이 아니라 긍정적 결과를 추구하는 동기를 모두 포함하는 심리현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긍정적 결과이든 부정적 결과이든 상관없이 스토리 수용자가 중요한 클라이맥스 결과들에 가깝게 다가간다고 느낄 때 경험하는 감정 반응으로서 서스펜스를 제안하였다. 스토리 수용의 맥락에서 그러한 서스펜스 반응을 유도하는 세 가지 서스펜스 유발사건 형태도 제안하였다. Suspense is regarded as a key response that induces the audience’s interest and attention in a story. Existing theories on suspense, however, are widely varied in their conceptualization of suspense as well as their explanations of the factors that generate suspense. This paper propos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resolves this issue. In contrast to theories that understand suspense as a psychological response for avoiding negative outcomes,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suspense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that is motivated by both the desire to avoid negative outcomes and to pursue positive outcomes. Based on this framework, this paper conceptualizes suspense as the affective state that the story’s audience experiences when it feels close to approaching a climactic outcome, regardless of whether that outcome is positive or negative. This paper proposes three types of suspense-evoking events within stories that induce such responses.

      • KCI등재

        영화 내러티브의 정보 통제

        장우진(Chang, Woo Jin) 한국영화학회 2013 영화연구 Vol.0 No.58

        A film narrative is a system of controlled informations. In this research, the focalization and plot of Christopher Nolan’s Following(1988) is analyzed to show how story informations can be controlled in order to achieve the narrative goals in film noir. The narrative of Following is structured in a dual frame. The outer frame(#1∼3 and #67∼68) narrated by the grand narrator is a narrative with zero focalization. The 1<SUP>st</SUP> frame narrative(#4∼12 and #58∼66) in which Bill appears as a storyteller is a narrative with external focalization. In the first half of this frame(#4∼12), the story informations comes from Bill and it helps spectators feel empathy for him. In the other half of it(#58∼66), because the story informations comes from not Bill but a policeman, spectators can be surprised with Bill. The 2nd frame narrative(#13∼ 57), a story told by Bill, is a narrative with internal focalization through Bill. But the deviations from internal focalization through Bill are found two times. The surprise and suspense of this film occur due to these deviations. In short, the control of quality and quantity of story information through the changes of focalization and levels of narration makes it possible to occur mystery, surprise and suspense for spectators in this film noir. Besides, this film has a very complicated syuzhet.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story information of this film is also controlled by syuzhet and this shows that Following focuses more on surprise which is distinct in film noir than suspense.

      • KCI등재후보

        <싸이코>(1960)의 두 시선

        안상원(Ahn, Sang-w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1 No.-

        서스펜스의 대가로 이야기되는 히치콕의 영화들은 트릭들의 단순한 모음이 아니다. 그의 영화들에는 다양한 문화적 함의들이 숨겨져 있으며, 이는 늘 암시적인 방식으로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한다. 특히 <싸이코>(1960)는 이러한 함축적 차원이 매우 절제된 방식으로 암시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싸이코>는 전형적인 스릴러의 면모와 실존적 차원의 표현이라는 면모를 동시에 갖춘 영화다. 관객 심리의 조작이라는 점에서는 에이젠슈테인과 동일한 성향을 노출하지만, 모호함의 표현이라는 부분에서 에이젠슈테인과 궤를 달리하는 히치콕은 고전적 스타일과 모던 스타일을 혼합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던한 성향을 내보인다고 할 수 있다. The films of Hitchcock cannot be considered as a simple set of tricks, although he is considered as master of suspense. Various cultural connotations are hidden in his films, connotations which are referred by allusion. Especially, Psycho(1960) is a case where this implicative dimension is expressed by a very restrained way. Psycho has both aspects as an stereotypical thriller and as an expression of the existential dimension. Hitchcock, who shares with S. M. Eisenstein the tendency of manipulation of the spectator but differs from him in regard to the expression of ambiguousness, appears as an postmodernist in the meaning of coexistence of the classical style and the modern style.

      • KCI등재

        『도둑맞은 편지』의 서스펜스 구조 재현 : 인식양태를 중심으로

        신혜정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추리소설『도둑맞은 편지』(The Purloined Letter)의 인식양태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 번역가의 인식양태 번역 전략이 텍스트와 독자 간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한다. 원문(source text: ST)과 번역문(target text: TT) 간 인식양태 대조와 TT 간 대조 및 번역 양상 파악을 위해『The Purloined Letter』의 한국어 번역 5종을 분석하였다. 인식양태는 ‘명제의 사실 여부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므로 범행 동기나 범행 증거 등 사건과 직접 관련된 정보만큼이나 추리소설 독자에게 중요한 사건 단서를 제공한다. 화자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확신의 강도가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 독자는 전달된 정보를 신뢰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추리에 적용한다. 인식양태는 추리소설에서 사건 정보를 제공하는 서사 장치의 하나로 독자의 호기심과 긴장감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ST 저자가 의도한 인식양태의 의미와 강도가 변함없이 TT에 전달되어야 TT 독자도 ST 독자와 같은 독자 경험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TT 5종은 TT에서 ST보다 인식양태 확신 강도가 약화되는 번역 경향을 보였다. 번역가가 ST에 없는 인식양태 표현을 번역 과정에서 추가하여 TT의 확신 강도가 약화되는 방식으로 주로 나타났다. 정언명제(categorical assertion)는 양태 표현을 쓰지 않아 화자의 확신 강도가 가장 강하게 드러나는데, 이러한 정언명제에 확신 정도가 약한 표현(‘-겠’, ‘-ㄴ/ㄹ 지도 모른다’ 등)을 써서 TT의 확신 강도를 약화시켰다. 번역가의 선택으로 인해 ST의 확신 강도가 TT에서 다르게 번역되고 TT 전반에서 일관성 없는 인식양태 번역이 계속된다면 이는 TT 독자에게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결국에는 텍스트의 ‘느낌’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확신 강도 약화와 일관성 없는 번역의 문제는 TT 독자가 알아챌 수 없는 문제라는 점에서 번역가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lation patterns of epistemic modality in The Purloined Letter, Edgar Allan Poe's mystery novel. It analyzes how the translator's translation strategy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 Five Korean translations of The Purloined Letter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epistemic modal meaning represented/expressed in the target text (TT) with that of the source text (ST). Being "concerned with the speaker's confidence or lack of confidence in the truth of a proposition expressed"(Simpson 1993: 48), epistemic modality provides clues to the case that are as important to mystery readers as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case, such as the motive for the crime or evidence of the crim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mmitment to the truth of the information the speaker provides, the reader decides whether to trust the information conveyed and use it for their reasoning. In mystery novels, epistemic modality functions as a powerful narrative device that control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der, thus influencing the reasoning process. A skillful use of epistemic modal expressions stimulates the reader’s curiosity and heightens suspense. For the TT readers to have the same experience as the ST readers, the translator must consistently convey the ST’s epistemic meaning and modal value (e.g., high/medium/low) to the TT. The five Korean translations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a translation tendency in which the degree of certainty was weakened in the TT compared to the ST. The degree of certainty was weakened in the TT due to the low-value epistemic modal expressions added by the translators in the translation process. Categorical assertions are ‘epistemically non-modal’ propositions, which represent the highest degree of commitment to the truth of a proposition expressed. Instead of categorical assertions in the ST, the TT translators used low-value epistemic markers in Korean, such as ‘gess’ and ‘ji-do-mo-leun-da.’ If the speaker’s degree of certainty represented in the ST is translated differently in the TT, and if inconsistent translation of epistemic modal patterns continues throughout the TT, this may cause confusion in TT readers and can eventually change the “feel” of the text. These problems are undetectable by the TT readers, who read translated Korean versions only, but it is a measure that requires close attention from translators.

      • KCI등재

        로만 폴란스키의 영화에 나타난 불안과 공포의 미학

        김형주(Hyung-J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폴란스키의 영화는 폭력과 공포로 얼룩진 폐쇄 공간 속의 인간을 일관된 주제로 삼아 동시대의 불안정과 폭력의 경향, 사회 가치로부터 고립된 개인의 무능력과 고독을 제시하고, 그가 꾸준히 제기해 온 존재의 근원적 공포를 다룬다. 이 연구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들에서 보이는 독창적이고 고유한 연출스타일의 분석을 통해 영화 속에 나타난 불안과 공포의 미학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스펜스 구축의 고전적인 원리와 다채로운 이미지 직조술에 기초한 그의 영화 스타일에서 보여주는 닫힌 상황 속에서 무력한 개인이 겪는 곤경, 알 수 없는 외부세계로부터 숨통을 조여 오는 공포의 기운, 야만적 폭력에 깨어지는 인간의 신념은 로만 폴란스키 영화와 흔히 연결되는 테마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aesthetic of anxiety and horror in Roman Polanski’s films, focusing on 〈Rosemarys baby〉, 〈Chinatown〉, and 〈Ghost Writer〉. Polanski’s films, of which main concern lies in veritable human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closed space which is stained violence and horror, present a tendency of instability and brute force in the same age and individual’s enervation and solitude isolated from the value of society. Eventually, it steadilydeals with the origin horror of being. In this study, I analyzed Polanskis special feature of directing centering on three facters, such as visual storytelling, space design of isolation and enervation, and accompanying sight as a visual point of suspense. The style of Polanski’s films, based on the classical priciple for suspense construction and variegated image making, shows that the incapable individual’s awkward suffered in the closed circumstance, the strength of horror from the unknowable outside, and human’s belief broken by brutal violence. These commonly connect to the theme of Roman Polanski’s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