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문수경 ( Soo Kyung Moon ),이무영 ( Moo Young Lee ),박상희 ( Sang Hee Park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K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부모 247명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은 개인특성 중 성별, 연령, 직업,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행복감을 더 경험하며, 30세 이상 35세 미만인 경우, 전문직에 종사하며, 종교가 불교인 경우, 행복감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변인(개인특성, 심리적 자원)의 영향은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부모의 개인특성은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윌수입이 많을수록, 출생순위로는 늦게 출생한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행복감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적 자원의 경우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느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수록, 부정적인 생활사건 경험이 적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력을 살펴볼 때,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건강이라는 2개의 변인이 추출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ellbeing of parents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is wellbeing. The subjects were 247 parents living in Gwangju.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Croanbach α was computed using the reliabilities of scales. The study examined the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It showed that gender, age, occupation, and religion significantly affected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years of schooling and income level were not significant. In sum, while outer standards among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ender, age, occupation, and religion, which is a subjective satisfaction significance. Among the psychological factors, the factors that affect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most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life events.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self-esteem, subjective health status, income, religion, and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s results show that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was mostly affected by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and subjective heath status.

      • KCI등재후보

        컨트리댄스 동호인들의 댄스재미가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최성애 ( Sung Ae Choi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컨트리댄스 동호인들의 댄스재미가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여 컨트리댄스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컨트리댄스 동호인 380명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하였으며 최종분석 사례 수는 301명이다. 질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댄스 재미는 .810∼.893, 스트레스는 .914∼.939, 주관적 안녕감은 .891∼.969까지로 비교적 신뢰할 만하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컨트리댄스 재미와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는 컨트리댄스 재미의 클럽 분위기, 활기, 인정은 심리적 스트레스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또한 재미의 클럽 분위기는 신체적 스트레스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 그리고 컨트리댄스 재미와 스트레스와의 영향력은 댄스재미의 클럽분위기와, 인정이 심리적 스트레스에서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컨트리댄스 재미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는 댄스재미의 클럽분위기, 활기, 인정, 유능성지각은 부정적 정서에서 부적 상관관계 있고, 긍정적 정서에서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또한, 활기와 인정은 삶의 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컨트리댄스 재미와 주관적 안녕감의 영향력은 댄스재미의 활기는 부정적 정서에서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의 부정적 정서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긍정적 정서와 삶의 만족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영향력은 심리적 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의 긍정적 정서와 삶의 만족에서 부적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정서에서 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신체적 스트레스는 부정적 정서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정서에서는 부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fun of dance on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ountry-dance lover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revitalization of country d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80 people who enjoyed country dance. They were selected by cluster random sampling, and the answer sheets from 301 respondents were gathere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As a result,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of it were between .810 and .893 in terms of fun, between .914 and .939 in terms of stress and between .891 and .969 in terms of subjective wellbeing. Thus, the questionnaire turned out to be relatively reliabl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un of country dance and stress, club ambience, vitality and approval that were the subfactors of the fun of country danc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stress, and club amb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hysical stress as well.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fun of country dance on stress, club ambience and approval that belonged to the fun of country dance exerte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stress. Second,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 of country d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club ambience, vitality, approval and perceived competence that belonged to the fun of country 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and positively with positive emotion. Besides, vitality and approva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s to the influence of the fun of country dance on subjective wellbeing, vitality that was part of the fun of country dance exercise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negative emotion.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stress and physic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two had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posi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stress had a negative impact on posi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negative emotion. Physical stress had a positive impact on negative emotion and affected positive emotion in a negative way.

      • KCI등재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김동철(Kim, Dongchul),고혁근(Ko Hyeok Geun),김대건(Kim, Daege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활동적 고령화와 주관적 안녕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활동적 고령화 변수와 주관적 안녕 변수를 도출하고,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활동적 고령화 변수는 참여, 건강, 안전이며, 주관적 안녕 변수는 앞으로의 근로활동, 앞으로의 생활수준,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이다. 분석 결과 참여, 안전, 건강은 앞으로의 근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참여, 안전은 앞으로의 생활수준(부정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 안전은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담론으로서 활동적 고령화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고령자의 주관적 안녕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ffects of active aging on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active aging variable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deduced through theoretic reviews on active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for the effects of active aging on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tion, health and safety factors were applied as active aging variables, and labor activities, future living standards, and satisfaction of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utilized as subjective wellbeing variables.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subjective wellbeing from active aging, participation, safety and health factors had significant impact on labor activities, and only participation and safety factors had significant impact on future living standards (negative). For satisfaction on overall quality of life, it was analyzed that only health and safety factors had significant impact. Accordingly,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ging is progressing very quickly, the meaning of active aging as a new discourse was examined,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citizens were presented through analysis on the impact of active aging on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후보

        노년층의 여가만족이 웰빙 지각에 미치는 영향

        박금란(Park Geum-Ran),김선응(Kim Seon-Eung) 한국체육과학회 200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elderly people's leisure satisfaction have on their perception of wellbeing. To this end, elderly people aged 55 or more in Daegu and Gyeong-sang Bukdo Province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ronbach α coefficient was measured and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lso, LISREL 8.70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im of th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lderly people's leisure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wellbeing. Specific results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for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fa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be at t=2.89,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fa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t t= 3.48, and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fa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t t=4.74. Second, for the 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lation between soci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found to be at t=2.07,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9.18,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2.73, and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factor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2.09, indicating a statistical significance at p<.05. Given that elderly people increasingly participated in leisurely activitie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s and living standards levels, they will continue to participate in leisurely activities. Currently, only the group of elderly people with a high educational level and a high living standards level was found to participate in leisurely activities at high rates. However, in the future, with an expected reinforcing of welfare policies, the appearance of an aging society, and other diverse reasons, elderly people with low living standards levels including low-income elderly people are expected to be provided with many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leisurely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통감내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문경(Jeong Moon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고통감내력과 우울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조모형을 설정 하였고, 검증을 위한 자료는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 섭, 고통감내력, 우울,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고,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은 고통감내력과 우울을 이중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 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 키기 위해 상담현장에서 고려해야할 부모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The data for the model was collected from survey of 302 university student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arental over-intrusiveness, distress tolerance,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correlated. Second, distress tolerance mediated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depression mediated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th, distress tolerance double-mediated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over-intru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via depression. The result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hat parental over-intrusiveness influences colleg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 공동체의식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김은정(Kim, Eun Jung),이상수(Lee, Sang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표는 고등학생의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 전남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608명의 자료를 2018년 1월 3일부터 2월 28일까지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공감적 학교 공동체 역량,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규명되었 다. 변인 간의 직·간접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공동체의 기초역량은 공동체의 공감역 량에, 공동체의 공감역량은 공동체의식에, 공동체의 공감역량과 공동체 의식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동체의 기초역량은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공동체의 공감역량은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공감적 학교공동체 역량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실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students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608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Ulsan, Gyeongnam, and Jeonnam were collecte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del s fitness and the variables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among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identified as suit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sic competency of community directly affected the empathy of community, the empathy of commun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directly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the basic competency of community indirectly affected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empathy of community indirectly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and the sense of community to improve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 좋은 삶: 징조, 웰빙의 자원과 성취감; 또는 SWB의 주관성

        John Eric Carr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3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11 No.1

        Whereas 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examined the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typically framed as a coherent phenomenon with subsidiary components and situational stimulants, yet few studies have enquired concerning the possible diversity of patterns of personal preferences, and accordingly this paper reports upon a Q-methodology study which seeks to elaborate the subjectivities underlying subjective wellbeing. Following upon focus-group identification of aspects of wellbeing, a Q-sort of 77 items was completed by 57 participants ranking the issues according to how essential each was deemed to be for their wellbeing and feeling of fulfillment. Q-methodological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exemplars identified four central patterns of preferences and conceptualisations of ``The Good Life``, with three groups portraying the primary sources and manner of being which they felt were required to achieve wellbeing, and one group portraying the main signs or characteristics which they felt functioned as indicators that they had achieved wellbeing. The four subje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1) La Dolce Vita:- Signs of the feel-Good Life; (2) The be-Good Life: Value-Guided Private Living; (3) The do-Good Life: Mahatmas and Ensouled Living; (4) The make a-Good Life: Self-Establishment/Enhancement. While advancing the study of wellbeing by elaborating the patterns of meaning comprising the deep structures of subjectivity, and extending previous findings concerning subjective patterns of valuing, the findings also challenge a number of prevailing conceptions of wellbeing and especially of the happiness literature. 주관적 웰빙의 체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대개 부수적인 구성요소와 상황적 자극요소라는 일관적인 현상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 개인적인 선호 형태에 대한 가능한 다양성과 관련해 조사한 연구는 거의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웰빙의 근원이 되는 주관성에 대해 Q 방법론을 이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웰빙이라는 측면과 연관짓는 표적 집단을 따라, 57명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웰빙과 성취감의 느낌에 대한 77개 Q 표본에 대해 어떻게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순위를 매김으로써 Q 소트를 완성했다. Q 방법론적 분석과 면담을 통해 ``좋은 삶``에 대한 선호와 개념화의 네 가지 중심 형태로 나뉘어졌는데, 이 중 세 그룹은 웰빙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자원들과 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한 그룹은 그들이 이룬 웰빙의 지표처럼 기능하는 주요 징후나 특성들을 나타내고 있다. 네 가지 주관성은 (1) 근심걱정 없는 삶: 기분 좋은 삶의 징표, (2) 좋은 삶: 가치가 이끄는 개인적인 삶, (3) 도움이 되는 삶: 마하트마와 혼을 불어넣는 삶, (4) 좋은 삶을 만드는 것: 자아정립/자아고양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성의 근간을 이루는 형태를 서술함으로써 웰빙에 대한 연구에 진보를 이룬 동시에 가치에 대한 주관적 형태에 대한 이전의 연구를 확장시켰으며, 또한 특히 행복과 웰빙에 대해 만연해있는 많은 개념들에 대해 의문을 던졌다.

      • KCI등재

        스쿼시 동호인의 운동 참여정도에 따른 공감능력, 대인관계 성향, 주관적 웰빙의 인과관계 비교

        조현기 ( Jo Hyun-ki ),황재욱 ( Hwang Jae-wook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쿼시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대인 관계 성향, 주관적 웰빙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후, 그들의 참여 정도에 따라 인과성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스쿼시 동호인 328명의 자료를 수집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성향의 경로, 대인관계 성향과 주관적 웰빙의 경로, 공감능력과 주관적 웰빙의 경로 모든 경로에서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빈도와 참여기간에 따라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성향의 경로와 공감능력과 주관적 웰빙의 경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쿼시 활동을 통한 공감능력은 대인관계 성향을 향상시켜주고 바람직한 대인관계 성향의 추구는 개인의 웰빙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P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l structural instructor’s empath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squash participants. Methods: 328 squas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lor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Using AMOS, SEM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Empathic ability had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empathic ability had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of 2 direct path in 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Participation frequency(empathic ability→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rticipation period(empathic ability→subjective wellbeing).Conclusion: Empathy through squash activities improves interpersonal tendencies, and pursuit of desirable interpersonal tendencies positively affects individual well-being and happiness

      • KCI등재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문태영(Moon, Tae-Young),허중욱(Heo, Chung-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활동이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여가만족과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 상으로는 현재 강원도에서 생활체육 참여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11년 3월 12일부터 4월 9일까지 편의추출법에 의한 총 200명을 표집 하여 SPSS/PC+ 11.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요 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여 활동은 여가만족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 활동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은 심리적 웰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은 주관적 웰빙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는 동호인 의 여가만족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서 활동참여를 지속적으로 권장해야 할 것이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모든 사람들이 생활체육을 통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n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n attempt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enjoying sport for al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people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a population of male and female adults who participated in sport for all in Gangwon Province.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1.0 was employ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Those who more participated in sport for all expressed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leisure life. Second, leisure satisfac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leisure satisfaction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sport for all exercised a great physical and mental influence on themselves. Those who don't participate in sport for all should steadily be advised to do that, an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develop a wide variety of sport-for-all programs to let everybody lead a better life by enjoying sport for all.

      • KCI등재

        서울시민들의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 결정요인 분석

        장인수 ( Chang Insu ),김홍석 ( Kim Brian H. S.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을 경험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를 고양시킬 수 있는 기반 조성을 위해 지역적, 미시적 차원에서의 도시계획 정책이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생태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과 지역사회가 위계 관계를 구성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증분석 방법론으로 다층순서형로지스틱모형(Ordered Logistic Multilevel Model)을 적용하고, 1수준 개인 변수에는 2013서울서베이 자료를, 2수준 지역 변수로는 2013년도 서울통계(stat.seoul.go.kr)를 활용하여 각각 투입하였다. 지역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1인당 도시공원 면적과 녹지면적, 가로녹시율와 같은 자연환경 중심의 쾌적한 환경(amenity) 요인이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기조를 바탕으로 할 때, 개인의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를 고양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른 부문과의 정합성을 유지하여 쾌적한 근린 환경 조성을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현재 수립, 시행되고 있는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2030서울플랜)과 같은 도시기본계획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도시공원과 녹지, 가로수 등 자연환경 중심의 쾌적한 환경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세부 계획을 미시적 차원에서 추가적으로 수립,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policy should come about at the regional level with ecological perspectives based on the social need for promoting individuals`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Recogniz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gional factors that affect people`s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For our empirical analysis we used Ordered Logistic Multilevel model.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from the 2013 Seoul Survey (for the individual) and Seoul Statistics (for the regional).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amenities such as local parks, green spaces and green streetscape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local residents`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Therefor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menities are empirically supported, which further argues for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local amenities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local residents. Consequently, planning policies such as 2030 Seoul Plan should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otential effect on the wellbeing and health of Seoul citiz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