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Kingdon 모형을 적용한 인성교육진흥법 정책 형성 분석

        반민수(Min Soo Pan)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1 지방교육경영 Vol.24 No.1

        이 연구는 Kingdon의 정책 창 모형을 적용하여 인성교육진흥법 정책 형성 과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2014년 사이에 인성교육진흥법 형성에 관한 세가지 흐름(문제의 흐름, 정치적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을 분석하고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을 때의 과정과 정책 선도가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인성교육진흥법 제정 정책결정과정에서 세 가지의 흐름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문제의 흐름이었고, 특히 세월호 참사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세 가지 흐름이 결합되어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다. 그리고 대표적인 정책 선도가는 인성교육범국민실천연합과 국회 인성교육실천포럼, 교육부였다. 이 세 단체는 민간, 국회, 행정부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긴밀하게 협력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인성교육진흥법 정책은 예측 불가능하게 만들어졌고, 정책의 창이 열렸을 때 정책 선도가의 적극적인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형성 과정에 따라 향후 인성교육진흥법 정책 변동이나 다른 교육정책의 형성 과정에서 국회의 책임 있는 법안 심사와 언론 및 시민단체의 감시가 필요함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by Using Kingdon’s policy window model. From 2011 to 2014, three streams(problem stream, policy stream, political stream)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and policy entrepreneur were identified when the policy window was ope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blem stream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the three flow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enact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Sewol ferry disaster had a decisive effect. With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three flows were combined to open a window of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cause of the reinforce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policy caused by the Sewol ferry disaster, a policy window was opened and legislation was quickly enacted. And the representative policy entrepreneur were the People's Practicing Federation for Character Education, the National Assembly Character Education Practicing Foru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se three organizations worked closely together, playing their respective roles in the private sector,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Through this analysis, the policy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was made unpredictable,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ctive role of the policy entrepreneur when the policy window opens. According to this policy formation process, it may be necessary to review the legislation responsibly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o monitor the media and civic groups in the process of policy changes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or the formation of other education polici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테러방지법 입법사례 분석

        채성준 한국국가정보학회 2016 국가정보연구 Vol.9 No.1

        This study analyzes anti-terrorism legislation in Korea by comparing the period of progressive Kim Dae-jung & Roh Moo-hyun government and conservative Lee Myung-bak & Park Guen-hye government applying policy streams model by Kingdon(2011).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anti-terrorism legislation is typical policy process of policy streams model giving emphasis to uncertainty of policy making. The three areas of problem stream, political stream, agenda stream, which once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combine together at some point and make policies by opening the policy window. It was not progressive Kim Dae-jung & Roh Moo-hyun government but Lee Myung-bak & Park Geun-hye government facing sharp conflict with liberals that resolved problems of extension of authority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NIS) and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which were the biggest issues in anti-terrorism law legislation. The featur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government agenda window was opened in Kim Dae-jung & Roh Moo-hyun government, policy outputs did not occur because decision agenda window was not opened with the absence of policy entrepreneur. Second, due to the change of political stream caused by transfer of power in Lee Myungbak & Park Guen-hye government, there were direct changes in the role of policy making participants and indirect effects in policy streams, so that policy window became open. Third, during Lee Myung-bak & Park Guen-hye government, as the president and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NIS) closely cooperate with the ruling party to open policy window, it leads to policy outputs. This case clarifies important roles of political stream and policy entrepreneur in legislation process. Furthermore, it shows that policy streams model has possibility to be widely applied in legislation process analysis. 이 연구는 테러방지법 입법사례를 정책결정의 불확실성을 강조한 Kingdon(2011)의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해 진보정권인 김대중∙노무현 정부와 보수정권인 이명박∙박근혜 정부라는 두 시기로 나눠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테러방지법 제정 과정은 어떠한 정책이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의제의 흐름이라는 세 영역에서 일정한 흐름으로 움직이다가 어느 순간 결합해 마침내 정책결정이 이뤄지고 선택의 기회가 생겨 정책의 창이 개방되는 정책과정의 전형적 모습을 보여주었다. 테러방지법 제정 과정에서 가장 큰 쟁점이었던‘국정원의 권한 확대’및‘국민기본권 침해’문제는 진보진영이 정부에 우호적이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아니라 정부와 진보 진영 간 첨예한 대립상태에 놓여 있던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에서 뛰어넘을 수 있었다.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해 분석한 이 사례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보정권인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에 정부의제의 창은 개방되었지만 정책선도자의부재로 정책결정 의제의 창이 개방되지 않아 정책산출에 실패하였다. 둘째, 보수정권인 이명박∙박근혜 정부로의 정권 교체로 정치의 흐름에 큰 변동이 일어나 정책참여자의 역할에 직접적인 변화가 생기고 정책의제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정책의 창이 개방되었다. 셋째, 이명박 정부에 이은 박근혜 정부의 경우 정책선도자로서 정부수반인 대통령과 주무기관인 국정원이 여당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정책의 창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방된 기회의 창에서 그들의 정책제안이 결실을 맺게 함으로써 정책산출로 이어졌다. 이 사례는 우리나라의 입법 과정에서 정치의 흐름과 정책선도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앞으로 정책변동, 특히 입법과정 분석에 있어 정책흐름모형을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설립의 정책형성과정 분석: 킹던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추윤미,김기영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개관 이래 지난 10여 년간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의 발전의 중심 역할을 담당해 온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설립을 위한 의제설정 및 정책형성과정을 킹던(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킹던에 의하면 정책 형성은 문제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그리고 정치 흐름의 결합의 결과이며, 세 흐름이 결합될 때 열린 정책의 창을 통해 정책이슈가 정책의제로 나아간다. 이 때 정책선도자는 정책의 창에서 선호하는 대안을 제시하고 그것이 정책의 창을 통과하도록 노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정책의 의제설정과 대안의 선택 과정에서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책의 흐름을 분석하고 정책의 창에서 정책선도자로서의 사서전문가집단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정책형성과정의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사서전문가집단이 앞으로의 도서관 정책형성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agenda setting and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Gyeonggido Cyber Librar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since its launching,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policy formation is described as the result from the convergence of the three streams, such as problem, policy and politics streams. When these streams converge on a specific time point, a policy window is created so that the issues become policy agenda. At this moment, policy entrepreneurs propose their alternatives, which have been prepared already, and try to pass it through the window. We identify coupling of the streams in the policy window and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in the process of agenda setting and selection of alternatives of Gyeonggido Cyber Library policy. Sugges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e analysis for public policy 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domain.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정책형성과정 분석 : 서울-세종 고속도로 사례를 중심으로

        이득순,김문성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4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construction of Seoul-Sejong expressway, which has based on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According to the model, policy formation is described as the result from the convergence of the three streams-problems, alternatives and politics streams. When these streams converge on a specific time point, a policy window is created so that the issues become policy agenda. At this moment, policy entrepreneurs propose their alternatives, which have been prepared already, and try to pass it through the door of the polic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ream of problems, alternatives, politics as the formation of Seoul-Sejong expressway policies and what is the role of a president of provincial government as an enterpriser. This analysis proposes policy implication applicable to the express policy as it shows the mechanism of policy formation. The first conclusion of the research is that each stream-problems, alternatives, and politics has its unique principles and structures, and the window of policy opens as these three streams couple. Second, the policy stream is essential, and specific political cases opened the door of policy as a trigger mechanism. Third,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 has the absolute impact on the policy formation. Lastly, the provincial government is the most important policy participant, and they use diverse strategies to observe the interests. 본 연구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정책형성과정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Kingdon에 의하면 정책형성은 문제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그리고 정치의 흐름의 결합의 결과이며, 세 흐름이 결합될 때 열린 정책의 창을 통해 정책이슈가 정책의제로 나아간다. 이때 정책기업가는 정책의 창에서 선호하는 대안을 제시하고 그것이 정책의 창을 통과하도록 노력한다. 본연구에서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정책형성과정에서 문제의 흐름, 대안의 흐름, 그리고 정치의 흐름을 분석하고 정책의 창에서 정책기업가로서 지방정부의 단체장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정책형성과정의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고속도로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문제의 흐름, 대안의 흐름, 정치의 흐름은 각각 고유한 규칙과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흐름이 합류할 때 정책의 창이 열린다. 둘째, 정치의 흐름이 중요하며, 특정 정치적 사건이 촉발기제로 정책의 창을 열었다. 셋째, 정책기업가의 역할은 정책형성과정에서 절대적인 역할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지방정부가 가장 중요한 정책참여자로서 갈등하며 이해를 관철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예비군창설 정책결정과정 연구

        주영윤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The Reserve Force was born as 'Homeland Reserve Forces' on April 1st 1968, after the Incident of January 21st and the Pueblo Incident in 1968, as means of preparing against the provocations of North Korea which increased then number of provocation since the mid 60s.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decision process over the establishment of ROK reserve forces during the Park Jung-hee Administration. The analysis is conducted using John Kingdon's streams model in poli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changes of main policies on the ROK military reserve force have been influenced more or less by the stream of political issues, policy issues and problems.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issues was effective in influencing the policy changes. Second, specific analysis variables in policy decisions - namely national defense expenditures, military capabilities, incidents, crisis, and problems in policy operations - were identified that they alter the flow of problems. Third, in the flow of politics, specific variables such as the national atmosphere, internal and external security environment, the changes in number of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etc. were verified. The replacement of supreme policy manager was not identified as one of the variables. Nevertheless, the will of the supreme policy manager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policy decisions. Fourth, in the flow of policies, there were instances of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opposition party as the two organizations proposed differing policies over the creation of reserve forces. As a result, this study proved that Kingdon’s streams model in policy was a relatively effective model in analyzing the policy decision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OK reserve forces. Over the years, the Reserve Force, which began as 'the Homeland Reserve Force,' assumed additional missions(troop mobilization, support to civil defense, etc.) to better suit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to adjust to the changing era. Today, the concept "Homeland" is less significant to the Reserve Force than it had been in the past. Therefore, the Homeland Reserve Force Establishment Law was renamed as the Reserve Force Law on November 30th, 2016 as a response to the growing needs to amend the law to better suit the situations in the present day. However, the content of the law still heavily focuses on homeland defense. The Reserve Force Law must be amended to not only encompass all legal issues related to reserve forces and combine all legal contents relevant to reserve forces that exist in all kinds of different laws, but also support the policy to raise elite reserve forces - a policy that is being pushed as a part of national defense reform. 예비군은 1960년대 중후반부터 급격히 늘어난 북괴군의 도발에 대비하기 위하여 1968년 1?21사태와 푸에블로 호 납북사건을 계기로 같은 해 4월 1일에 향토예비군으로 탄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비군의 창설 정책결정과정을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토예비군창설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등은 실제로 변수를 통해서 확인되었고 그 결합에 의해 정책이 결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책결정에 있어 문제의 흐름에서의 지표의 변화로서의 남북한 국방비와 군사력, 사건 및 위기 측면의 중대한 사건과 정책운영과정상 나타난 문제 등의 세부분석변수들은 각각 확인되었다. 셋째 정치의 흐름에서는 국가적분위기, 대내외 안보환경, 국회의석수의 변화 등 세부분석변수들이 각각 확인되었고, 최고정책관리자의 의지가 정책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책의 흐름에서 정부의 정책대안에 대해 야당에서 다른 정책대안을 제기하여 상호 경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은 향토예비군창설 정책결정과정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향토예비군의 성격으로 창설된 예비군에게 안보환경과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병력동원’, ‘민방위업무 지원’ 등 임무가 추가됨에 따라 이에 상응한 법률의 명칭 및 내용 개정이 필요하여 2016년 11월 30일부로 향토예비군설치법이 예비군법으로 법명이 변경되었으나 세부내용은 향토방위에 주안을 두고 있다. 따라서 예비군 관련 전반적인 내용을 포괄하며, 여러 법률에 분산되어 있는 예비군 관련 법률을 통합하고,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예비전력 정예화 정책을 지원 가능하도록 예비군법을 개정하여야 한다.

      • KCI등재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확장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의 분석과 함의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의 관점에서

        권혁철 세종연구소 2015 국가전략 Vol.21 No.1

        그 동안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은 이어도 상공은 물론 마라도와 홍도 남방 일부의 영공도 제외되어 있었다. 그러던 중 한국정부는 중국이 2013년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한 지 15일만에 이어도 상공과 대한민국의 모든 영공을 포함하는 확장된 KADIZ를 공표했다. 이는 한국정부가 1963년 KADIZ 조정을 시도한지 50년 만에 이뤄낸 역사적인 성과이다. 본고는 한국정부의 이러한 신속하고 과감한 정책결정과정을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을 이론적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정부의 KADIZ 확장은 당시 정책선도자들이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로 열린 ‘정책의 창’이라는 기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정책흐름을 적시에 합류시킨 결과물이었다. 이는 아무리 오래되고 난해한 정책문제라도 정책선도자가 정책의 창을 적기에 활용한다면 의외로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In the past, not only the airspace above Ieodo, but also a section of the territorial airspace south of Marado and Hongdo were excluded from the Kor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KADIZ). However, in 2013, only 15 days after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declared the East China S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has announced an expanded KADIZ that includes the airspace above Ieodo and the entirety of ROK aerial domain. This is a historical achievement that was earned 50 years after the ROK government had attempted to adjust the KADIZ for the first time in 1963. This study analyzes the ROK government's swift and bold policy decision process based on Kingdon(1984)'s Policy Stream Model Theory.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OK government's KADIZ expansion was achieved by policy entrepreneurs at the time who took strategic advantage of an opportunity called the "policy window," which was made possible by the declaration of the East China Sea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in order to couple policy streams at appropriate timing. Such results suggest that even the most outdated and challenging policy problems can be resolved in a surprisingly sound manner if a policy entrepreneur utilizes the "policy window" at appropriate timing.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에 근거한 제주지역 숙박시설 정책변동 연구

        정승훈,양성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f Policy Change in Accommodation Facilityin Jeju by Adapting Multiple Streams ModelSeunghoon Chung & Sungsoo Y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e in accommodation policy in Jeju.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applying a multiple stream model for the fluctuation process between 2010 and 2019 in relation to the accommodation facility policy in Jeju.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to set a stage by dividing the stage of policy change into 2010-2013 and 2014-2019, and to explain the policy process occurring at the window or confluence point of the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blem flow accounted for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the problem flow, policy flow, and political flow, and the role of policy innova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Key Words: Multiple Stream Model, Policy Change, Policy Window, Policy Innovators, Accommodation Facility 다중흐름모형에 근거한 제주지역 숙박시설 정책변동 연구정 승 훈**ㆍ양 성 수***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숙박시설 정책 변동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제주지역 숙박시설 정책과 관련하여 2010∼2019년 기간의 변동과정에 대하여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정책변동의 단계를 2010∼2013년, 2014∼2019년으로 구분하여 단계를 설정하고 정책의 창 또는 합류점에 발생하는 정책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 정책, 정치 등의 흐름과 정책의 창, 정책 결정에 따른 정책결과의 변수를 활용하였다. 결론 및 제언: 분석결과, 문제흐름, 정책흐름, 정치흐름 중 문제흐름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정책결정 과정에서 정책 혁신가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핵심어: 다중흐름모형, 정책변동, 정책의 창, 정책혁신가, 숙박시설 □ 접수일: 2022년 7월 30일, 수정일: 2022년 8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도 제주대학교 교원성과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주저자,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Jeju National Univ., Email: kyunhoo@jejunu.ac.kr)*** 교신저자, 제주대학교 관광융복합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Jeju National Univ., Email: endorphin@jejunu.ac.kr)

      • KCI등재

        킹던(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의 정책형성과정 연구

        박길남 한국정책개발학회 2017 정책개발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adopted by the Basic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which is based on the political issue of the government, through the framework of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oles of both the focusing event and political leaders and how the coupling of the three policy streams combined to open the policy window. This study analyzed the complicated interests and sensitive political issues through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is paper confirmed the Kingdon’s conclusions by finding that in terms of the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the active role of top decision makers such as policy entrepreneur and the role of official participants such as senior officials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the applicability of the policy case study by verifying the theory that the role of political leaders is more important. 본 연구는 재한외국인 사회통합제도 도입이란 정치적 이슈가 정부의제를 거쳐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제정으로 채택되는 정책형성과정에 대해 Kingdon의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초점사건과 정책선도자의 역할, 그리고 세 가지 흐름의 결합(coupling)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 정책의 창(policy window)이 열리게되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이해관계와 민감한 정치적 이슈를 정책형성과정의 흐름을 통해분석하였으며, 특히 정책결정과정에서 킹던의 주장처럼 정책선도자인 최고정책결정권자의 적극적인 역할과 비공식 참여자보다는 법무부 고위관료 등공식적 참여자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등 이론을 검증함으로써 정책사례의 적용가능성을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Kingdon의 정책 창 모형에 의한 비축임대주택 정책의 갈등관계분석 및 평가

        김상봉(Sang Bong Kim),이명혁(Myung Hyuk Lee)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3

        본 연구는 2006년말 주택가격의 폭등을 계기로 주택문제가 초미의 사회적 관심사가 되면서 정치권내에서 정책대안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첨예했던 상황을 연구의 배경으로 한다. 정부는 1.31대책을 통하여 비축임대주택정책을 추진하였는데 이러한 비축 임대주택정책의 형성 및 갈등의 전개과정을 Kingdon의 "Policy Window" 이론에 의거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적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이라는 틀을 구축 참여자와 이해관계자별 주요쟁점 및 갈등양태를 기술적 분석관점에서 논의 하였다. 본 연구는 비축임대주택 정책의제설정과 정책갈등 전개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주택공급 및 임대주택을 둘러싼 주요 정책적 대립점이 어디에 있었으며 어떠한 계기를 통해 Kingdon이 말하는'정책의 창'이 비로소 열릴 수 있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연유로 정책의제로서의 지위를 박탈당할 수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임대주택정책의 형성과정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지견(知見)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situation of sharp competition for preoccupancy of policy alternatives within political circles as housing problem became a urgent political and social concerns with housing prices skyrocketed in end of 2006 as a momentum .Each Key issues and conflicts aspects of participant and stakeholder in process of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conflict of reserve rental housing policies which was promoted by government through 1.31 measures was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in-depth in accordance with Kingdon's "Policy Window" theory focusing on the stream of policy issues politics and policy alternatives. First organized the existing issues surrounding Rental Housing Policy in Korea second examin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n around 2007. Based on these arranged purpose and fundamental problem of reserve rental housing policy resulting from 1.31 measures. In process of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conflict of reserve rental housing policies government rental housing reserve plan and what about the policy conflict surrounding amendments to the Rental Housing Act to support these policies was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in-depth focusing on each issue and participant's position and how to adjust the process to go through the policy conflicts coming from the differences in participant's position was also investigated. Reserve rental housing policy pursued by 1.31 Measures have limitation to evaluate the policy itself aspect of becoming a failed policy that law amendment was not made. However this policy was evaluated ex-post fact from aspects of rationality of policy purpose propriety of policy alternatives and adjustment of policy formation and conflict limit to formation and conflict of policy ,adjusting process and respectiv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nswered in conclusion.

      • KCI등재

        중국의 인구정책 혁신: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황판 ( Fan Huang ),김종호 ( Jong Ho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社會科學硏究 Vol.40 No.3

        중국 인구정책은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즉, 계획출산정책(1953-1980), 한 자녀 산아제한정책(1981-2012), 두 자녀 산아제한정책(2013-현재)이다. 중국 산아제한정책이 만들어진 과정을 살펴보면, 정치흐름의 영향이 제일 크다. 산아제한정책으로 인한 독거노인 문제, ``소 황제``문제, 노인부양문제, 성비불균형문제 등 여러 가지 이슈가 문제의 흐름을 형성시켰다. 1980년대부터 산아제한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강화시키면서 산아정책의 흐름은 한 자녀 정 책부터 지금의 두 자녀 정책까지 발전했다. 하지만 중국의 인구정책은 여전히 제한정책이다. 산아제한정책은 중앙정부의 결심만 있으면, 수정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제는 산아제한 정책이 바뀌어야 할 시기가 되었다. 건국 후 중국은 잘못된 정치적 영향을 많이 끼쳐왔던 인구정책을 수정하기 위해 그릇된 산아제한정책을 통하여 총인 구수를 통제하여 왔다. 일련의 정책변화 과정에서 본 논문은 정책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산아제한정책을 분석하고 중국 인구 현행 제도를 검토해봤다. 산아제한정책의 미래는 조정산아제한정책 도 있지만, 출산제한이 없는 산아정책이 존재하기도 한다는 것을 명시하고자 한다. Chinese population policy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re are the plan for family policy(1953-1980), the single child family planning policy(1981-2012), and two children family planning policy(2013-now). In terms of China``s family planning policy process, the effect of political stream is the main stream. The family planning policy resulting in the actual problem of the Lost-children man, the Small-emperor, the elderly maintenance, the sex ratio imbalance and so on. The problem of these issues formed the problem stream. Since the 80``s of last century, the binding force of law of family planning to strengthen family planning policy. The family planning policy trend began to develop from one child policy, up to now the two children policy. But Chinese population policy is still restrictive policy. The family planning policy, as long as the central government has the determination, can be modified. The family planning policy need to change an the period of change is now. After the founding of the PRC, in order to form the modified effect of early wrong politics under population policy, the government adopted more wrong birth limitation policy to control the population. The change process of policy, this paper based on the family planning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del of family planning policy and China current system. we need to know the future of the population policy is not just the adjustment of birth control policy, but also can be no constraints of the family planning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