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파적 수용자의 적대적 매체 지각과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

        김경모(Kyungmo Kim),이승수(Seung Su Lee),김상정(Sang Jung Kim) 한국언론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2 No.3

        이 연구는 자기범주화와 인지정교화의 접점에 주목해 적대적 매체 지각현상을 분석했다.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을 다룬 뉴스기사(찬성 vs 중립 vs 반대)를 무선배치 피험자 집단에 제시하고 정파적 수용자의 정치이념성향, 자기범주화,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가 상호작용하면서 뉴스 지각편향이 일어나는 심리과정을 탐색했다. 온라인 실험 결과, 중도(중립)기사를 접한 정파적 수용자가 기사 출처(보도매체)를 내집단 범주화할 때는 동화편향이, 외집단 범주화할 때는 적대적 매체 지각이 일어났다. 보수(찬성)와 진보(반대)로 편향된 기사에 각각 노출됐을 때도 자기범주화를 통한 상대적인 적대적 매체 지각이 관찰됐다. 다음으로,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가 뉴스 지각편향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했다. 중도기사를 접한 경우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정파적 수용자의 뉴스 지각편향이 증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편향기사에 노출됐을 때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진보 수용자의 상대적인 적대적 매체 지각은 변화하지 않았지만,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보수 수용자의 동화편향은 증폭됐다. 그러나 진보편향기사에 노출된 정파적 수용자에겐 리터러시의 차이에 따른 지각편향의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파적 수용자의 뉴스 지각편향이 저널리즘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했다. This research analyzed hostile media perception focusing on the crossing point between self-categorization and cognitive elaboration. We randomly assigned people into three groups and suggested news articles about the state approved Korean history textbook issue(agree/neutral/disagree). Then we examined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evokes news perception bia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artisan audiences’ political ideologies, self-categorization and news media literacy. The result of online experiments showed that partisans who were exposed to neutral news article had assimilation bias when they categorized the news as their in-group. When partisans were exposed to articles that were conservative biased(agree) and liberal biased(disagree), relative hostile media perception by self-categorization was observed. We then analyzed how media literacy affects news perception bias. When partisans encountered neutral news article, news perception bias was amplified with partisans who had high news media literacy. Relative hostile media perception did not change when liberal partisans who had high media literacy were exposed to conservative biased article. Relative hostile media perception was amplified when conservative partisans who had high news media literacy were exposed to conservative biased article. However, when partisans were exposed to liberal biased news articl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ews media perception by different levels of news media literacy was observed. Lastly, we discussed about implications of partisans’ news perception bias on journalism based on our experiment results.

      • KCI등재

        정부 신뢰, 회고적 투표, 그리고 당파적 편향: 2014년과 2018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길정아(Jung-ah Gil) 한국정당학회 2019 한국정당학회보 Vol.18 No.3

        본 연구는 정부 신뢰의 당파적 방향성에 주목하여, 정부 신뢰가 투표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정부 신뢰와 투표 참여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정부 신뢰가 현직 정부 여당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특히 임기중반에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의 회고적 투표 선택과 보다 조응하는 정치적 태도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 신뢰의 당파적 속성을 고려하여 회고적 투표 선택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당파적 편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주요한 정당들에 대한 선호가 무차별한 유권자들에게서는 정부 신뢰가 높아질수록 여당 소속 후보를 선택하는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특정한 정당에 대해 편향된 선호를 가진 유권자들은 정부 신뢰의 정도와 관계없이 선호하는 정당 소속 후보를 선택하였다. 이는 정부 신뢰, 그리고 그를 기반으로 한 회고적 투표선택이 유권자들의 당파적 선호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당파적 편향의 태도는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정파가 집권했을 때 유권자들은 정부에 대해 무조건적인 불신을 형성하여 당파적 유권자들 사이에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회고적 투표 선택이 가지는 상벌의 의미가 퇴색될 우려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s how trust in government influences vote choice with paying attention to its partisan properties.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es which have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electoral participation, this study argues that governmental trust is related to retrospective voting rather than voter turnout especially in local elections because voters recognize their governmental trust with regard to incumbent party governmen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partisan bias in retrospective voting based on trust in government. The findings show that voters who are indifferent to major parties made vote decisions affected by government trust, while voters who have lopsided partisan preferences remain unaffected. These results mean that voters’ governmental trust and its effect on retrospective vote choice are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partisan preferences. Partisan bias which leads to partisan vote choice regardless of voters’ trust in government implies that a large portion of voters who do not support the ruling party may practically distrust incumbent government. Furthermore, retrospective voting can hard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pensing reward and punishment for the performance of the incumbent government. I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partisan polarization which stems from partisan bias.

      • KCI등재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조성대(Cho Sung Dai)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1

        This paper aim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s to the theory of trait ownership and trait trespassing hypothesis. The theory of trait ownership says that the US political parties has owned certain traits which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ir historical issue ownership. And it has strongly influenced voters' perception of two parties' candidates in terms of their personal quality. The trait trespassing hypothesis says that if a certain candidate arms him(her)self with traits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nder rival party's ownership, then it gives him(her) an electoral advantage.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rom the 1984 to 2008 U.S. presidential election cases, this paper finds the following two observations. First, since the 1980s, the Republican party has had its trait ownership in strong leadership and morality area, while the Democratic party did it in competence and empathy area. And this pattern has strongly influenced the voters' candidate evaluation through their partisan bias. Second, with exception of the 1996 presidential election case, all cases under empirical analysis show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strong leadership and empathy variables as a weapon of trait trespassing for the Democratic and Republican candidates, respectively. In sum, findings in this paper suggest that candidate traits are not a mere short-term factor which has an idiosyncratic character, and that they need a universal treatment for the regular and lasting effects on candidate evaluation and vote choice.

      • KCI등재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의 회고적 투표: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와 당파적 편향

        길정아(Jung-ah Gil),강원택(Won-Taek Kang)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4

        본 연구는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를 사례로, 유권자의 회고적 투표 행태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귀결된 선거 결과가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이 효과적이었기 때문이었다는 평가를 재고하고자, 유권자들의 당파적 편향을 고려하여 회고적 투표 선택을 보다 면밀하게 고찰한다. 분석의 결과,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에 대한 평가, 그리고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더불어민주당을 선택하는 확률이 높아진 이면에는 유권자들의 당파적 선호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는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특정한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에 관계없이 선호하는 정당 및 소속 후보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이 코로나에 대한 대통령과 정부의 효과적인 대응을 넘어서서, 유권자의 정파적 지형에 의한 결과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The paper explores voters’ retrospective assessments of the President’s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in the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 Contrary to the view that the ruling party’s overwhelming victory was due to an effective response to the COVID-19 outbreak, this study argues that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was influenced by partisan bias. Voters who identified with a particular party chose their preferred party or candidates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 regarding COVID-19 cri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Democratic Party’s election victory had more to do with partisan bias than retrospective evaluation.

      • KCI등재

        정파성이 경찰예산심의에 미치는 영향 -국회의 경찰예산심의 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민형동 ( Hyung Dong Min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5

        그동안 국회의 행정부 예산심의는 합리성과 효율성 보다는 정파적 행태가 지배하여, 헌법에 명시된 법정처리 기한조차 지키지 못하는 것이 연중행사처럼 이어져오며 행정부 예산 자체가 파행과 정쟁의 도구로 얼룩져 왔다. 이 연구는 국회의 경찰청 예산의 심의과정에서 국회와 경찰청과의 관계가 정당간 양식, 비정당 양식 등의 어떠한 양식을 보이는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양식들로 인해 정파성이 경찰예산의 어떠한 범주와 어떠한 예산분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18대 국회인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 정기국회에서 이루어진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특위)의 경찰청 예산심의에 대한 회의록 모두를 표본으로 삼고, 내용분석방법(content analysis method)으로 분석단위와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계량화, 통계분석 거쳐 그 원인이나 상황 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분석한 결과, 첫째로 여·야의 질의범주 분석에서 야당은 예산과 전혀 관련이 없는 정치적 질의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두는 반면에, 여당 또한 예산과 관련이 덜한 통제기능적 범주에 일반적 질의가 비중이 높아 국회의 예산심의 자체가 정파성화 또는 전문성과 준비부족의 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로, 경찰청에 대한 예산심의는 예결특위보다는 행안위에서 상대적으로 밀도있게 심의되고 있었고, 예결특위의 예산심의는 형식적인 의례절차로 전락하고 있었다. 셋째로, 질의범주와 관계양식 분석에서는 정치적 질의가 가장 높은 정당간 양식을 띄고 이어서 통제관리, 통제기능적범주 등의 순으로 정당간 양식을 띄어 정파성이 경찰예산심의에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로 여·야 간의 예산분야 분석에서는 여당은 정보통신분야에 이어 인건비, 생활안전분야 예산에 상대적으로 질의비중이 높았으며, 야당은 기본경비와 정치적 질의인 기타 분야에서 질의비중에 높아 여당에 비해 정파적 질의에 보다. 많은 촛점이 집중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로, 예산분야의 관계양식 및 정파성 분석에서는 경비분야 예산에 이어서 보안·외사, 생활안전 분야 예산의 순으로 정당간 양식을 띄고 있어 이들 분야에서 정파성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당시에 대형 사건이 사회적 이슈가 되어 집회 및 시위에 대처하기 위한 경비장비 예산에서 여·야가 첨예하게 대립하거나, 좌익사범과 이념 및 간첩관련 문제로 여·야가 크게 대립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경찰예산에 대한 국회의 예산심의는 일부의 예산분야에서 정파성이 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실증적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Meanwhile, since the deliberation of the administration body budget by the National Assembly has been governed by a partisan behavior rather than rationality and efficiency, it has been going on like an annual event not to meet even a statutory processing period as provided in the Constitutional law and further such deliberation has been gotten stained as the means of the crippled operation and political controversy. This study analyzes what kind of patt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National Police in the process of deliberating the National Police`s budget in the National Assembly takes among an inter-party mode and a non-interparty mode, etc., and analyzes empirically what scope and budget program of the police budget the partisan bias due to such patterns affect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this study, all stenographic records on the deliberation of the National Police`s budget by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ommittee an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which had performed for 4 years from 2008 to 2011 in the regular session of the 18th National Assembly, are taken as specimen and its analytical unit and criteria are prepared by a current analysis method so as to intend to clarify its reasons or circumstance through the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analysis.From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opposition party places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on making political inquiries which do not relate to any budget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ruling party put an importance on general inquiries applicable to the controlled functional scope, which do not relate to any budget. Thus, it is configured that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deliberation itself has some phenomena in which the opposition party is inclined to the partisan bias and the ruling party has the shortage of both preparation and specialty for the budget deliberation. Second, the budget deliberation about the National Police is more intensively made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ommittee than in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of which deliberation is degenerated into the formal ceremony procedure rather than the transparent, reasonable and efficient deliberation. Third, it is confirmed in the analysis of inquiry scope and relation pattern that the inquiries of political contents take the highest inter-party mode and then the partisan bias is operated in the order of the controlled management of a budget functional scope and the controlled functional scope, etc. Fourth, it is understood in the analysis of a budget program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ng party that the ruling party`s inquiries place relatively a high importance on the budget of personnel expense and public safety field followed by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field and the opposition party`s inquiries put more importance on a fundamental expense and other fields, which are the political inquires, and thus the opposition party is relatively more interested in focusing on the political inquiries rather than the ruling party. Fifth, the relation pattern of a budget program and the analysis of partisan bias show that an inter-party mode is taken in the order of the budget of a guard field, the security & foreign matters and the public safety field and thus the partisan bias is largely operated in those fields. It is analyzed that major accidents became social issues at that time and thus the ruling party was in confrontation with the opposition party in the budget of a safeguard equipments for the purpose of handling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or in the issues relating to the left-winger, ideology and spy. Finally, it is empirically concluded in the budget delibe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police budget that the partisan bias affects largely some budget programs.

      • KCI등재

        투표율 상승이 민주통합당에게 이로울까? : 제19대 총선에서 나타난 투표율의 정당편향

        지병근 ( Byong Kuen Jhee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3

        이 연구는 제19대 총선을 사례로 한국에서 나타난 ``투표율의 정당편향``(partisan bias)을 분석한 것이다. 투표율이 상승할 경우 야당, 특히 민주통합당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예측이 널리 수용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에 관한 경험적 연구가 지극히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투표율이 상승할 경우 과연 그리고 얼마나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여론조사자료와 집합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예상과 달리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유권자들 가운데 새누리당 보다 민주통합당을 선호하는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당선호강도와 투표의 무감의 수준 역시 더 낮았다는 점을 밝혔다. 아울러 투표율이 높은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보다 민주통합당 후보의 득표율과 당선 가능성이 오히려 낮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민주통합당에게 유리한 투표율의 정당편향은 일종의 신화에 불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존하여 민주체제의 정치적 대표성을 고양시키기 위한 투표독려행위를 당파적인 선거운동으로 폄하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the partisan bias of voter turnout`` affects electoral outcomes in the 2012 legislative election of Korea. It analyzes both the individual- and aggregate-level data to find that no significant partisan bias favorable to the Democratic United Party (DUP) exists. Instead, this study shows that the portion of pro-Saenuri Party (SNP) voters among non-voters is larger than that of pro-DUP, which is contrasting to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high voter turnout helps the DUP, In addition, pro-SNP voters have stronger party closeness and obligation to vote than pro-DUP voters. Finally, it shows that SNP candidates rather than DUP candidates tend to gain more votes in those districts with high voter t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claims that the partisan bias of voter turnout seems to be only a myth in Korea, and that it is not reasonable to restrict any political activities to promote voter turnout.

      • KCI등재

        Mitigating Partisan Perceptions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based Groups

        KIM, JASPER 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operation, 2009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0 No.2

        In our increasingly globalized and cross-border world, negotiators come across increasingly different cultures, and thus, methods of approaching solutions and problems. Often such cultures may seem “alien” or “unusual” to us, which may in turn give rise to certain partisan perceptions. Within the context of East-West negotiations, I suggest that such partisan perception may further be linked to cultural variables and described as a “barbarian bias,” which represent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in the current literature. This is linked to other phenomenon, such as “accidental Occidentalism” and “biased benchmarking,” which can be used, knowingly or unknowingly, by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based negotiators to their possible detriment.

      • KCI등재

        정당 간 갈등은 누구의 탓일까: 제21대 총선에서 위성정당 창당 사례와 당파적 책임 귀속

        길정아(Jung-ah Gil)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3

        본 연구는 정치권에서 나타나는 정당 간의 갈등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유권자들의 당파적 편향으로 인해 이들이 정당 간 갈등에 대한 책임을 상이하게 귀속할 것임에 주목하여, 제21대 총선에서 위성정당 창당을 두고 발생한 정당 간 갈등을 사례로 살펴본다. 분석의 결과, 유권자들이 두 위성정당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정당간 갈등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그런데 유권자들의 정당일체감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에게는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창당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정당 간 갈등 수준을 높이는 요인이었던 반면, 미래통합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의 창당을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정당 간 갈등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위성정당에 대한 평가와는 정당 간 갈등을 연관 짓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당파적 책임 귀속의 태도가 정치권의 양극화와 정당 간 갈등이 유권자들의 양극화를 가져오는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plores citizens’ perceptions on partisan conflict among politicians. Focusing on a conflict between two satellite parties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it aims to verify how partisan voters assign blame for this conflict. Preliminary finding shows that voters’ negative attitudes on both of these satellite parties might be likely to increase their perceptions on serious partisan conflict. When partisanship is taken into consideration, however, negative evaluations on out-group satellite parties only lead to perceptions on serious conflict among politicians. On the contrary, evaluations on their in-group satellite parties have no prominent effect on the perceptions.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partisan blame attribution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link polarization and partisan conflict in the political arena with polarization in the electorate.

      • KCI등재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가 정파적 가짜뉴스에 대한 판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미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4 시민교육연구 Vol.56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3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ear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the impact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civic media literacy sub-competencies was examined, and second, after confirming the type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was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competencies of civic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exclude harmfu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udgment behavior regarding partisan fake news, while public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the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are ‘average type(group 1)’,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risk coping type(group 3)’,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and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the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was better than the average type(group 1), the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the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the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ese research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specific educational discussion should be held to address the issue of partisan fake news, focusing on building competencies to exclude harmful media.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ublic participation’, a competency recommended in civic education, when using media. Third,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 KCI등재

        선거예측시장에서의 당파적 거래: 2012 대선 주식시장에 대한 보고

        조남운 ( Namum Cho ),박원호 ( Won-ho Park ),한규섭 ( Kyu S. Han ),안도경 ( T. K. Ahn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6 韓國 政治 硏究 Vol.25 No.3

        본 논문은 2012년 제18대 대한민국 대통령선거 기간 동안 운영된 정치예측시장의 결과를 보고한다. 정치예측시장에서 거래자들의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거래자들의 당파성 혹은 후보선호는 개별 거래자의 거래 행태와 전체적인 정치예측시장 결과에 영향을 주는가? 둘째, 여론조사 결과의 공표금지는 정치예측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예측시장에서 당파적 거래의 양상은 강하게 나타났고 이는 투표일이 가까워질수록 더 강화되었다. 그러나 당파적 거래는 정치적 선호의 직접적인 표출이라는 형태보다는 선거결과에 대한 예측이 자신의 지지후보에 대한 확증편향에 근거하는 간접적인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여론조사 금지 기간 동안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 사이에서 확증편향에 의한 당파적 거래가 강화됨으로써 예측시장은 실제 선거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실패하였다.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 political prediction market run during the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By analyzing the behaviors of traders, we aim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partisanship or candidate preference of traders affect trading patterns and the prediction market outcome? Second, how does the prohibition of releasing opinion survey results affect the political prediction market? Partisan trading was pervasive in our prediction market and grew stronger during the final phase of the election. However, rather than a direct manifestation of political preference, the partisan trading mainly took an indirect form in the sense that it was mediated by traders` prediction of the election outcome which in turn was influence by confirmation-bias. The partisan trading grew stronger, especially among the traders who supported candidate Moon, during the period in which publication of opinion survey results was banned, eventually leading to the market`s failure in predicting the election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