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 신뢰, 회고적 투표, 그리고 당파적 편향: 2014년과 2018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길정아(Jung-ah Gil) 한국정당학회 2019 한국정당학회보 Vol.18 No.3

        본 연구는 정부 신뢰의 당파적 방향성에 주목하여, 정부 신뢰가 투표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정부 신뢰와 투표 참여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정부 신뢰가 현직 정부 여당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특히 임기중반에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의 회고적 투표 선택과 보다 조응하는 정치적 태도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 신뢰의 당파적 속성을 고려하여 회고적 투표 선택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당파적 편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주요한 정당들에 대한 선호가 무차별한 유권자들에게서는 정부 신뢰가 높아질수록 여당 소속 후보를 선택하는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특정한 정당에 대해 편향된 선호를 가진 유권자들은 정부 신뢰의 정도와 관계없이 선호하는 정당 소속 후보를 선택하였다. 이는 정부 신뢰, 그리고 그를 기반으로 한 회고적 투표선택이 유권자들의 당파적 선호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당파적 편향의 태도는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정파가 집권했을 때 유권자들은 정부에 대해 무조건적인 불신을 형성하여 당파적 유권자들 사이에 양극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회고적 투표 선택이 가지는 상벌의 의미가 퇴색될 우려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s how trust in government influences vote choice with paying attention to its partisan properties.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es which have main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electoral participation, this study argues that governmental trust is related to retrospective voting rather than voter turnout especially in local elections because voters recognize their governmental trust with regard to incumbent party governmen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partisan bias in retrospective voting based on trust in government. The findings show that voters who are indifferent to major parties made vote decisions affected by government trust, while voters who have lopsided partisan preferences remain unaffected. These results mean that voters’ governmental trust and its effect on retrospective vote choice are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partisan preferences. Partisan bias which leads to partisan vote choice regardless of voters’ trust in government implies that a large portion of voters who do not support the ruling party may practically distrust incumbent government. Furthermore, retrospective voting can hard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pensing reward and punishment for the performance of the incumbent government. I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partisan polarization which stems from partisan bias.

      • KCI등재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의 회고적 투표: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와 당파적 편향

        길정아(Jung-ah Gil),강원택(Won-Taek Kang)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4

        본 연구는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를 사례로, 유권자의 회고적 투표 행태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귀결된 선거 결과가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이 효과적이었기 때문이었다는 평가를 재고하고자, 유권자들의 당파적 편향을 고려하여 회고적 투표 선택을 보다 면밀하게 고찰한다. 분석의 결과,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에 대한 평가, 그리고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더불어민주당을 선택하는 확률이 높아진 이면에는 유권자들의 당파적 선호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는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특정한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대통령의 코로나 대응 평가에 관계없이 선호하는 정당 및 소속 후보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이 코로나에 대한 대통령과 정부의 효과적인 대응을 넘어서서, 유권자의 정파적 지형에 의한 결과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The paper explores voters’ retrospective assessments of the President’s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in the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 Contrary to the view that the ruling party’s overwhelming victory was due to an effective response to the COVID-19 outbreak, this study argues that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was influenced by partisan bias. Voters who identified with a particular party chose their preferred party or candidates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 regarding COVID-19 cri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Democratic Party’s election victory had more to do with partisan bias than retrospective evaluation.

      • KCI등재

        당파적 편향에 따른 책임 귀속: 여야간 갈등인식과 정당 호감도를 중심으로

        길정아 ( Jung-ah Gil ),하상응 ( Shang E. Ha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9 의정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민주주의 사회에 상존하는 갈등이 양극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미시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유권자들의 갈등인식과 정당에 대한 호감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이 관계를 결정하는 데에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이 주는 효과에 주목한다. 유권자들이 정파성을 띠지 않는 경우 에는 여야간 갈등인식이 반드시 정당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지지 않지만, 유권 자들이 정파성을 띠고 있는 상황에서는 갈등인식이 상대방 정당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설을 2014년 지방선거 맥락에서 구축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검증한다. 분석 결과, 정당일체감이 강한 유권자들은 갈등이 심각하다고 느낄수록 상대방 정당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분만 아니라,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과 지지하지 않는 정당 간의 상대적 호감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념적으로 양극화된 정치 환경에서 정당 간 갈등이 기존 정당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져 양극화를 더욱 강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perceptions on party conflict and affective polarization.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party identific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Using a survey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2014 Korean local election,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s that perceiving serious inter-party conflict in the political arena is likely to increase negative feelings toward out-group political party among partisans only. Not only do the results confirm our hypothesis but suggest that conflict perception leads to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partisan voters. This paper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that links the attribution of blame to out-group political party for legislative gridlock with ever-growing affective polarization of the electorate.

      • KCI등재

        연구논문 : 국회의원후보자 선정과정의 동학: 제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의 공천을 중심으로

        길정아 ( Jung Ah Gil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1 韓國 政治 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한국 정당의 공천과정이 여전히 폐쇄적이고 하향식인 형태로 유지되는 원인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경향은 공천제도를 주어진 것으로만 파악하여, 공천제도 자체와 그 정치적 결과에만 천착해 왔던 반면,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의 관점에서 공천방식의 특성이 유지되어 온 원인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연구의 결과, 폐쇄적이고 하향식 형태의 공천방식이 유지되는 것은 결과의 불확실성의 정치적 의미가 비교적 미약하며 비민주적인 특성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는 한국의 정당정치 현실에서, 각 정당 내 행위자들에게 있어 공천방식의 개방화를 통해 지지율 및 의석 수 확대를 통한 정당의 생존을 추구해야 하는 유인이 크게 작용하지 않음에 기인한다. 오히려, 폐쇄적이고 하향식의 공천방식의 선택을 통해서 정당 내 행위자들은 재선 및 당내 권력의 장악이라는 선호를 실현시키고자 노력했던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한 제도는 단순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행위자들의 힘의 관계가 반영된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정당의 공천과정을 보다 동태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why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 by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is still characterized by exclusive, top-down approach. Previous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examining candidate selection methods per se and/or their political implications. Drawing on a new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study concludes that exclusive and top-down candidate selection process of the parties continues because intra-party actors have little incentives to open the process for maximizing vote share and seats in the context of Korean party politics, where electoral outcomes have often not been uncertain in advance and intra-party structure is still not democratic. In addi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 is more dynamic than previously considered, which would strengthen the case that a specific institution is not exogenous but a choice reflecting political actors` power relations.

      • KCI등재

        정부신뢰와 정부불신, 그리고 투표 참여: 유권자의 이념성향과 정당호감도에 따른 차별적 유인

        길정아 ( Jung-ah Gil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9 의정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유권자의 정부신뢰와 투표 참여의 관계를 규명하는 가운데, 이에 개입하는 유권자의 이념성향과 정당호감도의 영향력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정부신뢰가 유권자의 정파적 사고에 기반한 것임을 고려하여, 정부신뢰가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유권자들의 이념성향과 정당호감도에 따라 상이한 방향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정부와 이념적인 성향이 상응하거나 여당에 대해 높은 호감도를 가진 유권자들은 정부신뢰가 높아질수록 투표에 참여한 반면, 정부와 상이한 이념성향을 지니거나 여당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및 야당에 대한 긍정적인 선호를 가진 유권자들은 정부에 대한 불신이 강화될수록 투표에 참여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정부신뢰가 투표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일관된 결론에 이르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본 연구는 각 선거가 치러지는 당시의 맥락과 상황에 따른 해석보다 정부신뢰가 투표 참여를 추동하는 보다 정치적이고 본질적인 과정을 밝힘으로써 그에 답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정부신뢰가 지니는 정치적 속성과 그 영향력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trust in government leads voters’ electoral participation with paying attention to their political orient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takes voters’ partisan consideration into account to examine different direction of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electoral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ir ideology and partisan preferences. Key findings show that governmental trus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lectoral participation for voters who have conformable ideological orientations to the incumbent government and positive preferences toward the ruling party. In contrast, distrust in government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lectoral participation for those who have different ideology from the incumbent,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ruling party, and partisan preferences of the opposition party.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electoral participation have been mixed as yet. For the sake of explaining this inconclusiveness, this study focuses on partisan foundation of voters’ political decision making. I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properties of governmental trust and its implications for representative democracy.

      • KCI등재

        코로나 바이러스 시대의 국가 자긍심: 방역 주체의 코로나 대응 평가와 유권자의 정당 선호를 중심으로

        길정아 ( Jung-ah Gil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정치 Vol.37 No.1

        본 연구는 정부의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에 대한 유권자들의 평가가 국가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여 전 세계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던 상황에서, 한국의 코로나 대응, 즉 “K-방역”은 국내외를 불문하고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방역 주체의 효과적인 코로나 대응은 정부 신뢰 등의 구체적 지지를 넘어 정치 공동체에 대한 지지로까지 이어질 것임을 논증한 후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주요 방역 주체의 코로나 대응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응답자가 대한민국 국민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자부심과, 대한민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것에 대한 만족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그런데 국가 자긍심에 미치는 주요 방역 주체의 코로나 대응 평가의 영향력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에게서 가장 현저했던 반면, 미래통합당 지지자들에게서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권자의 국가 자긍심이 국가의 정치적 성취에 근거하는 정도가 정당 선호에 따라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 of voters’ government evaluations of COVID-19 response on their national pride. With the outbreak of the COVID-19 and having a worldwide influence, Korea's response to the coronavirus, that is, “K-Quarantine”, was evaluated as relatively successful both at home and abroad. Therefore, this study tested empirically after arguing that effective corona response by major quarantine agents would lead to support for the political community beyond specific support such as trust in government. Preliminary finding show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response evaluations of major quarantine agents were, the greater the pride of being proud that the respondents were Korean citizens and the satisfaction with living in Korean society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partisan preferences were taken into account, however, voters who identified with the ruling party showed the most prominent effect of government performance regarding COVID-19. On the contrary, it had little effect on national pride for the major opposition party identifiers.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the extent to which voters’ national pride is based on government achievements differs according to party preferences.

      • KCI등재
      • KCI등재

        정당 간 갈등은 누구의 탓일까: 제21대 총선에서 위성정당 창당 사례와 당파적 책임 귀속

        길정아(Jung-ah Gil)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3

        본 연구는 정치권에서 나타나는 정당 간의 갈등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유권자들의 당파적 편향으로 인해 이들이 정당 간 갈등에 대한 책임을 상이하게 귀속할 것임에 주목하여, 제21대 총선에서 위성정당 창당을 두고 발생한 정당 간 갈등을 사례로 살펴본다. 분석의 결과, 유권자들이 두 위성정당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정당간 갈등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그런데 유권자들의 정당일체감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에게는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창당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정당 간 갈등 수준을 높이는 요인이었던 반면, 미래통합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의 창당을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정당 간 갈등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위성정당에 대한 평가와는 정당 간 갈등을 연관 짓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당파적 책임 귀속의 태도가 정치권의 양극화와 정당 간 갈등이 유권자들의 양극화를 가져오는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plores citizens’ perceptions on partisan conflict among politicians. Focusing on a conflict between two satellite parties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it aims to verify how partisan voters assign blame for this conflict. Preliminary finding shows that voters’ negative attitudes on both of these satellite parties might be likely to increase their perceptions on serious partisan conflict. When partisanship is taken into consideration, however, negative evaluations on out-group satellite parties only lead to perceptions on serious conflict among politicians. On the contrary, evaluations on their in-group satellite parties have no prominent effect on the perceptions.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partisan blame attribution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link polarization and partisan conflict in the political arena with polarization in the electorate.

      • KCI등재

        제18대 대선의 투표선택에 대한 방법론적 재검토: 한국 유권자는 정말로 전망적 투표를 했는가?

        장승진 ( Seung Jin Jang ),길정아 ( Jung Ah Gil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4 한국과 국제정치 Vol.30 No.3

        본 논문은 제18대 대선을 사례로 독립변수의 내인성 및 인과관계의 방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사용한 2단계 프로빗모형을 사용하여 유권자의 투표선택 결정요인을 재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연구에서 한국 유권자의 전망적 투표의 증거로 제시된 전망적 경제 평가 및 후보자 특성에 대한 인식은 투표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대신 정당에 대한 선호가 투표선택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내인성 문제를 통제한 후 이명박 정부 및 야당에 대한 심판론의 영향력이 명확히 나타났다. 요컨대 본 논문의 분석은 제18대 대선에서 한국 유권자들이 매우 당파적인 선택을 했으며, 이명박 정부 및 야당에 대한 회고적 평가역시 당파적인 선택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Using two-stage instrumental variables probit model, which deals with the problem of endogeneity and reverse causality, this paper re-examines vote choices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we find no evidence of prospective voting among Korean voters: neither voters’ perception of candidate traits nor prospective socioeconomic evalu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vote choices. Instead, attitudes toward major political parties were found to be the most decisive factor in their vote choices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addition, taking endogeneity into consideration, it becomes clear that the retrospective evaluation of incumbent government as well as of opposition party were in fact critical factors in voters’ decisions. To sum up,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voters cast their votes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on the basis of partisan considerations, of which the retrospective evaluation of incumbent government and opposition party was an important p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