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웅소설과 대하소설의 주인공의 환상 체험의 차이와 그 의미

        한길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한국문화 Vol.42 No.-

        The fantasy style in classic novels is relative to realization of original nature of human. It can prescribe the whole meanings of the story as it influence to the inclination of consciousness of each novels. This thesis surveyed the difference and the meaning of fantasy experience of heroes and heroines in hero novels and river novels. Heroes in hero novels certainly discipline under prodigy in the celestial world, but in river novels there is no scene like this. And heroes in hero novels get helps from transcendent existence, heroes in river novels on the other hand forestall transcendent existence. In hero novels that mainly common people read, heroes as ‘deficiency’ needed structural mechanism that can do ‘qualitative leap’, but in river novel that mainly higher classes enjoyed, heroes as ‘sufficiency’ didn’t need narrative mechanism that can do ‘qualitative leap’. Meantime, heroines in hero novels volunteer to attire as men and discipline under male prodigy, on the other hand heroines in river novels get helped at the moment of serious crisis from female prodigy and arrive passively to celestial world and take lessons. And in hero novels, they stretch their wings in order to reveal their existence and recover their own native home, but in river novels, heroines stretch their wings in order to rescue their own lover or husband and recover the family of husband as the result. These mean that hero novels that common people enjoyed reveal woman consciousness without specific restriction, river novels upper classes enjoyed on the other hand reveal somewhat woman consciousness in the criterion and restriction to the higher woman class. The fantasy style in classic novels is relative to realization of original nature of human. It can prescribe the whole meanings of the story as it influence to the inclination of consciousness of each novels. This thesis surveyed the difference and the meaning of fantasy experience of heroes and heroines in hero novels and river novels. Heroes in hero novels certainly discipline under prodigy in the celestial world, but in river novels there is no scene like this. And heroes in hero novels get helps from transcendent existence, heroes in river novels on the other hand forestall transcendent existence. In hero novels that mainly common people read, heroes as ‘deficiency’ needed structural mechanism that can do ‘qualitative leap’, but in river novel that mainly higher classes enjoyed, heroes as ‘sufficiency’ didn’t need narrative mechanism that can do ‘qualitative leap’. Meantime, heroines in hero novels volunteer to attire as men and discipline under male prodigy, on the other hand heroines in river novels get helped at the moment of serious crisis from female prodigy and arrive passively to celestial world and take lessons. And in hero novels, they stretch their wings in order to reveal their existence and recover their own native home, but in river novels, heroines stretch their wings in order to rescue their own lover or husband and recover the family of husband as the result. These mean that hero novels that common people enjoyed reveal woman consciousness without specific restriction, river novels upper classes enjoyed on the other hand reveal somewhat woman consciousness in the criterion and restriction to the higher woman class.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과 소설사적 전변 -단편 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중심으로-

        한길연 ( Han¸ Gil Yeon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본고에서는 초기 형성기와 이후 변모양상에 초점을 맞춰 단편 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중심으로 국문장편소설의 소설사적 전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단편 영웅소설, 엄격하게 말하자면 단편 남성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살펴보면, 17세기 국문장편소설인 <구운몽>,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등에서 기자치성, 신몽 등의 ‘신이한 탄생’과 도술획득화소, 무기획득화소 등의 ‘비범한 능력 획득’ 등의 ‘영웅의 일대기 구조’와 관련한 요소들이 구비되어 후대 단편 영웅소설에 영향을 미쳤음을 검토하였다. 18세기 이후로는 단편 영웅소설과의 길항작용 속에서 국문장편소설은 단편 영웅소설과 차별되는 서사문법을 공고히 하면서도 단편 영웅소설의 영향을 받으며 또 다른 변화를 모색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국문장편소설에서 신이한 탄생 및 비범한 능력 획득과 관련한 화소들이 축소 혹은 소거됨으로써 국문장편소설 내부의 서사문법이 공고해지고 있었다. 이는 상층 중심의 국문장편소설이 하층 중심의 단편 영웅소설과 차별되는 뚜렷한 자기모색의 과정에서 나온 결과일 뿐 아니라, 전란 직후의 불안한 시대인 17세기와 달리 18세기 이후 안정기로 접어들며 이러한 서사장치가 불필요하게 된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한편, 이러한 흐름 속에서도 <창란호연록>, <조씨삼대록> 등에서 보이는 유리 모티프, 환술 모티프는 단편 영웅소설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는 18세기 이후 국문장편소설의 향유층의 저변이 확대되는 한편 서사적 흥미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경향과도 맞물려 있음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단편 여성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국문장편소설 속 단위담에 등장하는 여성영웅도 그 분량 및 비중에서 단편 여성영웅과 버금가기에 여성영웅에 포함시켜야 함을 전제한 뒤, 국문장편소설 속 여성영웅을 ‘체제순응형’, ‘체제이탈-순응형’, ‘체제이탈형’으로 분류하였다. 초기 형성기의 교섭양상으로 도술을 통해 남편을 음조하는 <박씨전>의 ‘박씨’ 등이 장편소설의 체제순응형에 영향을 주었으며, 17세기 말~18세기 초에 창작된 <유씨삼대록> 속 ‘설초벽’이라는 여성영웅은 <설저전>과 <이현경전> 사이의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여성영웅으로서의 가능성과 단편과 차별되는 장편 여성영웅의 단초를 보여줌을 고찰하였다. 18세기 이후로는 국문장편소설의 여성영웅이 단편 여성영웅소설과의 길항작용 속에서 체제순응형, 체제이탈형, 체제순응-이탈형으로 삼분화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다수의 장편에서 등장하는 체제순응형은 <박씨전>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이현경전> 등과 차별되는 규범적 여성영웅상을 구현함으로써 국문장편소설 속 전형적인 여성영웅으로 자리잡고, <화정선행록>의 충효혜, <임화정연>의 석가월 등의 체제이탈형은 시가를 떠나 자신만의 공간에서 종신한다는 점에서 장편소설 속 여성영웅 중 가장 혁신적인 여성영웅으로 부각되며, <부장양문록>의 장벽계, <하진양문록>의 하옥주 등의 체제이탈-순응형은 단편 여성영웅소설의 영향을 받아 장편에서도 순연한 장편 여성영웅소설의 탄생을 보여주면서도 여성의식에 대한 섬세한 부조를 통해 단편 여성영웅과의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제 논의를 통해 국문장편소설은 단편 영웅소설과의 교섭하에 고유의 서사문법을 구축하는 한편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하면서 17세기 이후 고전소설사의 전변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the influencing relation of inside and outside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change in the history of novel, focusing on the exchange with short hero novels and heroine novels. First of all, looking at the aspects of exchange with short hero novels, I examined that factors related to the hero's life story structure, such as "Mysterious Birth" and "Acquiring extraordinary ability," were established in the 17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such as "Guunmong", "Changseongamuirok", and "Sohyeonseongrok", which affected future short hero novels. After the 18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sought another change under the influence of hero novels while solidifying their narrative grammar, which is different from hero novels, in the rivalry with short hero novels. As the motifs related to mysterious birth or acquiring extraordinary ability gradually reduced, the internal narrative grammar of the full-length novels was solidified. It was the result of the self-exploration process in which the upper-class Korean full-length novel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lower-class hero novels. Furthermore, unlike the 17th century, which was an unstable period right after the war, it is estimated that the above narrative devices became unnecessary as they entered a period of stabilization after the 18th century. Next, I looked at the pattern of exchange with short female hero novels. First of all, it is assumed that female heroes who appear in unit stories in full-lengnth novels should be included as heroines in terms of their volume and weight. Heroines in Korean novels were categorized as 'type of conformist', 'type of seceders', and 'type of seceders-conformist'. In the early formative exchange patterns, "Parkssijeon" and others influenced the type of conformist of the full-length novels. Created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the heroine of "Yussisamdaerok" filled the gap between "Seoljeojeon" and "LeeHyeonKyeongJeon", while showing the beginning of a full-length female hero that is differentiated from a short story. Since the 18th century, female hero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types in competition with short female hero novels. Through these discussions, I could consider that Korean full-length novels played a key role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s since the 17th century by establishing their own narrative grammar and constantly seeking changes in exchange with short hero novels and female hero novels.

      • KCI등재

        한국 영웅소설에 수용된 중국문화의 배경 연구

        안기수(Ahn, Gee-soo)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3 N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orks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detained Chinese Korean hero in the novel, this study aims to look at it, how did the Korean hero of the novel creative customs. It is seen to have affected the schedule to settle the Chinese culture in Korea, Korean hero of the novel in the form of internal acceptance as First, the epic space hero novels 〈namhyungno〉, 〈Sunwoo〉 crowded, South 〈Manchuria〉, 〈gadal〉, 〈tobeon〉, 〈ohguk〉 China is a vast space above the space to move step-by-step even more giant becomes Saw this stranger China is realistically probable cause of the incident giving value through rich storytelling and recreating the events of the novel that space. Protagonist of the active area weighing island, white porcelain village, 〈yeju neungju〉, 〈Yangzhou〉, 〈Cheongju〉, 〈Unju〉, 〈Geumneung〉, 〈yeonhwasan〉, 〈Zhejiang〉, 〈Luoyang〉 nomination appeared throughout China.<br/> ? Second, China detained the hero in the novel the main ideas of Buddhism, Taoism, Confucianism Here you can see the profound impact of Confucianism and Taoism background gave Accepted hardships overcome, and the birth of the hero, and the ability to ending the culture and ideology in the biographies of heroes not less distinctive features, as well as in narrative structural hero of the novel creation of customs is an important framework. These ideas, especially the combination of During pregnancy dreams. Therefore, the protagonist is a mysterious and heroic temperament excellent ride, I would have thought way to rationalize the plausibility of the novel wiIl already born.<br/> ? Third,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eolingwi〉 I gave the hero of the novel creation that have been investigated. Hero figures that appeared in two works, of course, the art of war, the hero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female hero’ s achievements, is the hero of the novel structure is almost similar to the ending point. Such as Chinese literature is the fact that our hero of the novel, gave a profound impact on our way down to posterity keeping with the emotional and creative writing, while all affected variety of new hero novel evolutionary creation.

      • KCI등재

        「금방울전」 , 「김원전」의 영웅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설화의 수용과 영웅소설의 변주를 중심으로 -

        윤은정,이명현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89 No.-

        This study examines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in terms of the narrative variations of schematism in hero novels. It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 embodiment of two heroes, Geumryeong and Kim Won. Both follow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hero’s overall story, but deviate from a schematic development by accepting the myths of egg birth and destroying a monster in an underground realm and rescuing an abducted woman. In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the protagonists undergo a “transformation from a non-human being to a human being” by changing their forms to overcome abandonment” and crisis in childhood. This shows that the novels accept the egg birth myth. The protagonists demonstrate their heroic nature with their extraordinary abilities, focusing on the extermination of a monster by accepting the myth of destroying a monster in an underground realm and rescuing an abducted woman. This is a different style from most hero novels that depict the hero as overcoming the crisis of a modern order, such as conspiracy and war. Even though Geumryeong and Kim Won have been endowed with abilities by the Heaven, they cannot reveal their heroic aspects completely. Geumryeong is neglected by her parents and people around her for being born in a non-human form despite her transcendent abilities. After changing her form, she is not able to exert her transcendent abilities and is restricted by her family. Kim Won is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born in a non-human form and isolated from his family and society. After changing his form and studying the Book of Heaven’s Revelations, he gains extraordinary abilities. He cannot, however, destroy a monster without the assistance of a helper. After escaping from the underground world, he gets helplessly killed by an ordinary being. Both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accepted a myth to deviate from the typical development of hero novels, in which they show hybridism between a hero to protect the system and a mythical figure. Geumbangwooljeon accepts mythical imagination to embody Geumryeong in a non-human form and a female hero that assists her husband as his wife. It is her husband Haeryong that plays the typical heroic role to protect the national order. This narrative compromise is a strategy to seek narrative variations while keeping the genre of hero novels. Kim Won Jeon tries to deviate from the typical hero by accepting an exploration of hero in folklore. However, an exploration hero’s narrative of destroying a monster overlaps with the old hero narrative, which does not ensure a clear differentiation. Kim Won Jeon thus attempts to have a narrative variation by inserting a resurrection tale. However, the protagonist’s helpless death and resurrection by the intervention of a mythical being clashes with the genre of hero novels that revolve around a hero’s leading roles in task fulfillment. In Kim Won Jeon, a clash between different genres appear in the parallel enumeration of several narrative elements and the resolution of conflicts in which causal relations are uncertain. Geumbangwooljeon and Kim Won Jeon show different methods of expanding a hero novel by accepting mythical imagination. The combination of an old genre and a new narrative element in these novels offer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variation of the novel types and the deconstruction of a genre. 이 논문은 영웅소설 도식성의 서사적 변주라는 측면에서 『금방울전』과 『김원전』을 살펴보고, 금령과 김원의 영웅 형상화 방식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금방울전』, 『김원전』의 서사구조는 작품 전체적으로 영웅의 일대기를 따르지만, 난생설화, 지하국대적퇴치설화등을 수용하여 도식적 전개에서 벗어나고 있다. 『금방울전』과 『김원전』에서는 주인공의어린 시절 ‘기아(棄兒)와 위기 극복’에서 난생설화를 수용하여 형태 변이를 통한 ‘비인간에서 인간으로 전환’이 나타난다. 주인공이 비범한 능력으로 영웅성을 입증하는 과정은 지하국대적퇴치설화를 수용하여 요괴퇴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대부분의 영웅소설에서 역모, 전쟁 등 현실 질서의 위기 극복이 나타나는 것과는 다른 방식이다. 금령과 김원은 천상계로부터 능력을 부여받았음에도 온전한 영웅의 면모를 드러내지못한다. 금령은 초월적 능력을 지녔지만 비인간의 형상으로 태어나서 부모와 주변의 외면을 받고, 형태 변이 이후에는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가정 내의 존재로 한정된다. 김원은 적강한 존재이지만 비인간의 형상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가족과 사회로부터 격리된다. 김원은 형태 변이와 천서(天書) 수학 이후에 비범한 능력을 획득하지만, 조력자의 도움없이 요괴를 퇴치하지 못하고, 지하 세계 탈출 이후에는 일상적 존재에게 무기력하게 죽임을 당한다. 『금방울전』, 『김원전』은 도식화된 영웅서사를 탈피하기 위하여 설화를 수용하고, 이 과정에서 체제수호적 영웅과 설화적 인물이 혼종된다. 금방울전 에서는 설화적 상상력을수용하여 금령을 비인간의 형상을 지닌 내조형 여성 영웅으로 형상화하고, 국가 질서를 수호하는 전형적 영웅의 역할은 남편 해룡이 수행한다. 이러한 서사적 타협은 영웅소설의 장르 관습을 유지하면서 서사적 변주를 추구하는 서사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김원전』은 민담의 탐색 영웅을 수용하여 전형적 영웅을 변주하려고 하였지만, 탐색 영웅의 요괴퇴치 서사는 기존 영웅서사와 중복되어 서사적 차별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래서 재생담을 삽입하여 서사적 변주를 시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인공의 무기력한 죽음, 신화적 존재의 현실 개입에 의한 재생은 영웅의 주도적 과업 성취라는영웅소설의 장르 관습과 서사적 충돌을 일으킨다. 김원전 에 나타난 장르 문법의 충돌은여러 서사 요소의 병렬적 나열과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갈등 해결로 나타난다. 『금방울전』과 『김원전』은 설화적 상상력을 수용하여 영웅소설의 확장을 시도하는 서로다른 방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이 두 작품에 나타난 기존의 장르 문법과 새로운 서사요소의 결합은 소설 유형의 변이와 장르 해체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딥러닝을 활용한 경판 방각본 소설의 유형 고찰 -영웅소설과 애정소설 유형을 중심으로-

        강우규 ( Kang Woo-kyu ),김바로 ( Kim Ba-ro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경판 방각본 소설 중 영웅소설과 애정소설로 파악되는 작품들의 유형성을 분석하였다. <조웅전>, <소대성전>, <임장군전>의 영웅소설과 <숙향전>, <숙영낭자전>의 애정소설을 토대로 영웅소설과 애정소설을 분류하는 딥러닝 유형 학습 모델을 구축했다. 이를 토대로, 영웅소설로 분류되는 <금방울전>, <장백전>, <장풍운전>, <정수정전>, <현수문전>, <황운전> 6작품과 애정소설로 분류되는 <백학선전>, <쌍주기연>, <양산백전>, <옥주호연> 4작품의 유형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애정소설과 영웅소설 사이에서 이견이 존재했던 <백학선전>, <쌍주기연>, <양산백전> 등은 애정소설로 파악되었고, 영웅소설로 분류되던 <금방울전>, <장백전>, <장풍운전>, <현수문전> 등도 애정소설로 파악되었다. 영웅소설로 분류되던 <정수정전>, <황운전> 그리고 애정소설로 분류되던 <옥주호연>만이 영웅소설로 파악되었는데, 이 작품들은 모두 여성영웅소설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체적으로 <조웅전>, <소대성전> 등의 일반적인 영웅소설과 <정수정전>, <황운전> 등 여성영웅소설이 유형성을 공유하고 있고, <장백전>, <현수문전> 등 왕조교체형이라고 불리는 영웅소설이 이들과는 상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ology of works identified as hero novels and romantic nove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First, we built a deep learning type learning model based on hero novels such as Jowoongjeon, Sodaesungjeon, and Imjanggunjeon, and romantic novels such as Sukhyangjeon and Sookyoungnangjajeon. Through this, we verified six works of hero novels(Geumbanguljeon, Jangbaekjeon, Jangpungunjeon, Jungsujeongjeon, Hyunsumunjeon, and Hwangunjeon) and four works of romantic novels(Baekhaksunjeun, Ssangjugiyeon, YangsanBaekjeon, and Okjuhoyeon). As a result, Baekhaksunjeun, Ssangjugiyeon, and YangsanBaekjeon, which had a difference opinion between romantic novels and hero novels, were identified as romantic novels. Geumbanguljeon, Jangbaekjeon, Jangpungunjeon, and Hyunsumunjeon were also identified as romantic novels. Only Jungsujeongjeon, Hwangunjeon and Okjuhoyeon were classified as hero novels, all of which were female hero novels. In other words, the general hero novel and female hero novels such as Jungsujeongjeon, Hwangunjeon share the stylistic tangibility. Novels, such as Jangbaekjeon and Hyunsumunjeon, which feature heroes who cause the downfall of a dynasty, have different stylistic features.

      • KCI등재

        조선시대 영웅소설과 슈퍼히어로

        송성욱 ( Song¸ Sung-uk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49 No.-

        이 논문에서는 서양 슈퍼히어로 이야기의 원조이자 상징인 일련의 <슈퍼맨〉시리즈를 중심에 놓고, <어벤저스〉등 다른 작품을 보조 적으로 활용하여 우리 영웅소설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영웅소설 중에서는 초기 영웅소설인 <홍길동전〉, 중간 단계인 <소대성전〉, 전성기 작품인 <유충렬전〉을 주요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영웅 소설의 천상과 지상, 슈퍼히어로의 외계와 지구라는 공간 설정의 문제를 비교하였다. 영웅소설은 애초에 수직적 관계로 인식되었던 천상과 지상을 수평적으로 형상화하려고 한다면, 슈퍼히어로 이야기에서는 원래 수평적으로 인식되었던 외계와 지구를 수직적으로 형상화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캐릭터 설정 문제에서는 슈퍼히어로 논의에서 중요하게 거론되는 ‘타자화’의 개념과 영웅소설의 주요 의미망 중의 하나인 가문성의 측면에서 따져 보았다. 슈퍼히어로는 한결같이 타자화를 경험한다는 점에서 홍길동과 상당한 유사점을 보였지만, 슈퍼히어로의 타자화는 이중적 자아의 갈등과 중첩되어 있다는 점에서 홍길동과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타자화를 해결하는 방식에서는 홍길동보다는 오히려 타자화 경험이 거의 없는 소대성에 더 가까운 일면을 보였다. 그리고 캐릭터와 공간 설정의 문제를 동시에 따져 보면 슈퍼히어로는 존재 방식의 측면에서는 이원적 구조를 지니는 〈유충렬전〉보다는〈홍길동전〉에 더 가깝고, 공간 설정에서는 <소대성전〉이나 <유충렬전〉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었다. 어떻게 보면 일원론 개념을 이원론적으로 풀어낸 것이 슈퍼히어로 이야기라고도 볼 수 있겠다. 가족성의 측면에서는, 슈퍼히어로 이야기에서 가족성은 어디까지나 아버지라는 개체와 아들이라는 개체의 개별적 인연으로만 그 의미가 국한되었다. 이 모습은 적강한 존재이지만 현생에서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혈연 관계를 유지하는 영웅소설과는 확실히 다른 양상이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compare modern Western superhero stories with Joseon-era hero novel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hero novels as Korean superhero stories, as well as to explore new ways to educate classical novels. This article focused on a series of Superman series, the origin and symbol of Westem superhero stories, and used other works such as Avengers> to compare and analyze our hero novels. Among the hero novels, early hero novels such as Hong Gil-dongjeon, mid-stage "Sodae Seongjeon" and heyday "Yoo Chung-ryeoljeon" were selected as the main subjects of comparison.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oncept and aspect of the term "worldview" mentioned in the superhero story, and compared it with the hero novel according to this concept. In particular, the superhero story focused on the story of Superman, the founder and symbolic character of the story. The story, which became famous in 1978 for the movie Superman, has continued to seek changes in the narrative structure for more than 40 years until recently, and the worldview has expanded accordingl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story has shown an interesting aspect that is quite similar but fundamentally different compared to our hero novels. In other words, "Superman" and hero novels have a very similar composition, but the existence of red-river motifs, the existence of direct-bom motifs, and family nature can be seen as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entire work. This was also the reason why the hero novel's main character could not be named as a superhero. We also discussed that our hero novels have a good chance of becoming Korean superhero stories.

      • KCI등재

        <최고운전>에 나타난 개인과 세계의 불화 -장르 운동의 양상을 중심으로

        이정원 ( Jeongwon Lee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39 No.-

        이 논문은 <최고운전>이 최초의 영웅소설임을 전제로, <최고운전>에서 벌어진 전기소설과 영웅소설의 장르 운동의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과 세계의 불화라는 전기소설의 문제의식이 어떻게 영웅소설 양식의 형성에 관여했는지를 분석했다.< 최고운전>에서 신이한 출생담은 최치원의 혈통 문제가 서사를 장형화하고, 최치원의 성취 과정을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전기소설과 어울리지 않는다. 하지만 신이한 출생담은 금돼지와의 혈연을 통해 최치원이 현실세계에서 신이한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 서사 내적 근거를 제공하고 동시에 지하세계에 대한 아버지 최충의 태도를 통해 최치원이 현실세계에서 배척받게 되는 원천적인 사유를 제시한다. 이처럼 혈연을 통해 세계관의 문제를 함축하고, 개인과 세계의 불화 문제를 이야기세계 내부에 완결된 형식으로 제시함으로써 <최고운전>은 전기소설의 문제의식을 계승하면서도 영웅소설 양식의 단초를 마련하고 있다. 즉, 서사 구조의 개방성과 향유층의 확대, 그리고 향유방식의 변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최고운전>에서 최치원이 신라 승상 나업의 사위가 되고 중국에 가서 관리가 되는 여정, 즉 성공을 위한 모험담은 영웅소설적 면모로 이해된다. 그러나 성공을 위한 모험담에서 중원 황제와의 갈등은 최치원의 기원 문제에서 비롯되고 있기에, 이는 부자 갈등을 계승한다. 그리고 아버지 최충이 아들 최치원을 버리고 대국의 황제가 소국인 신라를 위협한다는 점에서 이 갈등을 통해 현실 세계의 이면에 드리운 불안과 폭력이 드러난다. 성공을 위한 모험담에서 최치원은 입신양명을 소망하고 또한 자신하지만, 파국적 결말은 운명적이다. 왜냐하면 최치원의 존재 자체가 현실세계의 권위에 도전하기 때문이고 또한 갈등은 현실세계와 비현실세계의 대결 구도 속에서 펼쳐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구조화된 비극적인 종결은 <최고운전>에서 벌어지는 장르 운동의 일단을 드러낸다. 공간적 이원성은 개인과 세계의 불화라는 전기소설의 문제 의식을 담아내면서 동시에 운명론적 서사 전개라는 영웅소설의 서사구조를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 On the premise that <Choigounjeon> was the first Hero novel, I intended to explain the movement of genre between Jeongi novel and Hero novel. For this, I analyzed how the discor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which was the main theme of Jeongi novel engaged in rising of Hero novel. The unusual birth in <Choigounjeon> did not fit the style of Jeongi novel, because it used to make the narrative long and add success story. But the unusual birth presented the evidence for hero``s unusual ability and showed the reason of hero``s conflict with the world. With implying the perspective of world through blood ties and presenting the complete form of the discor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in the narrative, <Choigounjeon> could succeed in Jeongi novel and make the basis for rising of Hero novel. The adventure for success was understood as a feature of Hero novel. But in the adventure the conflict with the emperor succeeded in the conflict with father, because both conflicts originated from the same matter, the birth of Choigoun. And in these conflicts, the father abandoned his son and the emperor threatened small country so that the dark side of the world was discovered. In this success adventure, hero wanted the success and had a self confidence, but the tragic ending was already determined. Because the existence of hero challenged the authority of the world and the conflict was set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unreal world. Then the structural tragic ending showed the movement of genre. The duality of space implied the discord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it made the fatal narrative progress of hero novel possible.

      • KCI등재

        영웅소설에 형상화한 공간 스토리텔링의 양상과 의미

        안기수(Ahn, Gee-Soo)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이 연구는 조선조 영웅소설의 창작기법으로 형상화한 공간 스토리텔링의 양상과 의미를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조선조 영웅소설 작품에 형상화한 공간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지만 본고에서는 담론의 이념공간, 영웅활동의 지리공간, 그리고 낭만적인 환상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먼저 담론의 이념공간을 들 수 있다. 영웅소설의 작가, 독자, 향유자의 취향을 종합해 보면 크게 충, 효, 선, 악의 이념과 가문, 애정, 출세 등의 세속적 욕망의 결합체로 이루어졌다. 이에 영웅소설의 주요 담론도 당시대의 윤리관과 밀접한 현세적인 유교이념 공간을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영웅소설에서 인물의 공식은 보편성을 지녀야 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유가적 인물의 기본형인 도덕적인 선과 악으로 양극화된다. 이처럼 선한 인물과 악한 인물의 뚜렷한 양극화는 도덕적인 보상과 연결되어 있고, 소설 향유자는 자신과 동일시를 통해서 대리만족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독자는 선이 결말에서 반드시 악을 이기고 승리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낙관을 갖게 된다. 영웅소설의 담론공간도 이러한 인물을 서사세계에 올려놓고 도덕 지향적 욕망을 맛보는 서사의 이념 공간을 구조화하였다. 둘째, 영웅활동의 지리공간을 들 수 있다. 충효의 담론은 영웅소설 주인공이 활동하는 작품내적인 서사 활동공간으로 가정, 산속, 전쟁터로 스토리텔링할 수밖에 없음으로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현실 공간창조가 필요했다. 작가는 자연공간으로서 가정, 산, 강, 바다, 섬 등의 공간이동을 통하여 이러한 모티프를 수용하면서 주인공의 삶이 상승적으로 전개되면서 입공에 합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소설내적인 통시적 서사 공간이 영웅소설의 모티프로 반드시 필요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낭만적인 환상공간을 들 수 있다. 환상공간은 인간이 경험할 수 없는 그러나 개념적으로는 설명할 수 있는 환상세계의 공간을 의미한다. 인간은 유한자로서 신이 아니기 때문에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신앙을 갖게 되는 것이고, 환상을 꿈꾸는 존재이다. 일반적으로 영웅소설에서 환상공간은 천상계, 선계, 지하계, 수중계 등이 지상계와 관련하여 일어나는 신비한 비현실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유로운 상상력과 현실을 벗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환상공간은 가장 현실적이지 않는 세계를 표현하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절실한 현실이 드러나는 이중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영웅소설은 영웅탄생의 당위성을 부여한 천상계와 구원의 장소라 할 수 있는 선계, 수중세계, 지하세계 등을 스토리텔링하고 있다. 이러한 환상공간은 주인공의 입공하는 노정과 직접 관련되어 있으며, 그곳에 가기 위해 각 인물들이 찾는 특별한 장소가 상승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환상공간은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절대자의 은신처이자, 피난자의 안전한 도피처가 되며, 영험한 장소를 말한다. 즉 영웅소설의 환상공간은 신화적 질서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주인공의 생애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는 질서의 공간이고, 죽음 이후에 돌아가는 귀환의 공간이기도 하다. 순환적으로 스토리텔링된 환상공간은 영웅소설에서 가장 낭만적인 공간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 meanings of spatial structure and storytelling, which were accepted in the creative technique of Joseon Dynasty hero novels. The space set up in the Joseon Dynasty"s hero novels can b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in this paper, we divided it into conceptual discourse space, geographical space where the hero worked, and fantasy space. First, we can raise the space of ideology through discourse. Combining the tastes of writers, readers, and perfumers of hero novels, it is largely a combination of the ideas and families of loyalty, filial piety, good, evil, affection, and desire for success. Thus, the main discourse of hero novels is expressed in the worldview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ethics of the time. Therefore, the basic form of a typical character is polarized into good and evil because the formula of a character in a hero novel must have universality. The distinct polarization of good and evil characters is linked to moral rewards, and novel lovers feel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the same identification with themselves, having realistic optimism because they know that good must win over evil in the end. The space for discourse on hero novels is also structured as an ideological space of a narrative in which such characters are placed on the storyboard and taste moral-oriented desires. Second, you can pick up the space of entry and exit where the hero is active. Chunghyo"s discourse is a space where the hero"s heroic activities are carried out, and it took a bigger war to realize it. Through the artificial space of the house, temple, war, and moving of mountains, rivers, seas, and islands, the author needed to accommodate these motifs and to give rationality to the entrance of the hero"s heroic activities. Third, we can raise the fantasy space through a circular structure. Fantasy spaces mean spaces that humans cannot experience, but that can be explained conceptually. Because man is not God but a finite man, he has faith to overcome weakness, and he dreams of fantasy. The fantasy space in hero novels is generally a mysterious, unreal space where celestial systems, ships, underground systems, and underwater systems occur in relation to the terrestrial system. In other words, having free imagination and out-of-reality characteristics, the fantasy space expresses the least realistic world. Still, it ironically has a dual property that reveals the most desperate reality. In the heroic novel, the story is told of the celestial world that caused the hero birth, the world of vision, the underwater world, and the underground world, which is the place of salvation. These fantasy spac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s journey, and the special places that each character visits to get there are interconnected. These fantasy spaces are the hideouts of the absolute, the haven of refugees, and the places of spirituality. In other words, the fantasy space of hero novels is the space in which mythical order influences the main character throughout his life.

      • KCI등재

        <옥주호연(玉珠好緣)>의 특징과 소설사적 의미

        이지하 ( Jee Ha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옥주호연(玉珠好緣)>은 19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작품으로서 여성영웅소설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단일한 유형성으로 규정짓기 어려운 특징들을 드러내고 있기에 그 특징들을 살피고 이를 통해 이 작품이 산출된 19세기 소설사의 양상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선 이 작품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인다. 첫째, <옥주호연(玉珠好緣)>이라는 표제명은 남녀 주인공의 결합을 암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장편국문소설의 관습에 가깝다. 이 소설이 속한 단편군담 영웅소설 유형에서는 주인공의 이름을 빌어 ‘-전’ 형식의 제명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둘째, 세 명의 쌍둥이 여주인공과 이들의 천정배필로서 세 명의 남주인공을 설정하여 복수주인공 구조를 택하고 있다. 이 역시 장편국문소설의 서사 관행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단일한 주인공을 중심으로 서사를 전개하는 단편군담영웅소설의 관습과는 차별화된다. 셋째, 인물의 형상화에 있어서 내면을 포착하고 상대적인 관점을 드러낸다. 세 명의 복수주인공을 통해 인물의 내면 심리를 복합적으로 그리는 가운데 선악의 이분법이나 출세지향의 사고가 약화되고 절대주의적 사고에 대한 반성이 그려진다. 넷째, 시련의 제거나 혼사과정의 확대, 후기나 서찰의 활용 등을 통해 구조적 차원에서 장편국문소설의 요소들을 차용함으로써 유형적 습합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유형 간 혼효 양상이 빈번해진 19세기 소설사의 양상을 고찰할 수 있다. 대중적, 상업적 맥락에서 주로 단편군담영웅소설이 장편국문소설을 모방하면서 이루어진 이러한 착종 현상은 관습적 틀을 벗어나는 새로운 시도로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지만 한편으로는 통속적 경도로 인해 19세기의 진지한 문제의식을 온전히 반영하지는 못했다는 한계 역시 드러내는 것으로 평가된다. <Okjuhoyeon(玉珠好緣)>, which seems to b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has been classified as a heroine novels. However, in the various aspects it appears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easy to be characterized as a just single type. Therefore,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Okjuhoyeon(玉珠好緣)> and study on the aspects of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through it. This novel ha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Okjuhoyeon(玉珠好 緣)``, as a title, which contains the story implying getting together between a hero and a heroine, is close to the custom of a long novel. In the type of hero novels that this novel belongs to, it is general that the form of ``-Jeon(傳)`` in the name of hero is entitled. Second, creating 3 heroes as the spouse of 3 twin heroines, this novel adopts a structure of plural heroes. In accordance with epic tradition it is also comparable to the custom of hero novels which develops narration based in single hero. Third, embodying character, this novel captures the inside and shows the relative standpoint. Through 3 plural heroines, on the compounding description of inner mental state, it weakens the idea of intention of success in life and the dichotomy of the good and bad. It also expresses criticism about the thinking of absolutism. Forth, through removing ordeal, expanding process of marriage and applying postscript or letter, this novel shows the mixing phenomenon of the type as it applies the elements of long novels written in Korean language in the structural sphere.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can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which had been shown frequent mixture among the various types. As hero novels had mainly imitated long novels written in Korean language in the popular commercial context, this mixing phenonenon is positively evaluated as a new attempt to dismantle the frame of custom.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evaluated that this mixing phenonenon has the limit not to reflect serious critical mind of 19th century completely because of popular tendency.

      • KCI등재

        영웅소설의 괴물 문제 -슈퍼히어로와 대비의 관점에서-

        이정원 ( Jeong Won Lee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이 논문은 영웅소설에 나타난 괴물과 괴물스러움의 양상과 의미를 미국의 대중문화인 슈퍼히어로 장르와 대비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장르에서 주인공은 왜 타자성을 지닌 존재로 등장하는가, 괴물스러운 주인공은 어떻게 영웅이 되는가, 영웅의 괴물 죽이기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영웅소설과 슈퍼히어로 장르에서 주인공이 타자성을 지닌 존재로 등장하는 까닭은 타자성이 그의 비범함을 정당화하는 서사적 장치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인공의 괴물스러움에 대해 두 장르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슈퍼히어로 장르에서 대중은 슈퍼히어로를 갈망하기 때문에 그의 괴물스러움을 배척하지 않는다. 하지만 영웅소설에서 사람들은 주인공의 괴이함에서 두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반응은 주인공을 괴물로 만드는 정서적 근거가 된다. 타자성을 띤 주인공이 영웅으로 등극하는 과정은 두 장르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엄청난 능력을 지닌 슈퍼히어로들이 영웅이 되는 까닭은 그들에게 초월적인 도덕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그들의 도덕성은 물리적인 초능력과 마찬가지로 슈퍼히어로의 본래적 자질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영웅소설에서 주인공은 자신의 괴이함을 자각하고 새로운 정체를 탐색한다. 이 과정은 이중적이어서, 공동체에 혼란을 야기하면서 동시에 주인공을 윤리적인 존재로서 체제에 편입시킨다. 즉, 영웅소설에서 주인공들은 윤리적 지향을 통해 자신의 괴이함을 무마한다. 영웅소설과 슈퍼히어로 장르에서 주인공이 괴물을 죽이기는 체제를 수호하는 가장 극적인 사건이다. 슈퍼히어로 장르에서 괴물 죽이기는 슈퍼악당에 대한 처치로 드러나는데, 이는 도덕적 포르노로서의 의미가 있다. 영웅소설에서 괴물죽이기는 주인공 자신의 괴물스러움을 극복하는 것과 실제 괴물을 죽이는 것으로 드러난다. 주인공은 체제에 편입함으로써 자신의 괴물스러움을 극복한다. 실제괴물을 죽이는 양상은 다양한데, 역사적으로는 괴물 죽이기는 점차 축소되면서 체제에 대한 낙관론이 유포된다. I intend to explain the monster and the monstrosity in Hero novel comparing with Superhero genre. It may be the answer of three questions; Why is hero an existence with otherness? How could the monstrous hero become a hero? What does killing monster mean in the story. The reason why hero is the one with otherness is that his otherness justify his extra ordinariness. But the way how people deal with the monstrosity of hero looks different between these two genres. In superhero genre, it doesn``t matter to people because they are longing for the hero. In hero novel, many people feel some danger and it makes him more monstrous. And the process of the monstrous one becoming hero come out in different way. The reason why the extra ordinary beings deny selfish stance but choose hero life is that they are extra moral beings. So their good will power is regarded as a sort of super power like physical capability. But in hero novel, hero realizes his monstrous origin and begins to explore his own life and identity. This course shows dual meanings. He brings about crisis of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he is given a new birth of socio- familiar one even a true hero. Killing monster is the most dramatic accident to protect the society. In superhero genre, killing monster appear as a triumph against super villain. And this ending effect a moral pornography. In hero novel, killing monster appear in two aspects; one is overcoming his own monstrosity, another is killing a real monster. There are various aspects of killing real monster but the importance of this event is getting lessened and the optimism about society is getting spread in hero nove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