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과 생태를 생각하는 대안적 민주주의로서의 생태민주주의

        김완구(Kim, Whan Ku)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47 No.-

        These days, with the development of sci-tech culture, mankind faces unprecedente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rises such as global climate change. However, on the one hand, mankind again improve their physical environment rely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to overcome or solve these crises. On the other hand, others believe that the root of the crisis lies in the human way of thinking and attitude, and offer philosophical and ethical solutions. But I think here the issue of environment or ecology is a matter of politics and democracy. Therefore, I argue the solutions may be also an alternative democratic approach that requires changes in the mode of our practice and recognition as the political subject. That very alternative democracy is ecological democracy. First, ecological democracy requires to extend the subject of democracy from the present generation human to the future generation and the nonhuman existence,unlike the existing so called election centered democracy or liberal democracy. And ecological democracy requires that all citizens and people, not experts, bureaucrats or professional politicians, have to have the power to make decisions on their own in order to create a desirable biotic community where they live together. And ecological democracies see that these decisions are made possible through alternative democracy, which is referred to as deliberative democracy and sortition democracy. So here I critically examines whether these democracies can overcome current democracy and produce ecologically desirable results and whether it can be realized in reality today.

      • KCI등재

        생태민주주의를 위한 ‘생태법인’ 제도의 필요성

        진희종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0 No.-

        이 글의 목적은 생태민주주의의 실현 방안의 하나로 ‘생태법인(Eco Legal Person)’ 제도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있다. 아직은 생태학이나 법학에서 생태법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적은 없다. 필자는 생태법인이라는 용어를 “미래 세대는 물론 인간 이외의 존재들 가운데 생태적 가치가 중요한 대상에 대하여 법적 권리를 갖게 하는 제도”로 사용하고자 한다. 생태민주주의는 인간과 자연의 공존이라는 생태철학의 핵심 가치에 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융합한 대안 정치이념이다. 생태민주주의 이념의 핵심은 공동체 의사결정과정에 미래 세대와 인간 이외 존재들의 생태적 이해관계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그런데 미래 세대나 인간 이외의 존재는 현세대와 의사소통이 어렵고 법적 권리도 없다. 따라서 생태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인류는 오래전부터 인간 이외의 존재에게 법적 권리를 인정하는 ‘법인’ 제도를 창안하여 사용해 오고 있다. 이에 비춰본다면 생태민주주의 작동 방안의 하나로 ‘생태법인’ 또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생태법인’의 법적․제도적 안정성을 담보되기 위해서는 ‘생태법인’의 헌법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는 헌정주의를 근본원리로 민주주의가 작동되고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aise the need for an ‘eco legal person’ as part of a way to realize ecological democracy. The term ‘eco legal person’ has never been used in ecosystems or laws. We intend to use the term as “a system that grants legal rights to objects whose ecological value is important among future generations and non-humans.” Ecological democracy is an alternative political ideology that combines the superiority of a democratic system with the core values of ecological philosophy: the coexistence of man and nature. Ecological democratic ideology seeks to reflect the ecological interests of future generations and non-human beings in the community’s decision- making process. However, this is impossible and it has no legal right to communicate with the current generation. Therefore, more concrete measures are needed to realize ecological democracy. Humanity has created and used a ‘legal person’ system that recognizes legal rights to non-human beings.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we believe that the ecological construction can be newly introduced through the formation of social consensus. Today, most countries have constitutionalism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democracy. Thus, an ‘eco legal person’ needs constitutional status to be guaranteed legal and institutional stability.

      • KCI등재후보

        생태민주주의의 전망과 과제

        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사회학회 200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1 No.2

        사회운동적 담론에서 생태민주주의란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 이론적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전개되고 있지 못하고 환경운동과 정책의 영역들에서 생태민주주의적 접근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미흡한 상태이다. 생태민주주의를 실현해나가기 위해서는 생태민주주의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심화시켜 나가면서 현실의 사건이나 사안을 통해 어떻게 생태민주주의를 실현해나갈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민하여 실천적 지평을 넓혀나가야 한다. 이 글에서는 생태민주주의를 다양한 권리주체간의 생태정의 실현을 주요한 내용으로 추구하면서 숙의적 의사결정과정을 주요한 절차로 하는 정치적 원리이자 기제로 정의한다. 나아가 이에 기초하여 2005년의 중ㆍ저준위 방폐장 부지선정과정을 되짚어봄으로써 생태민주주의적 접근에서 풀어야 할 쟁점들에 대해 논의한다. 현실 속에서 생태민주화를 실현해나가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주체로서 주민은 누구인가? 권리주체의 확장이 가능한가? 주민참여의 단계는 언제가 적절하며 주민은 무엇에 대해 투표해야 하는가? 주민투표는 적절한 의사결정 방법인가? 숙의의 과정을 어떻게 가질 것인가?" 등의 쟁점을 풀어야 한다. 이러한 쟁점들에 충분히 답할 수 있을 때에야 민주주의의 생태화와 생태주의의 민주화가 가능하다. Even though the term of ecological democracy is cited in the sector of environmental movements and social discourses, there is lack of discussion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n order to realize ecological democracy, It is necessary to deepen its theoretical dimension and to widen its practical fields by applying the definition to the real events. This paper defines ecological democracy as a political principle and mechanism in which ecological Justice is pursues as a main substance and discursive decision-making process as a main process. This paper applies the concept of ecological democracy to the case of low and medium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te selection m 2005 and discusses Issues to be solved for realization of ecological democracy. Those Issues are "Who are the residents as a subject of decision-maker? Is is possible to expand the subject of rights? When is a proper stage of citizens' participation and what is the appropriate object of voting? Is residents' vote proper way of decision-making? How can discursive process be earned out?" Ecologization of democracy and democratization of ecology are possible only when those Issues are properly answered and solved.

      • KCI등재

        방폐장 부지선정을 둘러싼 갈등과 민주주의

        차성수(Sungsoo Cha),민은주(Eunju Min) 한국환경사회학회 200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0 No.1

        환경문제와 민주주의 담론은 경험적ㆍ실천적으로는 따로 또 같이 발전하여 왔으며 그 접점을 형성하려는 시도는 지속되어 왔다. 이것이 오늘날에는 생태민주주의라는 담론으로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우연적 접합론’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환경문제 중에서는 가장 반생태적인 핵폐기장 건설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갈등을 중심으로 이 연결고리를 모색하였다. 특히 지난해 방폐장 부지선정과정에는 주민투표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되어 방폐장이 경주시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성찰과 심의과정이 생략된 주민투표는 심의민주주의로 전환되지 못한 채 여러 가지 한계를 드러내며 ‘갈등 이후의 갈등’을 남겨놓게 되었다. 그 이유를 자원과 권력, 책임을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미비와 과학에 대한 민주적 통제 부족, 환경담론의 재생산 구조 취약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행 주민투표제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그 연결고리에는 참여 및 대의 민주주의의 대안으로 논의되는 심의민주주의가 관계하고 있다. 환경문제와 민주주의의 담론은 성찰과 심의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숙의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할 때, 그 관계맺기는 보다 선택적 친화성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y and democracy, focusing on 'occasional connection' of point of view. We consider the connection ring concentrating on the conflict surrounded with the nuclear waste construction which is the most anti-ecological issue among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citizen - poll system was induced for th first time, the space of radation waste treatment facility was decided into Kyungju city in 2005. But citizen - poll omitting introspection and consideration couldn't be transferred to the deliberative democracy, so we get to leave the 'conflict after conflict' exposing the some limitations. I suggest the reasons leaving the limitations is a lack of system sharing the source, power, responsibility and democratic control shortage about science, a vulnerable system of environment discussion reproduction, the problem of current citizen - poll system. That connection ring is related to deliberative democracy alternative representative and participatory democracy. At that time the discussion of environment and democracy is related to the deliberative democracy as a alternative democracy, it is much easier to get the selective affinity between democracy and ecolog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deliberative democracy as a alternative democracy with self-reflection and consideration to approach the ecological democracy.

      • KCI등재

        생태시티즌십 : 생명과 자유를 구현하는 새로운 시민의 모색

        박순열 한국환경사회학회 2019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3 No.2

        본 논문은 기후위기와 같은 환경문제 해결에 긴요한 새로운 유형의 시민을생태시티즌십 개념을 활용하여 탐색한다. 생태시티즌십은 자유주의 정치이론의 시티즌십 개념에 세계시민주의와 생태주의적 지향을 통합한 것으로서, 생태적 세계시민의 권리, 권한, 책임, 의무, 배려와 그것들을 보장하고 실현하는일체의 제도와 사회적 관행을 의미한다. 논문은 생태시티즌십의 가치지향을민주적, 세계적, 생태적 가치로 분석하고, 그것들의 동시적, 개별적 고양과훼손을 통하여 생태시티즌십의 변이를 설명한다. 또한 개별 시민이 사회와 생태계에 맥락-의존적임을 검토함으로써 생태시티즌십이 시민들의 보다 나은삶을 위한 자유와 다른 생명에 의존하는 좋은 삶으로서 생명의 구현임을 논증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a new type of citizen who is critical to resolv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risis, adopt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Ecological citizenship is an extended concept of citizenship mainly developed by liberal political studies with accommodating cosmopolitanism and ecological thoughts. We define ecological citizenship as whole sets of rights, entitlements, responsibilities, duties and care of ecological cosmopolitan citizen, and also social systems and practices which secure and realize those virtues. Ecological citizenship consists of three mutually independent value-orientations; democracy, cosmopolitanism, ecology. The enhancement or dehancement of ecological citizenship is a function of variations of overall or individual value-orientation. And we argue that ecological citizenship can be a social-political apparatus for the realization of citizen’s liberty for better life and life as a good life.

      • KCI등재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 카오스모제, 생태적 주체성 그리고 생태민주주의

        박민철,최진아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7

        Ecologism is a view of values and an ideology that gives the highest priority to ecological thinking and practice. In particular, the enormous crises in the ecosystem amid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have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for ecologism.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which not only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 but also fundamentally destroys the existential lifestyle of humans, deserves serious attention. Pierre-Felix Guattari finds the fundamental cause of such ecological crises in capitalism. In addition, he connects the overcoming of ecological crises with the libera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criticism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Such ecological planning by Guattari focuses on the production of a new subjectivity that will lead a revolution of three ecological areas: nature, society, and humans. Guattari’s ecological subjectivity gains a subversive power by constituting new principles of ‘specificity,’ the ‘heterogeneous nature of mechanical property,’ and an ‘unconscious desire.’ This is a new subjectivity production suggested by him and a strategy called ‘being different.’ Lastly, ‘being-different’ becomes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democracy by ecological subjectivities.

      • KCI등재

        자연의 유물론과 생태 민주주의-칼 맑스(K.Marx) 『경제학-철학 초고』와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삶의 양식을 중심으로-

        이회진,김현 범한철학회 2020 汎韓哲學 Vol.98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ecological democracy as a new mode of life in the post-corona age, based on the theses that “naturalism is humanism” and “realized humanism is naturalism” as appeared in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of 1844 by Karl Marx. Not only is man still entrapped by the instrumental view of nature from the late modern period, but he is also buried in the myth that all relationships come down to the equalization of capitalist exchange value. Faced with the corona pandemic, man creates a hierarchy based on the use-value of all living creatures that are unable to create capitalist relations of production, or in other words, exchange value. And it is according to this relative capacity to generate exchange value that he decides which life should be saved first. Man now find himself at a crossroads, as to whether to return to the old capitalism prior to the pandemic or to establish a new mode of life. Contemplating on a possible new mode of life for the post-corona period amidst the continuing pandemic is essentially equivalent to seeking new possibilities for a life after capitalism within the bounds of capitalism. But reflecting on a post-Corona age in the midst of the Corona age requires more than the historical anticipation of the advent of communism after the demise of capitalism. One should rather completely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and also that between men, which had been neglected in favor of a myth from the enlightenment era regarding the linear progression of history. To this end it will be attempted to reinterpret Marx’s “realized naturalism of man, humanism realized by nature”, that is, a complete unity of man with nature and a true resurrection of nature, employing the ideology of ecological democracy. This concept dictates that nature as man’s inorganic body and man as organic nature do not anymore serve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instrumental view of nature. Both are instead ideologies that regulate post-capitalist modes of life. Ecological democracy, which aim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s a constructive method of rejecting the view of nature from the late modern period, which reduces the earth - including nature in terms of its use-value, individuals, and states - to its mere exchange value. In this sense, ecological democracy is an alternative to restor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all living beings on earth, recognizing the intrinsically distinct use-value in all of them. 이 글의 목적은 칼 맑스 『경제학-철학 초고』에 나타난 완성된 자연주의=인간주의, 완성된 인간주의=자연주의라는 테제를 중심으로 생태 민주주의를 탈코로나 이후의 새로운 삶의양식으로 정립하는 것이다. 코로나 시대의 인류는 여전히 근대적인 도구적 자연관에 사로잡혀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관계를 오로지 자본주의적 교환가치의 평등화라는 신화에 매몰돼 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앞에서 인류는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 즉 상품의 교환가치를생산하지 못하는 모든 생명체의 사용가치를 위계 질서화한 후, 교환가치의 생산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생명의 구원 순서를 정한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코로나 이전의 자본주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삶의 양식을 정립해야 하는지의 갈림길에 서 있다. 코로나 시대에 탈코로나 이후의 삶의 양식을 사유하는 것은 자본주의에서 자본주의 이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코로나 시대에 탈코로나 시대를 사유하는 것은 자본주의 종말 이후에 공산주의가 도래할 것이라는 역사적 전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일직선적인 역사적 진보에 대한 계몽주의적 신화에 사로잡혀서 지금까지 소홀히 논의해왔던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칼 맑스의 “인간의 성취된 자연주의, 자연의 성취된 인간주의”, 즉 인간과 자연의 완전한 통일, 자연의 진정한 부활을 생태 민주주의 이념으로 재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의 비유기적 몸으로서 자연과 유기적 자연으로서 인간은 더이상 인간의 도구적 자연관을 뒷받침하는 기능적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양자는 탈자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규제하는 이념이다. 특히 이 양자의 관계성 회복을 지향하는 생태민주주의는 사용가치로서 자연, 개별 인간, 국가를 포함한 지구의 가치를 교환가치로만 환원하는 근대적 자연관을 지양하는 구성적 방법이다. 따라서 생태 민주주의는 지구 내의 모든 생명체가 각각의 독특한 사용가치의 담지자라는 상호 관계성을 회복하는 대안이다.

      • KCI등재

        에너지 민주주의의 개념 및 한국적 함의 : 관료정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진상현(Jin, Sang-Hye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1

        최근 들어 에너지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북미 지역의 노동운동 진영은 ‘에너지 민주주의 노동조합’을 설립해서 전력 및 가스 시장의 공적 통제를 요구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태양광과 풍력에 대한 시민참여의 확대를 주장해 오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논의들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에너지 민주주의 담론은 한국에서도 하나의 사회운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렇지만 정작 에너지 민주주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개념 정의는 아직까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북미나 유럽과 다른 상황의 한국에서 에너지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지니는 국내적 함의에 대해서도 제대로 정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에너지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을 정의내린 뒤, 한국이라는 고유의 맥락을 바탕으로 에너지 민주주의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환경 및 생태 민주주의와의 비교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에너지 민주주의는 “에너지 분야에서의 대안적 민주주의”라는 협의의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었다. 한편으로 과거 한국 사회에서는 전문가에 대한 신뢰와 위임이라는 스텔스 민주주의가 에너지 분야에 만연해 있었으며, 이러한 신념체계를 바탕으로 관료정치가 에너지 정책을 주도해 온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및 재생가능에너지 확산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논의가 시작되었던 국제사회와 달리, 한국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통해 드러난 원자력의 중앙집중적·권위주의적 속성이 에너지 민주주의 담론의 국내적 배경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에너지 민주주의가 아직 초기 단계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하며, 다양한 집단들이 주창하는 이념적 편차를 줄이기 위해 교류와 소통이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re are hectic discussions about energy democracy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example, labor union groups in North America ask strong public regulation on electricity and gas market, and cooperatives in the EU argue that citizen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renewable energy market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is international discussion, energy democracy has become a social movement in Korea. However, there is still no concrete definition of energy democracy. Also, it has not been answered how the Korean situation differs from other countries’. Here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energy democracy and suggest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Korea. As a result, energy democracy could be defined as “the alternative democracy in the field of energy.” Secondly, there had been stealth democracy related to energy policy, and technocrats had controlled the policies in Korea. Thirdly, while major backgrounds were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생태민주주의 사회와 통일한반도의 탈핵화

        조배준(Cho, Bae J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69 No.-

        이 논문에서는 통일 사회의 ‘녹색 상상력’은 어디서 출발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그리고 지금 한반도에서 ‘녹색’과 ‘평화’의 가치가 함께 중첩되는 내·외부적 정치의 쟁점은 어디가 되어야 하며, 그 점을 통합적으로 사유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렛대’가 필요할지를 물었다. 이어서 ‘생태민주주의’를 명징한 논증을 통해 도출된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현실에서 화석화되어가는 민주주의와 분단체제라는 폐쇄회로에 갇혀버린 한반도의 탈핵 문제를 상호연결시켜 사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이론적 틀로서 다루어 보았다. 더불어 70년이 넘은 ‘분단체제’의 구심력을 고려할 때 한반도에서는 특히 생태 문제와 평화 문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뿐만 아니라, ‘포스트 통일’에서 ‘생태사회’와 ‘평화 이행’이라는 공동체적 가치는 서로를 변증법적 길항 관계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필자는 한반도에서의 ‘핵’ 문제를 평화로운 통일 과정과 지속가능한 생태사회를 동시에 지향하는 관점에서 전향적으로 바라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아직 도래한 적 없는 새로운 순환원리를 가진 생태민주주의 사회가 탈분단의 과정과 통일한반도에서 가능하기 위한 조건으로 남북통합적, 남북주도적, 평화적 방식의 ‘남북의 동반 탈핵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처럼 ‘핵 없는 한반도’라는 비전을 초점화하면서 녹색통일론은 보다 선명한 비전을 가질 수 있으리라 전망된다. This paper studies where the "green imagin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fundamentally initiated. What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issues are overlapping the values of "gree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And to think about it integrally, I asked what kind of leverage an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is needed. In this sense, "ecological democracy" is not a concept derived from abstract argument, but it helps to connect the fossilized democracy and the issue of enucle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onfined to division system. In addition, "Ecology" and "Peace" a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division, and "Eco society" and "Peace Implementation"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considering post-unification. In order to pursue a peaceful unification process and a sustainable ecological society,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n integrated look at the "nuclear"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this article proposes the accompanying denucleariz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suggesting the vision of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as a possible condition for an ecological democratic society. In this perspective, the discussion on "green unification" will have a clearer vision.

      • KCI등재

        생태담론의 지역화와 지역담론의 생태화

        이상헌(Lee, Sang-Hun),정태석(Jeong, Tae-Seok) 한국공간환경학회 2010 공간과 사회 Vol.33 No.-

        이 글은 현대사회의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실천의 장으로서 지역이가지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태위기는 현대성의 다양한 원리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빚어낸 결과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업적, 경제성장중심적 사회체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할 필요가 있다. 현대 자본주의적 사회의 생태주의적 전환을 위해서는 생산과정과 분배관계에 보다 근본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안적 실천전략이 제시될 필 요가 있다. 특히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에서 개인적 이해관계를 추구하느라 파편화된 삶을 넘어서 생태주의적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공동체적이고 공공적이며 생태친화적인 삶을 경험하고 실천할 수 있는 일상적 터전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런점에서 지역은 생태주의적 전환을 위한 실천의 거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지역이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해보면 생태주의적 전환을 위한 실천의 거점으로서 지역이라는 ‘가능성’은 사실상 막혀있다. 끊임없이 토건지향적 개발과 성장주의에 지역의 담론이 포획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이 가진 생태주의적 전환의 가능성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토건지향적 지역담론을 생태화해야 하며, 실천적인 생태화 전략으로서 소비자인 노동자들이 결사체를 구성하여 이들이초국가적으로 연대하는 운동 방법이 개인차원에서, 공공영역차원에서, 제도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whether the local scale has possibility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of modern society or not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manner. The ecological crisis comes from the complicated implementation of various principles of modernity and, thus, it requires radical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and economic-growth-oriented social system.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alternative and practical strategies which can have influence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should be suggested. In particular, to overcome the scattered life in pursuit of individual interest in capitalist market economy and to attain ecological transformation, the base of daily life should be made. In this respect, local scale could be focu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However, the local scale of Korea is far from the possible ecological transformation as it is surrounded by the discourses of construction-oriented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those discourses should be ecologized. To accomplish it, laborers as consumers should make multiple associations and connect themselves in the levels of individuals, public sphere, and institutions in the long r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