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한일서 1:1의 ‘앞 아르케스’는 어느 때를 가리키는가?

        권해생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3 신약연구 Vol.22 No.4

        This study argues that ‘from the beginning’(apv V avrchj/ ) in 1 John 1:1 does not signify the beginning of creation but rather points to the entire period of Jesus Christ's public earthly life. The reas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ly, some claim based on John 1:1 that it refers to the time of creation, but these two verse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and ‘in the beginning’ use different prepositions, and the meaning of ‘logos’ in the two verses is also different. Secondly, one of the recording purposes of 1 John is to testify to the incarnate Jesus Christ, countering gnostic false teachings. In line with this purpose, John explicitly states in 1:1 that he personally witnessed Jesus Christ. Thirdl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1 John 1:1, ‘what was from the beginning’ parallels other relative pronouns expressing the witnessing experience. Thus, ‘what was from the beginning’ can be understood to focus on witnessing rather than creation. For these reasons, ‘from the beginning’ refers to the time of Jesus Christ's public earthly life, which John personally witnessed.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nsiders the various meanings of ‘from the beginning’ in other occurrences in 1 John,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the precise meaning of ‘from the beginning’ in 1:1. Some argue that based on its usage in the Septuagint (LXX), ‘from the beginning’ in 1 John 1:1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an eternal sense (LXX Genesis 1:12; Micah 5:1). However, the context of the Septuagint and 1 John 1:1 are different. The former pertains to the eternal God or the Messiah, whereas 1 John deals with the experiences witnessed by the apostles. Therefore, the other occurrences of ‘from the beginning’ in 1 John or the Septuagint do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elucidate the meaning of ‘from the beginning’ in 1:1. 본 연구는 요한일서 1:1에 나오는 ‘앞 아르케스’(avpV arv chj/ )가 태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기간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한복음 1:1에 근거해창조의 때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두 구절은 비슷해 보이지만엄연히 다르다. ‘앞 아르케스’와 ‘엔 아르케’는 전치사가 다르며, 두구절에 나오는 로고스의 의미도 다르다. 둘째, 요한일서의 기록목적중 하나는 영지주의적 거짓 가르침에 대항하여 육체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변증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 하에 요한은 1:1에서 자신이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를 직접 목격했다고 밝힌다. 셋째, 요한일서1:1의 구조 분석에 따르면, ‘호 엔 앞 아르케스’는 목격 경험을 표현하는 다른 관계대명사 절과 평행을 이룬다. 따라서 ‘호 엔 앞 아르케스’도 창조가 아니라 목격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할 수 있다. 이런이유로 ‘앞 아르케스’는 요한이 직접 목격한 예수의 공생애 때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연구는 요한일서에 나오는 ‘앞 아르케스’의 다른 용례들은 뜻이 다양해서(요일 2:7, 13, 14; 24; 3:8, 11), 1:1에 나오는‘앞 아르케스’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결정적인 근거가 되지 못한다고 본다. 또한 어떤 이들은 70인경에서 ‘앞 아르케스’가 영원의 개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요한일서 1:1도 그런 개념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70인경 합 1:12; 미 5:1). 그러나 70인경 용례와 요한일서 1:1은 그 문맥이 다르다. 전자는 영원하신 하나님이나 메시아를설명하는 문맥이고, 요한일서는 사도가 목격한 경험을 나누는 문맥이다. 따라서 요한일서나 70인경의 다른 용례들은 ‘앞 아르케스’(요일 1:1)의 의미를 밝히는 데 적절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

      • KCI등재

        도교조상(道敎造像)과 원시천존(元始天尊)

        가미쓰카요시코 ( Kamitsuka Yoshiko ),김지현(번역)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종교와 문화 Vol.0 No.33

        本稿は、六朝隋唐時代の現存する道敎像の銘文の調査をもとにして、天尊像·元始天尊像が成立し廣まっていく狀況を明らかにするとともに、元始天尊という神格と靈寶經「元始舊經」との關係を明らかにしたものである。道敎において神像を作ることは五世紀から始まり、初めは老君系の像の方が多かったが、唐代になると老君系よりも天尊系の像の方が壓倒的に多くなった。李元海等造元始天尊像碑(572年)の銘文には、陸修靜「靈寶經目」に記された靈寶經「元始舊經」の一つ『度人經』(『元始無量度人上品妙經』)と共通する語彙が見られる。元始天尊は六朝後半期に新しい宗敎の經典群として構想された靈寶經「元始舊經」の最高神だったのである。 This article examines the inscriptions in extant Daoist sculptures of the Six Dynasties, Sui, and Tang periods in China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sculptures of the Celestial Worthy (Tianzun 天尊) or the Celestial Worthy of Primordial Beginning (Yuanshi Tianzun 元始天尊) were produced and proliferated. At the same time, it delv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estial Worthy of Primordial Beginning and the “Original Scriptures of Primordial Beginning” (yuanshi jiujing 元始舊經) among the Numinous Treasure Scriptures (Lingbao jing 靈寶經). Divine sculptures began to be produced in Daoism in the 5th century, and initially most of them were sculptures of Lord Lao (Laojun 老君). However, by the Tang period sculptures of the Celestial Worthy were far more numerous than those of Lord Lao. The dedicatory inscription for a sculpture of the Celestial Worthy of Primordial Beginning produced by Li Yuanhai 李元海 and others in 572 includes terms shared with the Scripture of Salvation (Duren jing 度人經), one of the “Original Scriptures of Primordial Beginning” among the Numinous Treasure Scriptures listed in Lu Xiujing’s 陸修靜 catalog. This article makes it clear that the Celestial Worthy of Primordial Beginning was the supreme deity in the “Original Scriptures of Primordial Beginning,” which were intended to become a new set of sacred scriptures in the second half of the Six Dynasties period.

      • KCI등재후보

        <In the Beginning>展 작품론

        김지영,신성균 한국사진학회 2019 AURA Vol.0 No.43

        In this photographic thesis work, ‘In the Beginning’, Kim, the 1st author of this study deals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How did humans begin?’, ‘How did the time and space we inhabit start?’, ‘What did aspects of the very beginning look like?’, and so on. Kim believes that the sights of the beginning might have been left behind as some traces; he wants to depict such aspects of the beginning by using photography which proves being of any object in front of camera by capturing a realistic image of it as an index. In common sense, vital elements for life are air, earth, water, and light; to put them altogether as subject matters in his photographic frame, Kim went to many seashores along the coastline in Korea since Fall 2015. By composing those objects in square format, which generates less tension but more balance, with some distinguished horizontal lines, he attempts to represent an atmosphere of order in the very beginning of the world. For this project, he used a 35mm DSLR camera and printed of 120x120cm, 70x70cm on Textured Cotton Paper using a pigment-based inkjet printer.

      • KCI등재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이치억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In general, the specific character of Toegye’s Thought is known for spontaneity of li(理), namely ‘issuance of li’(li-fa 理發) which he argued in Four Seven debate. However, creativeness of Four Seven debate completed from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respectively to li(理) and qi(氣) preferably parting ‘issuance of qi’ rather than parting ‘issuance of li’.As a matter of fact, what became a controversy by Gobong in Letters of Four Seven debate was ‘issuance of qi’, not ‘issuance of li’. Toegye separated ‘issuance of qi’, not for its significance; he intended to reveal and assure ‘Purity of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all moral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Four Beginnings whereas Seven Feelings are possibly all moral feelings. He indicat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different feelings. More precisely, the bounda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not good and evil, or moral and immoral feelings, it is rather feelings of human nature or feelings of egocentric temperament since Toegye considered that egocentric feelings with all its morality always categorized in Seven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categories and meanings of Four Beginning and Seven Feel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excluding a heavy dispute of ‘activeness of li’, ‘issuance of li’, and ‘issuance of qi’ as possible. 일반적으로 退溪 사상의 특성이 리의 능동성, 특히 사단칠정론에서 理發을 주장한 데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퇴계-고봉의 사단칠정왕복서에 드러난 퇴계 사단칠정론의 독창성은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에 분속한 것에 있고, 그 중에서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발을 떼어낸 데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주자학에 정통했던 고봉의 반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사단칠정왕복서에서 高峯이 문제 삼은 것은 리발이 아니라 오히려 기발에 있는 것이다. 퇴계가 기발을 따로 분리해 낸 것은 물론 기발을 중시해서가 아니라 리발인 사단의 순선함을 드러내고 확보하려는 데 그 의도가 있다. 퇴계의 논리에 따르면 도덕적 감정이라고 해서 모두 사단이라고 할 수 없으며, 칠정도 충분히 도덕적 감정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단과 칠정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임을 주장한다. 즉 사단과 칠정의 분계점은 선과 악, 내지는 도덕-비도덕의 감정이 아니라, 인간 심연의 본연적 감정인가, 자기중심의 기질적 감정인가 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퇴계는 자기중심적 감정은 그것이 아무리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칠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리의 능동성, 리발-기발이라고 하는 理氣論의 무게를 최대한 내려놓고 퇴계의 논리에 따라 그가 상정한 사단과 칠정의 범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역학의 선후천과 최수운의 다시개벽 -『주역』과 『정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찬구 ( Chan Goo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동학의 창시자인 최수운은 송나라 소강절이 천지 순환의 이치에 따라 설정한 `개벽(開闢)`이라는 말을 수용하면서도 정작 `다시개벽`이라 새로운 말을 사용하였다. 수운이 개벽이라는 말에 `다시`를 덧붙여 `다시개벽`이라고 말한 까닭은 『주역』에서 말하는 선후천(先後天)의 교역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수운 특유의 인간개벽에 특별히 주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수운은 천개벽에 이어 인간개벽을 위해 지(地)와 합일하는 개벽을 통해 우주가 완성되어야 한다는 관점이다. 그래서 `다시개벽`이라 말한 것이며, 굳이 이런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쓴 것은 하날님의 수고를 끝내고, 천지인 중에 마지막 개벽대상인 인간의 주체적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김일부의 『정역』과 같이 도상(圖上)개벽으로는 축미(丑未)선상의 다시개벽인 것이다. 지금은 수운의 말처럼 목운(木運)이 도래하는 선후천 음양 교체기이다. 양적(陽的) 생장(生長)의 기운이 음적(陰的) 수장(收藏)의 새 기운으로 바뀌는 때에 인간은 우주의 변화에 순응하는 도덕적 책임을 부여받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천인이 합일하는 새로운 선경세계를 건설하고, 지상에 실질적인 태평성세를 펼치는 데는 무엇보다도 민(民)의 주체적 자각이 요청되는 것이다. 민이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생명소생의 기운인 목운 도래라는 우주적 변화와 천도에의 복귀를 통해 하늘을 스스로 체험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최령자(最靈者)이기 때문이다. 천지인이 함께 아우르고 소통하는 그런 우주적 체험을 통해 민은 주체적으로 다시개벽을 열어가며, 스스로 진정한 의미의 국태민안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필자는 선-후천 이분법보다는 선천-중천-후천이라는 삼분법에 의한 3단계 개벽으로 이해함이 어떨까 제안해 보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수련수도를 더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Choe Suwoon, founder of Donghak (Estern Learning), accepted the term `Gaebyeok (Opening of a New Beginning)` proposed by a Chinese philosopher Shao Yung (So gang-jeol)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cycle of the heaven and earth. However, he often used a new term Dasi-gaebyeok (Reopening of a New Beginning). The reason why he added `Dasi (re-)` on the term `Gaebyeok (Opening of a New Beginning)` is because he specially focused on the new beginning of human beings unlike the theory of the pre-heaven (Seoncheon) and post-heaven (Hucheon) trade. His idea is that the universe should be completed through the unification between the earth and men following the opening of a new beginning of the heaven. The reason why he used this new term was because he intended to emphasize the role of human beings as the subjects of new beginning out of the heaven, earth and men and help the work of Hanalim. Like the Jeongyeok (Correction of Yijing) proposed by Kim Il-bu, it is the reopening of a new beginning according to Chukmi. Today is the timing of the replacement between pre-heaven and post-heaven and Yin and Yang as the fate of wood returns. As the energy of the growth of Yang is being replaced with the dressing of Yin, it is inevitable that men need to receive the moral responsibility to comply with the changes of the universe. In particular, self-comprehension is particularly required to construct the new beautiful world where the heaven and men are unified and to open the actual peace and happiness. The reason how men can realize this is because they can experience the heaven through the change of the universe, return of the fate of Wood, and return to the heaven`s way. Through the experience of universal experience where the heaven, earth and men communicate, men will walk the way of Dasi-gaebyeok and achieve actual meaning of national prosperity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Finally, the author of this study proposes trichotomy `Pre-heaven, Mid-heaven and Post-heaven` instead of dichotomy to understand the three phases of the opening of a new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proposal is to emphasize men`s practice and discipline.

      • KCI등재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폐경”의 의미 연구

        김은정(Eun Jung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현대소설연구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aning of ``menopause`` as a theme in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Elder Sister`s Menopause by Kim Hoon and The Night before Menopause by Gong Seon-ok. In Elder Sister`s Menopause by Kim Hoon, menopause is considered as a being which appears ``suddenly`` and makes the woman be confused and anxious. But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menopause doesn`t mean severance or closure of her life. So to speak, menopause can be the beginning of new world and a chance to know one`s own value. In that sense, menopause has a particular meaning to everyone, although it is a process that everyone undergoes commonly. In The Night before Menopause by Gong Seon-ok, menopause is a process of desire to go back to the ``beginning``. Gong Seon-ok understand the life as a system in which we want to go back to the beginning but can not succeed at last. And she says that menopause is a natural process to find the human being`s own beauty originating from the fact that we can not go back to the beginning. In addition, she says that menopause, the human being`s own beauty is a expanded form of mother`s instinctive love. In the two novels, menopause is not a symptom of senility or a meaningless process of life. So the thematic meaning of menopause is not ``closing`` but ``opening``. Menopause is not the closure of the life as a woman, but a new beginning of life to become aware of herself.

      • KCI등재

        퇴계(退溪) 사칠론(四七論)에서 사단(四端)의 순선(純善)함에 대하여

        이치억 ( Lee Chi-eok )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5 No.-

        일반적으로 退溪 사상의 특성이 리의 능동성, 특히 사단칠정론에서 理發을 주장한 데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퇴계-고봉의 사단칠정왕복서에 드러난 퇴계 사단칠정론의 독창성은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에 분속한 것에 있고, 그 중에서 리발을 제창한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발을 떼어낸 데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주자학에 정통했던 고봉의 반론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사단칠정왕복서에서 高峯이 문제 삼은 것은 리발이 아니라 오히려 기발에 있는 것이다. 퇴계가 기발을 따로 분리해 낸 것은 물론 기발을 중시해서가 아니라 리발인 사단의 순선함을 드러내고 확보하려는 데 그 의도가 있다. 퇴계의 논리에 따르면 도덕적 감정이라고 해서 모두 사단이라고 할 수 없으며, 칠정도 충분히 도덕적 감정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사단과 칠정은 본질적으로 다른 감정임을 주장한다. 즉 사단과 칠정의 분계점은 선과 악, 내지는 도덕-비도덕의 감정이 아니라, 인간 심연의 본연적 감정인가, 자기중심의 기질적 감정인가 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퇴계는 자기중심적 감정은 그것이 아무리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칠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리의 능동성, 리발-기발이라고 하는 理氣論의 무게를 최대한 내려놓고 퇴계의 논리에 따라 그가 상정한 사단과 칠정의 범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In general, the specific character of Toegye’s Thought is known for spontaneity of li(理), namely ‘issuance of li’(li-fa 理發) which he argued in Four Seven debate. However, creativeness of Four Seven debate completed from separating and distribut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respectively to li(理) and qi(氣) preferably parting ‘issuance of qi’ rather than parting ‘issuance of li’.As a matter of fact, what became a controversy by Gobong in Letters of Four Seven debate was ‘issuance of qi’, not ‘issuance of li’. Toegye separated ‘issuance of qi’, not for its significance; he intended to reveal and assure ‘Purity of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all moral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Four Beginnings whereas Seven Feelings are possibly all moral feelings. He indicated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naturally different feelings. More precisely, the bounda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s not good and evil, or moral and immoral feelings, it is rather feelings of human nature or feelings of egocentric temperament since Toegye considered that egocentric feelings with all its morality always categorized in Seven feel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categories and meanings of Four Beginning and Seven Feelings according to Toegye’s argument, excluding a heavy dispute of ‘activeness of li’, ‘issuance of li’, and ‘issuance of qi’ as possible.

      • KCI등재

        내사의 개념과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오상지(Oh Sang Je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2 경찰학연구 Vol.12 No.3

        On Jun 20th. 2011, Minister of Justic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Public Prosecutor General, and Commissioner General of National Police Agency agreed on the revised bill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which was approved without major changes on Jun 30th. Along the line of consent, whether NaeSa-stage80) cases are included in “all investigation” was at issue. If they are not, judicial police is free from Prosecutors' authority in NaeSa-stage. On March 15th, the Prosecutors Office revised its Regul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The regulation established new concept of “Susa81)-case system”, which includes NaeSa-cases into “all investigation”. It presents legal ground to command police officers on NaeSa-cases. In accordance with the Criminal Procedure, the Supreme Court perceives “the recognition of crime” as “the beginning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while on the working level, booking of charges is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This discrepancy derived formal and practical theories about the issues such as the scope of NaeSa-cases, and possibility of compulsory investigation in NaeSa-stage. On the beginning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government may conduct criminal investigation including compulsory methods, and the suspects enjoy constitutional rights. Thus,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must be set by the Criminal Procedure Code. Not by the rules, regulations, or any lower- level legal basis. Being that settled, what matters now is “the recognition of crime”. There is no clear codes, rules, regulations or even guidelines about the meaning of it. It completely depends on the prosecutors or police officers of each case. The “Susa-case system” does not present clear standard on which cases shall be Susa cases. Criminal investigation infringes upon one's rights. Thus, clear and precisive standards to test the beginning of investigation are requested. Those standards shall guarantee legal predictability about the beginning, and constitutional rights.

      • KCI등재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시원성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병욱,이장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는 루이스 칸의 건축에서 시원성의 표현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루이스 칸의 건축은 시간과 지역의 차이를 넘어선 건축의 본질을 보여주며, 칸은 건축의 근원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 건축가로 인식되고 있다. 칸은 건축개념을 설명하면서 beginning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는 우리를 표현하기 위해 산다”라고 말함으로써 그의 건축이 특정한 건축적 사고의 표현물임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칸이 본질에 대한 관심을 자신의 건축개념인 시원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가 시원이라는 단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 의미와 건축적 표현을 기하학과 폐허 이미지와 연관하여 고찰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칸의 건축에서 보이는 건축적 개념이 그의 건축적 표현과 연관되어 있음을 추적함으로써 칸 건축에 대한 건축적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in Louis Kahn’s architecture works. Kahn's architecture is revealed an essential of architecture beyond region and time, so he is recognized as an architect, who asked questions about the orgin of architecture. Kahn used the word ‘beginning’ to explain the concept of his architecture. He said "We live to express ourselves", this suggests that an architecture is implied an expression of architectural thinking. In the sense that Khan talks about the essence of beginning in terms of his architectural concept, so this paper research the meaning and architectural expression revealed his architectural concept word - ‘beginning’, in relation to geometry and images of ruins. As a result,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orizon of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in Kahn’s works by tracing that his architectural concept is related to his architectural express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이종숙 ( Jong Sook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이 논문은 『악학궤범』의 처용무보를 분석하여 처용무의 작대 변화에서 드러나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악학궤범』은 조선조 처용무의 정석이므로 5인의 무용수가 청·홍·황·흑·백색의 오방색 의상을 착용하고, 열(列)을 짓고, 방(方)을 이루며, 하도(河圖)의 모습으로써 서로 움직여서[相탕] 결국 일월이 운행하는 모습의 양식을 갖춘 춤이 되는데, 이는 무슨 의미를 나타내는가를 알고자 하였다. 『악학궤범』 처용무보의 작대 변화는 원(○)형 → 일(一)자형 → 십(十)자형 → 동심원(⊙)형 → 십(十)자형 → 일(一)자형 → 원(○)형으로 환원되었다. 원(○)형으로 시작하여 원(○)형으로 마치는 회귀(回歸)의 모습이 되었다. 처음과 끝[終始]이 일정한 경로를 거쳐 동일한 모습으로 회귀하는 시간적 순환성의 특징을 나타냈다. 오행의 자연(自然) 순환 순리를 모방하였고, 자연을 닮은 회귀 순환의 춤이 곧 좌선하는 원형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원운동을 통해 단순하게 회귀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나선형의 미래로 생출(生出)해 나아가는 모습을 모방함으로써 벽사진경(벽邪進慶)을 염원하는 의미로 인해 나례(儺禮)에서의 축귀의례(逐鬼儀禮)에 이용되는 춤이 되었다. 처용무의 역리적 특성은 크게 시간의 순환성과 공간의 형상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첫째로 종시의 순환적 형태인 시종회무도(始終回舞圖)와 종합구성 형태에 주목했는데, 『주역』에서의 종시(終始)는 끝남으로써 시작되는 이치로 통했다. 이 점은 처용무가 한 해를 마무리하는 섣달 그믐날의 나례와 잔치의 마무리 춤에 속하는 의미에 상통할 것으로 보았다. 즉 종시의 날에 나례를 베풀듯이 순환하는 종시를 형상하여 벽사진경의 염원을 담아낸 춤임을 확인시키는 것으로 보았다. 끝남이 곧 시작이라는 하늘의 도리[天道]를 종합적 춤 구성으로 실현하여 형상한 것이라고 여겼다. 한편, 처용무보의 일렬작대와 오방작대, 불출대 회선과 동심원 등에서 나타나는 작대의 공간적 변화는 궁극적으로 청·홍·흑·백을 통섭하는 황자 중심의 관계성 의미로 통일되었다. 다양한 공간적 형상을 추구하여 변화를 추구하지만 의미는 오직 득상우중행(得尙于中行)이라는 점에 귀착되었다. 다만, 일렬 대열에서 상생과 상극이 황자의 좌우에 공존했던 것과는 달리 오방작대의 모습에서는 오행의 질서 있는 대대(待對)와 순환을 형상하였다. 특히 황자는 사방의 처용을 흑으로부터 차례로 마주하고 대무를 마친다. 이 역시 군(임금)의 힘이 사방에 두루 미치는 영향을 형상했다. 또 한편으로는 겨울, 봄, 여름, 가을에 대해 황이 중앙에 있어서 사방에 차례대로 통달하고, 선창(先唱)하며, 시생(施生)하여 4성의 벼리가 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었다. 『악학궤범』 처용무 자체로 본다면, 오행의 각종 배열과 상대하는 작대의 중심은 오직 `득상우중행`이라는 공간성 의미를 기초로 좌우의 음양분화와 사기(四氣)의 통섭을 행하고, 또 다시 오기(五氣)의 음양 동작의 분화를 5인의 처용이 주재(主宰)하는 표현 형상이었다. 주돈이의 태극도설 이후의 성리학자들에게 있어서 음양과 오행은 분리하기 어려운 짝 개념이 되었다는 사실을 조선 초기 『악학궤범』 처용무로부터 발견하는 사상사적 의미를 제고해 볼 수 있다. 유가사회에서의 춤은 예악의 한 부분이므로, 조선당시의 춤을 형상(形象)으로 안무하고, 역리적으로 춤의 내용을 설명하고자 했음에 대해 그 원리를 파악하고자 했다. 『악학궤범』의 처용무보는 김용이 주돈이의 태극도설로써 현행처용무의 순서를 정리한 것과는 완전히 다른 구조였다. 다양한 변화가 형상되지만 종국에는 오직 임금을 정점으로 배열된 공간적 의미와 시간적 구성을 표현한 무보였다.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Cheoyong Dance Music of Akhakgwebeom and examine the meaning in changes in the dance composition. Akhakgwebeom is the standard for Joseon Cheoyong Dance; five dancers wear clothes in five directional colors, namely, blue, pink, yellow, black and white, form rows, indicate directions, move in a river-crossing formation, and perform the dance of the sun`s and the moon`s movement;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is meaning. The dance composition of Cheoyong Dance Music shown in Akhakgwebeom and Akhakgwebeomholgi consists of circle (○), line (一), cross (十), and concentric circle (⊙), and again cross (十), line (一) and circle (○); it begins with a circle (○) and returns to a circle (○). As such, the first and last portions go through a certain path and then return to a certain formation, achieving a chronical regression formation. The dance imitated the nature circulation principle of Five Elements, and a circle of nature`s regression, namely, sitting in Zen meditation. However, the circular movement expressed not simply a regression, but a continuous spiral formation symbolizing a rebirth for the future and prayers for casting evils and seeking blisses. The dance was used in rituals of casting off evils. Paradoxical characteristics of Cheoyong Dance can be found in its chronological regression and spatial formation. First, the regressive formation of the beginning and ending, namely, Beginning-Ending Regressive Dance Painting, and the comprehensive formation were noted; In Book of Change (Juyeok), the ending and beginning is said to mean starting by ending; this point conforms to the fact that Cheoyong Dance is performed as the finalizing dance at the evil-casting ritual held on the eve of new year. In other words, as the evil-casting ritual was held at the year-end, the dance formed a regressive beginning-ending formation, and embraced the prayer for evil-casting and promotion of blisses; as such, the dance formed the Heavenly Way of the ending being the beginning. Further, spatial changes of dance formations in Cheoyong Dance Music, such as one-line formation, five-direction formation, the regression formation, and the eccentric circle were ultimately incorporated into Hwangja, namely, Yellow Cheoyong, who governed blue, pink, black and white. Diverse spatial forms were sought for effecting changes, but, ultimately, the theme regressed to the middle-of-the-road worship. While the line formation featured both mutual survival and mutual opposition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Hwangja, the five-directional formation featured the Five Elements` order and circulation; in particular, Hwangja meets and faces Cheoyong from four directions beginning with Black, thereby closing the face-to-face dance, which symbolizes the king`s power reaching to four directions. Also, the Yellow, centered vis-a-vis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communicates to four directions, and leads the singing, symbolizing the revival of life and the backbone of four sounds. Dance was part of rituals and music in the Confucian society; the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rinciple of Joseon`s choreography of dance formations and paradoxical explanation of dance. It was found that Cheoyong Dance Music shown in Akhakgwebeom has a structure totally different from what Kim Yong, based on Juhi`s taegeuk theory, arranged the order of the current Cheoyong Dance. Diverse formations were created, but in the end, the dance expressed a composition wherein only the king was centered with other elements spatially and temporally arranged in the surrou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