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스포츠 선수를 위한 소셜미디어 규정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한국프로야구를 중심으로 -

        박은균,김종채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8 스포츠와 법 Vol.21 No.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social media rule implemented by Korean Baseball Organization (KBO).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fessional sport governing bodies are constantly creating and using several social media outlets in order to buil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ir fans, promote the sport and events with popularity, and share current information and news regarding the teams and players. However, it seems that there is no great support and understanding on the use of the professional athletes’ social media and its benefit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social media rules adopted by KBO and other international professional sport leagues such as Major League Baseball (MLB) and other major professional sports leagues, the current study provided both recommendations for social media rule development in professional sport leagues and the necessity of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social media and changes in perception regarding social media. Concretely, teams in professional sport teams should start to create their own culture within social media. By combin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on the use of different social media platforms by KBO teams, the overall patterns of users can be evaluated. As part of desirable social media culture, engaging in social media should be the first means of communication for fans to follow their favorite sport, teams and athletes.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of distinct social media rule and its correct position within professional sport leagues, teams, and athletes. It is essential that professional sport leagues need concrete rules on social media, social media channels specific training for participants, and finally the participants’ changes in understanding towards social media. The current study also recommends the tactical and active use of social media by the teams and athletes. Thereby, the authors of the current study expect Korean professional sport leagues to be continually loved by their fans and prospective fans. 본 연구는 한국프로스포츠리그(한국프로야구 중심)에 적용되고 있는 현 소셜미디아 규정을 조사하였다. 국내외 프로스포츠리그에서의 소셜미디어는 팬들과의 관계성립, 스포츠의 인기와 홍보활동, 정보공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프로스포츠리그 선수들의 소셜미디아 사용이유와 사용혜택에 대한 이해는 현저히 부족해 보인다. 한국프로야구의 현 소셜미디어 규정과 미국프로야구와 미국 주요 프로스포츠 리그들의 규정의 비교분석을 통해, 소셜미디어 규정의 개선 방향과 소셜미디어 사용의 이해 및 인식변화에 대한 필요를 도출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각 프로리그에 소속된 구단들은 그들만의 스포츠 소셜미디어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핵심은 프로스포츠 선수들을 위한 소셜미디어 규정의 확립 및 바람직한 사용의 필요성을 시사한 것에 있다. 구체적인 규정과 소셜미디아 사용교육 및 인식의 전환을 통해 구단과 선수들의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소셜미디어 사용을 권장한다. 미디어 시대에 대응하며 팬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스포츠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우수등재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시청자의 미디어 접촉동기가 미디어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관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건하,조성균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2

        본 연구는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시청자의 미디어 접촉동기를 통해 스포츠가치관 미디어 시청의도 더 나아가 스포츠관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2022 아시안게임 시청자의 미디어 접촉동기가 미디어 스포츠발전의 영향을 나타내고 미디어를 통한 스포츠 관람 발전을 나타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시청한 시청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비확률 표본추출법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224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5.0 Ver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다변량 다중회귀분석, Hayes macro model 4, 14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미디어 접촉동기의 하위요인인 오락추구, 대리만족이 미디어 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교류는 미디어 시청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 접촉동기는 스포츠가치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가치관은 미디어 시청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디어 접촉동기가 미디어 시청의도에 관계에 있어 스포츠가치관은 정(+)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 접촉동기가 미디어 시청의도 간의 관계에서 스포츠가치관의 매개효과에 대한 스포츠 관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조건부 간접효과를 통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validates how sports values are influenced by media contact motivations among 2022 Hangzhou Asian Games viewers. It also examines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s of sports involvement on the intention of media sports viewing. The aim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on how media contact motivations impact the development of media sports and to offer basic insights for the advancement of sports spectatorship through media.This study validates how sports values are influenced by media contact motivations among 2022 Hangzhou Asian Games viewers. It also examines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s of sports involvement on the intention of media sports viewing. The aim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on how media contact motivations impact the development of media sports and to offer basic insights for the advancement of sports spectatorship through media.Firstly, it was observed that the sub-factors of media contact motivation, such as entertainment pursuit and vicarious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ntion of media sports viewing, while social exchange has a positive impact on media sports viewing intention. Secondly, media contact motiv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ports values. Thirdly, sports values positively impact the intention of media sports viewing. Four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tact motivation and the intention of media sports viewing, sports values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Fifthly,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s of sports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tact motivation and the intention of media sports viewing exist through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 KCI등재후보

        미디어 발전 단계별로 본 미디어와 스포츠 콘텐츠의 산업적 측면에서의 상호작용

        김지혜(Kim Ji-Hye),임정수(Yim Jung-su)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3

        이 연구는 미디어와 스포츠 콘텐츠 시장이 어떤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디지털 모바일 미디어시대까지 진화해왔는지를 보고자 했다. 미디어 발전을 전통적인 미디어, 다채널방송(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중심), 인터넷 미디어(포털, UCC), 모바일 미디어(이동통신 서비스, DMB) 등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는 스포츠콘텐츠의 수요에 영향을 주고, 스포츠 콘텐츠의 형식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스포츠도 미디어의 전략과 활용에 영향을 미쳐왔다. 미디어가 발전할수록 이용할 수 있는 스포츠 콘텐츠는 다양해지고, 특히 유통에 있어서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프로 스포츠의 활성화, 스포츠 스타들의 해외진출, e-strops의 출현 등은 인터넷 미디어와 모바일 미디어의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이제는 포털과 모바일방송 사업자들이 방송사를 앞질러 스포츠 중계 및 동영상 사용에 대한 독점권을 구매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우리나라에서도 계속 진행되는 미디어 플랫폼의 성장에 힘입어 드라마 장르와 함께 스포츠 콘텐츠의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스포츠 콘텐츠 시장의 규모가 확장되고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전문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media and the sport markets have evolv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platforms in Korea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with regard to sport contents: the traditional media age, the multi-channel TV age(cable TV and satellite TV), the Internet service age(portal and UCC sites) and the mobile media age(mobile phone services and DMB). The evolution of media platforms has influenced on the demand of sport contents and the sport markets. The sports also affect programming strategies and productions conducted by the media. As the media develop, the market size of sport contents becomes larger and the role of sport marketing agencies gets greater than ever before.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of professional sport events, sports stars' activity abroad and the introduction of e-sports have driven sports fans to use Internet media and mobile media actively at their workplaces or in subways. Now the Internet media and mobile media purchase the local exclusive licenses from the sport leagues ahead of television companie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port contents will be more professionalized than now in the future, as the introduction of newer digital media platforms in Korea enlarge the demand of sports content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아웃도어스포츠 트렌드 분석

        김경식 미래융합통섭학회 2023 융합과 통섭 Vol.6 No.2

        PURPOSE This study utilizes big data from news and social media to identify changes in outdoor sports trends over time, and analyzes the trends and major topics that represent outdoor sports in Korea, using the accumulated big data. Please note that the sentence is grammatically correct, but there may be some minor adjustments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it is being used.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dividing it into news media and social media. For news media, Big Kinds collected data for 33 years with a focus on outdoor sports. For social media, data related to outdoor sports was collected from communities, Instagram, blogs, and Twitter from 2014 to 2022. RESULT With the passage of time, outdoor sports have undergone various chang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key words of news media and social media. News media is brand, product, consumer, hiking, leisure, health, sales, product, market, safety, etc., while social media is hiking, body, mountain, diet, health, running, cycling, camping, etc. Topics in news media have a high weight in the order of COVID-19, outdoor sports, outdoor sports equipment, and outdoor sports products, and social media topics are outdoor sports by place, outdoor sports and weather, outdoor sports and Diet is a high proportion. CONCLUS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outdoor sports trends in news media and social media, and it can be seen that social media reflects consumers' interests and preferences. Sports policymakers will be able to prioritize and implement policies based on the type and weight of topics.

      • KCI등재

        스포츠 저널리즘의 보도행태에 담긴 스포츠미디어에 관한 담론

        임재구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4

        We are now entering the era of multi-channel, multi-media, mutual-digital broadcasting. But we couldn't help wondering 'how much' and 'how' cultural welfare will be certified by the era we are entering. In this situation, we should consider which philosophy must be contained in the broadcasting policies related to sports, which is the problem of the current broadcasting policies and which is the right future of the broadcasting policies. Sports-media have so much influence on today's popular culture. Especially, TV sports broadcasts seem to monopoly the whole aspects of general public's recreational life and the sub-cultures of them, which is concerned by many experts. So, we need to find out how much the influence of sports-media have on our life. Also, we need to consider how much the 'quality' of broadcasting has advanced while the 'quantity', or technology of broadcasting has advanced until now. The research below will analyze these topic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sports-media have, to deeply understand the sports-media and to make people understand sports-media more easily with providing fundamental datum. In the point, the broadcasting and report behaviors of sports-media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s of them are also clarified. First, news topics about sports-media were analyzed. Second, the problems of reporting ideological contents were analyzed. Third, the receivers of sports-media were analyzed. Fourth, the lack of social-educational functions of sports-media in digital broadcasting era. 우리는 지금 다채널, 다매체, 그리고 디지털 방송의 시대로 가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 시대가 과연 우리에게 문화적 복지를 얼마만큼, 어떻게 약속하고 있는 지 매우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스포츠와 관계된 방송정책은 어떠한 철학을 바탕으로 또는 어떤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방송정책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또 스포츠방송의 미래와 스포츠방송 전망에 대하여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스포츠미디어는 오늘의 대중문화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TV 스포츠 중계방송은 일반 대중의 여가생활에, 그리고 일상문화의 모든 것을 독점하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그렇다면 스포츠미디어의 영향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의 것인지, 그리고 우리의 문화적 삶을 어떻게 조건 짓고 있는지. 또한 스포츠 중계방송 기술발전과 방송의 양적성장이 추진되고 있는데 비례해서 방송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점검해 보는 의미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저널리즘의 이데올로기적 보도행태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스포츠저널리즘 보도 주제들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스포츠저널리즘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주제들을 성찰적으로 고찰하여, 스포츠저널리즘의 이해를 돕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 스포츠 방송중계 및 보도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문제점을 도출해 보았다. 첫 번째 보도핵심 주제로 승리지상주의, 스포츠와 성, 인기스포츠 스타 등 편향된 스포츠저널리즘에 대한 보도주제를 분석했으며, 두 번째 핵심주제로 국기주의 민족주의 등 이데올로기에 대한 중심적 보도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했으며, 세 번째로 디지털시대의 스포츠미디어 수용자에 따른 스포츠저널리즘에 관하여 사회 교육적 기능의 부재를 분석했다.

      • KCI등재

        한국스포츠사회학 분야에서의 미디어/스포츠 연구: 개념 정립과 연구 분류

        이익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 No.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principles of ‘Media Sports’ and ‘Sports Media’ and their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tudies carried out in these areas from both in Korea and abroad in the past. Through descriptive approach and paper review, this study established the principles of media sports and sports media based on the media sports principle of Wenner (1998) and the 22 previous studies that were carried out under the heading of media sports and that which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famous publi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Sports Sociology. The conclusion in short, is that media sports can be defined as the contents of the sports articles and news programs that are edited and dramatized by the mass media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users. That is, the original contents – that is sports, is reprocessed by the sports media and its personnel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users. In contrast, Sports Media is a composite product which not only plays the role of a manufacturer but also focuses in the analysis of daily newspapers, sports news, programs and broadcasting news programs. Because the development of sports media which is the main producer and supplier and the media sports as the content provider are assumed to coexist – the future studies in these areas should not only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ification of specific research areas, but should also focus in proposing the human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relationship and sports sociology. Last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all 22 papers that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study areas for media sports and sports media. So it was propos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c study should be left as a task for future comprehensive studies.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선행되었던 미디어스포츠와 스포츠미디어 연구를 토대로 '미디어스포츠'와 '스포츠미디어'의 개념 정립과 이들의 연구 분류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적(descriptive) 접근방법과 문헌조사를 통해 Wenner(1998)가 정립한 미디어스포츠의 개념과 한국스포츠사회학 분야에서 대표적인 학회지로 평가되는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에 미디어스포츠를 주제어로 한 22편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디어스포츠와 스포츠미디어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스포츠는 매스미디어에 의해서 각색되고 편집되어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스포츠 기사와 보도 프로그램의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스포츠라는 원재료를 바탕으로 스포츠미디어의 이해관계자들을 통해 재생산된 물화적 특성 을 띠며, 다시 수용자들에게 전달되어 소비되는 것을 일컫는다. 반면 스포츠미디어는 복합적 생산체로, 생산자로서의 역할은 물론 일간신문, 스포츠 뉴스 프로그램 또는 방송보도 프로그램의 분석에 중점을 둔 전통적인 미디어 기능에 관한 연구로 볼 수 있었다. 생산과 공급의 주체인 스포츠미디어의 발전과 미디어스포츠의 컨텐츠적인 요소는 상호공생적인 요소로 간주되므로 향후 진행될 미디어스포츠와 스포츠미디어 연구는 세부 연구영역 분류를 통한 접근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관계 이해, 스포츠사회학 측면에서의 인간의 행동양식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대상으로 삼았던 22편의 모든 연구를 미디어스포츠와 스포츠미디어의 개별적인 연구범주에 포함시키지 못한 것으로써, 연구 체계의 정립은 향후 진행될 심도 높은 연구 과제로 진행되었으면 하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스포츠와 미디어 리터러시 : 미디어에 나타난 은유적 함의

        강영훈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5 No.2

        In the traditional category, the concept of ‘literacy’ has usually been defined as ‘the ability to read, write, and understand text.’ However, the present ‘literacy’ can be discuss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the style and ability to communicate, which emerged with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media, the ability to interpret and analyze for delivery methods, and the ability to us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In particular, ‘media literacy’ means the competency needed fo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various factors surrounding the media text. In other words, media literacy can be described as ‘the discovery of refraction of text’ provided by media. The refraction of media texts is easily found in elements of our society, like sports or art, considered to be unrelated to the power. Especially, this paper w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is impossible to consider the role of media a simple information transfer in sports discourse. This study attempts an interpretation of customary expressions found in the media delivering sports with the above clues as premises. In the media text delivered through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TV, customary expressions already familiar to the public as shared for a long time often appears. The fact that the public is already accustomed to specific expressions means that even the fact that an unspoken ideology has been implied is concealed. Thu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method and meaning of customary expressions. The discussion with Lakoff and Johnson is helpful on this issue. Lakoff and Johnson said: “Human thinking is organized around metaphors.” Focusing on this discussion, we analyze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found in the media. The discussion of analyzing metaphorical expressions found in the media can be an example of media literacy. Through such a task, this study would capture the clues of the meanings and purposes of the symbols inherent in sports discourses and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meanings secretly reinforced. 오늘날의 리터러시는 ‘문자를 읽고 쓰고 이해하는 능력’이라는 범박한 정의와 보편적 규정에서 확장되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다양한 리터러시 분야 중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 텍스트를 둘러싼 다양한 구조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역량을 의미한다. 미디어는 다양한 이념과 담론들을 굴절시켜 전파하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고 수용하는 역량은 매우 긴요하다. 이러한 미디어 텍스트의 굴절은 스포츠나 예술의 영역에서도 쉽게 발견된다. 미디어는 스포츠를 단순 전달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의미를 내포시킴으로써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스포츠에 내재된 정치적ㆍ경제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분석은 충분히 논의되었다. 다만 이러한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전략, 특히 미디어가 사용하는 관습적 표현들에 대한 의미나 목적에 관심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보완ㆍ 확장ㆍ갱신의 지평이 발견된다. 인간의 개념 구조가 은유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고 설명한 G. 레이코프와 M. 존슨의 논의는 미디어가 사용하는 관습적 표현을 해석하는 데에 유의미한 논리를 제공한다. 미디어에서 발견되는 수많은 은유적 기제들을 분석하는 작업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사례와 필요성에 대한 논의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위의 단서를 전제로 하여 미디어에 포착된 은유적 표현과 숨겨진 함의를 네 가지 측면에서 논의한다. 첫 번째, 지역 연고제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 야구에서 지역 간 갈등과 경쟁의 과열을 유도하는 은유적 표현들을 분석한다. 두 번째, 대한민국의 대표적 이념인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전파하는 은유적 표현들을 분석한다. 세 번째, 스포츠의 상업주의와 물신화된 선수의 육체를 폭로하는 은유적 표현들을 분석한다. 네 번째, 위와 같은 정치적ㆍ민족적ㆍ경제적 이데올로기를 은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스포츠의 예술성과 순수성을 강조하는 은유적 표현들을 분석한다. 이러한 논의는 스포츠를 전달하는 미디어에 내포된 상징과 전략을 해석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MZ세대의 미디어스포츠 접촉이 스포츠 참여동기, 소비행동 및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전정환,최성범,천성민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contact with media sports content affects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consumption behavior, and sports value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0 people from the MZ generation in the Gangwon state who were watching media sports and actually exercising. 27 questionnaires that were filled out insincerely or had omissions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25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SPSS 26.0 and Amos 21.0 progra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calcul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Media sports conta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motivation. Second, Media sports conta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ports consumption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Third, media contact with spor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ports values. In conclusion, the MZ generation needs to make efforts and create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sports content because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is improved, sports consumption behavior is promoted, and correct sports values are established through media sports. 본 연구는 MZ세대의 미디어스포츠 접촉이 스포츠 참여동기와 소비행동, 그리고 가치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지역의 MZ세대(1980년~2004년 출생자)중 미디어스포츠를 시청하고 있고, 실제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 280명이었다. 이중 불성실하게 작성하거나 누락이 있는 설문 27부를 제외하고 총 25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6.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개념신뢰도 및 내적일관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스포츠 접촉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 스포츠 접촉은 MZ세대들의 스포츠 소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디어 스포츠 접촉은 스포츠가치관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Z세대들은 미디어스포츠를 통해 스포츠 참여동기가 향상되고, 스포츠 소비행동이 촉진되며, 올바른 스포츠 가치관을 확립하기 때문에 양질의 스포츠콘텐츠 개발을 위한 노력과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스포츠와 미디어권력구조에 관한 인문학적 통찰

        양재운,김진훈,이호근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24 스포츠인류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한국스포츠와 미디어, 한국스포츠와 미디어권력과 그 구조에 관하여 문헌고찰방법으로 탐구하였으며, 작금의 스포츠와 미디어에관한 본질적인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한국스포츠가 기존의 미디어와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양적인 성장과 질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작금의 스포츠와 미디어 권력, 그리고 그 권력구조에 관한 실질적이고 본질적인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스포츠와 미디어에 관한 여러 다양한 연구들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는 스포츠와 미디어 관한 주제의 연구들이 우리사회에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본질에서 힘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은 아직 주가 되고있지 않다. 그만큼 기존의 스포츠와 미디어권력과 그 구조들은 쉽게 변화지 않는 힘의 관계가 형성되고 구조화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 본질적인 상황들을 재정립하고 한국스포츠와 미디어의 관계가 제대로 잘 만들어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와 탐구들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plored Korean sport and media, Korean sport and media power, and its structur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ried to discuss essential issues of sport and media. In order for Korean sport to grow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e existing media and the newly formed media environment, substantial and essential discussions on sport, media power, and its power structure should be made continuously. Various studies on sport and media continue to occur because studies on sport and media topics are needed in our society, bu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power in its essence have not yet become mainstream. Since the existing sport and media power and its structures have formed and structured a relationship of power that does not change easily, we need continuous discussions and explorations to reestablish these essential situations and to mak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port and media well.

      • 미디어기술의 발달과 스포츠의 세계화에 관한 고찰

        방신웅 ( Shin Woong Bang ),황선환 ( Sun Hwan Hwang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1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3 No.1

        Purpose: The purpose os the current study was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sports.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which the sports will go in the stream of sports globalization with the media through inspecting the sport transition trends resulted from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digital era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imperialism. Conclusion: Sports which being established as culture in the ordinary life provide media with various contents through combination with media. Media have kept a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sports along with developing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sports. However, sports have been dependent on media. Sports combined with media played a role of the mean which transferred culture of the strong countries while the weak countries became a consuming market of the advanced countries. Advanced countries superficially inform their sports leagues as sports globalization. In fact, however, it could be called cultural imperialism that transfers their culture as reasons of sports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