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과 인간안보: 칠레 사례를 중심으로

        임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8 중남미연구 Vol.37 No.1

        This paper is a study about environment security in Chile. This study seeks to analyze 1) the effect of firewood heating on air pollution and human health in terms of environment security, 2) the role of Chilean government to set the guarantee of environment security. PM 2.5 by firewood heating is a security threats for human beings. Chile has respected the international regime to solve environment problems. But, the action of Chilean government on domestic environment policy was passive comparing with private sector. The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 security is in the hand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Despite adopting the concept of environment security, Chile promotes neoliberal governmental policy for environment security.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안보 확보에 대한 칠레사회의 인식과 정책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칠레 국민들이 겨울철 난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작보일러시스템이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왜 장작난방이 환경안보를 위협하는 요인인지,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국가 차원의 해결노력에 대한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환경안보는 국가안보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개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규범이다. 칠레 정부는 민주화 이후에도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개발 우선의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해왔다. 환경보호를 위하여 국제레짐을 통한 국제협력을 선호하면서도 국내 환경정책에는 소극적인 이중적 태도를 보인 것이다. 오히려 시민사회와 기업 등 민간 영역에서 환경문제를 주도해왔다. 그러나 장작보일러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가 칠레의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호흡기 질환 발병 등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칠레 정부는 시민사회와 오랜 숙의 과정을 거쳐 환경안보를 위한 정책을 제시하였으나 여전히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고, 법적인 강제성이 크지 않는데다 난방비 보조금 지급과 같은 실질적인 지원 대책은 없다. 즉 환경안보에 대한 행위자들의 인식의 전환은 있었지만, 인간안보 확보를 위한 정부의 대응은 시민사회에 비해 미온적이라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후보

        안보환경의 변화와 국가안보전략

        김강녕(Kang-nyeong Kim)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5 국가와 정치 Vol.21 No.-

        본 논문은 안보환경의 변화와 우리의 군사안보적 대응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를 위요한 안보정세의 변화, 박근혜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군사안보적 대응전략의 순서로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 본 것이다. 북한은 만성적인 경제·식량난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개발과 대남 적화전략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특히 동북아는 21세기 세계 정치·경제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역사 인식과 도서·해양영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역내 국가 간의 갈등이 증대되고 있다. 오늘날 세계 안보환경은 전통적인 군사적 위협이 상존하는 가운데 초국가적·비군사적 위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세계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안보환경 속에서 세계 각국은 자체 안보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는 등 상호 협력과 견제를 병행하고 있다. 우리 군은 대한민국의 발전을 튼튼한 안보로 뒷받침해왔다. 한미군사동맹은 지난 60여 년 동안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억제하는 동시에 동북아 지역의 안정에도 크게 기여해왔다. 한국의 군사안보적 대응책은 크게 ①확고한 국방태세 확립과 미래지향적 방위역량 강화, ②한미전략동맹 발전과 국제안보협력 증진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향후 몇 년간은 세계, 동북아, 한반도에서의 안보환경이 급격히 변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 국민 모두가 하나로 단결하여 확고한 안보태세를 갖추어야 할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우리 군은 대한민국의 수호자이자 세계 속의 강군으로서 한반도의 평화를 굳건히 지키고,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선진강군 육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and ROK's strategies.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ROK's military security strategies, and conclusion. Despite chronic economic crises and food shortages, North Korea is relentlessly pursuing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while maintaining an adversarial strategy towards the ROK. Although Northeast Asia is emerging 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tensions in the region are increasing over disparate interpretations of history, and sovereignty over islands and territorial waters. Today’ global security environment is becoming ever more complex with the continued presence of traditional military threats coupled with an increase of transnational and non-military threats, against the backdrop of a prolonged global economic downturn. In such an environment, states are strengthening their national security while simultaneously supporting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peace and stability. In fact, they are cooperating with other states but at the same time treating them as competitors. The ROK Armed Forces have supported Korea's growth by guaranteeing the continuation of unequivocal security. The ROK-U.S. Alliance has deterred North Korea’ military threat for the past60 years and concurrently contributed greatly to the stability of Northeast Asia. ROK's major military security strategies are as follows: (1)Robust defense posture and establishing future-oriented defense capabilities, (2)Development of ROK-U.S. strategic alliance and promotion of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will rapidly change over the next few years. As the guardian of the ROK and as a global military force, our Armed Forces should strive to become a advanced military that uphold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ributes to similar effor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 학술논문5 : 동북아 전략환 경 변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정경영 ( Kyung Young Chung ) 한국군사학회 2014 군사논단 Vol.78 No.-

        The paper aims at assessing strategic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analyzing security strategy and military build-up of key state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security of South Korea and eventually explore South Korea`s defense security policy. Regional security geography is symbolic of turbulence and arms due to the following factors such as hegemony rivalry between the U.S. rebalancing strategy to Asia and China`s a aggressive new model of great powers relationship, Japan`s drastic right wing and militarism revival, Russia`s Eastern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y, the rise South Korea as middle power and North Korea`s reinforcement of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y. The U.S., which has passed through substantial reduction in 500 billion dollar defense budget and 100,000 ground forces in the next ten years, delegates authority and increase responsibility to allies. In the event of territorial dispute between Japan and China, U.S. seems high likely to redeploy US forces from Korea to the contingency area. China and Russia could also intervene in North Korea`s sudden collapse. Due to the overlapping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s among South Korea, China and Japan could lead those countries to militarily confront each other. South Korea should develop its national security strategy based on the critical security environment. In the meantime, first of all,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hen defense security policy should be articulated to implement national security strategy. South Korea should cover its defense blue print for the Unified Korea as well as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turbulent security environment, upgraded national power, and Korean people`s security mind-set. To achieve a vision of G7 unified Korea, four pillars of defense security should be proactively built on self-reliant security, cooperative security, peacemaking, and human development.

      • KCI등재

        시설경비업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성배 한국경호경비학회 2019 시큐리티연구 Vol.- No.61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15 facility security workers in Daejeo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for about a week from August 7 to August 13, 2019 to identify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collected 293 of the total 315 parts of the data, excluding non-response and inappropriate responses. The STATA 14.2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subject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ed key variables. Nex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 task stress and task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detail, the factors for the work environmen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cademic background, number of years of service, wages and types of service in the recognition of the work environment. Job stress facto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wages and types of service in job stress recognition. In job satisfaction factors, age, academic background,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wages (monthly benefi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the working environmen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working environment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better the job environment, promotion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hat job stress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conflict of relationship (promoting colleagues). job autonomy increases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decreases when job requirements and job insecurity increase. In terms of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work promotion, job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the report showed. According to these studies, the bett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lower the job stress, and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bett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ore satisfied the job was found to be, and the empirical research result was verified that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security workers can reduce job stres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through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9년 8월 7일부터 8월 13일까지 약 7일 간 대전, 충남,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시설경비업 종사자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5부의 자료 중 미응답 및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293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TATA 14.2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들의 분포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설정된 주요 변인들에 관한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세부적으로 근무환경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년수, 임금(월급여), 근무형태가 근무환경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임금(월급여), 근무형태가 직무스트레스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만족 요인에서는 연령, 학력, 근무년수, 임금(월급여)이 직무만족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은 부(-)적 관계를, 직무요구와 직무자율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갈등(동료 격려), 직무자율성이 있으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직무요구와 직무불안정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 직무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환경, 근무촉진, 조직특성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지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근무환경의 개선을 통해 경비업 종사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증적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 학술논문: 한국의 안보상황 진단과 대응전략

        나태종 ( Tae Jong Na ) 한국군사학회 2011 군사논단 Vol.68 No.-

        South Korea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hanging environment of surrounding countries, the U.S., China, Japan and Russia, due to its geopolitical location, which connects the Continent of Asia to Pacific Ocean. The recent rise of Chinese power shows that the influence of the U.S. is getting weaker in the area and some countries tend to stay away from the U.S., pursuing their own security strate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ategy on national security of South Korea after the assessment of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one of major interest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research is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2, we examine the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in North East Asia. Specifically, we discuss the recent rise of Chinese power, decrease in the influence of the U.S., Japan and Russia`s efforts to increase their roles and influences in the area, and continuous threat of North Korea. Chapter 3 presents the assessment results of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addressing security strategies of the U.S., China, and North Korea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d discussing domestic crisis within the Korean society. In Chapter 4, we propose the strategy on the national security for South Korea to proactively engage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its crisis that were mentioned in the preceding chapters. In Chapter 5, we summarize our discussions and present conclusions. Our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ecurity strategies. First, South Korea should reinforce the ROK-US alliance. Second, Korean should continuously make efforts to further develop and improve its relationship with China. Third, South Korea should continue to work with its surrounding countries to come up with a peaceful solution to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nd capabilities. Last, for South Korea to be better prepared for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from the U.S. forces and to accomplish it reform in Korean Military, the Korean military is required to continue to work on the reorganization of its force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We can never overestimate the importance of national security. South Korea should be aware that it is time to have the same goal regarding the national security and maintain military readiness since the national security cannot be replaced.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계 환경안보 강화 방안(I)

        이수재,이현우,권영한,채여라,윤기란,박양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3 No.-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영향이 과학적 증거들과 함께 제시되면서 기후변 화는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연차 과제로서 1차 연도에서는 환경안보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생태계 환경안보의 개념을 정립하고, 후속과제로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안보 와 사회?경제 부분의 상관관계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생태계 자체를 연구하기 보다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생태계에 나타나는 현상과 영향 및 이로 인한 리스크에 대하여 정보와 인식을 공유하고, 합리적인 대책을 강구하여 우리나라의 생태계 환경안보 수준을 최상의 수준으로 유지하 고자 하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중 생태계 분야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주요 사례,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여 적응 대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도출한다. 최종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생태계 환경안보 강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본 장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선행연구 고찰, 연구의 방법 및 추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생태계에 나타나는 리스크에 대하여 정보와 인식을 공유하고, 합리적인 대책을 강구하여 우리나라의 생태계 환경안보 수준을 최상의 수준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외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사례조사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생태계 환경안보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후 생태계 환경안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생태계 환경안보를 강화하는 방안 도출 단계로 진행하였다. 제2장 생태계 환경안보의 개요 제2장에서는 본 연구는 UNDP에서 언급한 경제, 식량, 건강, 환경, 개인, 공동체, 정치 안보 등 인간안보의 7개 주제 중 환경안보에 중점을 두고, 그 중 생태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환경안보 개념이 국내에서는 도입 단계이므로 이에 대한 개괄적인 개념의 파악 및 정립을 시도하였다. 한편 환경안보에 대한 국외의 대응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제3장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생태계 환경안보 본 장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생태계의 영향을 개괄하고, 특히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또 국외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대응 체계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찾았다. 특히 미국의 지구변화연구법과 영국의 기후변화법과 연계하여 시행하고 있는 국가생태평가(National Ecosystem Assesment),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 평가 등은 장기적인 관측을 통하여 과학적 평가 및 정책으로 연결되므로 주목할 만한 제도로 보인다. 그 이외에 유럽 환경안보 인 ENVSEC과 유엔의 나이로비 작업프로그램은 우리가 환경안보를 강화하기에 좋은 사례를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ENVSEC은 도면화 작업을 통하여 일반인에게 정보를 전달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어서 매우 좋은 시도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과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진행하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지원연구, 한국 환경산업기술원의 EI사업과 국립환경과학원의 장기생태연구사업을 등으로 생태 계 환경안보를 위한 기반은 어느 정도 마련되고 있다. 국내외 사례를 종합해 보면 국내에서 생태계 환경안보에 대한 인식과 대응은 아직 미흡하며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제4장 생태계 환경안보 강화방안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생태계 환경안보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첫째, 생태계 환경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태계가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국가의 주요 능선축의 보전 및 복원을 제안하였다. 특히 생물다양성 핫스팟지역은 전국의 산지 강변 및 연안, 도서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 종의 이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수평적 투과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투과성을 고려한 도로, 철도 등 단절지역의 회복, 교량설치 등 사회기반시설 설치 시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지침 규정이 필요하다. 둘째, 생태축은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설계 및 재생에도 반영될 수 있다. 기존의 도시설계, 산업단지 등은 특정 공간에서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환경계획에서는 통상 녹지율을 중시하고, 녹지의 형태는 우선순위가 아니다. 그러나 기후변화 시대에는 녹지율도 중요하지만 생물 종의 이동이 보장되는 형태 즉 연결성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도시설계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설계 지침이 추가로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보호지역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는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이 서로 독립분 산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후변화로 인하여 생물 종의 이동에 대한 대응이 매우 미흡한 상태이 다. 따라서 보호지역 간 연결지역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국립공원의 연결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이때 연결지역은 행위제한이 있는 최상위 보호개념보다는 적절한 연결성만 확보할 수 있고 행위제한을 최소화하는 준 보호지역 성격으로 하는 것이 토지이용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DMZ의 생태계 환경안보 구상이 필요하다. DMZ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지만 남북한 혹은 국제 공동으로 DMZ 일원의 기후변화 대응 생태적 적응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안보를 내재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각종 법제도에 환경안보 개념을 충분하게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1차적으로는 환경계획, 환경영향평가, 전략환 경(영향)평가, 국토계획 등에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계 지침을 반영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환경안보 상태를 더욱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환경안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위해서는 환경안보평가서를 시범적으로 발간해보고, 더 나아가 환경안보평가 (Environmental Security Assessment) 제도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제5장 결론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환경시스템의 위험을 환경안보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국가 정책이 충분한지 여부를 점검하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태계 환경안보 강화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환경안보 체계 구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의 차별성을 도출하였다. 이어 환경안보의 개념 정립을 시도하고 생태계 환경안보 관련 국내외 동향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계 환경안 보 강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형생태계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라 한반도의 생태계가 순조롭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계 환경안보를 증진하여 궁극적으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극대화하는 방안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Climate change is an emerging global issue. Scientific evidences by climate change effect are found in broad fields such as ecosystem, agriculture, forest, ocean etc.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supporting to maintain the highest level of security of ecosystem in Korea and present the policy alterna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proper foundation for concept of environmental security, to secure institutionally the biodiversity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in Korea. So we focused on the ecosystem in environmental security which is a branch of human security by the 1994 UNDP`s report. Since the study is planned as two years project,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 paradigm of ecological environmental security is performed on the first year. On subsequent year, the study is planne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security and socio-economic part. The study includes: 1) Climate changes and its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ecosystem, 2) cases and the trends of ecosystem assessment in relation climate change either in domestic and abroad 3) things to be done to establish the adaptive measures by climate change , 4) Finally, suggestions for the policy proposals of environmental security measures to strengthen the ecosystem environmental securit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s the study of environmental security is on the verge of its initial stage in Korea, we`ve tried to make general definition. To make this general definition, we have reviewed UNDP, ENVEC, CCRA reports, NCA reports, Nairobi project, which is showing security-related trends in the ecosystem environmental security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We reviewed national policies and projects related to climate change projects, like National Observation Project, Eco Innovation project etc. We found that there are some kinds of activities for ecological approach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Korea. But we suggest that there be further trial and researches to enhance the security level especially in urban planning,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or ecological corridor project, co-partnership between Norh-South Korean in DMZ region.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he horizontal permeability for migration of species, as there are many fragmented and disrupted ecological corridor in Korea. Among them, mountain ridges such as Baekdudagan and subsequent Jeongmaek etc. should be conserved in their intact state and restored to make room for migration. Some infrastructures like bridges and tunnels shall have climate-responding design, namely eco-corridor should be applied in design stage and rebuilding. With mainstreaming the concept and tools into other existing institutions, lik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SEA), land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security (Environmental Security Assessment) will be a powerful measure to give a firm basis for climate-resilient society in Korea.

      • KCI등재

        포괄적 안보위협 대비 다국적 연습 및 실험의 활용성 제고

        조용만 세종연구소 2012 국가전략 Vol.18 No.1

        After Cold War, today's global security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concerns over increased irregular war types and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rather than persisting conventional military threats. These aspects of global disputes are requiring more international or regional security collaboration because the perceived threats has become more complicated or multifarious involving ground, maritime and air as well as cyber and outer space. To make matters worse, the damage disperses not only to any specific country but also to many unspecified countries. Faced with this comprehensive security environment,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NATO members, U. S. and governmental interagency of the U. S. led by United States Joint Forces Command(now transferred to JCS J7) have been developing Joint Concept and Execution, and Multinational Experiment(MNE) linked up with their own military joint experimentation and real operation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unpredictable threats for 11 years while taking comprehensive approach into world security environment. This article aims at learning lessons from the above case so that Korea Military can prepare for a desirable system to develop the field of Comprehensive Security Threats. This article analyzes about the necessity of multinational collaboration in the wake of enlarging security concept, and the skill of Korea Joint Forces experiment and MNE in order to seek the technical method and life cycle management of the MNE. The MNE products are necessary and practical to Korean Armed Forces and strengthening its security capabilities. As a result, MNE is assuming a roll not only as a military collaborative main body among the membership countries but also growing as a worldwide discussion community so I provided 5 kinds of suggestions how to increase Korea Military Experiment and utilize the MNE for sharing common awareness on new threats, MNE result and benefit. My proposal can lead reducing the national defensive cost as an effective alternative as well as helping Korean military and Korean PKO into adaptable capabilities against comprehensive threats and changeable security enviro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in the world. 탈냉전 이후, 세계 안보환경의 특징은 전통적인 군사적 위협이 상존하는 가운데 대량살상무기, 테러, 해적, 자연재해 등 포괄적 안보위협이 증대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협의 공간은 지ㆍ해ㆍ공뿐 만아니라 사이버와 우주공간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그 피해는 어느 특정 국가뿐만 아니라 그 주변이나 불특정 다수의 국가들에게 확산되고 있어 포괄적 안보역량의 확충이 매우 시급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선진 국가들은 자국군의 합동실험과 훈련 및 실제작전을 연계시킨 ‘개념개발 및 실험’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세계안보 환경에 적용시킨 다국적 실험을 11년째 실시하고 있다. 다국적 실험은 비정규적 위협에 대한 포괄적 접근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써 美합동전력사 주관(최근: 합참 J7으로 개편)으로 美정부 유관기관과 유럽 및 NATO 회원국들이 참가하고 있다. 이러한 안보문제의 접근 방식은 한국의 안보전략에 시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안보개념의 확대에 따른 다자협력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고 한국군이 이러한 안보위협에 대비하여 다국적 공조형태로 참여하고 있는 다국적 연습의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둘째, 한국군의 군사실험을 분석하여 변화하는 안보환경의 변화에도 부응할 수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고,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다국적 실험의 기법과 산출물들을 분석하여 벤치마킹할 수 있는 내용을 확인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군의 다국적 공조능력을 고양하기 위해 다국적 연습 및 실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①한국군 내부의 실험체계 및 조직개선 ②민간 전문가 등 참여대상 확대 ③조직적인 업무협조체제 구축 방안 ④참가 보고서 공유를 통한 참여효과 제고 ⑤참가연습 및 훈련결과의 현실적 반영 등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들은 국방비용을 감소하고 포괄적 안보위협에 효용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행 PKO작전과 현재 및 미래의 한반도 안보환경 변화에도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되어 한국의 안보능력 제고 차원에서 제시한 것이다.

      • OS Security Enhancement System by Considering Security Level

        Tai-Hoon Kim,Gil-cheol Park,Seok-soo Kim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2 No.3

        Trusted operating systems (OS) provide the basic security mechanisms and services that allow a computer system to protect, distinguish, and separate classified data. Trusted operat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early 1980s and began to receive National Security Agency (NSA) evaluation in 1984. The researches about trusted OS are proceeding over the world, and new product type using the loadable security kernel module (LSKM) or dynamic link library (DLL) is being developed. Most important concept in this paper is Security Level proposed by Dr. Tai-hoon Kim, because this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in every operational environment. This paper assumed security level 1st proposed by Dr. Taihoon Kim, and proposes a special type of product using LSKM and specific conditions for oper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 KCI등재

        경비업법령의 문제와 개정방향

        안황권,최경철 한국융합보안학회 2016 융합보안 논문지 Vol.16 No.1

        경비업법이 제정된지 40년이 되었다. 그동안 시큐리티정책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시큐리티 환경도 급변하였다. 경찰과 더불어 생활안전의 한 축을 담당하는 민간경비를 활성화시키고 지원하는 방향에서 전면적인 개정을 할 때가 되었다. 첫째, 시큐리티 환경를 변화를 반영하여 경비업법의 법명과 용어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즉, 시큐리티 컨설팅, 플랜너, 민간조사, 융합보안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경비업무 범위 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비업법령의오류를 시정하여 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경비업법령 중에서 불합리한 내용을 지닌 조항을 적절하게 개정할 필요가있다. 넷째, 경비지도사의 선발, 교육, 선임 중에서 불합리한 문제를 시정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In 1976, privative security law in Korea was enacted. Through the law has been revised 23 times, and it reflected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Since the private security is now in charge of the daily safety as well as the police, private security law should be revised in overall dimension. First, the name of private security service and terms should be reorganized with applying the current environment of security. For instance, there should be an appropriate range of security service which could contain security consulting, planner, private investigator, and convergence security. Second, the errors of private security law should be corrected and applied to the revised law. Third, some inappropriate contents in the private security law should be revised. Forth, revising the private security law should consider to solve problems in selection, education, and election of security instructor.

      • KCI등재후보

        탈냉전 이후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신세대 안보인식의 특성

        정헌영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7 국제관계연구 Vol.12 No.2

        The environment of security has been changed rapidly after the beginning of post-cold war era, therefore the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has been changed and enlarged. By the way, in the Korean peninsula, we are faced with the dual structure that is composed of cold-war logics and post-cold war logics. In this context, people’s sense of security depends on the cognition of security conditions that we have faced with. This study analyzes the new generation’s cognition of national security due to the change of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surveyed about three variables related national security: (1) security condition factors based on cold-war logics, (2) security condition factors based on post-cold war logics, (3) national security consciousne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ense of security based on cold-war logics is weaker than before, (2) They have flexible and realistic cognition of security in the transition stage of security paradigm, (3) But they don’t have mature sense of security suitable for new security condition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epare establishing scheme of mature sense of security for new generations. This study has suggested several directions as follows: (1) forming common sense of national security through the open discussion, (2) raising the cognition of northeast Asia security environments. (3) linking security educa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4) opening informations that are connected with national security, (5) improving methods that inspire the sense of sec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